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은 PR커뮤니케이션의 실행과 인식에 어떠한 관련성을 보일까?: 사회복지사들의 인식을 통한 탐색적 연구

        민지현(Ji-hyun Min),김수연(Soo-Yeon Kim) 한국광고PR실학회 2018 광고PR실학연구 Vol.11 No.4

        이 연구는 173명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그들의 사회복지사로서의 전문성과 PR커뮤니케이션 실행 능력, 그들이 인식하는 PR커뮤니케이션 인식에 관한 하위 차원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사회복지사로서의 전문성이 높은 사회복지사 집단이 전문성이 낮은 집단보다 PR커뮤니케이션 실행 능력이 더 높았다. 그들의 PR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인식 차원은 PR의 주요한 경영적 역할, PR의 이해관계자 관리, PR의 관리자역할, PR의 전략적 목적의 네 차원으로 파악되었으며, 그들의 PR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인식 차원과 사회복자사로서의 전문성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을 때 PR의 이해관계자 관리와 PR의 전략적 목적의 두 차원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그들의 사회복지사로서의 전문성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들의 인구통계학적 변인들과 관련해서는 사회복지사의 직급, 연령, PR교육 이수 여부, 속한 조직의 SNS운영 여부가 PR커뮤니케이션의 인식과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여서 직급과 연령이 높을수록, PR교육을 이수받은 경험이 있을수록, 조직이 SNS를 운영할수록 PR커뮤니케이션을 더욱 중요시했다. 이 연구는 사회복지사들의 사회복지사로서의 전문성과 PR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인식을 함께 살펴봄으로서 사회복지분야에서 가지는 PR커뮤니케이션의 필요성과 의미를 사회복지사로서의 전문성 개념과 함께 탐색해보았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plored how social workers’ professionalism relates to their public relations practice and perception on public relations conducting surveys with 173 social workers. Social workers with high professionalism have practiced public relations more than those with low professionalism. Significant management role of public relations, stakeholder management of public relations, management role of public relations, and strategic goal of public relation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subdimensions of social workers’ perception on public relations. Social workers with high professionalism and high-ranked position perceived public relations more positively than others with low professionalism and low-ranked position. Elderly social workers and those who have taken public relations training perceived public relations more positively than younger social workers and those who have never taken public relations train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found the significant implication of public relations in social work.

      • KCI등재후보

        비정규직 노동자의 사회적 보호 배제의 원인에 관한 시론적 고찰

        윤정향 한국사회보장학회 2003 사회보장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비정규직 노동자가 사회적 보호로부터 배제되고 있는 원인을 제도 자체의 결함보다는 사회구조적인 문제와 결부시켜 이해하려는 데서 출발하고 있다. 사회적 보호체계는 사회적 관계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는 집단을 중심으로 형성, 발전되어 왔기 때문에, 사회적 약자를 위한 보호체계라 하더라도 결과적으로는 지배집단에게 유익하도록 귀결되어 왔다. 이전 점에서 비정규직 노동자가 사회적 보호로부터 배제된 원인은 위계적이고 배제적인 사회적 관계에서 비롯된 사회적 보호체계의 속성 때문이다. 오늘날 사회적 보호체계의 골간이 되었던 2차 대전 이후의 사회적 보호체계들은 당시의 자본주의 생산방식에서 지배적인 사회적 관계로 등장했던 남성(백인)-중장년층-기혼-정규직을 중심축으로 하는 것이었다. 이로 인해 비정규직은 지배적인 사회적 관계로부터 파생되었거나 혹은 지배적인 사회적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표적화된 보호를 받았던 것이다. 노동시장의 구조적 변화로 인해 비정규직이 급속하게 확산되었으나 기존 보호제도는 이들의 존재 형태와 부합하지 못하는 측면이 있다. 이러한 제도적 한계들이 비정규직을 양산하는 해당사회의 사회적 관계돌파 긴밀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한 제도 혹은 제도의 어느 한 부분을 개선해서는 해결될 수 없다는 것이 보다 현실적으로 부딪히는 난관이다. 이런 점에서 비정규직 노동자가 주체적으로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하여 자신들의 욕구를 표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사회 전체적으로는 기존의 사회적 보호체계에 국한되지 않는 새로운 방식의 제도를 고민하는 것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ove that the fact that contingent workers is excluded from social protections is reflected to social structure rather than institutions defect itself. Because social protection system have been evolved with interest of the dominant group of social relations, even if social protection system is designed of benefit to disadvantaged group, the power groups would advantage of that protection systems. Because of this point, the cause of exclusion from social protections of contingent workers is social protection institutions' exclusive property resulting from hierarchical and exclusive social relations. Contemporary social protection system which was set up after The World War II has been foundation to man-white-middle age-married-regular labour that control the social relations in capitalism production mode that time. By reason of that, contingent workers have accepted protections which are periphery to and support to hierarchical social relations. Because of Structural change of Labour market, Contingent workers have sharply increased. However, the existing social protection systems have limited to protect contingent workers. Because these limits have been connected with social relations' property. As a result, improving only the part of particular institution or some aspects of specific institution is not effective. From this point, for contingent workers to show their needs and participate indecision making of social protection systems, there should be apparatus to support their arguments. From the social point of view, we should consider new institutions not to be limited in existing social protection systems.

