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밭담은 태풍에 왜 안 무너지나?: 비직교 대칭 하중 아다마르 행렬에 의한 수학적 접근 I

        이문호,김정수,Lee, Moon-Ho,Kim, Jeong-Su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9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9 No.5

        제주의 3대 발명은 1234년 김구 판관의 밭담, 제주 사람들의 방목문화 관습에서 나온 정낭, 1406년 문방귀의 묘의 신문인 올레 등을 들 수 있다. 돌과 돌의 수 눌음에서 나온 외담인 밭담은 친족사회인 괸당을 만들었다. 30m/s 이상 불어오는 태풍에도 약 1.5m 높이인 밭담은 무너지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제주 사회의 괸당도 어떤 어려움이 닥쳐도 서로 도와 무너지지 않는다. 밭담을 쌓을 때는 밑돌인 괸돌 둘을 나란히 평면으로 붙이고 그 위에 왼쪽 윗돌로 괴고 옆에 오른쪽 윗돌을 상보적으로 붙인다. 밭담이 밑에서 위쪽으로 한 돌, 두 돌 붙여나가는데 가운데 돌은 조금 작거나 큰 비정형 돌들로 쌓으면 하나의 공간에선 평면 밭담이 된다. 괸당은 할아버지, 할머니-아버지, 어머니-나를 중심으로 가깝고, 먼 혈족이 수직관계를 나타낸다. 밭담은 밑에서 위로 쌓아가는 수직관계인 데 반하여, 괸당은 윗대 할아버지 친족에서 아랫대의 손자까지 피를 나누어가는 수평 관계다. 본 논문은 밭담 가운데 돌이 큰 돌(작은 돌)을 놓는가에 대해서 비직교 대칭 하중 Hadamard 행렬로 접근한다. The three major inventions of Jeju include the field wall of Kim Koo Pan Gwan in 1234, Jeongnang in the custom of grazing the people of Jeju, and Olleh in the tomb of Munbang-gui in 1406. Field wall, Oedam from the stone and the stone of numerical play, made Koendang, a friendship society. Even with a typhoon that is more than 30m/s, the Koendang which is about 1.5m high, will not collapse. Similarly, the main family networks of Jeju society do not collapse under any difficulties situation. When building a field wall, two stones, which are under the ground, are placed side by side, and the upper left stone is placed on top and the upper right stone is attached regularly. One stone or two stone is attach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when a stone is small or large, a flat field is formed in one space. The Family networks is close to the grandfather, grandmother, father, mother, and me, and the distant kin represents a horizontal relationship. The field wall is a vertical relationship that builds up from bottom to top of the vertical relation, while the Koendang is a horizontal relationship where blood is distributed to the grandson of his upper grandparents. This paper proves by a non-orthogonal symmetric weighted Hadamard matrix of whether the stone in the middle of a field wall has large stones (sma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