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자정부와 지식행정

        최승원 한국공법학회 2015 공법연구 Vol.43 No.3

        정보통신 분야에서의 컨버전스는 융복합콘텐츠와 연동서비스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IT 영역에서 컨버전스란 HardwareㆍSoftwareㆍNetworkㆍContent & Service Convergence를 말한다. 이는 5A 즉, anytime, anywhere, anyone 그리고 any platform, any device를 구현하기 위한 핵심이기도 하다. 하드웨어 컨버전스란 데이터가 하드웨어에 종속되어서는 아니 된다는 의미이다. 즉, Any Device를 구현할 수 있어야 한다. 어떤 기기든 상관없이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고, 나아가 기기간에도 데이터가 연동되어야 한다. 소프트웨어 컨버전스란 데이터나 콘텐츠가 가능한 한 소프트웨어에 종속되어서는 아니 된다는 의미이다. 특정 소프트웨어가 하드웨어나 네트워크에 종속되거나 소프트웨어간 호환이 되지 않으면 컨버전스에 장애가 되며, 독점 배타적 플랫폼이나 비표준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종속 어플리케이션은 컨버전스 컨셉과 충돌하게 된다. 네트워크 컨버전스란 데이터 뿐 아니라 가능한 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네트워크에 종속시켜서는 아니 된다는 의미도 포함한다. IT 컨버전스의 궁극적인 지향점은 콘텐츠와 서비스 컨버전스이다. 위치정보나 자동차 운행정보와 식당이나 주변 관광정보를 연동시켜 준다든가, 여행지의 날씨나 기상정보를 연동시켜 준다든가 등을 위해서는 콘텐츠간 융복합, 콘텐츠와 서비스간 결합 즉, 융ㆍ복합콘텐츠와 연동서비스가 필요하며, 이러한 컨버전스 환경이 전제되어야 한다. 따라서 개방ㆍ공유 정보일수록 특정 디바이스나 소프트웨어에 종속됨이 없이 제공되어야 하는데, 그러려면 비표준을 버리고 표준을 준수하여야 하고, 어플리케이션보다는 웹을 지향하여야 한다. 컨버전스 혁명을 감안하면 오늘날의 전자정부는 온오프라인 융복합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Paperless가 가야할 미래방향인 것은 분명하고, 문제는 G4C 대국민서비스이다. G4C의 핵심은 수요자 중심의 공공정보 제공 및 민간활용과 다양한 융복합 Paperless Service이다. 개방ㆍ공유ㆍ참여 내지 소통ㆍ협력이라는 정부3.0을 모토로 컨버전스 인프라가 제대로 갖추어진 상태에서, 행정서비스를 전자정부가 부처간 수직적 칸막이가 아닌 수평적 분업과 협업시스템에 의하여 실효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야 하고, 이를 통해 PC와 Mobile 환경에서 융복합 콘텐츠와 서비스를 잘 구현해갈 수 있다. 지식기반사회에서 행정지식과 경험 및 노하우를 관리하는 행정체계로 전면적인 개혁을 하여야 하는데, 지식행정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 유념하여야 할 몇 가지가 있다. 첫째, 지식관리(Knowledge Management) 즉, 데이터관리를 하여야 한다. 둘째, 표준화가 중요하다. 우리 사회 전반이 직면하고 있는 현안과제이기도 하다. 표준화는 이종시스템간의 호환연동에 필수적이다. 셋째, PC와 Mobile 동시 구현 내지 Mobile로 이행해가려면 다양한 HW SW 환경을 감안하여 특히 OSMD 즉, One Source Multi Device 컨셉으로 데이터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 넷째, 그러려면 앱보다는 웹을 지향하여야 한다. 다섯째, 고퀄리티 지식검색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데이터 관리에 있어서 정형화ㆍ구조화ㆍ유형적 세분화를 지속ㆍ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지식의 생애주기 전 프로세스를 통하여 평가나 결과들을 선순환시켜 갈 수 있는 환류시스템을 포함하여야 한다. 여섯째, 웹기반 지식관리에는 정형과 비정형을 다 담을 수 있는 웹문서가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하게 된다. 이... Convergence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field, can be a means linked Services and ConvergentㆍIntegrative content. The convergence in the IT field refers to the HardwareㆍSoftwareㆍNetworkㆍof Content & Service Convergence. This is 5A that is, anytime, anywhere, anyone and any platform, even in the core for implementing any device. The Convergence of hardware, data is a sense that not depending on the hardware. Some regardless in equipment, data can be utilized, the data must be synchronized between the devices further. In other words, it must be able to implement Any Device. The Sofware Convergence, data and contents is a sense that not depending on the hardware. Network Convergence, the data and possible hardware and software to not depend on the network also includes the sense that should not be. Final-oriented point of IT convergence is a convergence of content and services. ConvergentㆍIntegrative between the content, the bond between the content and services, ie, linked services and convergentㆍIntegrative content. is required. And, these convergence environment must become a prerequisite. Therefore, as the open-public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not depending on species specific devices or software. For this purpose, a non-standard discard it must conform to standards, not the application, it must aim to web. If consideration of these convergence revolution, e-government of today, it is necessary to accessIt in aspects of onlineㆍoffline, convergentㆍintegrativeIt Paperless is a future direction to go is clear, the problem is a service to the G4C. Core of G4C is to provide the public information of the consumer center, take advantage of the private sector, is a variety of fusion-composite Paperless Service. The are several noted to build knowledge management system. First, knowledge management, that is, it must be the data management. Second, standardization is important. Third, OSMD that is, One Source Multi Device concept,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data. Fourth, not the application, it must aim to web. Fifth, in the order requires a high quality knowledge search, while performing a stylized-structured-typical Segmentation in data management to continue and repetitive, and a virtuous cycle of evaluation and results throughout the entire life cycle process of knowledge. The must contain a reflux system which can go to. Sixth, the Web-based knowledge management, web document can contain all of the orthopedic and atypical it would be a very important feature. Seventh, to minimize the human intervention as much as possible, it is important to automate as much as possible. Eighth, knowledge management should aim to consumers customize. The knowledge base of the information society, in order to make the data available in safely and any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take norms framework harmony on both sides of the technical issues and normative problems. In particular, in the Cloud environment, state of status and functions and administrative activities of conventional administrative is of course a major change of the study of public law also that never directly is maintained. As a basic principle of the method, the e-democracy, the e-legalism, the e-welfare is an important concept that does not change even in the convergence Revolution. Convergence revolution has continued, to go towards the future to find the the balanced contact of harmony, South Korea has to be accurately understand the direction and the way it should proceed for directing the e-government and knowledge management of IT powerhouse.

