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셜 네트워크 시대에 가짜뉴스(fakenews) 규제에 관한 헌법적 고찰- 독일의 소셜네트워크법(Netzwerkdurchsetzungsgesetz)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이권일 한국비교공법학회 2019 공법학연구 Vol.20 No.1

        Sog. Fakenews wird im Zeitalter sozialer Netzwerke im In- und Ausland auf eine wichtige Problematik hingewiesen. Diesbezüglich gibt es Gefahren, in das Persönlichkeitsrecht einzugreifen und durch entstellte öffentliche Meinungsbildung freie Demokratie bedroht zu werden. Bereits wird in vielen Staaten über die Regulierung von Fakenews hitzig diskutiert. Vor allem kann das deutsche Netzwerkdurchsetzungsgesetz eine wichtige Rolle als ein Pionier spielen. Im unseren wissenschaftlichen Bereich bestehen zwar viele Literaturen in Bezug auf die Reaktion gegen Fakenews, allerdings es mangelt an Literatur, in der die Regulierung in grundrechtlicher Hinsicht analysiert wurde. Infolgedessen soll in dieser Arbeit das Gesetz in grundrechtlicher Hinsicht kritisiert werden und Diskussionen, die in Deutschland stattfinden, vorgestellt werden. Dadurch kann diese Arbeit zu diesbezüglicher Diskussion, die in Korea verlaufen ist, beitragen. Dafür werden zuerst die Grundlage des Entwurfs dieses Gesetzes und dessen wichtige Inhalte geschildert und danach das Gesetz aus verfassungsrechtlicher Sicht analysiert. Dabei werden Meinungsfreiheit und Medienfreiheit als Grundrechte der Nutzer erklärt und privatisierte Zensur durch Betreiber sozialer Netzwerke kritisiert. Darüber hinaus werden Unternehmensfreiheit und Medienfreiheit als Grundrechte der Anbieter sozialer Netzwerke auseinandergesetzt. Vor diesem Hintergrund sind einige Fragen zu argumentieren, z.B. ob die Regulierung von Fakenews in unserer Gesellschaft erforderlich oder tatsächlich möglich ist, wenn ja, ob und wie die Regulierung, die die Meinungsfreiheit der Nutzer beschränkt, grundrechtlich gerechtfertigt werden kann. Und dazu wird darauf hingewiesen, dass die Weise der Regulierung in diesem Gesetz-die erzwungene Löschungspflicht der Betreiber sozialer Netzwerke(privatisierte Zensur)- trotz der Effizient mit den Grundrechten unvereinbar ist. Dennoch ist die Notwendigkeit der Regulierung von Fakenews im Wahlkampf anerkannt, weil Fakenews die starke Nebenwirkung auf den Wahlkampf ausüben kann. Hierbei muss die Meinungsfreiheit immer auch berücksichtigt werden. 인터넷의 발달, 그중 최근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광범위한 유행은 우리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도 미치지만 동시에 중대한 위험도 내포하고 있다. SNS사용의 부정적인 면 중, 소위 가짜뉴스는 국내외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개인의 인격권 침해는 물론 왜곡된 여론 형성을 통해 민주주의에 위해를 끼칠 가능성도 간과할 수 없다. 특히 미국의 대통령선거에 그 부정적인 면이 심각하게 부각된 이후, 각국에서는 이를 규제하기 위해 많은 논의를 하고 있다. 특히 독일에서 제정된 네트워크법은 가짜뉴스를 규제하기 위한 최초의 법률적 조치로 우리는 물론 세계에서 민주주의가 발달된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국내에서도 이와 관련한 많은 문헌들이 소개되어 있지만 기본권적 관점에서 이를 바라보는 문헌은 부족하다. 따라서 이 법률을 기본권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와 관련된 독일에서의 논의를 소개함으로서 우리나라에서 진행되고 있는 가짜뉴스 규제와 관련된 기본권적, 법정책적 논의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에 본 논문은 독일 네트워크법의 입법배경 및 주요내용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이를 헌법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독일에서도 네트워크법은 야당과 학계의 반대속에서 통과되었으며 시행된 후에도 여전히 그 위헌성이 계속 논의되고 있다. 이 법의 가장 중요한 특성은 국가를 통한 직접적인 제한이 아니라 소셜 네트워크 제공업자에게 가짜뉴스 등의 삭제 조치를 강제함으로써 소위 사적 검열을 강제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 법을 통해 제한되는 사용자의 기본권인 표현의 자유, 언론의 자유, 제3자에 의한 사적 검열 등에 대해 설명하고, 서비스 제공업자의 기본권인 영업의 자유 및 언론의 자유에 대해 서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우리나라에서 논의 중인 가짜뉴스 규제와 관련하여 과연 규제가 필요한지, 만약 필요하다면 표현의 자유를 제한하는 법률이 헌법적으로 정당화 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중개자인 사업자를 통한 가짜뉴스의 통제는 그 효율성에도 불구하고 헌법적으로 많은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하지만 가짜뉴스가 선거에 미치는 부작용을 고려하면 선거와 관련한 가짜뉴스는 특별한 규제의 필요성이 있으며 이때에도 표현의 자유는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 KCI등재

