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eoAAC, 위치기반 보완대체의사소통 모바일 앱

        조희,홍기형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20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8 No.1

        Many AAC mobile applications have been developed to help people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However, the current AAC mobile applications are inconvenient. Users must select suitable communication boards manually for their current locations and situ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nd develop a mobile application that automatically recommends appropriate communication boards for users’ current locations. Method: We designed an algorithm to recommend location-based communication boards. First, the algorithm finds the POI (point-of-interest) locations around the current users’ location, and then determines the location based boards of the retrieved POI locations and recommends the boards most suitable for users’ current location. Results: Based on the designed algorithm, we implemented a location-based AAC mobile application. In addition to the recommendation of location-based AAC boards, the mobile application supports the generation of customized location based boards and symbols for specific locations according to users’ needs. The mobile application also provides built-in location-based boards for the POI locations. Conclusion: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location-based AAC mobile application. By using the application, users can be free from the overhead in selecting the appropriate communication board for a specific location. We expect that the application will enable more efficient interaction between people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and others. 최근 모바일 앱과 음성합성기의 발전으로 의사소통 장애인을 도와주는 AAC 앱이 개발되어왔다. 하지만 기존의 AAC 모바일 앱은 의사소통이 필요한 장소에서 사용자가 직접 상황에 맞는 의사소통 보드를 선택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용자가 직접 의사소통 보드를 찾지 않아도 사용자의 위치에서 사용할 적합한 의사소통 보드를 자동으로 추천해주는 모바일 앱을 설계 및 구현하는 것이다. 방법: 위치기반 AAC 모바일 앱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가장 적합한 의사소통 보드를 추천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모바일 기기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사용자의 주변에 있는 장소들을 검색하고, 알고리즘에 따라 검색된 장소에 대한 위치기반 보드를 결정하고 추천한다. 결과: 가장 적합한 의사소통 보드를 추천하는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위치기반 AAC 모바일 앱(GeoAAC)을 개발하였다. GeoAAC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특정 장소에 대한 사용자 맞춤형 위치기반 보드와 상징을 제작할 수 있는 기능도 지원한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특정 장소에서 적합한 의사소통 보드를 직접 선택해야 하는 사용자의 어려움과 불필요한 시간 소요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장소에서 사용할 의사소통 보드를 제작하지 않아도 기본형 위치기반 보드를 제공하여 다양한 장소에서 가장 적합한 의사소통 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