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줄임말의 형태적 구조와 생성 동인 분석 연구

        박선옥(Park, Sun Ok) 동악어문학회 2017 동악어문학 Vol.70 No.-

        이 연구는 국립국어원의 조사보고서 『2015년 신어』에서 줄임말을 추출하고 2015년 줄임말 신어의 생성 양상을 형태 구조, 심리적, 사회 · 문화적 측면에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15년 신어』자료집에 제시된 신어는 모두 277개인데 이 가운데 축약에 의해 형태가 줄어든 말은 28개이다. 먼저 2015년 줄임말 신어가 생성되는 현상을 형태론의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 줄어든 형태의 원어 구조가 단일한 어종인 것은 13개(46.3%)이고 복합 어종인 것은 15개(57.3%)이다. 그리고 줄어들기 전의 표현이 한 단어인 경우 음운 변동에 의한 축약 현상으로 줄임말이 생성되었으며, 구나 문장 단위에서는 주로 음절축약 현상으로 줄임말이 생성되었다. 줄임말의 생성 동인은 심리적 동인과 사회․문화적 동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2015년 줄임말 신어 생성의 심리적 동인은 어휘의 구조적 측면에서 언어 경제성 추구 심리, 기존 어휘의 모방 심리, 어휘 체계 구축 심리이며, 어휘 사용적 측면에서는 언어 유희성 추구 심리이다. 그리고 사회․문화적 생성 동인은 사회적 사건의 영향, 새로운 사물의 발생, 외모지상주의의 세태, 일인가구의 증가와 같은 사회적 구조의 변화, 취업난이다. 이 연구는 줄임말 신어의 조어법상의 형태적 구조 분석을 넘어 언중들이 줄임말 신어를 생성하는 심리를 분석하였으며 사회 · 문화적 관점에서 사회상과 관련지어 생성 동인을 분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rrange shortened words from 『2015 Newly-coined Words』, a research report publish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and analyze the aspects of creating shortened words. There are total 277 newly-coined words presented in the collection of 『2015 Newly-coined Words』, and among them, 28 are the words formed by shortening. First, this researcher has analyzed the phenomena of creating shortened words newly in morphological aspects and found that those whose original word type before being shortened is single (native words, Chinese characters, loanwords) are 13 ones (46.3%) and ones of which word type is complex are 15 (57.3%). Also,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henomena of shortening, in a single word, shortened words are created by shortening phenomena resulted from phonologic changes, and either phrase or sentence units are created as shortened words by syllable shortening. The motives of creating shortened words are analyzed by psychological motives and social․cultural motives. The psychological motives of creating shortened words newly in 2015 include pursuing linguistic efficiency, imitating existing expressions, building up a semantic or lexical system, and intending for humor, joking, or ridiculing, and so on. The social․cultural motives of creation include the influence of social events, introduction of new items, tendency to value a personal appearance, changes in social structures like increasing one-person households, and unemployment crisi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not just analyzes the morphological structures of word formation in coining shortened words and also analyzes the public"s psychology to create shortened words in association with social aspects in social․cultural perspectives.

      • KCI등재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 사례분석 연구

        서혜린,윤천성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4

        A Case Study on the Psychological Types of Korean AyurvedaHeylyn Seo & Chunsung Youn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the key characteristics of each psychological type as classified in the Korean Ayurveda Psychological Type (KAPTI) by using a case study. The case study was undertaken for a sample of 12 participants living in Seoul, Korea. KAPTI test was conducted over the period from January to March 2022 for the participants which consist of 4 Bata, 4 Pita, and 4 Kappa types.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Bata type participants had a common preference for working freely. Second, Pita type participants showed a commonality of expressing dynamic energy. Third, Kappa type participants were relaxed, and generally satisfied with their current situation. Finally, all participants were able to better understand their type and characteristics following the psychological type tes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case study conducted could be useful in supporting that understanding one's own psychological type and characteristics could help recognize oneself under stress. Key Words: Korean-style Ayurveda Psychological Type (KAPTI), Psychological Type, Case Analysi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tress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 사례분석 연구서 혜 린*ㆍ윤 천 성** 연구 목적: 이 연구는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검사(KAPTI) 사례분석을 통해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이를 위해 서울 거주 12명을 대상으로 사례분석 하였다. 2022년 1월부터 3월까지 3개월간 유형별로 바타형 4명, 피타형 4명, 카파형 4명, 총 12명에게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검사 방법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바타형 4명의 분석 결과, 자신이 자유롭게 일하기를 선호하는 공통점이 있었다. 둘째, 피타형 4명의 분석 결과, 역동적 에너지를 표출하는 공통점이 있었다. 셋째, 카파형 4명의 분석 결과, 느긋하고 여유가 있으며 대체로 자신들의 현 상황에 만족하는 공통점이 있었다. 12명의 연구대상자는 심리유형검사를 통해 자신의 유형과 특성을 이해하게 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결론 및 제언: 이와 같은 결론의 도출로 유형별 자신의 심리적 특성, 본성을 이해함으로써 외부에서 받는 스트레스로부터 자신을 자각하고 인식하는 사례분석 자료로 활용되었으면 한다. 핵심어: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검사(KAPTI), 심리유형, 사례분석, 심리적특성, 스트레스 □ 접수일: 2022년 7월 5일, 수정일: 2022년 7월 30일, 게재확정일: 2022년 8월 20일* 주저자,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융합산업학과 박사과정(First Author, Doctoral Course, Seoul Venture Univ., Email: tomboy7272@naver.com)** 교신저자,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융합산업학과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Seoul Venture Univ., Email: staryoun@hanmail.net)

