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자의 사랑, 행위 그리고 정치-와즈디 무아와드의 <그을린 사랑>-

        김숙현 ( Kim Suk Hyun ) 한국연극학회 2014 한국연극학 Vol.1 No.53

        <그을린 사랑(Incendies)>에 대한 기존의 이해는 대부분 오이디푸스 서사와의 친연성을 근거로 주인공 나왈을 이오카스테에 비유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페미니즘적 관점이 텍스트 읽기의 배경을 이루게 됨은 물론이며, 그를 토대로 여성성이나 모성성, 여성연대, 사랑, 화해라는 주제어를 집약시켜 내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보편적 의미로 포괄될 수 없는 주인공 나왈의 이상한 행위와 삐져나온 언어에 주목한 본 논문은, 작가가 기대고 있다고 말한 소포클레스 비극의 핵심이 과연 <오이디푸스 왕>이며 그런 맥락에서 이 작품이 ‘이오카스테’ 서사로의 변주인지, 그리고 작품의 정치적 측면은 어떤 지향성을 지니는지에 대해 대답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라캉의 성구분 하에서, 그가 언명한 ‘남자’와 ‘여자’에 관한 사유를 지반으로 텍스트 읽기를 시도하고 있다. 라캉의 성구분은 생물학적인 남성과 여성이 곧 남자와 여자라는 성적 위치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여성성’과 관련한 페미니즘의 이론적/실천적 교착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통찰을 제공해준다. 특히 라캉에게 있어 ‘여자’의 위치는 정신분석이 도달해야하는 주체성의 지점이자 정신분석적 윤리와 정치라는 급진적 이론과 실천의 논리를 촉발하는 지점이기도 하다. 실재의 윤리/정치는 여자의 위치에서만 가능한데, 이는 여자가 보편주의적 토대가 갖는 환상을 거부하고, 합의의 이면에 적대의 ‘외상’을, 통합과 연대의 이면에 ‘틈새’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나왈이 지배기표, 즉 텅 빈 남근기능에 종속되는 남자와 달리 일자의 환상에서 벗어나 남근적 질서를 넘어서는 여자의 위치에 있는 인물로 파악하고 있다. 의미의 정합성을 파열하는 그녀의 일련의 이상한 행동은 상징계의 한계에 직면한 죽음충동의 주체가 보여주는 윤리적 ‘행위’에 다름 아니다. 이로써 선의 윤리학을 넘어서, 다시 말해 미는 선이 아닌 욕망에 있다는 욕망의 윤리학을 제시하는 그녀는, 존재/상징질서의 근원적 불가능성과 전적인 우연성을 끌어안는 실재의 정치를 실천하는 ‘진정한 주체’임이 드러난다. 그 결과 <그을린 사랑>은 작가/잔느/시몽 자신의 기원/뿌리를 찾아간다는 점에서 오이디푸스적 드라마의 특성을 변주한 작품임에는 분명하지만, 그 저변에는 <안티고네>의 비극적 영웅 ‘안티고네’가 작품구축에 있어 핵심적인 지주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article re-reads the messages of the text, ``Incendies``, the uncanny actions and the strange words of protagonist Nawal, through the ideas of Jacques Lacan, particularly his notion of sexuation with posing questions about most of the previous reviews which are based on femininity or motherhood. For Lacan, masculinity and femininity are not biological essences but symbolic positions, and the assumption of one of these two positions is fundamental to the construction of subjectivity. So ``man`` and ``woman`` are merely signifiers that stand for these two subjective positions. Each side is defined by both an affirmation and a negation of the phallic function, by both an inclusion and exclusion of absolute non-phallic jouissance. Unlike the man, the woman is ``not-all`` identified with the phallic function, demonstrating the undecidability and impossibility of totalising the woman. Although the woman is bound to do castration through being subject to the phallic function, she is also related to the signifier of the barred Other, S() which stands for a gap or lack in the Other. Thus, as a consequence of not being entirely within the symbolic, she has an Other Jouissance, Feminine Jouissance, because it``s possible to face emptiness of the Symbolic, the Real only in the place of the woman for new Ethics/Politics. This paper finds that Nawal is not completely defined by the phallic function and she is a subject of death drive that practices the signifying cut with passing through the fantasy as a screen for the desire of the Other. Nawal is situated on the position of the woman as ``not-all`` unlike masculinity in Lacanian sexuation. This article shows that her strange acts are love, that is the true ethical acts. Above all her acts are related to the ethics of pure desire beyond the ethics of the Good of Aristotle. In that sense the character of Nawal of ``Incendies`` is similar to the one of ``Antigone`` as a character in all aspects. In psychoanalysis they all are true subjects that face a void, emptiness in a symbolic structure. They assume underlying impossibility of being/the Symbolic. They don``t represent the images of compromise and peace in the normally accepted meaning of the word. A love that they show is not compassion but blind recognition of the excluded, embracing uniqueness of the excluded. This thesis finds resultingly Nawal``s acts which can``t be understood from viewpoint of feminism practice the ethics of the real, the politics of the real.

