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패션 디자인에 나타난 가상공간의 페르소나 표현

        김순자 ( Soon Ja Kim ) 한국의류산업학회 2013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ol.15 No.5

        Persona means the mask of personality where the internal ego exposes itself to the outside. The complicated structure and diversity of contemporary society has provided men with a more variegated and diversified persona; in addition, advancements in internet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s creates the possibility for the emergence of more variegated and new persona. This study probes the persona of virtual space expressed in fashion designs; subsequently, this study reviews the concept and various characteristics of persona and examines the type of persona in the virtual spa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anifestation of identity. The type of persona in the virtual space canbe categorized into flexible identity and falsified identity; subsequently,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virtual space persona in fashion designs are analyzed. Flexible identity-oriented personas expressed in fashion designs are revealed through the images of animals or dolls. This is a childlike persona expression that expresses ego through other substances in an effort to express infantile substances such as dreams and fantasy cherished in childhood. Falsified identity-oriented personas are expanded as a realm of expression of the body and the realities are camouflaged as transformed persona. Negating existence itself by covering the eyes or face as well as the concealment of the body with masks or veils is an expression of a self-denying persona.

      • KCI등재후보

        A Study on the developing data-based referrer persona for web service

        Lee, Ji Hyun(이지현),Kiyoshi Tomimatsu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7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7 No.2

        사용자 경험 디자인 분야에서 퍼소나는 목표지향적 디자인 방법의 중심이 되는 도구로서 지속적으로 활용되어 왔다. 최근 퍼소나를 더 발전시켜 사용자 경험 디자인 분야에 활용하려는 시도가 생기고 있는데, 린 UX 방법론에 쓰이는 프로토 퍼소나와 정량 데이터 기반 퍼소나 등이 이러한 시도들이다. 이중 정량 데이터 기반 퍼소나에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이고 사용자 경험 디자인에 근거가 될만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솔루션들도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입경로 데이터가 중요한 웹서비스를 대상으로 정량 데이터 기반 리퍼럴 퍼소나를 구축하기 위한 솔루션과 모델링 체계를 제안하는데 중점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웹서비스는 기존의 로그 분석도구들에서 기본적인 정량 데이터는 얻을 수 있으나 사용자 경험 디자인 분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데이터들을 얻기 힘든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본 연구를 통해 리퍼럴 퍼소나의 근거가 될 수 있는 데이터 수집 솔루션을 고도화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아울러, 리퍼럴 퍼소나의 체계를 연구하기 위해 기존 정식 및 프로토 퍼소나의 체계를 연구하고 리퍼럴 퍼소나의 모델링 체계를 이루는 핵심 요소들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런다음, 구체적인 사례 연구를 통해 앞서 정립한 리퍼럴 퍼소나의 모델링 체계를 적용하고 구체화하였다. 포그리트의 뷰저블 솔루션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제 수집된 정량 데이터를 기준으로 리퍼럴 퍼소나 요소를 연구하였고 리퍼럴 퍼소나 모델을 제시하였다. 제시한 리퍼럴 퍼소나는 포그리트 임직원들의 평가를 통해 응용 가능성과 발전 가능성을 평가 받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정량 데이터 기반 리퍼럴 퍼소나의 기초적 연구와 체계, 사례 연구를 통한 유효성 및 응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In the field of user experience design, persona has been used continuously as a central tool in goal-oriented design process. In recent years, several attempts have been made to further develop persona into the field of user experience design, such as proto-persona and quantitative data-based persona used in lean UX methodology. Research about quantitative data-based persona is still at an early stage and there are few solutions to collect data that will be used for user experience design. This study is focused on suggesting a foundation study and a modeling framework for constructing a quantitative data - based referrer persona. Web services can be obtained basic quantitative behaviour data from existing log analysis tools but have limitations in obtaining data that directly affect the user experience design. Therefore, research about improving web usage data analysis solution had conducted. In addition, to study the framework of the referrer persona, study have conducted about framework of the existing formal and proto-persona and key elements that make up the modeling of the referrer persona. Then, through a concrete case study, suggested referrer persona framework had applied. Beusable solution home page had used for modeling referrer persona based on the actual collected quantitative data. Referrer persona was made with quantitative data to show behaviour patterns of referral users and reviewed by beusable member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e basic research, framework and case studies of the quantitative data based referrer persona and its effectiveness and applicability.