      • KCI등재

        PR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탐색적 연구: PR실무자, PR교육자, 일반인의 인식을 중심으로

        이현승 ( Hyun Seung Lee ),조삼섭 ( Sam Sup Jo ) 한국PR학회 2006 PR연구 Vol.10 No.2

        The word of public relations has been widely used in many parts of society, and in fact the concept is too broad and ambiguous to make its definition. Despite growth of public relations industry, it has been perceived by its function and becomes harder to seek its social meaning of existence. Therefore, this study is to discuss public relations`s ultimate value by revealing perspective on various social roles of public relations practitioners, public relations instructors, and the general public and difference in such understanding among them. This study theoretically examines what role public relations can play socially through its paradigm approach and from its symmetry-asymmetry worldview. Positively to understand its current and ideal social roles, the study classifies its target groups into public relations practitioners, public relations instructors, and the general public, and draws up a questionnaire based on classification of its social role suggested by James E. Grunig and Jon White. Public relations practitioners, public relations instructors, and general public are with one voice to some extent that present public relations has been used to maximize commercial profit by influencing sales and returns to corporate and customers and in justification for those who wield influence over government and economy. However, they also agree that ideal public relations should be made a change in a way that it promotes public good, mutual understanding of both organization and the public, lively discussion on various social issues, and desirable change to organization and society.

      • KCI등재후보

        자살 관련 행동의 과거력이 있는 한국군 장병에서의 스트레스, 우울 증상, 사회적 관계의 연관성

        이아영(A-Young Lee),이해우(Hae-Woo Lee),조선진(Sun-Jin Jo),임현우(Hyeon-Woo Yim),장세보(Sae-bo Jang),박종익(Jong-Ik Park)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18 신경정신의학 Vol.57 No.4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soldiers’ social relations,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We also investigated the effect of previous suicide-related behaviors on their correlation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1000 soldiers. Study subjects were tested using clinical scales including the Korean Mini-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for Depression Scale, the Worker’s Stress Response Inventory and the Lubbens Social Network Scale-6.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istory of suicide-related behaviors were also examin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stress, depression, and social relations in groups with and without a history of suicide-related behavior, one-way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Depressive symptoms and stres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hen sociodemographic factors are controlled, regardless of past history of suicide-related behaviors. Depressive symptoms and social relations showed a weak negative correlation. Furthermore, stress and social relations showed a weak negative correlation. When the stress response was additionally controlled,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social relations. There was a stronger correlation between the group with a history of suicide-related behavior and the group without suicide - related behavior. Conclusion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stress, and this correlation was greater in patients with a history of suicidal behavior than in those without prior suicidal behavior. In addition, social relations did not directly affect depressive symptoms but was found to mediate stress indirectly.