      • KCI등재

        국제특허분류(IPC) 공동출현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살펴본 기업의 지식융합 특성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 전자통신산업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이민정,송창현,김연배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8 지식재산연구 Vol.13 No.1

        Recently, convergence in knowledge and technology has been active in domestic electronics & telecommunication industry. These changes provide great opportunities as well as big threat to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which consist the most of the industry. In particular, since the role of existing and new knowledge is important, this study focus on the effect of convergence between these knowledge on innovation performance. Using IPC co-occurrence network, firms’ knowledge convergence characteristics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exploitative’ knowledge convergence, ‘exploratory’ knowledge convergence and ‘dispersive’ knowledge convergence. And how each characteristic affects exploitative and exploratory innovation is empirically analyzed. KSIC(Korea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9th edition) code 26 and code 28 provided by the NICE Information Service are considered as a electronics & telecommunication industries. The results show that exploratory knowledge convergence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exploitative and exploratory innovation each. And the dispersive knowledge convergence has only effect on exploitative innovation. Meanwhile the exploitative knowledge convergence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exploitative and exploratory innovation. According to these results, firms should recognize their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convergence and strategically pursue innovation with their limited resources. 최근 국내 전자통신 산업에서 지식과 기술 단위에서의 융합이 활발히 일어나고 있다. 이 같은 변화는 산업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중소기업들에게 엄청난 위협인 동시에 새로운 기회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기존 지식과새로운 지식의 역할이 중요한데, 본 연구에서는 이들 지식 사이의 융합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고 있다. IPC 공동출현 네트워크 개념을 활용하여 기업의 지식융합 특성을 ‘활용적’, ‘탐험적’ 그리고 ‘분산적’으로 구분하고, 이러한 특성들이 각각 활용적, 탐험적 혁신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NICE 평가정보에서 제공하는 한국표준산업분류(KSIC-9)(9차개정) 중 26(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통신장비 제조업)과 28(전기장비 제조업)을 전자통신 산업으로 간주하고, 해당분류에 속한 중소기업들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활용적인 지식융합은 활용적, 탐험적 혁신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반면 탐험적지식융합은 활용적, 탐험적 혁신성과 모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분산적 지식융합은 활용적 혁신성과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나, 탐험적 혁신성과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들은 한정된 자원 하에서 자신의 지식융합 특성을 파악하여 전략적으로 혁신을 추구할 필요가 있다는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ICT 융합 전화과정의 동태성 : 실리콘밸리 지식 융합 사례를 중심으로

