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Compliance of Electronic Bill of Lading Regulation in Korea with Model Law on Electronic Transferable Records

        Seok-Beom Choi 한국무역학회 2019 Journal of Korea trade Vol.23 No.3

        Purpose - The UNCITRAL Model Law on Electronic Transferable Records (Model Law) is based on the principles of non-discrimination against the use of electronic means, functional equivalence, and technology neutrality underpinning all UNCITRAL texts on electronic commerce. Investigating the disagreements between the Model Law and the Koran Commercial Act (KC Act), including the B/L Regulation, and suggesting the revision of the KC Act including the B/L Regulation, could be a valuable stud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tribute to the harmonization of Korean legislation regarding electronic bill of lading in compliance with the Model Law. Design/methodology - The Model Law is flexible to accommodate the use of all technologies and models, such as registries, tokens, and distributed ledgers: that is, blockchain. In 2007, the KC Act was revised to regulate electronic bills of lading to promote the widespread legal use of electronic bills of lading. In addition, The Regulation on Implementation of the Provisions of the Commercial Act Regarding Electronic Bills of Lading (the B/L Regulation) was enacted to regulate the detailed procedures in using electronic bills of lading in 2008. This paper employs a legal analysis by which this paper does find differences between two rules in light of technology neutrality and global standard of electronic bills of lading model. Findings -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i) the Korean registry agency has characteristics of a closed system. ii) The KC Act has no provision regarding control. iii) The KC Act discriminates other electronic bills of lading on the ground that it was issued or used abroad. Moreover, this study does comprehensive analysis of Korean Acts in comparison with the Model Law and,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KC Act and the Model Law by comparing article by article in view of the harmonization of the two rules. Originality/value - The subject of previous several studies was draft provisions on Electronic Transferable Records before completion of the Model Law; thus, these studies did no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character of the Model Law as the Model Law was chosen at the final stage of legislation. This study is aimed at the final version of the Model Law. So, this study is meaningful by finding the suggestion and directions for the Korean government to revise the KC Act and the B/L Regulation in line with the Model Law.

      • KCI등재

        도산 관련 재판의 승인 및 집행에 관한 2018년 UNCITRAL 모델법과 채무자회생법에의 수용 방안

        김영주(Kim, Young-Ju) 한국국제사법학회 2021 國際私法硏究 Vol.27 No.2

        2018년 7월 채택된 “도산 관련 재판의 승인 및 집행에 관한 UNCITRAL 모델법”은 UNCITRAL이 1997년 모델법을 채택한 이후 이를 보완하고 개선하기 위한 작업을 지속하여 온 결과물이다. 1997년 “국제도산에 관한 UNCITRAL 모델법”에 이어, 이 글에서의 논의 대상인 2018년 모델법 및 이후의 2019년 모델법을 합하여 국제도산에 관한 UNCITRAL 모델법 체제가 골격을 갖추게 되었다. 1997년 모델법을 변형하여 수용한 우리나라가 국제적 정합성의 관점에서 2018년 모델법의 수용 여부를 결정하고, 수용한다면 국내법에서 이를 어떻게 규율할 것인지를 검토하는 것은 필연적 과제이다. 본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점에 관하여 논하였다. (i) 2018년 모델법은 무엇보다도 도산절차개시재판 이외의 도산 관련 재판을 승인대상으로 정하여 1997년 모델법의 불명확성을 제거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ii) 2018년 모델법은 승인국 이외의 국가에서 내려진 도산 관련 재판의 승인 및 집행에 대하여 적용되며, 도산 관련 재판의 유형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iii) 도산 관련 재판에 대하여는 통상의 민사재판과는 다른 승인의 법리가 적용되는데, 청구원인 또는 쟁송의 핵심이 도산법 내지 도산법 특유의 원칙에 근거한다면 도산 관련 재판이라 볼 것이다. (iv) 2018년 모델법은 승인을 위한 적극적 요건과 소극적 요건인 승인거부사유를 규정하는데, 승인거부사유를 통해 간접관할을 제시한다. (v) 2018년 모델법의 태도가 자동승인인지 결정승인인지에 대하여 논란이 있는데, 1997년 모델법과의 균형을 고려하여 자동승인의 입장으로 보되 이와 상충되는 규정의 조화로운 해석을 도모함이 타당할 것이다. (vi) 대법원 2009마1600 결정에서는 미국법원의 회생계획인가결정이 민사소송법 제217조에 따른 승인대상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이는 도산 관련 재판이므로 채무자회생법상 지원처분에 의한 승인대상이라 할 것이며, 2018년 모델법을 수용하는 경우 재검토되어야 한다. (vii) 2018년 모델법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는 것에서 나아가, COMI를 중심으로 보편주의를 추구하는 국제도산법제의 흐름에 맞추어 채무자회생법상 국제도산편의 규정과 법개념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The UNCITRAL Model Law on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Insolvency Related Judgments, adopted in July 2018(‘the 2018 Model Law’), is a work for UNCITRAL to supplement and improve the Model Law on Cross-Border Insolvency. It is an inevitable task to review how to regulate it in the domestic law, if the Republic of Korea, which accepted the 1997 Model Law on Cross-Border Insolvency, decides whether to accept the 2018 Model Law from the viewpoint of international coherence. The 2018 Model Law is valuable, among other things, in that it removed the ambiguity of the 1997 Model Law by making the decision commencing the insolvency proceeding. The 2018 Model Law applies to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insolvency-related judgments in countries other than ones that accept it, recognizing countries, and specifies the types of insolvency-related judgment. The insolvency-related judgment is governed by a jurisprudence of recognition different from a general civil trial. Therefore, if the cause of the claim or the core of the dispute is based on the insolvency law or principles specific of the insolvency law, it will be regarded as an insolvency-related judgment. There is controversy over whether the legal nature of recognition under the 2018 Model Law is automatic or decisive recognition, it would be appropriate to consider it the former, but to harmoniously interpret regulations that conflict with this. The Supreme Court 2009Ma1600 decision ruled that the US Bankruptcy Court’s decision to authorize the rehabilitation plan was subject to recognition under the Article 217 of the Civil Procedure Act. However, since this is an insolvency-related judgment, it will be subject to the relief under the Debtor Rehabilitation and Bankruptcy Act(‘the DRBA’), and if the 2018 Model Law is accepted, it should be reviewed. It is necessary not only to review the main content of the 2018 Model Law but also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cross-border insolvency provisions and legal concepts under the DRBA in line with the flow of the Universalism centered on COMI.