      • KCI등재

        회사 페이스북 메시지의 심리적 거리와 메시지 유형이 구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성원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020 情報시스템硏究 Vol.29 No.2

        Purpose: With the development of Social Network Service(SNS) and mobile devices, many companies have been using the Facebook as a Word-of-Mouth(WOM) channel.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distance and message type on WOM using the Facebook's real message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message typ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distance and WOM was also analyzed. Design/methodology/approach: A content analysis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A total 7,483 messages were collected from 50 companies' Facebook Fanpage (based on the ranking of socialbakers.com) and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human coding. As the influencing variables, the message type and psychological distance and the number of 'Likes', 'Share', and 'Comment' were used as the dependent variable. The R3.4.4 was used to perform descriptive statistics, cross-tab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ANOVA). Findings: First, a larger proportion of Facebook messages have close psychological distance for all message types(information, advertisement, event, and customer relationship). Second, ‘Like’ and ‘Comment’ number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essages of close psychological distance. Third,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distance on ‘Like’, ‘Share’, and ‘Comment’ number were different according to message type. However, ‘advertisement’ message type had significantly more numbers for all WOMs(‘Like’, ‘Share’, and ‘Comment’) in messages with close psychological distance.

      • KCI등재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심리건강에 대한 연구

        이후희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A Study on the Psychological Health ofForeign Students in KoreaHoohee Le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to help foreign students adapt to college lif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ir psychological health. A psychological health examination was conducted on 92 college students studying at four-year universities located in Busan and Gyeongnam. In order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health level of foreign students, SPSS 25.0 program was used to conduct mean, standard deviation,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Through the foreign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inventory, the psychological health and college life adjustment level of foreign students is identified. In the general symptom area of the psychological health scale, female student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male students. In addition, the group with below average academic achievement of foreign students showed difficulty in coping with stress and showed high maladjustment in schoolwork.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ought ways to support foreign students' psychological health in various ways and discussed the need for follow-up research. Key Words: Foreign Students, Psychological Health, Adaptation to College Life, Gender, Academic Achievements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심리건강에 대한 연구이 후 희**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심리건강 분석을 바탕으로 유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을 돕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부산 및 경남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유학중인 대학생 92명을 대상으로 유학생 심리건강 검사를 실시하였다. 외국인 유학생의 심리건강 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유학생 심리건강 검사를 통해 외국인 유학생들의 심리건강 및 대학생활적응 수준을 파악한다. 결론 및 제언: 심리건강 척도의 일반 증상 영역에서 남학생보다 여학생들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국인 유학생들의 학업성적 평균 미만인 집단에서 스트레스 대처에 어려움을 나타냈고, 학업에 있어서의 부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외국인 유학생들의 심리건강과 관련하여 다각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후속 연구의 필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핵심어: 외국인 유학생, 심리건강, 대학생활적응, 성별, 학업성적 □ 접수일: 2022년 11월 27일, 수정일: 2022년 12월 8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이 논문은 2022학년도 부산외국어대학교 학술연구조성비에 의해 연구되었음. **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직과 조교수(Professor, Busan Univ. of Foreign Studies, Email: hhlee@bufs.ac.kr)

