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1930년대 ‘순수’, ‘서정’에 대한 의미 고찰 : 1930년대 문예지를 중심으로

        남진숙 培材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2009 人文論叢 Vol.26 No.-

        This work is focussed on the meaning of the pure and the lyricims related to the pure lylic poetry(순수서정시) in 1930`s through literary magazines(『시문학』, 『문예월간』, 『문학』, 『시원』). This study will provide valuable aid for those who are in search of information about the pure lylic poetry since 1930`s. The meaning of the pure laregely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parts in this paper. First, it generally pursuits the security of literary originality which is seperated from socitey, reality, political affairs and so on. Also, poetry itself is rearded as a independent being and means the pure that has not impurities in it. Second, it means the most instinctive emotionlal state which is created by the poet's imagination and embodied the feelings under the condition of that abstractive elements are eliminated from it. Third, it is to confirm the homogenetiy of korean people through korean language. In other wrords, to express Korean people's feeling means the pure. This means that the ego in the pure is in the open world and palys a important role as a barrier against the criticism that the pure escaped from the real world. On the other hand, first, the lyricims generally means revealing people's unrestrained and exaggerated enthusiasm and feeling, and includes the point that it is the most noble sprit. It seems that people of the age implicitly undertstand the meaning of the lyricism. Second, it is overlaped with the pure and contains bothe individual feelings and people's feelings. Third, it means a organic life that is full of vitality and moves as if living creature Putting all accounts together, in 1930`s the menaing of the pure lyric poetry is found that it is mixed with in texts and passages though in some parts it can be clearly dictinguished between the pure and the lyricims. Because it does not make marked poetic theory in the lyric poetry genres from the beginning, people who are pursuit the pure lylic poetry used the mixed meaning. To prove these surmises, literary magazines and newspaper puplished in 1930`s and poet's works have to be made a detailded study. This study will be carried out next time.

      • KCI등재

        〈시문학파〉 연구

        진순애(Jin Soon-Ae) 한국시학회 2003 한국시학연구 Vol.- No.8

        This paper shows the purity of the lyric of 〈Simunhakpa〉 in the early of the 1930’s. The purity of the lyric of 〈Simunhakpa〉 stands for the something on the form not the substance, which excludes the social problem, the historic matter, the economic problem, the political problem, and etc. 〈Simunhakpa〉 had tried to write the lyric consisted of their own emotion, speech, and rhythm which become the necessary condition for the pure lyric. Also the other condition for the pure lyric is to be through the medium of the nature as the pure world without the artificial power. The purpose of the 〈Simunhakpa〉 was to be for their Idealism by the denial of reality, which is connected to the romanticism that lies at the root of the idealism. The romanticism self lies at the root of the pure self of human beings. The pure self enjoys freedom for the creation in the pure world like nature. So the main motif of the lyric of 〈Simunhakpa〉 is nature which is one of the traditional motives. Nature is not only traditional motif but also modern motif, because it lies at the root of our human life. Especially the empathic nature by the poets is the nature revived by the Humanism for the perfection of their self, that belongs to the poets. Concretely, Kim YoungRang expressed his pure self of a narcissism through the nature as his mind’s mirror. Jeong JiYong expressed his pure self of a Homo Ludens through the nature as an object. Sin SeokJeong, Heo Bo, and Park YongCheol expressed their pure selves of the revolved self through the nature as the origin. Kim HeonKu, Lee HaYoon expressed their pure selves of the recollective self through the nature as the memory. In the result, the significant of the pure lyric is to be for the autonomous arts same as the nature of arts. So the lyric of 〈Simunhakpa〉 lies at the root of Korean modern poetry history as the nature of autonomous lyric.

      • KCI등재

        해방기 시의 세대론 (p.69-92)