      • KCI등재

        UNCITRAL 전자양도성기록모델법에 관한 고찰 - 내용 분석 및 전자선하증권법제와 비교를 중심으로 -

        정완용 한국해법학회 2023 韓國海法學會誌 Vol.45 No.1

        With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the need to use electronic forms for securities, including bills of lading, used in international trade transactions has been raised,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the International Maritime Federation (CMI) have enacted the electronic bill of lading system from an early age. Attempts have been made to implement this. Korea introduced the electronic bill of lading system through the revision of the commercial law in 2007, and although this electronic bill of lading system was very advanced as a global legislative example, there were limitations in that it could not be applied in line with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 and practice of maritime transportation. It was a very underutilized situation. In general, transferable document or instrument are an essential means of commercial transactions. Using transfer instruments in electronic form can greatly contribute to the efficiency of electronic transactions in the fields of international trade. Electronic transferable records are particularly important in the fields of transportation, logistics, and finance (fintech), and in the case of developing countries, farmers can utilize them in related markets by using electronic warehouse securities. Moreover, electronic transferable records are a fundamental component of a paperless trading environment, and they can make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achieving trade efficiencies. UNCITRAL, which has been striving to unify the International Trade Act, prepared the International Electronic Contract Convention in 2005 and promoted legislative work on electronic transferable records, and in 2017, “Model Law on Electronic Transferable Record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Model Law’) was enacted. The model law prepared by UNCITRAL is a law applied to electronically issuing and distributing securities such as bills of lading, warehouse bills, bills and checks as traditional securities. In the field of trade, trade-related documents and securities essential for digital trade transactions It provides a model for electronic implementation and use by electronically implementing it. Recen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number of issuance cases of electronic bills of lading using blockchain is increasing, and at the G7 Digital and Technology Ministerial Meeting held in April 2021, it was decided to prepare a legal system related to electronic transferable records based on the UNCITRAL Model Law on Electronic Transferable Records. And the meeting agreed to establish an international cooperation framework for that matter. In fact, in the case of Singapore, the e-commerce law was amended and the above model law was accepted as domestic law. In addition, it is known that review work for acceptance of this model law is in progress in Japan as well. This article analyzes the contents and purpose of each article of the Model law, and in particular, compares and reviews Korea’s electronic bill of lading and electronic bill of lading system to provide basic research data if Korea accepts the Model law and promotes domestic legislation in the future. . Through this paper, if the domestic legal system is reorganized by applying the model law on electronic transferable records, Korea’s digital trade will be promoted, and Korea will be able to participate in the global unified legal system. IT 기술의 발달과 함께 국제무역거래에서 사용되는 선하증권을 비롯한 유가증권에 대하여서도 전자적 형태로 사용할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국제해법회(CMI)와 같은 국제기구에서는 일찍부터 전자선하증권제도가 법제화되고 이를 시행하는 시도가 있었다. 우리나라는 2007년 상법 개정을 통하여 전자선하증권제도를 도입하였고, 이러한 전자선하증권제도는 세계적인 입법례로도 매우 앞선 것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해상운송의 국제적 환경과 실무에 발맞추어 적용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어서 그 활용도가 매우 낮은 실정이었다. 일반적으로 양도증권은 상사거래의 본질적 수단이다. 양도증서를 전자적 형식으로 이용하는 것은 전자거래를 효율화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전자양도성기록은 특히 운송, 물류, 금융(핀테크) 분야에서 중요하며, 발전도상 국가들의 경우에는 농부들이 전자창고증권을 이용함으로써 관련 시장에서 이를 활용할 수 있다. 더구나 전자양도성기록은 종이 없는 무역환경의 기본적 구성요소이며, 이는 무역 효율화를 달성하는데 중요한 기여할 수 있다. 국제상거래법의 통일화를 위하여 노력해 온 UNCITRAL은 2005년 국제전자계약협약을 마련한 후 전자적인 양도성 기록에 관한 입법작업을 추진하여 2017년 “전자양도성기록에 관한 모델법”(이하 ‘모델법’이라 한다)을 제정하였다. UNCITRAL이 마련한 모델법은 종래의 전통적인 유가증권으로서 선하증권, 창고증권, 어음 및 수표 등의 유가증권을 전자화하여 발행하고 유통하는데 적용하기 위한 법으로써 무역 분야에서는 디지털 무역거래에 필수적인 무역 관련 서류와 증권을 전자화하여 전자적으로 구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모범을 제공한다. 최근에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자선하증권의 발행사례가 늘고 있고 2021.4. 개최된 G7 디지털․기술 장관 회의에서는 전자양도성기록모델법을 토대로 하여 전자양도성기록 관련 법체계 마련을 위한 국제 협력 프레임워크를 구축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실제 싱가포르의 경우 전자상거래법을 개정하여 위 모델법을 국내법으로 수용하였다. 또한, 일본도 이 모델법의 수용을 위한 검토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글은 모델법의 개별 조문의 내용과 취지를 분석하고, 특히 우리나라 전자선하증권과 전자화물상환증제도와 비교 검토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가 모델법을 수용하여 국내 입법을 추진할 경우 기초 연구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논문을 통하여 전자양도성기록에 관한 모델법을 적용하여 국내 법제를 정비하게 되면 우리나라의 디지털 무역거래가 촉진되고, 우리나라가 이에 관한 세계적인 통일 법제의 흐름에 동참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제2세대 프라이버시보호법으로서의 개인정보보호법에 대한 이해