      • KCI등재

        복합어의 심리적 실재성 검증

        송원용(Song Won Yong,宋源容) 형태론 2015 형태론 Vol.17 No.1

        본고는 다양한 내적 구성을 가지는 용언 어간에 대한 어휘 판단 과제라는 심리학적 실험을 수행한 후 피험자들의 반응 시간에 대한 통계학적 검증을 수행하고, 그 결과에 대한 형태론적 해석을 통해 한국어 화자의 심리적 어휘부 안에서 복합어가 가지는 심리적 위상이 단일어의 그것과 다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자극별 반응시간의 차이는 통계적 유의성을 가지는 반면, 어휘군별 반응시간의 차이는 통계적 유의성을 가지지 않았는데, 자극별 반응시간의 차이를 적절하게 설명하는 변수를 찾기 위하여 어종, 복합도, 투명도를 기준으로 통계적 검정을 수행한 결과 통계적 유의성을 가지는 요인은 투명도뿐임을 밝혔다. 이러한 검정 결과는 화자의 심리적 어휘부 안에서 파생어와 합성어를 포함하는 복합어가 차지하는 위상이 자신과 형태론적으로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는 단일어의 위상과 다르지 않음을 뒷받침한다. 그러므로 인지적 정합성이라는 관점에서 복합어에 대한 언어학적 연구, 즉 형태론 연구는 상향적 접근법보다는 하향적 방법론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This thesis is dedicated for verifying that the psychological realities of the Korean complex words is not different from those of the simple words. In order to do those things, we have chosen the lexical decision task against three different types of Korean verbs such as single morpheme verbs(po-, mak-, keom-, hui-), derived verbs(yeotpo-, doimak-, poi-, makhi-, keomuseureumha-, huikkeumeureha-), compound verbs (kyojeongbo-, humcheobo-, karomak-, tuleomak-, keombuk-, huippuyeot-). We have gone through statistic research over the results from the experiment focusing on how three aspects of the stimuli, such as word category, complexity, transparency, affect response time of the subjects. According to various statistic examinations, the only one aspect of stimuli which have come to be meaningful statistically is transparency. This is very strong evidence supporting that the psychological realities of the Korean complex words is not different from those of the simple words.

      • KCI등재후보

        성인여성 취미발레참여자의 긍정심리자본과 무용몰입의영향관계 연구

        김은지,이숙영 국제인문사회연구학회 2024 Studies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HSC) Vol.6 No.2

        성인여성 취미발레참여자의 긍정심리자본과 무용몰입의영향관계 연구 김 은 지ㆍ이 숙 영 연구 목적: 본 연구 목적은 성인여성 취미발레 참여자의 긍정심리자본이 무용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연구하고자 한다. 이러한 긍정심리자본과 무용몰입의 인과관계 연구를 통하여 성인여성 발레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G광역시에 소재한 무용학원에서 성인여성 취미발레참여자를 모집단으로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총 255명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통계처리는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첫째, 성인여성 취미발레 참여자의 긍정심리자본이 인지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요인 중에서 희망과 낙관주의가 인지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여성 취미발레 참여자의 긍정심리자본이 행위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요인 중에서 자기효능감과 낙관주의, 회복탄력성이 행위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이를 바탕으로 발레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사랑받고 성인여성이 향유 할 수 있는 가치적 활동의 기초자료가 되기를 바라며, 발레가 더욱더 활성화되는데 기여하길 기대한다. 핵심어: 성인여성, 취미발레, 긍정심리자본, 인지몰입, 행위몰입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Dance Immersion Among Adult Female Hobby Ballet Participants Eunji Kim** & Sookyoung Le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dance immersion among adult female hobby ballet participants. Through this study of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dance immersion, we aim to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adult women’s ballet. The research method was a survey targeting adult female hobby ballet participants at a dance academy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and a total of 255 questionnaires were used. Statistical processing analyzed the collected data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impa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cognitive flow of adult female hobby ballet participants, hope and optimism, among the sub-factor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cognitive flow. Second, in the impa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behavioral commitment among adult female hobby ballet participants, self-efficacy, optimism, and resilience, among the sub-factor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behavioral commitment. Based on this, we hope that ballet will continue to be loved in the future and become the basis for valuable activities that adult women can enjoy, and we hope that it will contribute to the further revitalization of ballet. Key Words: Adult Women, Hobby Balle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ognitive Flow, Behavioral Flow □ 접수일: 2024년 4월 5일, 수정일: 2024년 4월 21일, 게재확정일: 2024년 4월 28일* 이 논문은 2023년 주저자의 석사학위논문을 수정・보완한 것임. ** 주저자,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First Author, Master, Chosun Univ.)*** 교신저자, 조선대학교 공연예술무용과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Chosun Univ., Email: youngdancerlee@hanmail.net)