      • KCI등재

        21세기 현대시의 화자 유형에 관한 사례 분석 연구

        정끝별 ( Keut Byul Jeong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2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6

        시적 화자persona는 시 연구는 물론 시의 이해와 감상에서 주요한 시학 적 장치device로 떠오른 것은 20세기였다. 본고는 21세기 한국 현대시에 서도 여전히 유용한 화자의 특성에 주목하여 새로운 시적 기능과 그 가능 성을 모색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기존의 화자 유형 분류 체계와 그 특성들을 검토한 후, 21세기 현대시에 적합한 화자 유형 분류의 최소 기준을 설정해보았다. 최소화된 기준은 유형화할 수 없는 대상을 유형화하려는 어려움을 반영한 것으로, ``어떤 시점에서 발화하는가``(화자의 시점 ; 인칭 과 위치)와 ``어떤 목소리로 발화하는가``(화자의 목소리)로 나누어 살폈다. 일인칭 고백 장르라는 서정시의 특성을 고려해 인칭으로는 일인칭과 비 인칭을, 위치로는 관찰적 위치와 전지적 위치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화자 지향적/청자지향적/등장인물지향적/화제지향적, 묘사적/진술적, 이미지 적/서사적 등으로 목소리의 기준을 설정했다. 이러한 시점(인칭과 위치)과 목소리 등이 조합하는 경우의 수에 따라 화자 유형은 개별 작품별로 다양 하게 생성된다. 이 최소화된 유형화의 기준이 오히려 최근 시의 다양한 화 자 유형을 분류하고 분석하는 데 더욱 효율적이었으며, 이를 통해 21세기 시의 화자가 시 속에서 어떤 기능을 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화자 선택의 발상과 효과를 중심으로 한 분류의 기준만을 제시함으로 써 현대시 화자의 새로운 시학적 가능성을 열어두고자 하였다. In the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poetry as well as the study on poetry it was 20th century when the poetic persona had emerged as a major device of poetics. This paper has explored the new poetic functions and their possibilities by focusing the characteristics of personae that are useful to study on the Korean modern poetry in 21th century too. For this exploring, this paper has examined the existing system of classifications of the persona-types and their characteristics, and has therefore tried to establish the minimized criteria of classifications of the persona-types proper for the modern poetry in 21th century. With respect to the fact that the minimized criteria have reflected the difficulties to give figurations to objects which have been unable to give themselves, this paper has examined the minimized criteria by dividing them into the one as ``what viewpoint does the persona speak at``(the viewpoint of persona: the person and the position) and the other as ``what voice does the persona speak with``(the voice of persona). With considering a characteristic of the lyric poetry as a first-person confessionary genre, this paper has presented the persons as the first-person and the non-person, the positions as the observing position and the omniscient position, and has established the criteria of voices as beings oriented toward speakers, listeners, characters, or topics, as descriptions and statements, and as images and narrations. According to the number of cases with which these viewpoints(the persons and the positions) and voices have been combined, the persona-types have become differently at each poem. Through these minimized criteria of figurations which have rather been more effectively used to classify and analyze the different persona-types in the latest poems, this paper has illuminated the functions of personae within poetry in 21th century. Consequently this paper has tried to open the new poetic possibilities of personae in the modern poetry by presenting only the criteria of classifications with the ideas and effects of choosing personae in the center.

      • KCI등재

        다형적 페르소나로서 법 -낙태의 자유와 잊혀질 권리를 예로 하여-

        민윤영 ( Yoon Young Min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1 고려법학 Vol.0 No.61

        This article introduces Jung`s analytic psychology as a new referential point for analyzing legal issues. Among Jung`s analytic psychology, this article focuses especially on his theory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 which is the outer personality presented to others socially by an individual, and inner personality. This theory is expected to be relevant when applied to jurisprudence, as the law of ``person`s can be understood as the law of ``persona`s.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at human life is created through the performance of diverse personas. Therefore, it claims that as a human right, plural and even mutually contradicting personas should be recognized by law. As persona, which originally means the mask worn by Greek actors, has an intrinsic power to induce narrative and storytelling, permitting diverse personas should be recognized as a condition for guaranteeing human rights. Furthermore, this article insists that guaranteeing diverse and contradictory, yet balancing personas will form a basis from which new justice, which restores the primordial Archetypus of human kind, will be produced, different from the existing justice which is achieved through unified and coherent legal order. From these theoretical points of view, the need to recognize the persona of prostitution and that of abortion is claimed. However, it is not without limit to recognize diverse personas. The work of guaranteeing personas should be performed in harmony with existing legal principles. Lastly, bearing in mind Jung`s warning that identifying with one`s persona is symbolically the same as death, this article suggests an analysis that law functions as pharmakon in regards to the identification with persona. Law has an essential attribute of causing the individual to identify with his persona, while it also works to prevent identification with one`s past personas. This preventive aspect of law is discussed more with the right to be forgotten as an example which is appearing as an important right in this digitalized era.