      • KCI등재

        여자, 사랑의 주체와 내면의 발견-시린 네샤트의 비디오 삼부작을 중심으로

        남인숙 ( In Sook Nam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3 美學·藝術學硏究 Vol.39 No.-

        시린 네샤트는 이란에서 태어나 미국에서 고등교육을 마쳤으며, 예술가로서 그리고 한 인간으로서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한다. 지금도 전쟁 중인 중동의 한 일원으로서 시린 네샤트는 백인사회에서 소수자로, 제국주의 및 기독교 사회에서 소수자로 그리고 사회적이자 정치적인 주체의 소수자인 여성으로 첨예한 갈등과 고통에 노출되어 있는 작가이다. 시린 네샤트가 작가로 주목받게 된 사진작업에서 페르시아 어는 몸에 새기는 타투처럼 작가의 몸에 새겨진 실존의 갈등과 고통을 요약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알라의 여인들(women of allah)>이라는 사진작업으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기 시작한 시린 네샤트는, 이러한 이유 때문에 ‘사진’이라는 고정된 이미지를 탈피하여, 움직이는 이미지 생산으로 예술적 행보를 바꾸어가며, 비디오와 영화 쪽으로 매체의 변화를 꾀하게 된다. 자신의 존재 조건과 존재해명에 걸려있는 절박한 시린 네샤트의 질문과 해명은 바로 시린 네샤트의 매체 이동의 경로가 그 일면을 설명해주고 있는 것이다. 시린 네샤트의 예술과 삶에 대한 이러한 질문과 고민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이 비디오 삼부작인 <환의(Rapture)>, <격동(Turbulent)>, <열정(Fervor)>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린 네샤트의 비디오 작품을 비디오 작품으로서의 특성과 매체적인 자질을 분석하기보다, 작품이 엮어가는 서사에 주목하고자 한다. 시린 네샤트의 영상물은 소리와 그림이 마치 작은 오케스트라처럼 조직된 ‘이미지 서사’라고 할 만하다. 연구자는 이후 글의 전개에서 이러한 네샤트의 비디오 작품의 특성을 ‘이미지 서사’로 부르고자 한다. 이 ‘이미지 서사’는 비디오 설치작품 이후, 영화로 방향을 확대해가는 네샤트의 행로에서 지속적으로 유지되며, 오히려 이 이미지 서사를 구현하기 위해서 매체를 영화로 확장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시린 네샤트의 비디오 삼부작을 중심으로, 이 작품에서 제기하는 예술의 문제가 라깡의 어법으로 S(A)을 이해하는 문제로 수렴된다는 점을 보이고자 한다. 여기에 걸려있는 여자, 사랑, S(A)의 문제는 주관성과 그 내면이자 외부인 것, 다시 말해 주관성의 내재적 초월의 역설적 구조의 문제임을 해명하고 이러한 구조 속에 제시되는 예술의 고양된 기능을 해명한다는 점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Shirin Neshat`s video trilogy; Rapture, Turbulent, Fervor(1998-2000). Through the examination, this paper try to answer what is the woman in Lacanian locution. A woman means Love or Poet, because lacanian woman is a sort of ‘dehors(exterior)’ of subjectivity. ‘Dehors’ of subjectivity means what is impossible to imagine through our faculty, also there are no words to represent it in our mind. And Love is a supplement of lack, or to supply a clue to impossibility to represent as lack in the symbol, or the chain of signifiant. So love covers the lack of being, woman. Because a woman, a kind of impossibility to represent, is dehors of subjectivity, there is no place of being woman in the social codes. But this ‘dehors’ is not to divide absolutely within interior concerning subjectivity. Therefore, like to Mobius strip, exterior is to be interior in subjectivity problem of woman. A woman as exterior or impossibility is printed at the hole as lack of being in the stage of love, and so It is to say that a woman is a crucial constituent in a paradox of constitution of subjectivity. Shirin Neshat`s video trilogy represents well this structure of ‘dehors’ in woman`s subjectivity or sexuation.