      • KCI등재

        빅데이터 시대에서 대학생의 심리위기에 대한예방과 신속대응 체계에 대한 고찰

        장진판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A Study on the Prevention and Rapid Response Systemof University Students’ Psychological Crisisin the Psychological CrisisJinfan Zhang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new perspective on the psychological crisis prevention and rapid response mechanism by fully analyzing the student's dynamic information by efficiently operating the database among the psychological crisis prevention and rapid response mechanisms. In this study, 1,299 students from universities affiliated with cities in northern China were studied, and three samples of 399, 122, and 778 were studied, respectively. The correlation between scores and total scores of each factor, such as campus health running, academic performance, home economic situation, and psychological health, which are the most basic three data among college student data, was examined. SCL-90 was used as a mental health level evaluation tool, and the correlation between scores and total scores of each factor such as campus health running, academic performance, home economy situation, and psychological health, which are the three most basic data among college student data, was examined. Based on these three indicators, it was intended to complete the review of the psychological crisis prevention and rapid response system for college students in the era of big data. The work of the psychological crisis prevention system in the big data era was identified in detail, and the establishment of student information big data could be strengthened. In addition, a multidimensional psychological crisis rapid response system was established and big data technology was proposed. Key Words: Big Data, University Students, Psychological Crisis Prevention, Rapid Response, Mechanism 빅데이터 시대에서 대학생의 심리위기에 대한예방과 신속대응 체계에 대한 고찰장 진 판* 연구 목적: 심리위기방지 및 신속대응 메커니즘 중 어떻게 효율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운용하여 학생의 동태정보를 충분히 분석하여 심리위기방지 및 신속대응 메커니즘에 새로운 관점을 제공한다. 연구 방법: 중국 북방의 모 성 소재지에 있는시 소속 대학생 1,299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각각 399, 122, 778의 3개 표본으로 하였다. 가장 기본적인 세 가지 데이터인 캠퍼스 건강달리기, 학업성적, 가정경제상황, 심리건강 등 각 요소의 점수와 총점 간의 상관관계를 고찰하였다. 연구 내용: SCL-90을 정신건강 수준의 평가 도구로 사용하였고, 세 가지 지표를 바탕으로 빅데이터 시대 대학생의 심리적 위기 예방 및 신속 대응 시스템 고찰을 완료하고자 하였다. 결론 및 제언: 빅데이터 시대의 심리위기 방범 체계 중의 업무를 상세히 규명하였고 학생정보 빅데이터 구축하는 강화할 수 있었다. 그리고 다차원적 심리위기 신속대응체제 구축하였고 빅데이터 기술 활용 등을 제안하였다. 핵심어: 빅데이터, 대학생, 심리위기예방, 신속반응, 메커니즘 □ 접수일: 2022년 8월 31일, 수정일: 2022년 9월 27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테츠학과 박사과정(Doctoral Course, Dongbang Culture Univ., Email: vicky_0229@naver.com)

      • KCI등재후보

        어린이집 조직문화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을 중심으로

        최지선,임유경 국제인문사회연구학회 2023 Studies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HSC) Vol.5 No.2

        어린이집 조직문화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을 중심으로최 지 선*ㆍ임 유 경**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어린이집 조직문화가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J도의 Y시의 보육교사를 편의표집하여 최종 189부의 설문지가 연구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변인을 측정하기 위해 SPSS 23.0을 이용하여 각 척도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를 검증하였고, 연구목적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과 Process Macro model 4를 이용한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어린이집의 조직문화(관계문화, 위계문화, 혁신문화, 합리문화)가 교사효능감 및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결론 및 제언: 어린이집의 위계문화는 교사의 긍정심리자본에 부적 영향을, 관계문화와 합리문화는 긍정심리자본과 교사효능감에 정적영향을 미쳤고, 긍정심리자본은 어린이집의 관계문화·합리문화와 교사효능감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보육현장에서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긍정심리자본을 증진시킬 수 있는 조직문화 형성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게 하는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핵심어: 어린이집, 조직문화, 교사효능감, 보육교사, 긍정심리자본 □ 접수일: 2023년 12월 20일, 수정일: 2023년 12월 29일, 게재확정일: 2023년 12월 29일* 주저자, 광신대학교 유아교육과 박사과정(First Author, Doctoral Course, Kwangshin Univ., Email: ymca1022@naver.com) ** 교신저자, 광신대학교 유아교육과 부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Kwangshin Univ., Email: bbpig94@hanmail.net) The Impact of Childcare Center Organizational Culture on Teacher Efficacy: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Giseon Choe & Youkyoung Li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impact of childcare center organizational culture on childcare teachers’ teacher efficacy. The convenience sampling of childcare teachers from Y city in J province was used, and a final 189 questionnaires were used. To measure the research variable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were conducted using SPSS 23.0. To verify research purpo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nd mediation effect was analyzed using process macro model 4. This study is examined the effects of the childcare center’s clan culture, hierarchy culture, adhocracy culture, and market culture on teacher efficacy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The hierarchy culture had a negative effect on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he market culture and clan cultur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eacher efficacy.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lan culture and market culture and teacher efficacy. Accordingly, it has the value of data that allows us to explore various ways to form an organizational culture that can improve the teacher efficacy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child care teachers in the childcare field. Key Words: Childcare Center,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fficacy, Childcare Teache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 KCI등재