      • KCI등재

        청소년의 부모 및 또래관계와 비행행동 간의 관계에서 사회기술의 매개효과

        김동하 한국청소년학회 2013 청소년학연구 Vol.20 No.10

        This study explored how parental and peer relations affect social skills and whether these social skills would take a mediating role in the path of parental and peer relations leading to adolescent delinquency. This study utilized the panel data from the research of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which was conducted in 2009 by the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The sample consisted of 2,306 participants ranging in age from 12 to 18 year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Results showed that both parental relations and peer relation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social skills. Additionally, peer relations are more influential to social skills than parental relations. This result supports the Social Learning Theory that social skills in adolescents will likely be more affected by peers. Finally, social skills are significantly mediated both parental and peer relations to affect adolescent delinquency, thus the Social Disability Model was supported by this study. The findings of this study highlight the importance of social skills to prevent adolescent delinquency in Korean society. 본 연구는 청소년기의 부모관계 및 또래관계가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사회기술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종합실태조사(2009) 자료를 이용하여, 만12~18세의 청소년 2,306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부모관계와 또래관계가 모두 사회기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관계보다는 또래관계가 청소년의 사회기술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또래관계에서 필요한 사회기술은 또래관계를 통해 학습해야 한다는 사회학습이론을 지지하였다. 셋째, 부모관계와 또래관계가 청소년의 비행행동으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사회기술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사회무능력모델을 지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비행문제 접근에 있어서 사회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비행에 대해 보다 다양한 접근을 가능케 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끝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유교사회 구성원리에 관한 연구

        이영찬(Lee Young-Chan) 동양사회사상학회 2006 사회사상과 문화 Vol.14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principles of confucian society. And the social structure is stipulated in terms of social relations and the system of these relations. The structural principle is drawn from the theory of lines, in which ‘position’, ‘response’, and ‘middle’ are stated, yin-yang theory, and neoconfucian theory.<BR>  The principle of social relations is clearly shown in the ‘situation of lines’ in ‘book of change’. For example, the structural principle of society can be found in yin-yang correct position and the principle of social relations is shown in yin-yang correct middle, and communicative principle of social relations is found in yinyang correct response.<BR>  The principle of social system is shown in yin-yang theory and neoconfucian theory. The yin-yang theory is said to define the functional balance and harmony between the elements of social systems. Through the equivalent relation of yin and yang, these two elements (1) can have equal structure based on the same foundation, (2) can have contradictory structure of unification between yin and yang, (3) can have the structure where yin and yang support each other, and (4) can have the structure that can be complemented in their functions.<BR>  Neoconfucian theory unifies and divides the elements that compose the confucian social systems both mutually and hierarchically, thus, being the principle that stipulates the organic relations in social systems. The implications that the social relations and the principles of social systems in confucianism helps to understand the modern society are summarized as follows:<BR>  First, Confucianism regards a society as a moral community and, therefore, is different from the artificial modern western world view.<BR>  Second, society does not rival the individuals or the nation in Confucianism. Society is closely unified with the individuals and the nation.<BR>  Third, society is regarded as a small universe in Confucianism and the social order follows the natural order.   본고는 유교사회의 구조적 원리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사회구조를 사회적 관계와 관계들의 체계로 규정하고 그 원리를 「주역」의 위位ㆍ응應ㆍ중中의 원리와 음양대대론, 그리고 리일분수론에서 추론하였다.<BR>  사회관계의 원리는 『주역』의 효덕爻德에서 잘 드러난다. 이를테면 괘효에 있어서 음양당위에서 사회의 구조적 원리를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음양의 시중에서 사회적 관계의 시의성時宜性의 원리를 찾을 수 있다. 그리고 음양정응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의 소통의 원리를 찾아볼 수 있다.<BR>  한편, 사회체계의 원리는 음양 대대이론과 리일분수론에 잘 나타난다. 음양 대대이론은 사회체계를 구성하는 요소들간의 기능적 조화와 균형을 규정하는 원리라 할 수 있다. 음양이 대대적 관계에 있음으로써 음양은 ① 동일한 뿌리에 기반을 둔 평등한 구조를 갖고, ② 음양간에 모순적 통일의 구조를 갖으며, ③ 음양 상호간에 존재의 조건이 되는 구조를 갖고, ④ 그리고 상호 기능적 보완의 구조를 갖는다.<BR>  그리고 리일분수론은 유교사회체계를 구성하는 요소들간의 상호적 또는 층차적 분화와 통합의 원리라 할 수 있다. 그래서 리일분수론은 사회체계의 유기적 관계를 규정하는 원리가 된다. 이와 같은 유교의 사회적 관계와 사회체계의 원리가 현대사회를 이해하는 데 품고 있는 의미를 간추리면 다음과 같다.<BR>  첫째, 유교는 사회를 도덕공동체로 인식하고 있다. 그래서 인위적, 계약적인 서구 근대사회관과는 다르다.<BR>  둘째, 유교는 사회를 개인 혹은 국가와 대립시키지 않는다. 유가에 있어 사회는 개인과 국가와 긴밀히 통합되어 있다.<BR>  셋째, 유교는 사회를 소우주로 인식한다. 그래서 사회질서는 자연의 질서를 따른다.