      • KCI등재

        에코페미니즘 시 연구-화자의 심리적 거리를 중심으로-

        김지연 한국언어문학회 2012 한국언어문학 Vol.81 No.-

        This is a study of the poetic persona and the psychological distance in eco-feminism poetry. In this study, the discussion is focused on the subject of psychological distance shown according to three different narrator viewpoints. They can be summerized as follows:First, in eco-feminism poetry, the subjective persona's attitude toward poetic object is active, and the persona shows active intervention. The persona's distance to the poetic object is short and sometimes the persona is identified with the object. The desire most activately expressed in the subjective persona's voice may express sexual desire, but it also transcends desire toward productivity. In eco-feminism poetry, the subjective persona reveals the active desire of a woman, and beyond. She experiences motherhood. Secondly, the objective persona's attitude to the poetic object is contemplative, and passive intervention is limited. The persona maintains a distance from the object by separating it from herself. The subjective persona mentioned above shows sentimental and sensual images, while the objective persona shows rational images in that she tries to weigh the ecological meaning of the poetic object. Third,ly, the combined persona shows two types of attitudes of the subjective and the objective personas in treating the poetic objects. Therefore,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is expressed in the works. In general, the movement proceeds from a greater distance to a shorter distance because the persona follows the process of communing and assimilating with the object through observation and contemplation. The ultimate aim of eco-feminism is 'a harmonious world'. This is expressed in the eco-feminism poetry in the form of communion or assimilation between the persona and natural objects. Therefore, the world of poetry in which humans and nature co-exist in absence of prejudice can be significant.

      • KCI등재

        에코페미니즘 시 연구

        김지연(Kim, Ji-yeon) 한국언어문학회 2012 한국언어문학 Vol.81 No.-

        This is a study of the poetic persona and the psychological distance in eco-feminism poetry. In this study, the discussion is focused on the subject of psychological distance shown according to three different narrator viewpoints. They can be summerized as follows: First, in eco-feminism poetry, the subjective persona’s attitude toward poetic object is active, and the persona shows active intervention. The persona’s distance to the poetic object is short and sometimes the persona is identified with the object. The desire most activately expressed in the subjective persona’s voice may express sexual desire, but it also transcends desire toward productivity. In eco-feminism poetry, the subjective persona reveals the active desire of a woman, and beyond. She experiences motherhood. Secondly, the objective persona’s attitude to the poetic object is contemplative, and passive intervention is limited. The persona maintains a distance from the object by separating it from herself. The subjective persona mentioned above shows sentimental and sensual images, while the objective persona shows rational images in that she tries to weigh the ecological meaning of the poetic object. Third, ly, the combined persona shows two types of attitudes of the subjective and the objective personas in treating the poetic objects. Therefore,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is expressed in the works. In general, the movement proceeds from a greater distance to a shorter distance because the persona follows the process of communing and assimilating with the object through observation and contemplation. The ultimate aim of eco-feminism is ‘a harmonious world’. This is expressed in the eco-feminism poetry in the form of communion or assimilation between the persona and natural objects. Therefore, the world of poetry in which humans and nature co-exist in absence of prejudice can be significant.