      • KCI등재

        사회화된 환상과 욕망으로서의 성과 젠더의 문제

        황보경(Kyeong Hwangbo) 한국비평이론학회 2009 비평과이론 Vol.14 No.2

        생물학적 ‘성’과 구분하여 이와 다른 사회 심리적 차원에서 인간의 성차이, 성정체성, 남성성과 여성성 등의 문제를 고찰하기 위해 처음 사용된 후, ‘젠더’라는 개념은 사회학, 여성학, 심리학, 의학, 정신 병리학 등의 영역에서 많은 논의와 연구의 대상이 되어왔고, 그 개념상의 정의와 용어사용 면에 있어서도 또한 많은 변천을 거듭해 왔다. 그리하여 줄리엣 미첼(Juliet Mitchell)에 따르면, 초기의 성과 젠더라는 이분법적 구분이 다분히 인위적이며, 도식적인 개념적 한계를 지녔던 반면, 최근 젠더라는 용어는 점차 생물학적 인 차원과 사회적 차원을 모두 아우르며, 마치 ‘인종’과 같이 인간간의 차이를 대표한 포괄적 개념의 하나로 인간의 성을 여러 각도에서 조명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69). 그러나 한편에서는 후기구조주의나 젠더 수행성을 강조하는 버틀러와 같은 페미니즘계의 이론가들에 의해 다분히 강조되는 성을 구성주의적 개념이 지나치게 언어학이나 문화적 측면에 치우쳐서 인간의 성을 강조한 나머지 인간의 섹슈얼리티나 성구분과 성적 주체 형성에 연루되는 다양하고 복잡한 심리적 기제를 등한시한다는 비판도 일고 있다(Mitchell68). 따라서 본고는 정신분석, 특히 그중에서도 라깡의 성과 성 차이에 대한 담론과 라깡 이론을 더 한층 발전시킨 라깡주의 정신 분석가들의 연구를 원용하여, 사회화된 환상과 욕망이라는 연구에 초점을 두어 성과 젠더의 문제를 주체와 타자간의 역동적 관계의 역학을 관점에서 고찰함으로써 인간의 성적 주체화가 내포하는 의미, 기능, 한계를 탐구할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먼저 오이디푸스 단계를 통한 인간의 성적 주체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어떻게 주체와 타자간의 역동적 관계의 역학과 더불어 사회적 상징의 이해와 해석이 남성과 여성이라는 성구분과 정체성의 확립으로 이어지는지 고찰할 것이다. 즉 구조화되지 않는 충동이 남성과 여성의 성과 성 정체감이라는 심인적인 구조의 확립과 그 구조상의 차이로 조직화되는 과정은 타자의 욕망에 직면한 주체가 각기 다른 식으로 타자의 욕망에 반응하고 향유하는 존재의 방식을 낳는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러한 과정을 단계적으로 고찰한 과정은 성차이란 실재와 우리 사회에서 용인되는 방식으로서의 성 아이의 젠더적인 수행 사이에는 메울 수 없는 간극과 불일치가 존재함을 극명하게 드러내 줄 것이다. 그러므로 주체를 구성하는 사회화된 환상과 욕망으로서의 성과 젠더의 문제에 대한 본 정신분석적 연구는 이러한 사회적 상징질서와 언어내의 결여를 은폐하는 환상의 음험한 작용과 매력을 규명하고, 성관계에서 어떻게 사회․상징적 현실이 음밀하고 개인적인 심리적 현실로 변환되며 마치 뫼비우스의 띠에서처럼 분리할 수 없이 하나가 되어 결국 주체를 대타자의 욕망에 예속되게 하는가를 조사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연구의 과정은 한편으로는 곧 “성관계는 존재하지 않는다.”라는 리깡의 수수깨끼 같은 진술을 이해해가는 과정이 될 것이다. This paper explores the process and implications of sexuation and achieving gender identity from a psychoanalytic perspective, particularly by viewing them as a way of assimilating socialized fantasies and desire. Sexual difference as such is a Lacanian real that is beyond the grasp of any symbolic representation or explication. The discourse on sexual difference, gender roles or gender identity is a way of coping with the real and organizing the desire and jouissance of the subject on the basis of the phallic logic, which compels the subject to accept the symbolic castration and disguise or fill in the primordial lack in being by objectifying others. Socialized fantasies and desire, as an artifact produced to provide a definitive answer to an enigmatic question that should remain open-ended, play a key role in this process of sexuation where the subject is interpellated by and inscribed in a system of the socially codified sexual differences and gender-specific roles or expectations. As Lacan's diagram of sexuation illustrates, gender identity thus "achieved" via different ways of positioning oneself in relation to the phallic signifier entails the impossibility of the sexual relation. Recognizing the lack in the Other of the social symbolic that dictates this constrictive and coercive process of sexuation paves way for the possibility of what jacques Lacan calls the traversing of fantasy and moving beyond the deadlock of non-relation between sexes.