        유성호(Yoo Sung-ho) 한국시학회 2012 한국시학연구 Vol.- No.33

        그동안 해방기 시의 전개를 조감해온 틀은 선명한 좌우 양측의 대결구도에 기대고 있었다. 조선문학가동맹을 축으로 하는 계열과, 청문협을 축으로 하는 계열의 이념적, 정치적, 인적, 매체적 적대 구도는, 식민지 시대의 좌우 대결을 고스란히 연장하여 재생산한 틀이었다. 이제 우리는 좌우의 대결 구도를 끊임없이 재생산하는 설명의 틀보다는, 순수서정-리얼리즘-모더니즘 지향이 식민지 시대와 연속성 혹은 불연속성으로 이어지면서 전혀 다른 면모를 띠게 된 삼각의 경로를 살펴야한다. 순수서정은 『靑鹿集』(1946. 8.)에서 발원하여 『詩文學』(1950. 1.)을 지나면서 정지용이나 김영랑을 일면 계승하고 일면 지워가는 과정을 통해, 리얼리즘은 『前衛詩人集』(1946. 10.)의 출현을 감격과 슬픔으로 보았던 구세대와 이들 신세대가 일정하게 단층을 형성하다가 분단을 전후로 깡그리 지워지는 과정을 통해, 모더니즘은 『新詩論』(1948. 4.) 당시의 다양한 인적, 방법적, 기질적 결합이 『新詩論』 2집(1949. 4.)을 지나면서 급격하게 감각과 언어 실험으로 미학적 축소를 겪는 과정을 통해, 각각 특유의 세대론을 구성하게 된다. 그 결과 순수서정은 한국문학의 적자로 '과잉 각인'되고, 리얼리즘은 불온성의 문학으로 '과잉 망각'되고, 모더니즘은 모더니즘이 품을 수 있는 여러 미학적 가능성이 축소된 형태로 주류화되는 변형 과정을 치르게 된 것이다. Until now, the frame within which researchers have viewed poems of the liberation period relied upon the distinct structure of confrontation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The hostile competition in ideology, politics and media between groups with Korean Writer's Alliance in center and groups Young Writers' Association in center was the frame reproduced by extending the confrontation of the left and the right of the colonial period just as it was. Now,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triangular route in which orientation toward pure lyricism-realism-modernism has taken totally different aspects being connected to continuity or discontinuity from the colonial period rather than the frame of explanation endless reproducing the structure of confrontation of the left and the right. Generation discussion in the liberation period of each groups of pure lyricism, realism and modernism develops as follows. The flow of pure lyricism is achieved through the process of erasing Chong, Ji-yong or Kim, Young-rang between Cheongnokjip and Simunhak or put Cheongnokpa in front. The flow of realism forms a dislocation of new generation from the old generation who witnessed the publication of Avant-garde Anthology with joy and sorrow and then around national division, is being completely wiped out. The flow of modernism is appeared as taking conservative aesthetics when the combination of various people at the time of Sinsiron rapidly experiences the process of aesthetic scale-down with sense and experiment on language in the second volume of Sinsiron. With this peculiar generation discussion of each literary flow, pure lyricism is excessively imprinted as the legitimate child of Korean literature, realism is easily forgotten as the rebellious literature, modernism goes through the process of modification in which it becomes the mainstream as the form with the aesthetic possibility being reduced in the history of Korean poetry.