        이인호 사법발전재단 2009 사법 Vol.1 No.8

        The privacy law should strike a balance between the value of preservation of private domain and the need of social circulation of private affairs. This balancing process is very interesting one in which new legal apparatus is developed and applied to meet a challenge of changed circumstances and to restore the broken equilibrium. The article is intended to elucidate and solve the problem of how to treat data subject's consent in the data protection law. How much control should data subject retain in the course of processing his personal information by other entities. The idea that a citizen's private domain should be protected had not arisen until the end of the 18th century. In the latter half of 19th century, that idea had gradually emerged. The right to privacy was the result of accepting the value of private domain. From that time down to 1970s, the first generation of privacy law had directly prohibited unwarranted access, disclosure or divulgence of some legally valuable private information of data subject. At that time, the legal approach of privacy law was the model of seclusion. The approach was a passive one that protected a person's private domain from outer intrusion or public disclosure. But this approach had struck a balance between the value of privacy and the need of social circulation of private affairs. The emergence of computer and digital technology in 1960s had begun to break the equilibrium. Having started to record and process personal information in digital code, new threats to personal privacy had emerged. The new situation is now that my genuine personality could be defined by a digital personality which someone had collected and recorded. Someone who has my digital personality would make a decision about me based on the collected data related to me. Therefore, I could be suffered by wrong and old information which he has and uses. This problem was the same in the manual filing system. But the digital information technologies have lifted the limits of manual filing system. Some data controllers maybe know about me much more than I know myself. The second generation of privacy law, data protection law, has emerged in order to respond this new challenges. The new threats to privacy are very different from former threats in terms of their contents and nature. The legal response must be different. The approach and method of data protection law is the so-called model of participation. The model is that the data subject shall participate in the processing of digital information by data controller. It can play an important role of anti-surveillance. This model does not prohibit any collection, use or discl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It does not provide the data subject with a full authority of consent concerning the data controller's processing of personal information. The article emphasizes that the seclusion model and participation model should be distinguished and the data protection law should not be understood as a form of seclusion model. 프라이버시보호법은 개인의 사적 영역의 보호의 가치와, 서로 간에 교류해야 하는 사회적 커뮤니케이션의 필요성을 조화롭게 조정해내어야 한다. 이러한 조정의 과정은 이익의 균형을 깨뜨리는 새로운 상황변화에 대응하여 균형을 복원시키기 위한 새로운 법적 수단의 개발과 적용이라는 흥미로운 과정이다. 이 글은 제2세대 프라이버시보호법인 개인정보보호법에서 정보주체의 동의를 어떻게 위치지울 것인가 하는 문제를 해명하기 위한 것이다. 정보주체는 타인의 개인정보처리에 어느 정도의 통제권을 가지는 것이 합리적인가? 18세기까지 사적 영역을 법적으로 보호해야 한다는 관념은 형성되지 않았다. 이때까지만 해도 프라이버시의 이익은 법적으로 승인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19세기 후반 미국에서 신문산업이 활성화되고 일부 황색신문(yellow journalism)이 유명인의 사생활을 들추어내어 그 정보를 상업적으로 악용하는 새로운 상황이 발생하면서 그에 대응하여 사생활보호의 관념이 형성되고 그러한 보호의 가치를 법적으로 승인한 결과가 프라이버시권(right to privacy)이었다. 