        정순기,이병호 한국IT서비스학회 2013 한국IT서비스학회지 Vol.12 No.1

        Convergence is now the trend of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Information technology and knowledge transfer are main sources of convergence. There are many articles which studied outcomes of convergence while there are few articles that try to study the process of converg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convergence is dynamically formalized. For the ana lysis, we used Institutional Analysis and Development(IAD) framework from the point of convergence. IAD framework could synthetically study the origin and the process of convergence. We investigated the case of si llicon valley whether or not dynamics of ICT convergence could be explicable by IAD framework. The results shows that ICT technology and knowledge could be the enabler for the formation of convergence. ICT technology accelerates convergence and knowledge convergence from information converge different technologies and industries. This article provides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to analyze dynamics of ICT convergence by the IAD framework. For the future work, it is recommended that a study is to be empirically analyzed the dynamics of ICT convergence.

      • KCI등재

        지식과 사회 변혁: 한국의 지식 양상의 변화를 중심으로

        김상준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3 동서연구 Vol.25 No.1

        This paper explores the mode of knowledges which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ociety. It argued that “invention,” as a first mode of knowledge, enabled England to accomplish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18th century while “innovation” made possible American scientific revolution in 20th century. South Korea actually lacked both modes of knowledge in the process of its industrialization. Nonetheless, the country succeeded in both of rapid industrialization and development of society. The successes could be explained by “learning,” another mode of knowledge, rater than invention or innovation. However, facing globalization the demand of new innovative knowledge in the society has been intensified. Possibly, “convergence knowledge ” is a choice for innovative knowledge. With the emphasis on the convergence knowledge, this paper points out an intertwining development of “conventional and convergence” knowledge. Convergence knowledge needs to be created with expansions, not sanctification, of conventional knowledge. Certainly, there is a healthy cycle between conventional and convergence knowledge which would guarantee a sustainable development of innovative knowledge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변화를 ‘지식’이라는 관점에서 조명하고자 한다. 사회는 다양한 동기와 기제를 통해 변화하지만, 정작 변화요인으로서 지식의 존재양상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저조하다고 하겠다. 서구에서 지식은 크게 발명과 혁신을 통해 사회를 변화시켰다고 볼 수 있다. 발명은 ‘시행착오(trial and error)’라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실용화되었다. 혁신은 발명과는 달리 이론(theory)과 작동원리(mechanism)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하지만 한국의 경우는 이들 과정은 결여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사회는 매우 짧은 기간 동안 발전을 진행해왔다. 한국에서의 사회발전을 위한 주요 지식획득의 과정은 크게 세 단계로 나누어진다. 첫째, 근대화의 후발주자로서 선진국을 모방하고 학습하는 단계, 둘째, 유입된 지식을 국내적으로 재생산하는 단계, 마지막으로 선진국과의 평행선상에서 혁신하는 단계이다. 과거 한국은 학습을 바탕으로 빠른 성장과 발전을 이룩하였다. 중요한 이유는 한국이 ‘인적자원(human capital)’의 축적과정이 다른 나라들과 달랐기 때문이다. 또한 국가와 지식간의 긴밀한 관계 또한 학습을 확산하는데 유용하게 작용하였다. 하지만 한국 사회는 학습의 한계를 노정하고 있으며, 혁신을 위한 지식에 대한 요구가 강해지고 있다. 혁신을 위한 노력이 강조되고 있으며, 그 중요한 대안으로 지식의 융복합이 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식 융복합의 확산을 위해 두 가지 점을 강조한다. 첫째, 융복합의 발전을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기존 학문의 영역의 확장이 매우 중요하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융복합의 경향에서 간과되고 있는 기존학문 영역의 확장의 문제를 극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융복합 연구에는 창의성과 실현가능성 사이에는 일종의 반비례적 관계가 있다. 따라서 융복합의 확산에는 이들에 대한 적정한 조합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KCI등재