      • KCI등재

        『청록집』에 나타난 ‘자연’과 정전화 과정 연구

        김진희 한국근대문학회 2008 한국근대문학연구 Vol.9 No.2

        The school of Chenglok has been evaluated as a principal school which realized the traditional lyricism on the 'nature'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poetry, and Chenglokcip (collection of Chenglok poems) has also been recognized as the canon of nature poems. This assessment was made possible by the positive succession to the literary criticism that the school of Chenglok inherited the 'pure literature' of the 1930s and deepened and developed the 'pure lyricism' of the Korean poetry. This can be ascribed to the fact that the literary authority and aesthetics of the central literary world were crucial for historical evaluation of literary schools. The study of this paper examines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nature poems and their literary implication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poetry, while critically reconsidering the status of the Chenglok school which has been canonized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this light, a critical investigation is made into Donglee Kim's interpretation which initially defined the Chenglok school with regard to the traditional nature, and which in turn continuously serves as such an authority for the literary history that influences on the later researchers' evaluations. Based on this critical understanding, an account is presented as to how the Chenglok school could hold its own unique aesthetics while having substantial relevance to the tradition and the contemporary nature poems in one way or another. In terms of literature, thoughts on the nature is traditionally defined as putting the nature in the center of poem. However, the works by the Chenglok school reflect the sentiment of the poetic ego, 'I.' Rather than revealing the ethics or values of human life via the essence of the nature itself, they exploit the nature as an object on which the poet himself can reflect his feelings. In this sense, they can be called modernistic. Jiyong Jung, who recommended the Chenglok poets, emphasized that their aesthetics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 by using a modifier, 'new.' Albeit that, their reminding of the nation and native land by virtue of associating the nature with tradition is uncritical inheritance of the politically, ideologically ideated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On the other hand, their poems influence on the de-historicization of the Korean nature poetry in general in that the nature, which is likened to the space of life, is reminiscent of de-historicization, i.e. sur-historicism and surrealism to the exclusion of reality. In addition, the space of nature, which is isolated from reality, and femininity are conventionally connected to the extent that it made femininity de-historicized and de-politicized, not only did it justify the space of 'nature-woman' as the space to plunder for outside power, modernism, and manhood. Therefore, the lyric nature poetry has been viewed as alienated from history and reality since 1950s in the history of poetic literature. It came to have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internalized and feminized aesthetic expression which, necessarily in the name of 'purity,' is removed from political, social reality. Based on critical investigation of these discussions, reconsideration of the nature and Chenglok school reaches a conclusion that their poems show the aesthetics which includes the lyricism and lamentation of modern lyric poems, fantasy, and yearning for the feminine nature. This characteristic, as Jiyong Jung pointed out, can be evaluated as having established a tradition of 'nature' as new nature, in the history of poetry. 청록파는 한국시문학사에서 ‘자연’에 관한 전통적인 서정을 구현한 주요한 유파로 평가되어 왔으며, 『청록집』 역시 자연시의 ‘정전’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런 평가는 청록파가 1930년대의 순수문학을 계승하여 한국시의 ‘순수서정’을 심화, 발전시켰다는 문학사적 평가의 적극적 계승에 의해 지속되었는데, 이는 중심 문단의 문학적 권위와 미학이 문학사적 평가의 중심에 서 있었기 때문이기도 한다. 본 연구는 문학사에서 정전으로 인식되어 온 청록파의 위상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한국근대시사에서 자연시 장르의 특성과 문학사적 의의를 고찰하고 있다. 청록파와 전통 자연을 관련시켜 최초로 문학사적 평가를 내린 김동리의 해석이 지속적으로 문학사의 권위로 작용하면서 후대 연구자들의 평가에 영향을 주었음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또한 나아가 이런 비판적 이해를 바탕으로 실제적으로 어떤 측면에서 청록파가 전통과 관련되고, 당대의 자연시와는 어떤 관련성을 가지면서 자신들의 독자적인 미학을 갖는지 설명하고 있다. 문학적으로 자연에 관한 전통적인 사유란 시에 자연을 중심에 두는 것이다. 그런데 청록파 시인들의 작품을 분석해보면 시적 자아인 ‘나’의 정서를 투영하고 있다. 그들은 자연 그 자체의 본질을 통해 인간과 관련된 생에 대한 윤리나 삶의 가치를 드러내기보다는 시인 자신의 정서를 투영하기 위한 대상으로 등장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근대적이다. 청록파 시인들을 추천한 정지용은 ‘신’(新)이라는 수식어를 통해 이들의 미학이 기존의 미학과는 다르다는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럼에도 이들의 자연을 전통과 관련시키면서 민족, 향토 등을 환기시키는 것은 정치적, 이념적으로 관념화된 해석과 평가를 무비판적으로 계승한 것이다. 한편 생명의 공간으로 비유되는 자연이 현실이 배제된 초역사, 초현실의 탈역사성을 환기시킨다는 점은 한국 자연시 장르 전반의 탈역사성에 영향을 주고 있다. 또한 현실과 유리된 자연 공간과 여성성이 관습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여성성을 탈역사화, 탈정치화 시키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연-여성’ 공간을 외세와 근대, 남성의 수탈 공간으로 정당화하고 있다. 때문에 1950년대 이후 시문학사에서 서정-자연시는 역사나 현실사회의 변화와는 유리된 지점에 위치하게 되었으며, 반드시 ‘순수’의 이름으로 정치, 사회적 현실과는 유리된, 내면화되고, 여성화된 미학적 표현이라는 장르적 특성을 갖게 되었다. 이런 논의들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토대로 자연과 청록파를 재고할 때 그들의 시는 근대서정시의 리리시즘과 애상성, 그리고 환상성과 여성적인 자연에 대한 그리움의 미학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특성은 정지용이 지적한 바, 신(新)자연으로 시문학사에서 ‘자연’의 전통을 창조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청록집』에 나타난 ‘자연’과 정전화 과정 연구