이후 1970년대까지 제1세대 프라이버시보호법은 “보호할 가치 있는” 개인의 사적 정보(private information)나 비밀정보(confidential information)에 “부당하게” 접근(access)하거나 혹은 그것을 “부당하게” 공표(public disclosure) 또는 누설(divulge)하는 행위를 형사적 또는 민사적 제재로써 “직접” 금지하여 왔다. 이 시기의 법적인 보호방식은 “은둔 모델”(seclusion model)이었다. 개인의 사적 영역을 외부의 침입이나 외부에의 공표로부터 소극적으로 보존하는 방식이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생활보호의 이익과 사회적 커뮤니케이션의 필요성은 균형 있게 조정될 수 있었다. 그러나 1960년대에 시작된 컴퓨터와 디지털정보기술은 이러한 균형을 깨기 시작하였다. 개인에 관한 정보가 디지털로 기록되기 시작하면서 사생활보호의 가치에 대한 새로운 위협이 등장하였다. 디지털정보기술에 힘입어 누군가에 의해서 광범위하게 기록되는 나의 디지털인격은 나의 실존인격과 분리된 채 그 기록된 인격이 나의 진짜 인격을 규정하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나의 디지털인격을 가진 자는 그 기록된 인격을 보고 나에 관한 판단과 결정을 내리게 되었다. 때문에 틀리거나 낡은 개인정보는 나의 실존인격에 치명적인 피해를 줄 수도 있다. 사실 이 점에서는 종래 개인에 관한 수기파일도 동일한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그러나 그 위험성이란 수기파일의 기술적 한계에 의해 매우 제한적이었다. 그런데 디지털기술은 수기파일의 기술적 한계를 없애버렸다. 무한대로 기록ㆍ축적할 뿐만 아니라 그 데이터들을 가공하여 나에 관한 또 다른 새로운 정보를 생산해낼 수 있게 되었다. 어쩌면 내가 나를 아는 것보다 나에 관해 더 많은 것을 알지도 모른다. 제2세대 프라이버시보호법인 개인정보보호법은 이러한 새로운 위협에 대응하기 위하여 생겨났다. 그 위험의 내용과 성격이 다른 만큼 그 대응방식도 다르게 나타난다. 개인정보보호법의 대응방식은 “참여 모델”(participation model)이다. 개인정보처리의 과정에 당해 정보주체를 참여시키는 방식이다. 그리하여 감시에 대한 역감시의 기능을 수행하게 한다. 이 참여방식은 개인정보의 처리(=수집ㆍ가공ㆍ이용ㆍ제공) 자체를 무단히 금지시키는 것은 아니다. 물론 부분적인 처리의 금지는 필요한 경...

      • KCI등재

        양도가능 전자기록에 관한 UNCITRAL모델법과 한국법에 대한 시사점

        임병하,최석범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18 전자무역연구 Vol.16 No.4

        Purpose: It is timely to examine whether existing Korean laws embrace the requirements of the model law prior to enacting relevant laws based on the Model Law.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contents of the Model Law on Electronic Transferable Records, examines whether it could be accepted in the existing Korean law, and contributes to the amendment of relevant laws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Model Law in the future. Composition/Logic: This paper is composed of five chapters. Chapter I describes the background of the research and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s an introduction. Chapter 2 explains the previous research and the process in enacting the Model Law. Chapter 3 evaluates the contents of the UNCITRAL Model Law on Electronic Transferable Records. Chapter 4 provides key implications of the Model Law. Chapter 5 concludes this paper. Findings: First, as a legal basis for the introduction of electronic bill of landing, Model Law on Electronic Transferable Records is prepared, which will be a turning point for spreading e-Trade. In addition, the Model Law stipulates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of foreign electronic transferable records. In Korea, according to the Issuance and Distribution of Electronic Bills Act, the Electronic Financial Transactions Act, and the Commercial Act, the electronic bill, the electronic bond, and the electronic bill of lading should be registered. Therefore, those issued in a foreign country can not be recognized as legally valid. Originality/Value: All of the previous studies have been focused on the drafts before the completion of the Model Law in 2018. Since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current Model Law and existing drafts, this paper is different in that there are few articles that study the current Model Law. Also, In this study, the implications for the Issuance and Distribution of Electronic Bills Act, the Electronic Financial Transactions Act, and the Commercial Act regarding the introduction of the electronic transferable records are derived.