      • KCI등재

        <보현시원가>에 나타난 시적 자아의 성격

        전재강 ( Jae Gang Jeon ) 한국시가학회 2014 韓國 詩歌硏究 Vol.37 No.-

        이 논문에서 <보현시원가>에 나타난 시적 자아의 성격을 그 근거 작품인 『화엄경』의 <보현행원품>과 그 번역 작품인 <보현십원송>의 경우를 상호 대비하여 시적 자아가 가진 목소리의 성격, 시적 자아의 지향 의도와 그 실현으로서의 표현 내용, 의도의 실현을 위하여 사용한 표현법 등 세 가지 기준에서 논의를 진행했다. 자아의 목소리의 성격에서 산문과 운문의 두 부분으로 되어 있는 <보현행원품>의 자아가 산문부분에서는 서사적 작품 내적 자아, 운문에서는 시적 자아로 나타났고 경전의 성격상 이 두 자아는 교시적 성격을 가졌고, <보현시원가>의 자아는 근거 작품의 성격을 수용하여 교시성을 가지면서도 시적자아로서 정서적 감동을 유발하는 서정적이라는 성격을 가졌고, <보현시원송>의 자아는 시적 자아로서 <보현시원가>의 내용을 반복하면서 원가를 칭송하는 지향을 보여 교시적, 서정적 성격 위에 송도적 성격을 더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의 지향 의도에 따라 작품의 중심 내용에서 <보현행원품>의 자아는 지향한 의도가 교시였기 때문에 중생 제도라는 교시할 내용을 길게 담아내는 특성을 보여 주었고, <보현시원가>의 자아는 지향한 의도가 교시에 기초한 감동이었기 때문에 성상융회, 법계연기의 철리를 새로운 내용으로 제시하고 정서적 표현을 두드러지게 하는 특성을 보여 주었고, <보현시원송>의 경우에는 작품 전체적으로 칭송 지향의 의도를 가졌기 때문에 <보현시원가>의 핵심 내용을 그대로 번역하면서 그 가치를 드러내는 데에 필요한 구체적 내용을 보완하거나 직접적 칭송의 내용을 보여 주었다. 표현방식에서는 일정한 성격의 자아가 <보현행원품>에서는 교시의 의도를 실현하기 위하여 교시의 내용을 나열하고, 과장하거나 강조하는 수사를 구사하고, 모르는 것을 알려 주기 위하여 설명, 인물간의 대화, 설명, 비유 등 수사를 사용하고 있었고, <보현시원가>에서는 근거작의 수사를 최소화하면서 영탄법, 은유, 비유, 상징, 역설법 등을 주로 사용하여 함축을 통한 감동이라는 서정의 효과를 높이고 있었고, <보현시원송>에서는 칭송을 위해서 대체로 <보현시원가>의 표현방식을 따르면서 율시의 특성으로 나타난 대구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This dissertation is written in order to research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tic persona in <Bohyeonsiwonga> in three aspects by comparing with <Bohyeonhangpum(普賢行願品)> and <Bohyeonsiwonsong(普賢十願頌)>. The first aspect i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tic persona`s voice, The second aspect i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tic persona`s intention, and the third aspect i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tic persona`s expression method. Firstly, in the asp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tic persona`s voi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tic persona`s voice in <Bohyeonsiwonga> are instructional and lyrical. B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tic persona`s voice in <Bohyeonhangpum> are instruction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tic persona`s voice in <Bohyeonsiwonsong> are instructional, lyrical and panegyrical. Secondly, in the asp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tic persona`s intention, the poetic persona`s intention in <Bohyeonsiwonga> is teaching lay people by touching them. The persona`s intention in <Bohyeonhangpum> is only teaching lay people by explaining Sutra. And the poetic persona`s intention in <Bohyeonsiwonsong> is teaching lay people by touching them, and panegyrizing <Bohyeonsiwonga>. Thirdly, in the asp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tic persona`s expression method. the rhetoric like metaphor, paradox, symbolism etc were used in <Bohyeonsiwonga> in order to teach lay people by touching them. The method of explaining and taking example etc were used in <Bohyeonsiwonga> in order to teach lay people. The rhetoric like metaphor, paradox, symbolism etc and antithesis were used in <Bohyeonsiwonsong> in order to teach lay people by touching them plus panegyrizing <Bohyeonsiwonga>. Even though I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tic persona in <Bohyeonsiwonga> in three aspects, there could be the other things to study about these kinds of theme. I might continue researching the other kinds of theme next time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웹서비스를 위한 데이터기반 신규 및 재방문 퍼소나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이지현 ( Lee Ji Hyun ),키요시토미마츠 ( Tomimatsu Kiyoshi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3

