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발원조기구의 성 주류화 정책 경험에 대한 비판적 고찰

        남영숙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09 여성학논집 Vol.26 No.2

        1995년 북경 세계여성회의 이후 성 주류화는 성 평등을 달성하기 위한 핵심 전략으로서 국제사회의 지배적인 정책 틀이 되어왔다. 본 논문은 성 주류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해온 대표적인 기구로서 개발원조기구의 성 주류화 정책 경험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향후 개발원조의 성 주류화가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제적·국가별 개발원조기구의 성 주류화 활동은 크게 정책의 개발, 성 주류화를 이행하기 위한 제도적 변화, 다양한 도구의 개발과 전파로 분류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개발 원조기구는 조직과 절차의 변화, 도구의 개발 등 제도적인 차원의 성 주류화에서는 상당한 성과를 보였으나, 정책을 실제로 이행하고 개발원조 프로그램을 통해 수원국의 성 평등에 기여하는 실질적인 성과를 이끌어내는 데 있어서는 아직 진전이 더딘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개발원조의 성 주류화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 또는 과제로는 개발 이슈에 젠더 관점이 체계적으로 통합되지 못하고 있는 점, 정책이 실제 이행 단계에 가서 실종되거나 부분적으로만 이행되는 현상, 실무직원과 수원국 파트너의 성평등에 대한 주인의식의 결여가 제시되었다. 이와 더불어 국제사회의 개발원조 패러다임과 환경의 변화에 따라 경쟁적인 아젠다가 등장한 점도 성 평등의 초점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줄 수 있다. OECD DAC의 회원국으로서 향후 성 인지적 개발원조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하는 우리나라는 이러한 국제적인 경험과 교훈을 바탕으로 체계적인 정책개발과 제도적 기반 마련을 통해 저개발국의 성 평등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Since the Fourth World Conference on Women in Beijing in 1995, gender mainstreaming has been accepted as the main strategy to achieve the goal of gender equality. In the field of development cooperation, a wide range of gender mainstreaming policies have been put in place by international development organizations as well as national development assistance agencies around the world.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critical review and assessment of the experiences of gender mainstreaming in international and national development assistance agencies as well as the difficulties or challenges they might have faced. Three major types of gender mainstreaming activities have been carried out by development assistance agencies. These are: mainstreaming gender into development assistance policies; reforming institutional structures; and devising and adopting various tools and techniques for gender mainstreaming. While much progress has been made in terms of promoting institutional changes within development assistance agencies, limited success has been reported when it comes to making changes in parter countries through policy implementation and operational activities. Development assistance agencies have also faced a number of difficulties and challenges. First, integrating gender perspective into development agenda has proved to be a difficult task, except in the area of education and health. Second, while gender mainstreaming policies have been in place at the national level, the ‘evaporation’ of such policies at the lower levels has been a problem. Third, the adoption of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in 2000 and the emergence of the new aid paradigm and modalities have brought about competing agenda, with the potential impact of reduced commitment to gender equality. Fourth, the operational staff as well as those in partner countries often lack internalized ownership over gender equality issues, further contributing to poor policy implementation. As Korea embarks on gender-sensitive development assistance policies as a new OECD DAC member, these problems will need to be effectively addressed in order for Korea to make a genuinely sustainable contribution to achieving the eventual goal of equality between women and men.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타인에 대한 성 고정관념과 자신의 성 전형화

        양혜영,김경미 한국심리학회 2005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4 No.2

        The study was to identify gender attitudes toward others, gender typing of self, and the relations between gender typing of others and self in 582 college students, which were 165 male students and 292 female students of colleges, and 125 female students of a college for women. The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assess gender attitudes toward others and the self perception in three domains: occupations, activities, and traits. Female students had more egalitarian gender attitudes than male students across domains. In gender typing of self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gender-typed self-endorsement. Examination of the relations between gender typing of others and self showed that the flexibility of gender schema appeared among female students. Those female students who had more egalitarian gender attitudes toward masculine occupations and activities showed greater endorsement of masculine items for self. Those female students who had more egalitarian gender attitudes toward masculine occupations, activities, or traits showed less endorsement of feminine items for self. Factor analysis of the items of others and self measures revealed the three meaningful factors, which were gender attitudes, feminine self, and masculine self. Although the factor loadings varied slightly in the three groups of college students, the three factors were identical for the three groups. 본 연구는 대학생의 타인에 대한 성 고정관념과 자신의 성 전형화, 그리고 그 둘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남학생 165명, 공학여대생 292명, 여자 대학의 여대생 125명 총 582명의 대학생에게 실시한 타인과 자신 척도는 두 개의 문항 유형인 남성형, 여성형과 세 개의 영역인 직업, 활동, 특성에 대한 문항들을 담고 있었다. 타인에 대한 성 고정관념에서 여학생(공학여대생과 여대생)이 남학생보다 평등적 태도를 보였다. 자신의 성 전형화에서는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성 전형화된 반응을 보였다. 타인척도와 자신척도 간의 관계를 보면 여학생 집단에서 성 도식의 유연성의 증거가 나타났다. 남성적 직업과 활동에서 보다 평등적 태도를 보이는 공학여대생은 남성적 문항에 대한 자기 승인이 높았다. 남성적 직업, 활동, 혹은 특성에서 평등적 태도를 보이는 여학생은 여성적 문항에 대한 자기 승인이 낮았다. 타인과 자신의 문항들을 요인 분석한 결과 세 집단에서 동일한 세 개의 요인들이 추출되었다. 문항의 내용에 상관없이 타인에 대한 성 태도를 묻는 문항들은 하나의 단일한 요인을 구성하고, 자신의 성 전형화를 묻는 문항들은 여성형 문항들과 남성형 문항들이 각각 다른 요인을 구성하였다. 즉 타인에 대한 성 도식보다 자신의 성 도식이 보다 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한국어 신문 읽기에서 성별추론