        특수경비원의 진정성리더십이 긍정심리자본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한진,강경수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특수경비원의 진정성리더십이 긍정심리자본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김 한 진*ㆍ강 경 수** 연구 목적: 본 연구는 특수경비원의 진정성리더십이 긍정심리자본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특수경비조직의 진정성리더십 개발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었다. 연구 방법: 특수경비원 30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처리하였다. 또한 특수경비원의 진정성리더십이 긍정심리자본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분석은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진정성리더십의 긍정심리자본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진정성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알아본다. 결론 및 제언: 진정성리더십은 긍정심리자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긍정심리자본은 조직시민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진정성리더십은 조직시민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심리자본을 통하여 조직시민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진정성리더십과 같이 인간 중심형의 리더십이 발휘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개발교육과 관리가 요구되겠다. 핵심어: 진정성리더십, 긍정심리자본, 조직시민행동, 특수경비, 민간경비 □ 접수일: 2022년 9월 8일, 수정일: 2022년 9월 26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주저자, 용인대학교 학점은행제 교수(First Author, Professor, Yongin Univ., Email: hanjinabc@hanmail.net)** 공동저자, 용인대학교 학점은행제 교수(Co-author, Professor, Yongin Univ., Email: 01071120978@daum.net) The Effects of Authenticity Leadership of Special Security Guard on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Hanjin Kim & Kyoungsoo Ka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of special security guards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o draw implications necessary for developing authentic leadership of special security organization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from 309 special security guards, and the data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 24.0 program. In addition, the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of special security guards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as examined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he mediating effect analysi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bootstrapping. The effects of authentic leadership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re investigated. Authenticity leadership had a direct effec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a 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uthentic leadership did not appear to have a 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it was found to have an in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roug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inuous development education and management will be required so that human-centered leadership such as authentic leadership can be demonstrated. Key Words: Authenticity Leadership,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pecial Security Guard, Private Security

      • KCI등재

        문장 생성의 이중 구조에서 본 조사 ‘-는’의 기본적 의미 기능

        박호관(Park Ho-gwan) 우리말글학회 2007 우리말 글 Vol.39 No.-

        This study would like to make clear through the dual structure of sentence formation that the meaning of ‘topic’ or ‘contracting’ is not the basic meaning function of postpositional word ‘-neun(는)’ but the one of marking a speaker's ‘[+deulchum( 들춤)]’ aspect. A discussion in this articl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oth the meaning section in which the directive words by selected & fixed by a speaker are in logic meaning relation, and the talk section which reflects a speaker's psychological attitude,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 sentence formation structure in Korean language. Second, ‘topic’ or ‘contrasting’ which was discussed as the meaning function of postpositional word ‘-neun(는)’ has not the basic meaning function of the word ‘-neun(는)’, but its basic meaning function is to conduct the ‘[+deulchum( 들춤)]’ role in which, with the flection of a speaker's psychological attitude, the directive word is transferred into the ‘stating clearly’ word. 1) Grammatical function: in the sentence(composition), to make move a copula word into the ‘stating clearly’ word position, and ‘-neun(는)’, as a sign of ‘making expose’, is realized. 2) Meaning function: by exposing a specific designated word among the sentence components, to conduct logical(meaning) function in accordance with a specific component of other sentence or with a premise or implication. 3) Colloquial function: In the process of information delivery, to represent the aspectual attitude of a speaker who try to make clear a specific object public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