        사회공헌 지식관리와 융합법제의 필요성에 관한 소고

        배유진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6 法學論集 Vol.21 No.2

        융합환경하에서의 기업의 사회공헌이 추구해야 하는 가치와 사회공헌의 지식관리, 지역 복지의 연계 및 확대, 융합법제에 대한 고찰이 중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사회공헌활동의 현황을 진단하고, 평가와 한계를 짚어보면서 융합환경 하에서 지식기반의 사회공헌이 지향해야 할 가치와 지식관리의 중요성 및 이를 뒷받침할 융합법제의 필요성에 관해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사회공헌활동의 현황을 통해 한계를 분석하였다. 첫째로, 사회공헌의 분야가 아직은 취약계층에 머물러 있고, 여전히 분야가 한정적이라는 점이다. 둘째, 사회공헌 지식에 관한 중요성의 인식과 지식관리가 미흡한 실정이다. 셋째, 지식관리의 구축에 관한 관심도 없고, 구축방법에 대해서도 모른다는 점이다. 넷째, 사회공헌 관련 법률이 부재한 상황이다. 다섯째, 융합환경하에서 달라져가는 지식서비스의 방향성에 대한 숙고 부족이다. 이런 한계를 토대로 한 지식관리에 의한 편리하고 다양한 서비스가 또 하나의 복지로 연결될 수 있는 지식관리의 필요성과 관리방향의 모습을 사례관리 서식화와 웹서식화의 예시로 담았다. 또한 사회공헌의 활동분야의 다양화 및 지역연계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하였고, 사회공헌의 법제에 관해서는 복지산업을 뒷받침하는 입법, 수요자 중심 내지 및 공급자와 수요자 양 측면을 고려한 소프트웨어 중심의 융복합콘텐츠와 연동서비스가 가능한 융합법제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It is of great importance to review the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knowledge management of social contribution along with the linkage and expansion of local welfare as well as convergence legis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status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and while looking at their evaluation and limitations, the value of knowledge-based social contribution and the importance of knowledge management with the necessity of convergence law to support this under the convergence environment will also be consider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limitations were analyzed through the present status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First, the field of social contribution is still remained in the vulnerable class, and the field is yet limited. Second, recognition of importance about the awareness of social contribution knowledge and knowledge management are insufficient. Third, there is no interest in the construction of knowledge management and no knowledge of how to construct it. Fourth, there are hardly any social contribution-related laws in the field. Fifth, there is a lack of consideration of the direction of knowledge service that changes under the convergence environment. Based on these limitations, the importance of knowledge management that can be connected to another welfare by convenient and diverse services based on knowledge management and the direction of management direction are exemplified as case management formatting and web formatting. In addition, the diversity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and the importance of regional linkage are mentioned. With regard to the legal system of social contribution, it emphasized the necessity of a legislation supporting the welfare industry as well as a software-centered convergence contents, which consider both the consumer-centered and the supplier-and-consumer sides, and a convergence law enabling interoperability services.