        김진희(Kim Jin-hee) 한국근대문학회 2008 한국근대문학연구 Vol.9 No.2

        청록파는 한국시문학사에서 '자연'에 관한 전통적인 서정을 구현한 주요한 유파로 평가되어 왔으며,『청록집』역시 자연시의 '정전'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런 평가는 청록파가 1930년대의 순수문학을 계승하여 한국시의 '순수서정'을 심화, 발전시켰다는 문학사적 평가의 적극적 계승에 의해 지속되었는데, 이는 중심 문단의 문학적 권위와 미학이 문학사적 평가의 중심에 서 있었기 때문이기도 한다. 본 연구는 문학사에서 정전으로 인식되어 온 청록파의 위상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한국근대시사에서 자연시 장르의 특성과 문학사적 의의를 고찰하고 있다. 청록파와 전통 자연을 관련시켜 최초로 문학사적 평가를 내린 김동리의 해석이 지속적으로 문학사의 권위로 작용하면서 후대 연구자들의 평가에 영향을 주었음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또한 나아가 이런 비판적 이해를 바탕으로 실제적으로 어떤 측면에서 청록파가 전통과 관련되고, 당대의 자연시와는 어떤 관련성을 가지면서 자신들의 독자적인 미학을 갖는지 설명하고 있다. 문학적으로 자연에 관한 전통적인 사유란 시에 자연을 중심에 두는 것이다. 그런데 청록파 시인들의 작품을 분석해보면 시적 자아인 '나'의 정서를 투영하고 있다. 그들은 자연 그 자체의 본질을 통해 인간과 관련된 생에 대한 윤리나 삶의 가치를 드러내기보다는 시인 자신의 정서를 투영하기 위한 대상으로 등장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근대적이다. 청록파 시인들을 추천한 정지용은 '신'(新)이라는 수식어를 통해 이들의 미학이 기존의 미학과는 다르다는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럼에도 이들의 자연을 전통과 관련시키면서 민족, 향토 등을 환기시키는 것은 정치적, 이념적으로 관념화된 해석과 평가를 무비판적으로 계승한 것이다. 한편 생명의 공간으로 비유되는 자연이 현실이 배제된 초역사, 초현실의 탈역사성을 환기시킨다는 점은 한국 자연시 장르 전반의 탈역사성에 영향을 주고 있다. 또한 현실과 유리된 자연 공간과 여성성이 관습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여성성을 탈역사화, 탈정치화 시키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연-여성' 공간을 외세와 근대, 남성의 수탈 공간으로 정당화하고 있다. 때문에 1950년대 이후 시문학사에서 서정-자연시는 역사나 현실사회의 변화와는 유리된 지점에 위치하게 되었으며, 반드시 '순수'의 이름으로 정치, 사회적 현실과는 유리된, 내면화되고, 여성화된 미학적 표현이라는 장르적 특성을 갖게 되었다. 이런 논의들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토대로 자연과 청록파를 재고할 때 그들의 시는 근대서정시의 리리시즘과 애상성, 그리고 환상성과 여성적인 자연에 대한 그리움의 미학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특성은 정지용이 지적한 바, 신(新)자연으로 시문학사에서 '자연'의 전통을 창조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school of Chenglok has been evaluated as a principal school which realized the traditional lyricism on the 'nature'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poetry, and Chenglokcip (collection of Chenglok poems) has also been recognized as the canon of nature poems. This assessment was made possible by the positive succession to the literary criticism that the school of Chenglok inherited the 'pure literature' of the 1930s and deepened and developed the 'pure lyricism' of the Korean poetry. This can be ascribed to the fact that the literary authority and aesthetics of the central literary world were crucial for historical evaluation of literary schools. The study of this paper examines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nature poems and their literary implication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poetry, while critically reconsidering the status of the Chenglok school which has been canonized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this light, a critical investigation is made into Donglee Kim's interpretation which initially defined the Chenglok school with regard to the traditional nature, and which in turn continuously serves as such an authority for the literary history that influences on the later researchers' evaluations. Based on this critical understanding, an account is presented as to how the Chenglok school could hold its own unique aesthetics while having substantial relevance to the tradition and the contemporary nature poems in one way or another. In terms of literature, thoughts on the nature is traditionally defined as putting the nature in the center of poem. However, the works by the Chenglok school reflect the sentiment of the poetic ego, 'I.' Rather than revealing the ethics or values of human life via the essence of the nature itself, they exploit the nature as an object on which the poet himself can reflect his feelings. In this sense, they can be called modernistic. Jiyong Jung, who recommended the Chenglok poets, emphasized that their aesthetics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 by using a modifier, 'new.' Albeit that, their reminding of the nation and native land by virtue of associating the nature with tradition is uncritical inheritance of the politically, ideologically ideated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On the other hand, their poems influence on the de-historicization of the Korean nature poetry in general in that the nature, which is likened to the space of life, is reminiscent of de-historicization, i.e. sur-historicism and surrealism to the exclusion of reality. In addition, the space of nature, which is isolated from reality, and femininity are conventionally connected to the extent that it made femininity de-historicized and de-politicized, not only did it justify the space of 'nature-woman' as the space to plunder for outside power, modernism, and manhood. Therefore, the lyric nature poetry has been viewed as alienated from history and reality since 1950s in the history of poetic literature. It came to have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internalized and feminized aesthetic expression which, necessarily in the name of 'purity,' is removed from political, social reality. Based on critical investigation of these discussions, reconsideration of the nature and Chenglok school reaches a conclusion that their poems show the aesthetics which includes the lyricism and lamentation of modern lyric poems, fantasy, and yearning for the feminine nature. This characteristic, as Jiyong Jung pointed out, can be evaluated as having established a tradition of 'nature' as new nature, in the history of poetry.