      • KCI등재

        사회화된 환상과 욕망으로서의 성과 젠더의 문제: 정신분석적 접근

        황보경 한국비평이론학회 2009 비평과이론 Vol.15 No.2

        This paper explores the process and implications of sexuation and achieving gender identity from a psychoanalytic perspective, particularly by viewing them as a way of assimilating socialized fantasies and desire. Sexual difference as such is a Lacanian real that is beyond the grasp of any symbolic representation or explication. The discourse on sexual difference, gender roles or gender identity is a way of coping with the real and organizing the desire and jouissance of the subject on the basis of the phallic logic, which compels the subject to accept the symbolic castration and disguise or fill in the primordial lack in being by objectifying others. Socialized fantasies and desire, as an artifact produced to provide a definitive answer to an enigmatic question that should remain open-ended, play a key role in this process of sexuation where the subject is interpellated by and inscribed in a system of the socially codified sexual differences and gender-specific roles or expectations. As Lacan's diagram of sexuation illustrates, gender identity thus "achieved" via different ways of positioning oneself in relation to the phallic signifier entails the impossibility of the sexual relation. Recognizing the lack in the Other of the social symbolic that dictates this constrictive and coercive process of sexuation paves way for the possibility of what Jacques Lacan calls the traversing of fantasy and moving beyond the deadlock of non-relation between sexes.