        인터넷 기반 교수 학습 과정의 문화적 차이 -한국의 DaF 수업에서 “페이스북”을 활용한 이러닝

        강태호 ( Tae Ho Kang ),디륵슐로트만 ( Schlottmann Dirk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2 獨逸文學 Vol.124 No.-

        이 논문은 2011년 3월 2일부터 한국교원대 독어교육과의 전공수업들에 활용하고 있는 ‘페이스북’ 프로젝트인 ‘Spielplatz Deutsch’의 연구 진행과정과 결과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최근 교수-학습 이론에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한 웹 2.0과 소셜 네트워크, 특히 그 중심에 서 있는 ‘페이스북’에 대해 개괄한다. 그리고 ‘페이스북’ 프로젝트 ‘Spielplatz Deutsch’의 본격적인 연구에 관한 기술 부분에서는 ‘페이스북’의 기술적인 설정과정과 보안 조치 등에 대해 설명한 후, 독일어 수업에서 이러닝을 위한 소셜 네트워크의 도입이 어떠한 의미가 있으며 어떤 콘텍스트에서 의미를 지니는지 기술한다. 그리고 이 ``Spielplatz Deutsch`` 프로젝트의, 잠정적으로 중간보고 형태를 취할 수밖에 없는 첫 번째 분석에서는 가상 공동체는 반드시 오프라인 환경을 배경으로 고찰해야 한다는 점을 분명하게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인터넷 사용자들과 독일의 인터넷 사용자들 사이의 소셜 네트워크를 비롯한 인터넷 환경에 대한 수용태도의 차이를 밝혀본다. 소셜 네트워크의 의미 또는 무의미에 대한 최근 논쟁들은 웹 2.0이라는 혼란스러운 키워드로 대변되는 새로운 디지털 세계의 사회적 수용이라는 문제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이러한 수용의 문화적 차이는 한국의 페이스북이 독일의 페이스북과 동일하지 않다는 점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수업에 소셜 네트워크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교수자와 학습자의 미디어 교수법적 능력뿐 아니라 사회인류학적, 사회적 요소들에 대한 고려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Kritische Analyse des deutschen Netzwerkdurchsetzungsgesetzes und Gesetzesvorschläge für die Regulierung von sozialen Netzwerken