      • KCI등재

        조선조 무이도가(武夷櫂歌)에 대한 평가와 차운시(次韻詩)의 양상

        김영봉 열상고전연구회 2018 열상고전연구 Vol.62 No.-

        조선 문인들의 「무이도가」에 대한 평가를 알기 위해서는 「무이도가」 자체에 대한 직접적인 비평 자료도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차운시의 주제를 살펴보는 것도 필요하다. 그러나 적지 않은 그간의 연구 성과에도 불구하고 차운시에 대해 주목한 논문은 거의 없다. 「무이도가」 자체에 대한 평가는 도학시인지 산수의 흥취를 노래한 시인지 의견이 엇갈리면서도 후기로 갈수록 도학시로 규정하는 흐름이 강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차운시를 통해 본 「무이도가」의 성격은 오히려 도학시와 거리가 멀다. 차운시에 나타나는 주류적인 성격은 자연 경물을 노래한 산수시의 측면이 압도적이고, 다음이 선계 지향의 도가적 성격이다. 유학자들이 주자의 시를 차운하면서도 선계 지향이 비중 있게 드러나는 것은 주자의 原詩가 그러한 성격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주자의 시는 의도적으로 도학적 성격을 부여하지 않는다면 武夷山의 산수를 읊은 서정시의 성격이 강하다. 그런데 무이산은 이름부터가 道家에서 왔을 정도로 원래부터 道敎와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으며, 산 속 곳곳에 道觀도 많았다. 주자의 「무이도가」는 우선적으로 무이산과 九曲의 정경을 대상으로 읊었으므로 거기에 배어 있는 도가적 요소가 자연스럽게 시에 녹아들었던 것이다. 조선의 학자들은 학문적으로 주자에 경도되어 있었고 시에 있어서도 이념적으로 濂洛風을 선호했기 때문에 「武夷櫂歌」를 평할 때에는 일찍이 陳普가 선도했던 도학적 성격에 따르는 경향이 있었지만, 실제로 차운시를 지을 때에는 오히려 原韻의 성격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었다고 보인다. 여기에서 이끌어 낼 수 있는 결론은, 이론적으로는 아무리 도학시인가 순수 산수시인가 하는 두 갈래가 대립하였지만, 대다수의 문인들은 산수시로서의 성격에 동조하였고 그 결과로 극히 일부 작품을 제외하고는 수많은 차운시에서 순수 자연을 노래한 서정시로 구현되었다고 보인다. 이점은 중국의 차운시에서도 더욱 분명하게 확인된다. Zhu Xi's “Wuyi Boating Song(武夷櫂歌)” is evaluated not only as Confucian philosophical poet but also as pure lyric. In order to understand the Joseon literary person’s evaluation of “Wuyi boating song”, it is necessary to look into the aspects of the rhyme-borrowing poems. The evaluations of “Wuyi boating song” are disagreed, but as time goes on the define as Confucian philosophical poet have a strong tendency. Nevertheless, with a few exceptions, the aspects of the rhyme-borrowing poems of “Wuyi boating song” are far from Confucian philosophical poet. The more inclination of the rhyme-borrowing poems of “Wuyi boating song” is overwhelming in lyric poetry. Furthermore, the Taoistic tendency is stronger than the Confucian philosophical tendency. It is verified through analysis of actual works. Joseon literary persons were obsessed with Neo-Confucianism and ideologically preferred Confucian philosophical poet. Therefore, some literary persons rated “Wuyi boating song” as Confucian philosophical poet, apart from the actual aspect. But this is a rather farfetched view. In China, the rhyme-borrowing poems of “Wuyi boating song” have the strongest Taoistic tendency, which are romantic naturalism trend.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fact that Taoism was prevalent in China.