      • KCI등재

        SF영화에서 드러나는 성화(Sexuation)되는 우주: 슬라보예 지젝의 성화해석을 중심으로

        허의진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20 현대영화연구 Vol.16 No.4

        The problem that Science fiction films stage is the subject. Using state-of-the-art technology and scientific imagination, SF film presents splendid Mise-en-Scène, but at its core, SF Films has the inquiry of the subject. Especially when the universe is suggested as a background, the universe is used like a MacGuffin. The universe as a MacGuffin is important because it works the narrative of the film and seems to disappear. Namely, In SF film Immanuel Kant’s Antinomies are represented as definite human beings are cast between indefinite spacetime. Kant’s Antinomies consist of mathematical and dynamical antinomies. Slavoj Žižek interprets the antimomies by linking to Lacan’s “Sexuation.” While mathematical antinomies are the logic of ‘not-all’ and prove ‘non-being’ of the women, dynamic antinomies are the logic of ‘all’ and refers to ‘being’ of the men. Likewise SF film’s narratives follow the resolution of the antinomies. Kant resolutes it by cancelling on one side. In the same manner, SF film also goes after Kant’s solution. For the sake of the being of men, It excludes the women, or the desire of unknown women is revealed in the form of death. Between men and women, What Žižek proposes is the reading of antinomies itself. Žižek presents the reading of antinomies as a model. The model is Antigone, which Lacan proposed as an ethical Hero of psychoanalysis. Keeping being silent, paradoxically Antigone is inquiring in her drive. Her silence shows what the subject means. The subject which She represents is who does not yield to one’s desire. It appears in the films as a paradoxical figure of active silence. Moreover, this active silence is represented as an image of error. SF 영화가 전면에 내세우는 문제는 주체이다. 최첨단의 기술과 과학적 상상력을 동원하여 화려한 미장센을 선보이지만, 영화의 핵심에는 주체에 대한 물음이 있다. 특히 우주가 배경으로 제시될 경우 우주는 맥거핀처럼 활용된다. 맥거핀으로서의 우주는 영화의 서사를 작동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즉 SF 영화에서 무한한 시공간에 유한한 인간이 던져짐에 따라 이율배반을 촉발하고 사라지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칸트가 제기한 이율배반은 수학적 이율배반과 역학적 이율배반으로 구성된다. 슬라보예 지젝은 이를 라캉의 성화(Sexuation)와 연결시켜 해석한다. 수학적 이율배반이란 ‘비-전체’의 논리로서 여자의 ‘비-존재’를 증거하고 있다면, 역학적 이율배반은 ‘전체’의 논리로서 남자의 존재에 대하여 말한다. SF영화가 서사를 진행시키는 방향은 이러한 이율배반의 해소를 따라간다. 칸트가 제안하는 이율배반의 해소는 한쪽의 취소인데, 영화도 이 방향성으로 나아간다. 남자의 존재를 위하여 여자가 배제되거나, 알 수 없는 여자의 욕망이 죽음의 형식으로 드러난다. 이 간극에서 지젝이 제안하는 것은 바로 이율배반을 이율배반 자체로 독해하는 방법이다. 모델로서 지젝이 제시하는 인물은, 라캉이 정신분석의 윤리적인 모델로 제안했던 안티고네이다. 자신의 욕망에 양보하지 않는 주체로서 침묵의 문법으로 요구하는 안티고네의 충동은, 영화에서 적극적인 침묵이라는 역설적인 모습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이러한 적극적인 침묵은 오류 혹은 실수의 이미지로서 재현된다.

      • KCI등재

        라깡의 성차공식과 예술의 해석

        박서현(Seo-Hyun Park) 현대미술학회 2015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19 No.2

        본 논문은 라깡의 성차공식을 자세히 분석하여 라깡의 성이론에서 남성적 주체와 여성적 주체는 어떻게 구성되며 이 둘은 어떻게 관계를 맺고 있는지 살펴본다. 팔루스 질서에 사로잡힌 남자와 상징계 질서를 넘어서는 여자가 서로 사랑하는 것이 어떻게 가능한가? ‘나는 너를 안다’라는 지식의 폭력으로 상대를 포섭하지 않고 관계를 맺어야하는 과제를 어떻게 수행할 수 있는가? 나아가 남성적 주체와 여성적 주체가 관계를 통해 예술작품의 해석에 있어 새로운 태도와 윤리를 제공받을 수 있다고 기대한다. 예술작품에서 어떤 지식을 이끌어내려 시도한다는 점에서 우리 모두는 남성적 주체의 입장을 경험하게 된다. 상징계 너머에서 우리에게 수수께끼를 던지고 있는 예술을 여성적 주체라 가정한다면, 우리는 작품과 어떤 관계를 맺을 수 있을지 새롭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Lacan’s sexuation theory. It aims to show a thread of connection between the women’s jouissance that feminine subject enjoys in the Lacan’s theory and the interpretation of art. According to lacan, the subject must experience alienation and divisions. As a result of division, the subject cannot fully know about her own desire. A woman is a lack of language and knowledge. There is no place of being women in the social codes. She exists as a mystery like art. A woman means love or art. Through the examinaion of sexuation, this paper try to find the way of Interpretation of art.

      • KCI등재

        사이보그 앨리스를 성구분하기

        김소연(Kim, Sohyoun)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6 젠더와 문화 Vol.9 No.2