      • KCI등재

        2013년 봄 : 지식과 사회 변혁: 한국의 지식 양상의 변화를 중심으로

        김상준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3 동서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변화를 ``지식``이라는 관점에서 조명하고자 한다. 사회는 다양한 동기와 기제를 통해 변화하지만, 정작 변화요인으로서 지식의 존재양상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저조하다고 하겠다. 서구에서 지식은 크게 발명과 혁신을 통해 사회를 변화시켰다고 볼 수 있다. 발명은 ``시행착오(trial and error)``라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실용화되었다. 혁신은 발명과는 달리 이론(theory)과 작동원리(mechanism)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하지만 한국의 경우는 이들 과정은 결여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사회는 매우 짧은 기간 동안 발전을 진행해왔다. 한국에서의 사회발전을 위한 주요 지식획득의 과정은 크게 세 단계로 나누어진다. 첫째, 근대화의 후발주자로서 선진국을 모방하고 학습하는 단계, 둘째, 유입된 지식을 국내적으로 재생산하는 단계, 마지막으로 선진국과의 평행선상에서 혁신하는 단계이다. 과거 한국은 학습을 바탕으로 빠른 성장과 발전을 이룩하였다. 중요한 이유는 한국이 ``인적자원(human capital)``의 축적과정이 다른 나라들과 달랐기 때문이다. 또한 국가와 지식간의 긴밀한 관계 또한 학습을 확산하는데 유용하게 작용하였다. 하지만 한국 사회는 학습의 한계를 노정하고 있으며, 혁신을 위한 지식에 대한 요구가 강해지고 있다. 혁신을 위한 노력이 강조되고 있으며, 그 중요한 대안으로 지식의 융복합이 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식 융복합의 확산을 위해 두 가지 점을 강조한다. 첫째, 융복합의 발전을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기존 학문의 영역의 확장이 매우 중요하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융복합의 경향에서 간과되고 있는 기존학문 영역의 확장의 문제를 극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융복합 연구에는 창의성과 실현가능성 사이에는 일종의 반비례적 관계가 있다. 따라서 융복합의 확산에는 이들에 대한 적정한 조합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This paper explores the mode of knowledges which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ociety. It argued that invention , as a first mode of knowledge, enabled England to accomplish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18th century while innovation made possible American scientific revolution in 20th century. South Korea actually lacked both modes of knowledge in the process of its industrialization. Nonetheless, the country succeeded in both of rapid industrialization and development of society. The successes could be explained by learning , another mode of knowledge, rater than invention or innovation. However, facing globalization the demand of new innovative knowledge in the society has been intensified. Possibly, convergence knowledge is a choice for innovative knowledge. With the emphasis on the convergence knowledge, this paper points out an intertwining development of conventional and convergence knowledge. Convergence knowledge needs to be created with expansions, not sanctification, of conventional knowledge. Certainly, there is a healthy cycle between conventional and convergence knowledge which would guarantee a sustainable development of innovative knowledge.

      • KCI등재

        A. N. Whitehead의 "과정(process)"에 내재된 융합교육과정의 의미

        성정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5

        융합교육과정의 “융합(convergence)”은 교육적 개념으로 재개념화 될 필요가 있다. 창조적 생성의 원리인 Whitehead의 “과정(process)”은 융합교육과정의 특수한 의미를 밝혀 줄 수 있는 이론적 근거이다. Whitehead의 과정은 합생(concrescence)과 이행(transition)의 과정으로 구분된다. 합생은 다자(many)가 일자(one)로 통일되어 새로운 현실적 존재를 창조하는 과정이며, 이행은 창조된 현실적 존재가 다자들로 편입되어 세상 만물의 하나로 자리잡는 과정이다. Whitehead의 과정에 내재된 융합교육과정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융합교육과정은 새로운 지식 창출이 가능한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함축적이면서 중요한 교육 내용을 토대로 구성된 교육과정이다. 융합교육과정의 융합은 창조적 인재의 육성을 위한 토대 마련이라는 목적이 있다. 둘째, 융합교육과정은 학생들의 지적 성장과 인성의 성장이라는 두 가지 성장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과정이다. 융합교육과정은 지식으로서 교육내용 뿐만 아니라 교육내용의 구성방식인 교육방법적인 면에서 지적 성장과 인성의 성장을 고려하여 구성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Meaning of Convergence Curriculum Based on Whitehead's Process”. Educational convergence has been recognized as a kind of academic convergence. However, education is a special area. Whitehead's process is the principle of creative becoming. Whitehead's process is the suitable concept of educational convergence. Whitehead’s “process” consists of “concrescence” and “transition”. “Concrescence” is a process that “many” generates “one”. “Transition” is a process that “one” transfers to “many”. The meaning of convergence curriculum based on Whitehead's process includes the following: First, the convergence curriculum is comprised of implicative and important contents. The convergence curriculum should rear talent to creat new knowledge. “Convergence” of convergence curriculum aims to prepare a foundation of effective curriculum. Second, the convergence curriculum promote intellectual growth and growth of character. Convergence curriculum should be made up of relationship among the students.