      • KCI등재

        해방기 한국 시의 계보학

        유성호 ( Sung Ho Yoo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7 No.-

        해방기에 씌어진 시편들은 환희와 좌절, 갈등과 화해, 저항과 순응, 반목과 평정, 반성과 변명의 서사를 고스란히 육체화하면서 다양한 무늬를 우리 문학사에 수놓게 된다. 식민지 시대부터 활동했던 이들은 물론, 이 시기에 등단하는 신인들까지 그 창작 주체의 폭은 매우 큰 것이 었고, 그들에 의해 창작된 작품의 너비는 엄청나게 넓고 화려한 것이었다. 먼저 조선문학가동맹 소속 시인들의 작품은 날카로운 정치 의식을 발현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분단 극복 혹은 외세 극복의 투쟁 의식을 고취하는 강렬한 목적의식성을 띠기도 했다. 시의 순수성에 초점을 맞추었던 시인들은, 역사적 자아와 실존적 자아를 서정성 안에서 통합하는시의 역할을 견지했다. 이들은 높은 예술성에 의한 서정시의 권역 개척, 보편적인 인생론적 성찰, 자연이나 일상에 대한 시적 천착 등을 주제로 하는 시편들을 쏟아내어 우리 현대시의 성숙에 기여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때는 저항 시인으로서의 윤동주와 이육사가 발견되고 착근하는 시기이다. 일제 말기의 정신사적 파행이 결국 윤리적 파탄으로 귀결하지 않고 저항의 맥락을 줄기차게 형성했다는 것을 증명해낸 이 시인들의 존재와 그 발견은 해방 후 우리의 소중한 지적, 정서적 자산으로 승화하는 계기가 된다. Poems writte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encarnalized the story of joy and frustration, conflict and reconciliation, resistance and confirmity, enmity and peace, self-reflection and excuse as they were and embroidered many patterns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he subject of creation was varied from poets who had written from the colonial period to new figures of the period and they wrote wide variety of poems with their own colors. Firstly, poets from Chosun-Munhakga-Dongmaeng(Korean Writers Alliance) placed emphasis on manifesting sharp political awareness and sometimes took strong sense of purpose to inspire struggle consciousness for overcoming the division or foreign power. Poets who focused the purity of a poem stick to the role in which poems unify historical self and existential self within lyricism. They pushed out poems which took the development of zone of lyric poetry with high artistic quality, introspection of universal view of life, inquiry into nature or daily life and so on as their subjects and contributed to the maturing of modern Korean poetry. Lastly, Yoon, Dongju and Yi, Yuksa was discovered and took root as a resistance poet during this period. The existence and discovery of them who proved that the limping of mentality at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period did not resulted in ethical breakdown but produced the context of stout resistance offered us an opportunity to sublimate them to our valuable intellectual and emotional assets.

      • 제 2 부 한국의 효사상과 효문화 : 상저가(相杵歌)에 나타난 효의 서정성과 시간성

        박문희 ( Moonhee Park ),박미령 ( Miryoung Park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구 한국청소년문화학회) 2014 韓國의 靑少年文化 Vol.24 No.-