        이정념,데니스 블로흐 한독사회과학회 2018 한독사회과학논총 Vol.28 No.4

        The German „Act to Improve Enforcement of the Law in Social Networks (Network Enforcement Act)“, which aims to combat Hate Speech and Fake News in social networks, entered into force on 1 October 2017. The German Network Enforcement Act includes a novel approach to the regulation of social networks to contain hate crime and other criminal content on the internet effectively and immediately. However, the compatibility of the law with the German Basic Law is controversial and also the functionality of the regulatory approach attracts criticism. Nevertheless, the law serves as a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legal regulation in South Korea by means of which the Korean legislator intends to specifically regulate the social media with respect to so-called „Fake News“. This paper focuses on the concrete proposals for removing the main shortcomings of the legislation which are also intended to contribute to the discussion on the regulation of social networks in South Korea. Concretely, the paper presents the reasons for the introduction of the Network Enforcement Act, the essential content of the Network Enforcement Act, the main legal problems of the legislation and analyses the first experiences und relevant judgements regarding the new regulatory approach of the Network Enforcement Act. Finally, the paper submits proposals for the revision of the Network Enforcement Act. Das deutsche „Gesetz zur Verbesserung der Rechtsdurchsetzung in sozialen Netzwerken (Netzwerkdurchsetzungsgesetz)“, mit dem „Hassrede“ oder „Fake News“ in sozialen Netzwerken bekämpft werden sollen, ist am 1. Oktober 2017 in Kraft getreten. Das Netzwerkdurchsetzungsgesetz beinhaltet einen neuartigen Ansatz für die Regulierung von sozialen Netzwerken, um effektiv und unverzüglich gegen Hasskriminalität und andere strafbare Inhalte im Netz vorgehen zu können. Obwohl die Vereinbarkeit des Gesetzes mit dem deutschen Grundgesetz umstritten ist und auch die Funktionsfähigkeit des Regulierungsansatzes kritisiert wird, dient das Gesetz als ein Vorbild für die Erarbeitung von gesetzlichen Regelungen in Südkorea, wo es eine gesetzgeberische Diskussion über die spezifische Regulierung der Problematik so genannter „Fake News“ gibt. Der Aufsatz fokussiert sich auf konkrete Vorschläge für die Beseitigung der wesentlichen Defizite des Netzwerkdurchsetzungsgesetzes, die zugleich einen Beitrag zur gesetzgeberischen Diskussion über die Regulierung von „Fake News“ in Südkorea liefern sollen. Dafür stellt der Aufsatz die Gründe für die Einführung, den grundlegenden Inhalt sowie die wichtigsten rechtlichen Problemfelder des Netzwerkdurchsetzungsgesetzes dar und analysiert die ersten Erfahrungen, die mit der Umsetzung des neuen Regulierungsansatzes gemacht wurden, sowie aktuelle einschlägige Rechtsprechung. Abschließend präsentiert der Aufsatz Vorschläge für die Überarbeitung des Netzwerkdurchsetzungsgesetzes.

      • KCI등재

        Kritische Analyse des deutschen Netzwerkdurchsetzungsgesetzes und Gesetzesvorschläge für die Regulierung von sozialen Netzwerken

        Jungnyum Lee,Dennis Bloch 한독사회과학회 2018 한독사회과학논총 Vol.28 No.4

        독일의 „소셜네트워크에 있어 법운용의 개선을 위한 법률 (Gesetz zur Verbesserung der Rechtsdurchsetzung in sozialen Netzwerken, Netzwerkdurchsetzungsgesetz)“ - 즉 네트워크운용법 - 은 소셜네트워크에 등장하는 혐오발언 또는 페이크뉴스를 규율하기 위한 목적으로 2017년 10월 1일부터 효력을 발휘하고 있다. 네트워크운용법은 네트워크 상 혐오범죄와 가벌적 내용들에 효과적이고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소셜네트워크를 규율하는데 필요한 새로운 내용들을 담고 있다. 네트워크운용법의 타당성에 대하여는 독일 기본법과 관련하여 논란이 되고 있고 규제의 접근방식에 대하여도 비판이 이어지고 있기는 하나, 동법은 한국에서 소위 페이크뉴스에 관한 문제들의 규율을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논의과정에서 선례로 작용하고 있다. 본 논문은 한국에서 페이크뉴스의 규율을 위한 입법적 논의를 하는 데 있어 참조가 되고 있는 독일 네트워크운용법에 내재되어 있는 법적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필요한 내용들을 제안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은 네트워크운용법의 도입이 유, 기본적인 내용 및 주요하게 언급되는 법적 문제들을 다루는 한편, 새로운 규제방식의 이행과 관련된 첫 번째 보고내용들은 물론 관련 판례의 입장들을 분석함으로써, 종국적으 로 네트워크운용법의 개정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들을 언급하고 있다. The German „Act to Improve Enforcement of the Law in Social Networks (Network Enforcement Act)“, which aims to combat Hate Speech and Fake News in social networks, entered into force on 1 October 2017. The German Network Enforcement Act includes a novel approach to the regulation of social networks to contain hate crime and other criminal content on the internet effectively and immediately. However, the compatibility of the law with the German Basic Law is controversial and also the functionality of the regulatory approach attracts criticism. Nevertheless, the law serves as a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legal regulation in South Korea by means of which the Korean legislator intends to specifically regulate the social media with respect to so-called „Fake News“. This paper focuses on the concrete proposals for removing the main shortcomings of the legislation which are also intended to contribute to the discussion on the regulation of social networks in South Korea. Concretely, the paper presents the reasons for the introduction of the Network Enforcement Act, the essential content of the Network Enforcement Act, the main legal problems of the legislation and analyses the first experiences und relevant judgements regarding the new regulatory approach of the Network Enforcement Act. Finally, the paper submits proposals for the revision of the Network Enforcement A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