      • KCI등재

        소셜 미디어 이용자의 자발적 공공PR 커뮤니케이션 동기와 행동에 대한 연구: PR의 사회이양모델의 공공부문 적용

        강귀영,윤영민 한국PR학회 2021 PR연구 Vol.25 No.3

        Objectives Socially distributed model of public relations describes the phenomenon in which individuals with social stake in an organization voluntarily perform via social media interactivity the communication activities that the organization is supposed to carry out. This study applies the model to the public sector, exploring social media users’ motivation and behavior for voluntary public communication and investigat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vation and behavior.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275 users who have performed voluntary public communication on social medi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motivation factors and behavior types, follow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m. Results This study found that social media users’ motivation for voluntary public communication consists of four factors— motivation for mutual exchange, motivation for public interest, motivation for impression management, and motivation for self-satisfaction. It also discovered social media users’ behavior for voluntary public communication is made up of two factors—voluntary promotion behavior and voluntary connection behavior. Additionally, it observed that both motivation for mutual exchange and motivation for public interest affect both voluntary promotion behavior and voluntary connection behavior. However, motivation for impression management affects voluntary promotion behavior only, whereas motivation for self-satisfaction influences voluntary connection behavior only. The results show that voluntary public communication behavior—promotion and connection—require different personal-level motivations respectively in addition to public-level motivations. Discussion and Conclusion This study has identified social media users' motivations and behaviors for voluntary public communication and examined their relationship. Through this, it has attempted to enhance understanding a new theoretical model in the field—socially distributed model of public relations. This study also offers public sector practitioners a practical roadmap that can trigger empathy, interest and engagement from the social media users, thereby possibly eliciting their voluntary public communication activities 배경 및 목적PR의 사회이양모델은 조직과 그 조직에 소셜 스테이크(social stake)를 가지고 있는 공중이 소셜 미디어상 상호작용을 통해 조직이 본래 해야 할 커뮤니케이션 행위를 자발적으로 수행하는 현상을 설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이러한 PR의 사회이양모델의 공공부문 적용에 주목했다. 이에 소셜 미디어 이용자가 수행하는 자발적 공공PR 커뮤니케이션의 동기와 행동을 탐색하고, 그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했다. 방법소셜 미디어상에서 자발적 공공PR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해 본 경험이 있는 이용자 27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실시했다. 동기 요인과 행동 유형 파악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하고, 동기와 행동 간 인과관계를 살펴보기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했다. 결과소셜 미디어 이용자의 자발적 공공PR 커뮤니케이션의 동기 요인은 상호교류 동기, 공익성 추구 동기, 인상관리동기, 자기만족 동기의 네 가지 동기로 정리되었다. 자발적 공공PR 커뮤니케이션의 행동 유형은 자발적 홍보행동과 자발적 연결 행동의 두 가지 행동으로 구분되었다. 동기-행동 간 관계에 있어서 공익성 추구 동기와상호교류 동기 외에, 자발적 홍보 행동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인상관리 추구 동기가, 자발적 연결 행동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자기만족 동기가 필요했다. 결과적으로 소셜 미디어를 통한 공중의 자발적 공공PR 커뮤니케이션행동의 차이를 결정짓는 중요한 동기는 개인적 차원의 두 동기인 인상관리 동기와 자기만족 동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 이용자의 자발적 공공PR 커뮤니케이션의 동기와 행동을 파악하고 동기-행동 프로세스를검증했다. 이를 통해 PR의 사회이양모델이라는 새로운 PR의 사회적 모델의 등장을 이해하고 현상을 입체적·실증적으로 규명하는 데 기여했다. 또한 공중에 대한 효과적인 접근 방안과 커뮤니케이션 전략 개발을 고민하는 공공부문PR 실무자들에게 소셜 미디어 공중의 공감대와 관심,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해 및 자발적공공PR 행위와 관련한 실용적인 조언을 함께 제공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이론적·실무적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한국사회복지교육의 현안과 미래의 쟁점- 교과목이수제의 개편과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대비를 중심으로 -