        성차의 문제를 둘러싼 논쟁의 근본적 한계는 이원론에 입각해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자연/문화, 인간/기계, 감성/이성, 동성애/이성애 등으로 증식해가는 이항대립은 성차 이데올로기를 강화하는 역효과를 낳는다. 이글은 젠더 이후 세계를 상상했던 해러웨이의 사이보그론이 이러한 이원론을 극복하려는 노력임에, 또 라캉의 여성성 이론과 논리적으로 상동적임에 주목한다. 라캉에게 여자는 보편성과 예외의 이항대립적 구조를 넘어서는 비전체적 존재였다. 이 글은 해러웨이의 사이보그와 라캉의 여성성에 대한 사유를 교차시켜 〈그녀〉와 〈루시〉를 비평한다. 그리하여 여주인공들의 사라짐은 상징계 밖으로 벗어나는 게 아니라 상징계를 무한히 탈구시킬 실재의 위상을 띠게 되는 것이라고, 위협적이고 불길한 존재가 되는 것이라고 독해한다. Most disputes about sexual difference appear to be based on the fundamental limitations of binarism. However, the series of binary oppositions such as nature/culture, human/machine, sensibility/rationality, heterosexuality/homosexuality etc. tend to produce the ultimate side effect of reinforcing existent ideologies about sex and gender. This paper focuses not only on Donna Haraway’s attempt to conceptualize cyborg femininity while overcoming the binarisms, but also on Jacques Lacan’s theory of sexuation, since both concepts have an analogous logical structure. For Lacan, women refer to the sexual difference itself, rather than the man/woman binarism. Therefore, the femininity functions as ‘not-all’, bringing fissures into universality. In contrast, masculinity occupyies the position of exception, opposing universality. Women have the similar topological status with the cyborg, which pursues the after world of gender, or non-gender. The posthumanity in Her and Lucy can be read properly through Haraway’s cyborg ontology and Lacan’s feminine subjectivity. The disappearance of the heroines in those films does not mean escaping from the symbolic but discovering the topological position of the real, thus becoming threatening beings.

      • KCI등재

        가면무도회, 퀴어링, 비커밍: 동시대 한국미술 현장에서 성화와 젠더 이슈, 정은영, 남화연, 제인 진 카이젠의 경우

        최정은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022 현대정신분석 Vol.24 No.1

        본 연구는 한국현대미술에 나타난 성화와 젠더 표상들을 그와 연루된 갈등의 구체적 모습과 함께 라캉 정신분석학 담론의 견지에서 살펴보았다. 다양한 가능한 사례들 중 제58회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 초청작가였던 정은영, 남화연, 제인 진 카이젠 세 작가에 주목하였다. 이들은 각기 근현대사 기술에 있어 잊혀졌거나 누락된 부분을 영상과 퍼포먼스, 아카이브 설치로 형상화했다. 정은영은 한국전쟁 이후 전성기를 누렸던 현재는 사라진 여성국극단을 가시화했고, 남화연은 월북으로 인해 공식 역사에서 삭제된 인물이었던 일제강점기 무희 최승희를 리서치 아카이브로 복원했다. 정은영과 남화연은 욕망 대상으로서의 여성, 즉 상상적 남근으로서 가정되는 여성을 리서치 아카이브를 통해 무대화한다. 이들의 작업은 ‘마치 …처럼’ ‘그럼에도 불구하고’의 윤리, 가면무도회라는 젠더 수행성, 히스테리적 상연, 상상적 남근의 무대화, 여성의 남성-되기의 욕망으로 읽을 수 있다. 남성과 여성 모두 말하는 존재로서 상징계에 등록되어야 하며, 남성뿐 아니라 여성 편에도 거세가 있다는 사실은 상상적, 상징적 남근 둘 다에 내재한 결핍을 고려하게 한다. 그 결핍은 대타자의 결여를 지시한다. 여성은 다른 모든 것을 출현시키기 위해 비존재를 떠맡는다. 제인 진 카이젠의 <이별의 공동체>는 이같은 여성의 비존재라는 측면을 살펴보기에 적합하다. 카이젠의 작업은 간과되었던 한국의 무속과 바리데기 설화 그리고 디아스포라 문제를 엮은 것으로 아카이브 속에 출몰하는 부재하는 산죽은 유령성을 대면케 한다. 그의 작업은 김혜순 시인의 낭독 퍼포먼스와 더불어 ‘여성은 존재하지 않는다’ 혹은 ‘대타자는 존재하지 않는다’, ‘대타자의 대타자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라캉의 말을 숙고하게 한다. 그 자체 비가시적이며 표상불능한 ‘다른 향유’, 여성성의 진리라 할만한 것을 그린다. 누락된 역사를 재구성한 이들의 리서치 아카이브 상연은 인식과 함께 일정한 치유 효과를 가져온다고 말할 수 있다.