      • KCI등재

        중재법의 개정방향 -국제상사중재의 측면을 중심으로-

        石光現 ( Kwang Hyun Suk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서울대학교 法學 Vol.53 No.3

        한국의 현행 중재법은 UN국제거래법위원회(UNCITRAL)가 1985년 채택한 "국제 상사중재에 관한 모델법"(Model Law on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이하"모델법"이라 한다)을 전면 수용한 것이다. 그 결과 우리나라도 국제적으로 검증된 보편성이 있는 중재법을 가지게 되었다. 그런데 주지하는 바와 같이 UN국제거래법 위원회는 2006년 모델법을 개정하였다. 개정 모델법의 중요한 두 가지 착안점은 첫째, 중재합의의 방식에 관한 것이고, 둘째, 중재판정부의 임시적 처분과 사전명령에 관한 것이다. 중재합의에 관한 모델법의 문언은 1958년 뉴욕협약 제2조 제2항을 기초로 한 것이다. 제7조의 개정은 국제거래에서 진화하는 실무와 기술적 발전을 반영하기 위한것이다. 임시적 처분에 관하여는 개정 모델법은 별도의 장(제IV장A)을 신설하였다. 임시적 처분에 관한 제17조의 개정은 임시적 처분이 국제상사중재의 실무에서 점차널리 이용되고 있다는 사실을 반영하기 필요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개정 모델법은 또한 임시적 처분의 집행 체제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는 임시적 처분의 집행가능성이 자주 중재의 실효성에 의해 좌우됨을 고려한 것이다. 중재법 제35조 제2항에 규정된 중재판정의 승인 및 집행판결을 위하여 제출할 서류요건도 개정 모델법에 의하여 완화되었는데 이는 중재합의에 관한 제7조의 개정을 반영한 것이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저자는 한국의 입법자들이 장래 고려할 개정의 착안점으로 아래 사항들을 제시한다. ① 중재합의의 방식, ② 중재판정부의 임시적 처분과 사전명령, ③ 중재 판정의 승인 및 집행을 위한 서류요건, ④ 중재판정의 승인과 집행가능선언(또는 집행허가)요건의 완화, 즉 집행판결 제도의 완화, ⑤ 중재가능성, ⑥ 분쟁의 실체의 준거법, ⑦ 중재판정의 취소의 소와 배제합의, ⑧ 국제상사중재에서 소비자의 보호, ⑨ 대한상사중재원의 지위와 권한과 ⑩ 기타 논점들(법원의 전문성 보장과 관할, 중재대리, 중재의 비밀보장, 중재비용, 중재판정 원본의 보관, 이자 지급, 집행권원의 보충 등)이 그것이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한국 중재실무가들이 중재법학의 발전에도 좀더 적극적 역할을 해주기를 당부한다. The current Korean Arbitration Act ("KAA") has been modelled on the "Model Law on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Model Law") adopted by the United Nations Commission on International Trade Law (UNCITRAL) in 1985. Therefore, one could say that Korea has succeeded in introducing well-organized arbitration law. As is widely known, the Model Law has been revised by the UNCITRAL in 2006. The principal contents of the revised Model Law ("Revised Model Law") adopted in 2006 relate to the form of the arbitration agreement and to interim measures. The text of the provision on the form of the arbitration agreement in Article 7 of the Model Law was modelled on Article II (2) of the New York Convention of 1958. The revision of Article 7 is intended to reflect the practice in international trade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s. As to the interim measures, the Revised Model Law has introduced a new chapter on interim measures and preliminary orders (chapter IVA). The revision of Article 17 on interim measures was considered necessary in light of the fact that interim measures are increasingly relied upon in the practice of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The Revised Model Law also includes an enforcement regime for interim measures considering that the effectiveness of arbitration often depends on whether interim measures could actually been forced. The document requirements under Article 35(2) were also amended in 2006 to liberalize formal requirements and reflect the amendment made to Article 7 on the form of the arbitration agreement. Against the foregoing background, the author suggests that Korean legislators consider the following points for amendment in the future : ① form of arbitration agreement; ② interim measures and preliminary order; ③ documents necessary for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foreign arbitral award; ④ requirements for the enforcement of arbitral award, especially the enforcement judgment (exequatur); ⑤ arbitrability; ⑥ law applicable to the substance of the dispute; ⑦ challenge of arbitral award and the validity of exclusion agreement under the Korean Arbitration Act; ⑧ consumer protection in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⑨ status of the Korean Commercial Arbitration Board; and ⑩ other issues such as enhancement of expertise of Korean courts involved in arbitration and confidentiality and costs of arbitration. Finally, the author urges Korean lawyers who play important roles in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to make greater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doctrine of arbitration.