        여요(麗謠)인 상저가(相杵歌)와 퇴계의 상저가에는 음악과 같이 작품에 대한 참여와 공감의 행위가 설정되어 있다. 작품에서 서정적 자아의 주관적 깨달음은 자연과 영혼 즉 세계와 자아 사이의 관계에서 순간적으로 영원성을 제시하기 때문에 “순간성”은 가치 있고 의미 있는 삶의 향상을 가져온다. 일상생활을 사소함, 무의미함, 덧없음의 파편으로 끝내지 않고, 인간관계를 중시하고 서로를 배려하며 영원한 인연의 소중함을 표현하는 서정성은 순간 속에서 영원성을 발견하게 하는 효의 덕목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상저가에 표현된 서정적 울림은 영원성을 통찰하게 하는 여운을 남긴다. 이러한 시적 여운은 누구나 원구하는 편안한 사회를 동경하고 낭만적으로 꿈꾸게 한다. 효를 표현한 시가문학의 서정성은 인간의 심성을 다스리고, 사회의 질서를 존중하며 삶의 신비와 아름다움을 수용하며 영원한 인연을 가꾸고 명상하게 하는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저가의 표현의 관점은 인간 심성의 고양과 관계 맺음에 집중되고 있는 것이다. 시가문학에 나타나는 서정적인 자아의 감수성은 일상적 삶의 와중에 보편화된 것을 순간적으로 표현하게 되기 때문에 상저가가 발현된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사회의 주요 관심과 흐름이 “효를 통한 인성과 인연의 소중함”을 중시하였음을 알 수 있다. 서정시는 음악과 같이 한 순간에 개인적이며 내적인 삶을 토로한다. 즉 순수한 현재에, 인간의 심성과 도리, 사회 질서에 대한 정신 자세와 우주의 생성과 구조에 대한 감수성의 창달과 관계 맺음의 예술적 승화와 삶의 아름다움을 창조하게 하는 에너지를 발현한다. 필자는 상저가를 분석, 정리하는 과정 중에 서정적 자아가 표현하고 있는 효의 근본은 랑거 여사가 지적한 바와 같이 무시간의 현재성으로서 회감되는 것임을 확인하였다. 상저가에는 작품에 공감하고 참여할 수 있는 음악처럼 서정적 울림을 통하여 예술적 삶으로의 변용과 세계문학의 비전을 밝혀줄 수 있는 요인이 내재함을 확인하였다. Participation of work and deed of sympathy are established in Sang-jeo-ga which is one of the Yeoyo and Sangjeoga of Toegae like in music. "Instancy" brings on the valuable and meaningful improvement of life because subjective awareness of lyrical ego in work suggests the eternity instantly between nautre and soul in short relationship between world and ego. Everyday life does not end in parts of trivial things, meaninglessness, emptiness. And lyricism which considers human relationship being important, considerate of each other and expresses preciousness of eternal fate comes from Hyo that makes one find eternity in the instancy. Lyrical resonance expressed in Sang-jeo-ga is lingering making one discern eternity. This kind of poetic lingering imagery makes one long for comfortable society everyone desires and dream romantically. I organized lyricism based on Hyo basics of Deok which can open a prospect of society that realizing dreams and hopes that human beings desire, co-existing of belief and future prospect, promising quality of happy life through Sang-jeo-ga. I could assure that Lyricism of poetic literature expressing Hyo is the cause of controling human being``s heart, respecting the order of society, accepting mystery and beauty of life, cultivating eternal fate and meditating. Terms of the representation of the Sangjeoga is being focused on the uplift and bring forth the relationship of the human mentality. Sangjeoga is a major concern with "importance of personality through Hyo and fate" in the flow of society expressed Goryeo and Joseon because susceptibility of the lyrical ego that appears in literature is momentarily expressed in the midst of a generalized representation of the everyday life. Lyric is a privately in a moment like music speak out of their inner life. That is thepure present, expressing the energy that created the human mentality and Dory, the sensitivity to the spacial creation and structure of the mental attitude for the social order relationship of artistic sublimation and bring forth the beauty of life. While I was analyzing the sangjeoga, confirmed that the root of Hyo that the lyrical self is expressing was organized as a pure currency. Lyrical ego of Sangjeoga is representing the value and meaning of unity of the disruptive world and transformation to artistic life through the lyrical sounding like the music that you can agree to take part in the work.

      • KCI등재

        사실주의 시대의 서정시 연구: 페뜨(А. Фет)의 미의식과 순수예술

        장혜진 ( Hye Zin Jang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러시아연구소 2020 슬라브연구 Vol.36 No.4