        남찬섭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9 한국사회복지교육 Vol.48 No.-

        Problems and their solutions of social welfare education are to be influenced by not only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practices but also research on the social welfare phenomena. Based on this insight, this study discussed problems and their solutions of the Korean social welfare education from both the perspective focused on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practices(education-first approach) and the perspective centered on social welfare research(research-first approach). In Korea, certification of social workers has been based on course-completion system in which certificate of social worker can be issued if he or she completed only 14 subjects while in school. The course-completion system has exerted negative impact on the professional prestige of social workers as well as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practices in Korea. In order to solve this long-pending problem, an educational accreditation needs to be introduced but it will require much debate and time. In the short run, strengthening the field education would be both reasonable and realistic approach to improve the quality of social welfare education. In response to changes resulted from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most important research agenda are social relations and normative criteria needed to evaluate the changes of social relation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radically change the nature and significance of social relations. To establish the identities of social welfare practices and direction of social welfare education faced with these great turn, we should stand open socio-political viewpoint rather than deterministic perspectives related with technological changes or population problems or fiscal prospects. 사회복지교육은 교육제도나 교육실천 그 자체로부터도 영향을 받지만 사회복지에 대한 학문적 연구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이 글은 이런 점에 착안하여 교육문제에 초점을 맞춘 교육우선접근에 기초한 논의와 사회복지연구에 초점을 맞춘 연구우선접근에 기초한 논의를 병행하여 사회복지교육의 문제와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한국 사회복지전문직의 낮은 사회적 위상이 사회복지교육에 반영된 결과로 한국 사회복지교육은 교과목이수제에 의한 사회복지사 자격취득이라는 문제를 안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육인증제의 도입과 학부․석사․박사과정의 역할분담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지만 여기에는 많은 시간과 준비가 필요하므로 장기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보다 단기적으로는 실습교육의 강화가 거의 유일한 대안이며 그 외에 교수요원의 자격을 강화하는 것도 한 방안이 될 수 있다. 한편 일정한 제도적 세팅에서 사회적 관계를 대상으로 규범성과 과학성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실천적 개입을 사회복지현상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런 사회복지현상이 사회복지연구의 대상이다. 그리고 여기서 가장 중요한 연구대상은 바로 사회적 관계와 규범성인데 이들에 대한 연구는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미래사회변화에도 대단히 중요하다. 왜냐하면 4차 산업혁명은 사회적 관계의 근본적 변화를 초래할 것이고 따라서 그에 대한 규범적 판단을 더욱 필요로 할 것이기 때문이다. 사회적 관계의 변화에 대해 기술결정론적․인구결정론적․재정결정론적 시각이 아니라 사회․정치적 시각에서 개방적인 태도로 접근한다면 그로부터 사회복지적 실천의 정체성과 사회복지교육의 방향을 올바르게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사회화 개념의 역사적 전개에 관한 고찰 ― 서양사상사를 중심으로 ―