      • KCI등재

        IRJ 모델법과 외국도산절차에서 내려진 면책재판의 승인-대법원 2009마1600 결정 및 그에 따른 하급심 실무동향을 중심으로-

        김영석 국제거래법학회 2022 國際去來法硏究 Vol.31 No.1

        UNCITRAL이 1997년에 성안한 국제도산에 관한 모델법(CBI 모델법)은 외국도산절차를승인하고 이를 지원하는 현행 국제도산실무를 확립하였으나, 승인대상으로 정의된 외국도산절차(foreign proceedings)가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 승인국법원이 구제조치(relief)의발령으로 지원할 수 있는 범위가 어디까지인지에 관하여 UNCITRAL이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아, CBI 모델법의 적용범위를 둘러싸고 주요 국가들의 실무충돌이 발생하였다. 이는 CBI 모델법의 적용범위를 넓게 적용하려는 미국과 Gibbs Rule, Dicey Rule과 같은전통적인 법리에 기초하여 CBI 모델법의 적용범위를 제한하려는 영국의 입장으로 대별되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UNCITRAL은 2018년에 도산관련재판의 승인 및 집행에 관한 모델법(IRJ 모델법)을 새로 성안하였다. EU도산규정의 방식을 참조하여 도산절차를 구성하는개별재판에 관한 승인ㆍ집행 체계를 구축하면서 도산관련재판(Insolvency-Related Judgments) 이 폭넓게 승인ㆍ집행될 수 있는 체계를 확립한 것이다. 한편, UNCITRAL은 IRJ 모델법을 성안하면서 그 입법배경으로 대법원 2010. 3. 25.자2009마1600 결정을 Rubin 판결과 함께 CBI 모델법의 적용범위를 제한하여 국제도산실무의충돌을 야기한 판결로 지적하고 있으므로 우리나라도 이와 같은 실무의 충돌에서 자유롭지못하다. 더 큰 문제는 우리나라 하급심들이 위 대법원 결정의 취지를 한 걸음 더 오해하고있다는 점이다. 위 대법원 2009마1600 결정은 비판의 여지는 있지만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기 전 구 회사정리법에 따른 속지주의를 신뢰하던 당사자의 기대를보호할 수밖에 없는 예외적 사정이 있었으므로 구체적 타당성의 측면에서 그 결론을 수긍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하급심들은 대법원이 위 결정을 통해 마치 외국도산절차에서 내려진 면책재판의 승인에 소극적인 입장을 취하여야 한다는 선언을 한 것으로 오해하고, 채무자회생법이 표방하는 보편주의(普遍主義, Universalism)에 반하는 실무례를 형성하고있다. 이는 구 회사정리법 등이 취했던 속지주의(屬地主義, Territorialism)로 다시 회귀하고자하는 것에 다름 아니어서 그 변화가 절실히 필요하다. 궁극적으로는 IRJ 모델법을 받아들여 채무자회생법을 개정함으로써 그동안 CBI 모델법하에서 불분명하게 운영해왔던 실무를 개선하는 것이 가장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것이다. 향후 IRJ 모델법의 도입 및 이에 따른 CBI 모델법과의 조화로운 운영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The UNCITRAL adopted the CBI Model Law in 1997 and established the current Cross-Border Insolvency Practice, but the CBI Model Law did not express a clear position on what foreign proceedings mean and how far relief can cover, which caused conflicts of practice over the scope of CBI Model Law. The U.S. interpreted the scope very widely whereas the U.K. took a narrow stance in applying the CBI Model Law based on traditional laws such as Gibbs Rule and Dicey Rule. The UNCITRAL resolved this problem by newly enacting the IRJ Model Law in 2018, which established a smooth procedure for the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Insolvency-Related Judgments constituting a foreign proceeding instead of the proceeding itself. Meanwhile the UNCITRAL pointed out the 2009-Ma-1600 decision rendered by the Supreme Court of Korea as against the Universalism and goal of Cross-Border Insolvency, along with the Rubin Case. The bigger problem is that lower courts in South Korea have misunderstood the meaning of the Supreme Court decision one more step further. Although the 2009-Ma-1600 decision above is open to criticism, it is possible to accept and understand the conclusion, considering the necessity to protect the expectation of the debtor who trusted the Territorialism under the former Law. However, the lower courts misunderstood that the Supreme Court of Korea declared that a passive stance should be taken on the recognition of discharge order rendered in foreign bankruptcy proceedings, which has formed a practice trend against the Universalism. This is obvious return to the Territorialism, thus the change is desperately needed. Eventually the most fundamental solution would be to accept the IRJ Model Act and revise the Debtor Rehabilitation and Bankruptcy Act (DRBA) to improve the practice that has been unclear under the CBI Model Law. In the future, it is also necessary to operate the IRJ Model Law in harmony with the C BI model Law.