      • KCI등재

        광기의 탈-식민화: 파농과 라캉

        이택광 한국비평이론학회 2019 비평과이론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discuss Fanon with Lacan. Endorsing Hegel and Lacan, Fanon develops the dialectics of racism, the conception of race and racial identity; once race is established by a European colonizer, racial identity should come to exist. In this way, the identity of the colonized is invented by the colonial power. The colonizing process overdetermines the existing subjectivities and transforms them into “native”. Of course, black people existed before the colonization, yet were forced into “Africans” as is the case of “American Indians” by the white men. Indeed, the white men discovered the colored men and called them with any color. This would be typical explanation to the way in which the colonized subjectivity comes to exist. The dominant serves as a mirror which reflects the dominated, in other words, the dominant is set up first, and then the dominated is defined by the dominant. This implies that the dominant, the white men, cannot be recognized, unless the dominated, the colored men, is verified. They could realize themselves as white, when finding the non-white. Fanon’s statement, black soul is the invention of the white, presupposes that the white men should have created their soul, if they want to invent the “black soul.” Fanon challenges the Hegelian master-slave dialectics and paves a way towards the immanent aspect of faciality in the Deleuzo-Guattarian sense, not rejecting European enlightenment, but extending the essential values to the non-European world. In this way, my argument will put forward how Fanon’s conceptualization of negritude is related to Lacan’s formulae of sexuation and further the possible connection between a woman and a black man in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 이 논문은 라캉을 통해 파농을 읽고 탈-식민주체화의 가능성을 이론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헤겔과 라캉을 통해 파농은 인종의 변증법을 발전시키면서 인종이론을 정립하고자 했다. 물론 이런 파농의 시도는 성공적이었다기보다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남기면서 끝났다고 판단할 수 있지만, 이 시도에 잠재한 탈-식민 주체에 대한 탐구는 라캉의 이론을 통해 거듭 태어날 수 있다는 것이 이 논문의 전제이다. 이 논문은 “흑인 영혼은 백인의 발명품”이라는 파농의 진술을 라캉적인 주체화 공식을 통해 고찰하고 파농이 찾고자 했던 주체의 정치학을 진단해볼 것이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백인성의 의미를 분석하고, 흑인성을 백인성의 대타자로 설정하는 식민화의 과정을 분석 제시하고자 한다. 백인이 발명한 흑인은 보편성에 속하지 않는 특이성의 이름일 것이다. 여기에서 비로소 우리는 파농과 라캉, 그리고 더 나아가서 들뢰즈와 가타리로 이어지는 연결점을 찾을 수 있다. 파농은 “흑인은 무엇을 원하는가”라는 질문을 제기하면서 탈식민주의와 관련한 답을 모색한다. 이 질문은 분명히 정신분석을 염두에 둔 것이다. 정신분석의 질문은 “여성은 무엇을 원하는가”였다. 당연하게도, 이런 정신분석의 질문에 누락되어 있는 것은 인종이다. 여성도 백인과 흑인이라는 인종에 따라 서로 다를 수밖에 없다. 파농은 정신분석에서 자명하게 전제되어 있는 ‘인간’에 인종이라는 차이를 삽입한다. 인종은 정신분석으로 외삽되는 것이 아니라 그 논리 자체에 내재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파농은 정신분석을 급진적인 사유로 다시 태어나게 만든다. 정신분석의 문제가 광기의 해명이라면, 이 광기를 탈-식민화하려는 것이 파농의 시도인 것이다.

      • 가면무도회, 퀴어링, 비커밍: 동시대 한국미술 현장에서 섹슈에이션과 젠더 이슈, 정은영, 남화연, 제인-진 카이젠의 경우

        최정은(Choi, Jeongeun)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021 한국라깡과현대정신분석학회 학술발표대회 프로시딩 Vol.2021 No.11