        최종인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7 敎育問題硏究 Vol.0 No.28

        Socialization, by definition, is "the process of being a normal member of a society to which he or she belongs by internalizing social norms and values". Needless to say, socialization process is not separated from but closely interrelated with individual development process. The concept of socialization, introduced first by Emil Durkheim around 1900, has been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of science. Especially, a series of inquiries on socialization by American scholars in 1920s contributed to content abundance and standardized defining of the meaning of socialization. This definition of socialization has been widely used in many individual sciences which conduct researches on mutual interaction between human and society by now. The quest for related topics on socialization, however, have much longer history in the western thoughts than that of conceptualized use of socialization for scientific purpose. Premises and contents of the concept have already been referred and developed from ancient time. This study raises several questions in adopting the concept of socialization, used in many individual sciences, into the realm of pedagogy based on reflective critics on the premises of the concept which are substantial social conditions influencing on human being as individuals and changes in human being. For this purpose,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concept of socialization are reviewed historically. 사회화(社會化, Sozialisation)는 “개인이 그가 속한 사회의 규범과 가치를 내면화하여 정상적인 사회의 구성원이 되어 가는 과정”이다(교육학용어사전, 2000: 352). 물론 사회화의 과정은 개인발달의 과정과 별개의 과정으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두 과정은 상호보완하면서 진행된다. 사회화라는 개념은 1900년 경 프랑스의 사회학자 에밀 뒤르케임(Emil Durkheim)에 의해서 처음으로 사용되면서 여러 개별과학에서도 다루어지게 되었다. 특히 1920년대 미국에서의 사회화 연구는 이 개념의 내용을 풍부하게 하고, 이 개념을 정형화하는데 기여했다. 현재 이 개념은 인간과 사회의 상호관계를 연구하는 모든 개별과학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그러나 사회화와 관련된 내용들은 서양사상사에 풍부하게 발견된다. 즉, 이 개념은 과학적 필요에 의해서 비교적 최근에 성립된 개념이지만, 이 개념의 전제와 내용은 이미 고대에서부터 언급되었고 발전되어 왔다. 이 글은 이러한 사회화 개념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고찰함으로써 이 개념의 전제, 즉 개인으로서의 인간 및 인간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실제적인 사회적 조건들에 대한 반성을 기초로 하여 경험적인 사회화 연구 이후 많은 개별과학에서 다루어지는 이 개념의 교육학적 수용의 문제점을 제기하고자 한다.

      • KCI등재

        남녀 중학생의 학업성적과 사회적 관계, 그리고 행복감

        이상직,전영우,정우연,한신갑 한국교육사회학회 2016 교육사회학연구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middle-school students’ grades, social relations and happiness in Korea. Unlike the previous literature that have mainly focused on ‘who get the good grade and what status they would attain in labor market’, we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ade and self-reported life satisfaction by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relations. Using 2015 data from Index of Happiness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we analyze 1,774 middle-school students. Our first finding is that, although grades are associated with happiness, when the social relations are controlled, the grades’ effect on the happiness becomes insignificant. Secondly, the level of association between one’s grades and the three types of social relations appears higher in parents-student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than the one appears in peer relationships. The level of association between one’s grades and social relations as a whole is proven higher for girls than boys. Girls are more likely to be surrounded by social relations that react sensitively to their grades. 이 연구는 남녀 중학생들의 학업성적과 행복감이 사회적 관계를 통해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탐색한다. 기존 연구들에서 학업성적에 대한 관심은 대체로 ‘어떤 아이가 공부를 잘하고, 공부 잘 하는 아이는 어떤 지위를 갖게 되는지’에 집중되었다. 우리는 시각을 달리해 학업성적이 부모ㆍ교사ㆍ또래 관계를 통해 학생 자신의 삶에 대한 만족도와 어떤 식으로 연관되는지, 또 그 연관성이 남학생과 여학생에게서 각각 어떻게 달리 나타나는지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도 ‘한국 어린이ㆍ청소년 행복지수연구’로 수집된 자료에서 추출한 남녀 중학생을 대상으로, (1) 학업성적과 사회적 관계가 따로, 또 같이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를 다중회귀분석으로 확인하고, (2) 학업성적과 사회적 관계 인식이 어떻게 맞물리는지를 학업성적집단 간 평균을 비교해 확인했다. 연구 결과는 세 가지이다. 첫째, 행복감에 미치는 학업성적의 효과는 성별과 관계없이 거의 전부가 사회적 관계 효과를 매개로 발현되었다. 둘째, 남녀를 구분하지 않고 보았을 때 학업성적 수준과 사회적 관계 수준은 교사와의 관계에서 가장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었고, 또래 관계에서 가장 덜 연관되어 있었다. 부모와의 관계는 그 중간에 위치했다. 셋째, 앞의 세 가지 사회적 관계로 구성된 전체 관계망의 수준에서 남녀를 구분해서 보면,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자신의 학업성적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는 관계들로 둘러싸여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