      • KCI등재

        우리나라의 CBI 모델법 실무 및 그 개선방안 - 서울회생법원의 국제도산실무를 포함하여 -

        김영석(Kim, Young-Seok) 한국국제사법학회 2021 國際私法硏究 Vol.27 No.2

        우리나라가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채무자회생법)을 제정하면서 제5편(국제도산)을 신설한 지 벌써 십 수 년이 지났다. 위와 같이 신설된 채무자회생법 제5편은 UNCITRAL에서 성안한 국제도산에 관한 모델법(Model Law on Cross-Border Insolvency, CBI 모델법)을 받아들인 것인데, 물론 그 도입과정에서 완전히 그 내용이 흡수된 것은 아니어서 다소 국제적인 기준과 상이한 측면이 있지만, 그동안 우리나라의 도산법원은 실무의 운영을 통하여 그와 같은 간극을 메우려고 노력하여 왔다. 그와 같은 과정에서 서울회생법원은 2006. 4.부터 2021. 11. 현재까지 약 28개의 외국도산절차의 승인 내지 지원 사건을 안정적으로 처리하여 오면서, 많은 외국채무자 내지 이해관계인들의 신뢰를 받았다. 특히, 그중에서도 2014국지1(강민식/강만순), 2016국지100001호(리만브러더스 인터내셔널유럽)에서는 미국의 버지니아동부파산법원(U.S. Bankruptcy Court for the Eastern District of Virginia), 영국법원(High Court)과의 공조를 통해 외국채무자의 효율적인 재건을 지원하면서도 국내채권자들에 대한 보호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국제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은 대규모 금융기관 도산사건(리만브러더스)에서도 대한민국이 안정적으로 국제도산실무를 운영하고 있다는 점을 전 세계에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고 생각된다. 다만, 대한민국의 경제가 아직까지는 미국, 영국과 같은 정도의 규모에 이르는 것은 아니어서 현재까지는 우리나라의 국제도산실무가 채무자 보유국내자산의 환가·처분·송금 등의 업무에 국한되고 있기는 하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리 스스로 보다 다양하고 탄력적인 내용의 지원 결정을 꾀할 필요가 있고, 채무자회생법 제636조 제1항 제5호를 통해 다양한 지원결정을 시도해보는 것은 국제도산의 질적 성장에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CBI 모델법을 채택하고 있는 국가는 점점 늘어가고 있고, 영국의 브렉시트로 인하여 앞으로 CBI 모델법의 역할과 기능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때에 안정적이고도 창의적인 국제도산실무의 운영을 통해 서울회생법원을 포함한 우리나라 법원이 전 세계적으로 신뢰받는 도산법원이 되기를 희망한다. CBI 모델법을 둘러싼 실무에서 UNCITRAL이 2018. 7. 새롭게 성안한 도산관련재판에 관한 모델법(Model Law on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Insolvency-Related Judgments, IRJ 모델법)을 조기에 채택하여 양 모델법 간의 조화로운 운영을 선도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Decades have already passed since Korea enacted the Debtor Rehabilitation and Bankruptcy Act (DRBA) and newly established Chapter 5(Cross-Border Insolvency). The Chapter 5, newly established as above, accepted the Model Law on Cross-Border Insolvency(CBI Model Law) promulgated by UNCITRAL partly and imperfectly, but the Korean courts have tried to fill the gap through practices. Through such efforts, the Seoul Bankruptcy Court has stably handled about 28 cases of recognition or relief for foreign proceedings from April 2006 to November 2021, and has been trusted by many foreign debtors and stake-holders. In particular, in re Kang Min-sik/Kang Man-soon and in re Lehman Brothers International Europe, Seoul Bankruptcy Court cooperated with the U.S. Bankruptcy Court for the Eastern District of Virginia and the High Court (U.K.) to efficiently support foreign proceedings. I think it was a good opportunity to inform the world that the Republic of Korea is stably operating Cross-Border Insolvency practices even in a very large-scale financial institution case, which drew much attention internationally. However, the economy of the Republic of Korea has not yet reached the same size as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so far, so Cross-Border insolvency practices have been limited to reliefs such as sales, disposal, and remittance of assets to the foreign country. In order to resolve this problem, we need to make our own relief more diverse and flexible, through the Article 636(1)5 of the DRBA. Currently, more and more countries are adopting the CBI Model Law, and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CBI Model Law are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due to increasing global economy as well as Brexit in the UK. At this time, I hope that Korean courts, including the Seoul Bankruptcy Court, will become a globally trusted bankruptcy court through stable and creative operation of Cross-Border Insolvency Practice. It would also be a good idea to adopt and accept the Model Law on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Insolvency-Related Judgments (IRJ Model Law), newly promulgated by UNCITRAL on July 2018. I look forward to the introduction of the IRJ Model Law as soon as possible and harmonious practice of the two Model Laws.

