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강원도 하천 호안 실태조사

        최한규(Choi, Han-Kuy),정영덕(Jung, Young-Duk),백효선(Baek, Hyo-Seon) 강원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09 産業技術硏究 Vol.28 No.B

        The pro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revetments installed in Gangwon Province for identifying their characteristics. The survey showed that in eastern Gangwon Province, gabion, retaining wall and concrete blocks took about 63% or more, and in western Gangwon Province, dry wall, gabion and retaining wall,68% or more. Gabion and dry wall had better vegetation coverage in western Gangwon Province than in eastern Gangwon Province. That is thought to be due to slope of river and under-water frequency.

      • 강원도 하천 호안 실태조사

        최한규,정영덕,백효선 江原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2009 産業技術硏究 Vol.29 No.B

        The pro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revetments installed in Gangwon Province for identifying their characteristics. The survey showed that in eastern Gangwon Province, gabion, retaining wall and concrete blocks took about 63% or more, and in western Gangwon Province, dry wall, gabion and retaining wall, 68% or more. Gabion and dry wall had better vegetation coverage in western Gangwon Province than in eastern Gangwon Province. That is thought to be due to slope of river and under-water frequency.

      • KCI등재

        대구 신천 유로의 지형 발달

        송언근(Song, Un Gun) 한국지역지리학회 2018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4 No.3

        신천 유로 변화의 특징 구명을 목적으로 하는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천 좌안 충적평야에는 첫째, 지형면 고도 40~50m 부근에 경사변환부가 있다. 둘째, 경사변환부 말단인 40m 등고선은 동에서 북서쪽으로 직선적인 형태를 띤다. 셋째, 지표면 고도 41.17m 부근에서부터 기반암 고도가 급격히 낮아진다. 넷째, 신천교에서 칠성교 사이, 약 600m 구간에는 상・하류 구간과 달리 자연제방이 나타나지 않는다. 다섯째, 대봉교에서 건들바위 네거리 사이의 기반암 고도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갈수록 낮아진다. 반면 수성교에서 반월당 사이의 기반암 고도는 서쪽으로 갈수록 낮아진다. 여섯째, 침산의 동사면에 발달한 신천의 공격사면은 현 신천에서 서쪽으로 1km 정도 떨어져 있고, 남서에서 북동으로 발달하였다. 이들 여섯 가지와 청동기 유적 분포지, 그리고 신천 좌안 충적평야 말단에 발달해 있는 하식애들의 위치를 종합하여 분석하면, 과거 신천은 건들바위-제일 여중-반월당-신명고등-달성공원-경일중학교-침산 방향으로 흘렀고, 이 방향으로 흐르던 신천은 동쪽으로 이동하면서 대봉네거리-경대사대부설 중・고등학교-향촌문화관을 거쳐 경일중학교와 침산 동사면 쪽으로 흘렀다. 향촌문화관 부근의 공격사면은 동쪽으로 이동하고, 이로 인해 경일중학교와 침산 사이의 공격사면도 동쪽으로 이동하였다. 이 같은 유로 이동으로 신천은 현재의 위치에서 흐르게 되었다.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of the Shincheon in Daegu.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ppears a slope change between the elevation of 40 to 50ms. Second, the contour line at the bottom of the slope change(around 40ms) takes a linear shape east to northwest. Third, the altitude of bedrock slows down abruptly around 42.17ms. Fourth, no natural levees are found between the Shincheon and the Chilseong Bridges. Fifth, the bedrock elevation goes down east to west between the Daebong Bridge and Geondeulbawi, while it goes down west to east both between the Suseong Bridge and Banweoldang. And last, a southwest to northeast undercut slope is found on the east side of Chimsan, one kilometers away from the current Shincheon. In addition, the Bronze Age remains sites, as well as river cliffs at the bottom of the Shincheon’s left-wing alluvial plain, appear to point to the same conclusion. It can be, therefore, safely inferred that while the Shincheon ran toward Chimsan, originally through Geondeulbawi, Jaeil Middle school, Banweoldang, Sinmeong High School, Dalseong Park, and Gyeongil Middle School, it gradually changed its course eastwardly, towards Daebong Crossroads, Gyeongbook University High School, Hyangchon Cultural Center, Gyeongil Middle School, and east slope of Chimsan. (That’s why the undercut slope moved eastwardly, around Hyangchon Cultural Center and thus between Gyeongil Middle School and Chimsan Hill.) The current Shincheon has born in this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