        본 논문은 사실주의 시기 시문학의 명맥을 유지한 시인 아파나시 페뜨의 서정시를 분석하며, 전반적인 시세계와 미의식을 고찰한다. 페뜨는 19세기 후반에 다양한 동시대 작가들과 교류하였지만, 1860년대 이후 러시아의 사회적, 사상적인 문단의 흐름에서 벗어나 순수시를 창작하였다. 본고에서는 이점에 주목하여, 페뜨의 전기의 시와 후기의 시를 고찰하고, 서정시의 주제 변화와 흐름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페뜨의 초기 서정시에 주로 나타난 인상주의적인 시상의 특징과 그 시들을 분석하고, 순수예술을 바탕으로 하는 페트의 ‘미’의 개념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또한 20년의 공백 기간 이후 쇼펜하우어 철학의 영향으로 변화된 후기 시의 변화된 주제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순수예술 ‘의 의미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This thesis analyzes the lyric poetry of Apanashy Fet, a poet who maintained the pure poetry in the realism period, and examines the overall world of poetry and aesthetic consciousness. Fet interacted with various contemporary writers in the late 19th century, but after the 1860s, he created pure poetry out of the flow of Russian social and ideological context. In this paper, focusing on this point, I would like to examine Fet’s poems in the early and late periods, and analyze the change and flow of the theme of lyric poetry. I would like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pressionistic poems and poems that appeared mainly in Fet’s early lyrical poetry, and then consider Fet’s concept of “beauty” based on pure art. In addition, I will examine the changed themes of later poetry that have changed due to the influence of Schopenhauer’s philosophy after the 20-year gap, and through this, I will try to grasp the meaning of ‘pure art’.

      • KCI등재

        근대시 형성기 `순수`의 재구성

        정은기(Jeong, Eun-Ki) 한국시학회 2016 한국시학연구 Vol.- No.45

        『근대시 형성기 ‘순수’ 담론 고찰』(이후『순수 고찰』)은 근대시가 형성되어가는 과정 속에서 ‘순수’ 담론의 양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과정에서 순국문, 순문학, 순문예, 국수(國粹) 등을 근대계몽기의 용례로 설정하여 ‘순-’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이는 근대성을 표상하는 기표에 해당했다. 이러한 논리는 단재의『천희당시화』와 최남선의 신시를 통해 구체화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1910년대는 이광수의 ‘순문학적 목적’과 김동인의 ‘순예술화한 사회’의 비교를 통해 ‘순수’ 담론이 하나의 단일개념이 아니라, 자아의 내면과 공동체의 성립을 동시에 담보해야 이중구조를 지니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상징주의를 통해 수용한 자유시 역시, 개인의 호흡을 중시하면서도 민족적 리듬을 담보할 수 있어야 했다. 근대시에 대한 체계적인 모색은 1920년대에 접어 들어서야 가능했다. 김억은 ‘순정한 서정시가’라는 용어로 근대시를 요청하고 있었다. 이는 ‘언어에 대한 존중’과 ‘향토성 추구’를 전제 조건으로 하고 있었다. 이는 근대시가 조선어를 매개로 성립되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때 시를 조직하는 원리로서의 율(律)이 민족을 변별하는 핵심자질로 기능하고 있었다. 그리고 근대시가 도달해야 하는 ‘순정한’ 상태를 근대적 주체의 내면이율의 원리에 의해 시형과 완벽하게 조화를 이룬 상태라 가정했다. 그리고 이를 소설의 언문일치와 비교하여 ‘율문일치’라는 개념으로 설정하였다. ‘Study on discussion of ‘purity’ during the formative period of modernstyle poetry’ (‘Purity’ discussion) aims to investigate the process the ‘Purity’ discussion while a modern-style poetry was being formed. "Purity" was analyzed through defining a pure Korean literature, pure literature and nationalism(國粹) as the usage of modern enlightenment period. This was a signifier for the representation of modernity. The logic was solidified with Chunheedangsihwa, Dan-Jae and Sin-si, Choi, Nam-Sun. It was analyzed through the comparison of "Purpose of pure literature", Lee, Kwang-Soo and "Society becoming high art", Kim, Dong-In in 1910s that ‘purity’ discussion was not a single concept, but the dual structure that guaranteed the establishment of the inner-self and the community at the same time. Free verse accommodated through Symbolism also had to focus on an individual"s breathing and guarantee the ethnic rhythms. Systematic searching for a modern-style poetry was possible just in the 1920s. Kim, Eok requested for the modern-style poetry as the term of "pure lyric poetry". It meant that "Respect of the language" and "Folk feature" were preconditions, and the modern-style poetry must have been established via the Korean language. At this time, Rhythm(律) as the principle of poetry"s part was a key feature, distinctive qualities of this nation. Futhermore, it was assumed that "pure" state the modern-style poetry had to reach meant a perfect combination between the inner-self of the modern subject and versification by the rhythm"s principle, and it was defined as "the unity of rhythm and writing" compared to the concept of the unity of speech and wri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