      • KCI우수등재

        팀 다양성 수렴 메커니즘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이론적 고찰

        김문주(Moon Joo Kim),윤정구(Jeong Koo Yoon) 한국경영학회 2011 經營學硏究 Vol.40 No.1

        In recent years many organizations tend to be more diverse in terms of gender, age, functional background, educational background, tenure and so forth. The increase of diversity in workforce has indeed become inevitable reality. However, relevant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versity and performance have indicated contrasting arguments. Some argue that task-related diversity produces positive effects on performance by incorporating various ideas and perspectives for problem solving and innovation, whereas personal-related diversity dampens performance due to the lack of communication and subgroup conflict. To resolve this controversy, this study proposes the moderation effect of diversity convergence mechanism on performance, which is mobilized by sharing task knowledge and team identity. Specifically, we propose that team diversity can enact a role of synergy for team performance under such convergence mechanisms. Shared task knowledge about key elements of the team`s relevant environment may enhance team members` coordination and effectiveness in performing tasks that are complex and unpredictable. Shared team identity would also make team members to share team`s vision, mission, value, and objective which help solving various kinds of problem that shared task knowledge could not solve entirely. Team members who share similar task knowledge and identity can anticipate each other`s responses and coordinate effectively. A majority of existing research, however, has studied the influence of diversity and shared task knowledge/team identity independently - how workforce diversity influence on team performance positively or negatively and how sharing of task knowledge and team identity have a positive effect on team performance. This study proposes an integrated model that would combine the two different research. That is, if diversity would be defined as the mechanism that can lead a divergent effect to produce various information and knowledge, diversity could bring a synergy effect on team performance only when the divergent resource could be integrated with shared task knowledge and team identity as a convergence mechanism. The sharing task knowledge and team identity could play a critical moderating role to integrate the divergent diversity effect. If the team diversity is regarded as various human capital, the sharing of task knowledge and team identity would be the convergence mechanism to utilize diversity positively. It is in a high level of shard task knowledge and shared team identity that task-related diversities (i.e., functional background, educational background, and team tenure) lead to team performance. In the personal-related diversities (i.e., gender, age, and birthplace), however, shared task knowledge may not play the convergence mechanism enough to override the negative effect of personal-related diversity; only shared team identity mitigates negative effects and thus utilizes diversity`s positive potential. In conclusion, we need to understand the processes through which and the conditions under which diversity may bring high team performance. The clarification of when and how diversity would bring some positive or negative effect has been big concern and diversity management is desperately required for maximizing positive potentials and mitigating negative effect of diversity. Even though diversity might have positive potential in a long-term, it would not be easy to utilize diversity effectively in the workplace until we can address the mechanism of it correctly. We also discussed the managerial implications of our claims.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문학 기반 대학 교양교육 지식체계에 대한 성찰적 고찰

        민웅기 대구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과학연구 Vol.0 No.41

        This study discussed how the knowledge system of university liberal education based on humanities is being structured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some teaching methods that may help students obtain the knowledge stably. Currently, many universities in Korea are trying to convey convergent educational content based on humanities to students. The humanities have different levels of knowledge. The knowledge system expands to the knowledge of college major, knowledge of a field related to my major, convergence knowledge, and experiential knowledge, and helps students learn the socio-cultural values through humanities. And the knowledge system can be realized through various teaching methods to strengthen the humanities competence of students.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students’ basic knowledge in the field of humanities in the process of conveying knowledge to students, with the main purpose of human reflexivity by combining analytic and comprehensive teaching methods. In the untact era, the convergent educational goals and meaning structures of university liberal education based on humanistic values ​​should also be identified and discussed for the sustainable expansion of the humanities.