      • KCI등재

        법률 모델의 유형적 분류에 관한 새로운 접근

        이경선 한국입법학회 2018 입법학연구 Vol.15 No.1

        대한민국의 국법체계는 법률-시행령-시행규칙-행정규칙과 자치법규 구조로 구축되어 있다. 법령과 더불어 행정규칙과 자치법규까지 합하면 12만 건이 넘는 국법체계가 형성되어 있다. 국회에서 제정된 ‘법률’만 놓고 보더라도 1,420여 건에 이른다. 그런데, 행정규칙, 자치법규를 비롯하여 하위법령은 물론이고, 법률들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일정한 유형의 묶음으로 분류하는 것이 가능하다. 법률 마다 고유의 입법 취지를 갖는 것이지만, 입법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법제실무적 접근 방식이 유사하기 때문에 이와 같이 법률 모델의 유형적 분류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모델 유형이 같은 법률은 응당 법률 내부의 조문 설계 구조와 일정한 문안의 내용적 측면도 유사성을 갖는다. 입법 취지도 천차만별이고 국법체계도 매우 복잡다단하지만, 이를 일정한 차별성 내지 비중도에 따라 나누어 보면, 대략 23종 내외의 법률 모델을 우선적으로 추출해 볼 수 있다. 법률 모델이 일정한 유형·패턴·그룹으로 분류된다는 것은 몇 가지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첫째로, 아무리 복잡다단한 세상사라 할지라도, 법제화 단계에서는 일정한 패턴의 법제적 설계도 내에서 취급될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로, 복잡한 세상사에 대한 좀 더 다양한 법제적 접근이 필요한데도, 법제화에 대한 우리의 인식 구조가 일정한 한계나 틀에 갇혀있다는 뜻일 수 있다. 셋째로, 법률 모델의 유형적 분류화는 입법화 초기단계에서 참고기준으로 삼고 있는 법령입안기준을 너무 맹목적·무비판적으로 답습해 온 결과일 수 있다. 넷째로, 앞서 만들어진 입법례를 긍정적으로 참고한 것일 수도 있겠으나, 이는 동시에, 앞서 만들어진 입법례의 틀과 선례주의에 구속되는 경향도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또한 별다른 법제 창작 노력 없이 입법실적주의에 천착한 나머지 입법례를 매우 의도적으로 표절한 관행의 결과일 수도 있는 것이다. 개헌과 함께 국법체계 전반에 걸친 대대적인 정비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현행 법률의 유형화는 여러모로 유용한 활용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 글을 시작으로 법률 모델 분류 체계에 대한 논의가 확대되기를 기대해 본다. The national law system in Korea is composed of laws, regulations, enforcement rules, administrative rules, and local laws. The number of administrative rules and local regulations, including Acts, is more than 120,000. Even considering the laws established by the National Assembly, there are about 1,420 acts. However, if you look closely into the administrative rules, local laws, and laws, as well as subordinate statutes, you can classify them into certain types. Although laws have their own legislative intent, it is thus possible to classify the model of law because of their similar legislative practical approaches to achieve legislative purposes. If the models of law are similar, the design structure of articles within the law is similar. Although legislative purposes vary widely and the legal system is very complicated, it can be classified into approximately 23 different models of law divided by a certain standard. The classification of legal model types enables several interpretations. First, even if the world is involved in complicated matters, they can be treated with a certain pattern during the legalization stage. Secondly, even though a more diverse legal approach to the complicated world is needed, the recognition structure of the legalization of the law remains at a certain limit. Third, the systematic classification of legal models may result from an uncritical adherence to the legal drafting standards that are being adopted as reference criteria in the legislating stage. Fourth, you can also see the positive references to the rules that we created earlier, at the same time, they are likely to be bound by examples of the rules set up earlier. Also, the practice of copying examples of the rules without any effort can be problematic. Amid the growing need for extensive modification of the legal system, starting with this article, studies on the classification of current laws should be conducted more closely.

      • KCI등재

        인터넷 거래와 실체법 규범 - 유엔 통일매매법의 가능성 : 인터넷 거래와 실체법 규범

        고세일(Se-il Ko) 한국비교사법학회 2007 比較私法 Vol.14 No.4

        The Internet has changed people’s everyday life in many ways. The largest network in the world has influenced every aspect of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systems. Additionally the Internet has affected people’s patterns of buying and selling goods. With new developments in technology, the use of Internet Commerce has been more convenient and online commerce has provided virtual environments in which a buyer may experience buying in a manner similar to an offline shop. Thus the Internet Commerce market has increased astronomically year after year. However, considering the speed of the technology developments, Internet Commerce laws are still in their early stages. In this article, this author defines Internet Commerce and shows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et Commerce. Additionally this author explains current Internet Commerce laws, while mentioning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m. Most current Internet Commerce laws, including the UNCITRAL model law on electronic commerce or the European Union’s Electronic Commerce Directive, have only concentrated on technical and procedural aspects of Internet Commerce. However, for better regulation of the growing Internet Commerce, this author has considered that a substantial uniform law for Internet Commerce, especially in international transactions area, may be possible and also necessary. Thus, this author explains the necessity of a substantive Internet Commerce Model Law. While considering substantive norms, this author chooses the CISG as a starting point for an Internet Commerce Model Law as a substantive part of the Internet Commerce Model Law. Consequently this author uses the concept of “mixture of the CISG and the UNCITAL Model Law” for the Internet Commerce Model Law. Further his author proposes the Internet Commerce Model Law as a Modem or Digital Lex Mercatoria for regulation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online transa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