        최근 사용자 경험 디자인 분야에 실제 사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 기반 디자인의 중요도가 커지고 있다. 퍼소나를 기반으로 한 목표 지향 디자인 프로세스는 UX 디자인의 대표적인 프로세스이며, 퍼소나는 전통적으로 개별 사용자 인터뷰를 통한 정성 데이터에 기반을 두고 풍부한 사용자 배경과 컨텍스트, 시나리오 도출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하지만, 전통적인 정성리서치 기반 퍼소나가 비용,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신뢰도 있는 데이터의 부족되는 문제가 있어 로그 분석을 통한데이터를 통한 보완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기반 퍼소나에 관한 전반적인 연구와 퍼소나 구축을 할 수 있는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도구 연구, 실제 사례를 통한 데이터 기반 퍼소나 구현과 활용 가능성에 대한 전문가 평가를 통해 데이터 기반 퍼소나의 가치와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기반 퍼소나를 모델링하기 위해 대표적인 데이터 분석 도구인 구글 애널리틱스와 새롭게 개발하고 있는 페이지내 데이터 시각화 분석 소프트웨어인 뷰저블을 활용하여 퍼소나에 활용되는 데이터유형을 정의하고, 뷰저블 홈페이지를 사례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신규 방문자 및 재방문자 데이터 기반 퍼소나를 모델링하였다. 아울러, 전문가 평가를 통해 데이터 기반 퍼소나의 활용방안과 퍼소나 모델링 구현 방안을 비교 평가하였다. 전문가 평가 결과 신규 방문자, 재방문자에 대한 데이터 기반 퍼소나가 웹사이트의 사용자 행동 패턴 파악과 혼란 요인, 디자인 문제점을 도출하는 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2페이지 형태로 데이터와 행동, 혼란과 인사이트를 자세히 기술한 퍼소나가 1페이지로 간략하게 요약한 퍼소나보다 활용가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Data-driven design based on actual usage data is becoming more important in the field of user experience design. The goal-oriented design process based on a persona is a typical process in UX design. Persona has traditionally focused on generating rich user backgrounds, contexts, and scenarios based on qualitative data from individual user interviews. However, traditional qualitative research-based personas are costly, time consuming, and lack reliable data, so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data complements with log analysis. This paper proposed a persona modeling method based on data-analysis software and a case study presented the value and application of the data- based persona with expert evaluation. Specifically, this study used data analysis tools such as Google Analytics, which is a representative data analysis tool, and Beusable, which is newly developed data visualization analysis software in the page, to define the data types used in personas. The Beusable homepage was selected as a case study subject and new visitor and return visitor data-based personas were modeled. In addition, data-based personas were evaluated by experts. Data-based personas for new and returning visitors were found to be useful in identifying user behavior patterns, confusing factors, and design problems for the website. The perceived value of a two-page persona was higher than the perceived value of a one-page persona model.

      • KCI등재

        박목월 시에 나타난 시적 화자 연구

        유지현 ( Yu Ji-hyun ) 우리어문학회 2018 우리어문연구 Vol.61 No.-

        박목월 시가 드러내는 화자의 발화 양식은 시세계의 확장과 깊이를 확보하려는 노력과 궤를 함께 한다. 시인은 다양하고 정교한 시적 화자를 통해 시의 깊이를 드러냈다고 볼 수 있다. 시적 화자의 시점, 어조, 태도 등이 결합되어 다양한 시세계를 드러낸 박목월 시의 화자의 특성을 정리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조형적 시선의 화자는 묘사 대상을 선택하고 구성하여 조형적으로 드러내는 미적 인식에 의하여 시선의 중개자로서 기능한다. 시선의 중개자로서의 화자는 객관적인 목소리를 통해 절제된 어감을 드러내며 대상과의 미적 거리를 통해 대상과의 관계를 묘사하는 것에 주력한다. 두 번째 극화된 화자는 특정한 인물과 상황을 드러낸다. 여기서 화자는 연극의 배우처럼 특정한 상황 속에 배치되며 상황에 주어진 역할에 해당하는 목소리를 보인다. 이러한 시에서 등장하는 시적 화자는 공동체적 삶의 양상, 타인에 대한 연민과 공감을 그려낸다. 세 번째는 그림자적 자아를 포착하는 고백적 화자이다. 고백적 화자는 내면의 고뇌를 보다 깊이 그려내기에 적합한 화자이다. 그림자적 자아를 관찰하는 시적 화자는 삶의 중층성을 묘사함으로써 쓸쓸하고 고통스러운 어조를 지니지만 성찰적 시의식을 표출한다. The utterance style of persona in Park Mok-Wal’s poetry goes along with an effort to secure poem’s width and depth. The poet reveals the depth of the poem through various and exquisite poetic personae. The features of Park ’ s poetic personae, which tend to show diverse poem worlds combined with the poetic personae ’ s perspectives, tones, and attitudes can be organized in such: First, persona with plastic eyes functions as a mediator standpoint that chooses and composes the object to be described and reveals it plasticly through an aesthetic standpoint. The persona as a mediator of gaze reveals restrained nuance through objective voice and mainly focuses on depi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bjects through aesthetic distance. Second, dramatized persona shows specific character and situation, Here the persona is placed in a specific situation as an actor and reveals a voice that corresponds to the situation. The persona in these poems portrays aspects of communal life and sympathy and pity towards others to pursue diversity and width. Third is confessing persona that seizes the shadowy self. The confessing is appropriate to more deeply illustrate the anguish of inner side. The poetic persona that observes the ideal self and shadowy self describes the layers of life to covey tones of solitude and agony but expresses introspective senses upon poetry.