      • KCI등재

        융합환경에서의 지식기반 사회공헌의 발전방향 : 기업의 사회공헌을 중심으로

        배유진 사회복지법제학회 2016 사회복지법제연구 Vol.7 No.2

        It is argued tha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s the source of corporate sustainability and increasing competitiveness and it is important to review the linkage and expansion of local welfare with the value that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in a convergent environment should pursue.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the status of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paper, while examining their evaluation and limitations, is to present the future value of legal system to support the importance of data management and the value that social contribution of knowledge base should aim for under convergent environment. In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re examined as well as the limitations in terms of the scope and status of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in 2015. First, there is a lack of awareness of the convergence environment. Second, although some attempts have been made to subdivide the field of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it has been merely attempted with diversity and local linkage. Third, knowledge management to serve as a hub for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is still insufficient. Fourth, there is no statute related to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The main consideration based on these problems is the data, which is the core of welfare-related services in knowledge management. With regard to that subject, the importance of knowledge management and management direction that can be linked to another welfare by convenient and various services by knowledge management are described in detail. The legislative direction of social contribution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legislative system that considers both consumer-centered or supplier-and-consumer welfare system based on IT knowledge management and community sharing, along with the legislation that supports welfare-industry consumer-centered, both sides of supplier and consumer that support. First, a new convergence business model using contents and services is being created due to the knowledge-based industry of the Fourth Revolution. In line with such changes in society, companies should contribute to society in terms of a shared economy and shared values ​​that share mutual benefits based on the convergence environment. Second,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should be expanded to various fields besides traditional welfare field, and it should be linked to welfare development of local area. The direction of linking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nd local welfare should be based on division of labor and cooperation for customized service for customers, rather than a formal and standardized way based on suppliers. Third, in order for a company to make an optimal social contribution, it should be able to judge what kind of welfare is necessary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each consumer. In other words, data management is so important that the data should be analyzed and provided throughout the stages of pre-planning, execution andpost-implementation of social contribution. Fourth, in order to promote social contribution in a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ions and society,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should be promoted not only by regional units, but also by the whole country. From a governance viewpoint, it is necessary to support legal system that can be approached by social contribution of knowledge based industry under legislative and convergence environment considering side.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기업의 지속성장과 경쟁력 향상의 원천이라는 방향으로 논의가 모아지고 있고, 융합환경하에서의 기업의 사회공헌이 추구해야 하는 가치와 지역 복지의 연계 및 확대에 대한 고찰이 중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의미와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의 현황을 진단하고, 평가와 한계를 짚어보면서 융합환경하에서 지식기반의 사회공헌이 지향해야 할 가치와 데이터 관리의 중요성 및 이를 뒷받침할 법제의 미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기업의 사회저 책임의 의미를 살펴보고, 2015년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의 규모와 현황을 통해 한계를 분석하였다. 첫째로, 컨버젼스 환경의 인식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둘째, 기업의 사회공헌의 분야가 세분화되려고 어느 정도는 시도하고 있지만 다양성과 지역연계로의 시도에 머물고 있다. 셋째, 기업의 사회공헌의 허브화 역할을 해줄 지식관리가 여전히 미흡한 상황이다. 넷째, 현재 기업의 사회공헌 관련한 법령이 부재한 상태이다. 이런 문제점을 토대로 한 주요 고려사항으로는 지식기반사회에서의 복지와 관련한 서비스의 핵심은 데이터이므로, 지식관리에 의한 편리하고 다양한 서비스가 또 하나의 복지로 연결될 수 있는 지식관리의 중요성과 관리방향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담았다. 사회공헌의 법제방향은 IT 지식관리 기반 복지시스템 및 공동체적 나눔 그리고 복지산업을 뒷받침하는 입법 및 수요자 중심 내지 및 공급자와 수요자 양 측면을 고려한 법제도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첫째로, 제 4차혁명의 지식기반산업으로 인해 콘텐츠와 서비스를 이용한 새로운 융합사업모델이 창출되고 있다. 이런 사회의 변화에 맞추어 기업은 융합환경에 따른 상호이익을 나누는 공유경제 및공유가치의 관점으로 사회공헌을 행해야 할 것이다. 둘째로는 기업의 사회공헌이 전통적인 복지 분야 이외에도 다양한 분야로 점차로 확대되어야 하고, 그것이 지역의 복지발전에도 연계가 되어야 할 것이다. 기업의 사회공헌와 지역복지의 연계의 방향은 공급자 중심의 일률적이고 획일적인 형식적인 차원을 아닌, 수요자 맞춤형 서비스를 위한 분업․협업이 기본이 되어야 한다. 셋째, 기업이 최적화된 사회공헌을 하기 위해서는 수요자 각각의 상황에 따라 어떤 복지가 필요한지를 잘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사회공헌의 사전계획부터 실행단계, 실행 단계 후의 관한 데이터가 분석되어 제공되어야 하므로 데이터 관리가 중요하다. 넷째, 기업과 사회가 유기적으로 갖는 상생적 관계에서 사회공헌의 촉진을 위해,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지역적 단위만이 아닌 국가 전체적인 차원에서도 도모되어야 하고, 거버넌스적 관점에서 수요자 중심 내지 공급자와 수요자 양 측면을 고려한 입법과 융합환경하에서 지식기반산업의 사회공헌으로 접근될 수 있는 법제의 뒷받침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