        본 연구는 한국현대미술에 나타난 섹슈에이션과 젠더 표상들을 통해 그와 연루된 갈등의 구체적 모습을 라캉 정신분석학 담론의 견지에서 살펴보았다. 다양한 가능한 사례들 중 제58회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 초청작가였던 정은영, 남화연, 제인 진 카이젠 세 작가에 주목하였다. 이들은 각기 근현대사 기술에 있어 잊혀졌거나 누락된 부분을 영상과 퍼포먼스, 아카이브 설치로 형상화했다. 정은영은 한국전쟁 이후 전성기를 누렸던 현재는 사라진 여성국극단을 가시화했고, 남화연은 월북으로 인해 공식 역사에서 삭제된 인물이었던 일제강점기 무희 최승희를 리서치 아카이브로 복원했다. 정은영과 남화연은 욕망 대상으로서의 여성, 즉 상상적 팔루스로서 가정되는 여성을 리서치 아카이브를 통해 무대화한다. 이들의 작업은 ‘마치..처럼’‘그럼에도 불구하고’의 윤리, 가면무도회라는 젠더 수행성, 히스테리적 구조, 상상적 팔루스의 무대화, 여성의 남성-되기의 욕망으로 읽을 수 있다. 남성과 여성 모두 말하는 존재로서 상징계에 등록되어야 하며, 남성뿐 아니라 여성 편에도 거세가 있다는 사실은 상상적, 상징적 팔루스 둘다에 내재한 결핍을 고려하게 한다. 그 결핍은 대타자의 결여를 지시한다. 여성은 다른 모든 것을 출현시키기 위해 비존재를 떠맡는다. 제인 진 카이젠의 《이별의 공동체》는 이같은 여성의 비존재라는 측면을 살펴보기에 적합하다. 카이젠의 작업은 간과되었던 한국의 무속과 바리데기 설화 그리고 디아스포라 문제를 엮은 것으로 아카이브 속에 출몰하는 부재하는 산죽은 유령성을 대면케 한다. 그의 작업은 김혜순 시인의 낭독 퍼포먼스와 더불어 ‘여성은 존재하지 않는다’ 혹은 ‘대타자는 존재하지 않는다’, ‘대타자의 대타자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라캉의 말을 숙고하게 한다. 그자체 비가시적이며 표상불능한 ‘다른 향유’, 여성성의 진리라 할만한 것을 그린다. 누락된 역사를 재구성한 이들의 리서치 아카이브 상연은 인식과 함께 일정한 치유 효과를 가져온다고 말할 수 있다. This paper purposes to approach gender and sexuation issues and the features of conflicts involved in view of Lacanian psycho-analysis. Among possible variable examples, I especially focus on three main artists, Chung Eunyeong, Nam Hwayeon and Jane Jin Kaisen. They all were invited as representatives of Korean artists to the 58<SUP>th</SUP> Venice Biennale. They visualized a missing part or the overlooked in Korean modern history, via film, performance and research archives. Through resecrches and archives, Chung Eunyeong has staged the “Group of Traditional Women National Theater” that enjoyed its heyday after the Korean War in the 50’s and disappeared since, while Nam, Hwayeon has recovered the colonial era dancer Choi-Seonghee who crossed to the North, thus her name was erased in the history. Chung Eunyeong and Nam Hwayeon are staging a woman as a desirable object, who assumed to have the phallus. Their works can be read in the view of gender performitivity such as a masquerade, hysterical structure, staging of imaginary phallus, a desire of “becoming”. From the fact that both sexes ought to be registered at the Symbolic as a ‘(parlêtre; speaking beings), there is the castration not only to the masculine but also to the feminine, and it makes us take account of a lack of inherence in both sexes. The ‘lack’ signifies ‘the lack of the Other’. Even in the woman’s side, “becoming-woman” is necessary such as the case in the myth of Baridegi who has to be the “non-being” in order to bring all other things of woman communities “into-being”. Jane Jin Kaisen’s Parting Community is a proper example to approach the issues of “women’s non-being”. Kaisen deals with the issue of erased women’s existence as a S(A) or La via Korean shaman culture, the myth of Baridegi and diaspora. These issues conjures and haunts the absent ghost-like remainder in the archives. Kaisen’s film makes viewers confront the Lacan’s propositions, ‘There is no woman’, or ‘Other’s Other can not exists’. Kaisen suggests invisible and unrepresentable “other pleasure” that might be called the truth of the feminine. It can be said that their films bring about the effects of recovery through performance and archival staging, such sas analytic experience, reconstruct the missing part of Korean modern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