      • KCI등재

        아트메이크업과 페르소나 표현의 상관성 연구

        이정명 ( Jung Myung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2 기초조형학연구 Vol.13 No.1

        메이크업은 신체 장식, 위장 수단으로 기원하여 고대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페르소나 표현 기능을 한다. 페르소나는 외계에 대면하는 인격의 가면을 뜻하므로, 사회 관계망 속 우리 삶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메이크업은 극중 인물의 페르소나뿐 아니라, 자기 이미지 연출을 목적으로 일상에서 활용되고 있는데, 있는 그대로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장식과 위장을 통해 또 다른 모습으로 자신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페르소나 표현과 상관성이 있다. 같은 맥락에서 아트메이크업과 페르소나 표현의 상관성을 전제한다면, 그 표현 양상을 다음과 같이 분석할 수 있다. 아트메이크업은 예술성이 강조되는 분야로서, 페르소나와 내면이라는 층위는 이중적, 다의적 양상의 주제로 표현된다. 성인의 강인한 페르소나는 과장적, 상징적, 공격적 양상으로, 상대적으로 억압된 이면은 혐오적 양상으로 조형적 특성을 구축한다. 한편 성인의 은밀한 동심은 어린이 페르소나로서 마술적, 타자적 양상의 조형적 특성을 보이기도 한다. 이와 같은 페르소나 표현의 관점에서 볼 때, 아트메이크업은 신체적 사실성과 원초성의 미, 퍼포먼스적 일회성과 즉각성의 미, 은폐와 표출에 의한 양면성의 미, 복제와 변형에 의한 유동성의 미가 있다. 따라서 아트메이크업의 페르소나 표현은 사람의 가면과 인격 그 자체에 대한 성찰로서 주제 및 조형적 특성 면에서 미적 가치를 생산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페르소나 표현과의 상관성을 다각도에서 조망하고 그 성과에 대한 집약 노력이 지속된다면, 아트메이크업은 조형예술로서 새로운 지평과 전망을 형성할 수 있다. Make-up, which was originated as means of body decoration and camouflage, functions as an expression of persona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day. As persona means a mask of the personality to face the outer world, it has an important meaning in our life through the social networks. Make-up is used not only as a character`s persona of the drama, but also as a purpose for self-image production in everyday life. Make-up is related to the expression of persona in regarding of not showing real self, but showing another view of self through decoration and camouflage. In the same context, if we premise the correlation between art make-up and expression of persona, we can analyze the expression aspect as follows. As art make-up is the field in emphasizing artistry, the layer of persona and inner side is expressed as the subject of dual and multiple aspects. Adult`s strong persona builds formative characteristics with exaggerated, symbolic, and attackable aspects. And relatively repressed other side builds this with abject aspects. Meanwhile, adult`s secret vulnerability is also seen i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magical and alterity aspects as the childish persona. From the point of view in these expression of persona, art make-up has beauty of bodily reality and primary, beauty of performing event and instant, beauty of two sides with veil and unveil, and beauty of liquidity with reproduction and transfiguration. Thus, expression of persona in art make-up is reflection of the people`s masks and personalities, so it can produce aesthetic value in terms of subject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In result, if we access to view in every aspects about correlation with expression of persona and continue to put in a great deal of effort in achievements, make-up can produce new domain and vision as a formative 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