        신효정(Hyojung Shin) 한국영미어문학회 2010 영미어문학 Vol.- No.96

        This paper investigated how gender inference is generated in Korean newspaper reading, in which there are no specific gender-markers except for gender stereotyped personal names and occupations.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see how these two factors actually work in gender inference. In experiment 1, to check stereotyped gender information for personal names of native Koreans, I collected 20 personal names from different languages (written in Korean) from daily newspapers and asked participants about the gender they guessed intuitively. While most of the Korean names were distinctively divided into female and male, other foreign names written in Korean showed unstable division. In experiment 2,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read a newspaper article where a gender stereotyped occupation, 'politician(the spoke person of Grand Nation Party)' was included and to recall the gender of the person. The result showed that 68% of the participants recalled the politician as a male even though she was referred with a female name which was assessed as a female name at 98% in experiment 1. It reflected the strong effect of a stereotyped occupation in gender inference. In experiment 3, three foreign names were respectively combined with different occupations and were asked to check the gender.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with and without a name in judging gender. It gave me the evidence that personal names are not reliable gender-marker when they comes with a strongly stereotyped occupation which is common in newspaper article, and in the case, gender inference is likely based on the background knowledge about the stereotyped occupations stored in a reader's mental model.

      • KCI등재

        노년기 젠더관계와 심리적 복지감

        김영혜(Young-Hye Kim) 한국인구학회 2004 한국인구학 Vol.2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 젠더관계가 노인의 심리적 복지감(psychological well-being)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노인부부의 젠더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성역할태도와 가사노동분담을 측정하였고, 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은 우울도와 행복감으로 측정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배우자와 동거하고, 자녀와는 동거하지 않으며, 부부 모두 직업에서 은퇴한, 65세 이상의 남녀노인 476명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여성노인이 남성노인에 비해 보다 평등적인 성역할태도를 지니고 있으며, 노인부부의 가사노동 수행에 있어 성별 분절현상이 나타난다. 2) 여성노인이 남성노인에 비해 성역할태도와 가사노동분담 수준이 불일치하는 경우가 더 많았으며, 남녀 노인 모두 성역할태도와 가사노동분담 수준이 일치할수록 심리적 복지감이 높았다. 3) 남녀노인의 성역할태도는 심리적 복지감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여성노인의 가사노동분담은 심리적 복지감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남성노인의 가사노동분담은 오히려 그들의 심리적 복지감을 낮게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1)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role attitud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related to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and (2) the effect of congruency between gender-role attitude and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on psychological well-being for the elderly. In this study, independent variable is gender-role attitude, mediating variable is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and dependent variable is psychological well-being. Psychological well-being consists of depression and happiness.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Gender-role attitude affects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The more egalitarian gender-role attitude, the higher degree of psychological well-being, whereas the more traditional gender-role attitude, the lower degree of psychological well-being. 2)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influences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The higher degree of division of household labor is likely to show the higher degree of psychological well-being. 3) The congruency between gender-role attitude and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affects psychological well-being. As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role attitude and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is more congruent. psychological well-being increas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is no relation between gender-role attitud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r the elderly. 2)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affects psychological well-being for husband. The higher degree of division of household labor, the higher degree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ult shows that husbands are involved in household labor involuntarily. 3) Congruency between gender-role attitude and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affects psychological well-being. As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role attitude and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is more congruent, the degree of depression decreases. 4) Wives participate in most of household labor. Gender segregation in household labor is found in elderly family. 5) Health, income, network of children or sibling, and community network affect psychological well-being. The healthier, higher income and stronger network are likely to show the higher degree of psychological well-being.

      • KCI등재후보

        경상북도 공립학교의 교가・교훈에 대한 성인지적 연구

        김은혜,박은미,박순란,박효영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23 여성연구 Vol.117 No.2

        This study aims to analyze gender-discriminatory factors in school songs and precepts and improve them in the viewpoint of gender equality. For this purpose, we delved into all public schools’ school songs and precepts in Gyeongsangbuk-do. The context and content of the school songs and precepts were analyzed, with focus on gender role stereotypes and gender-discriminatory expressions. Then they were analyzed by level and type of school includ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by year of school found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the survey found male-designated expressions such as ‘geona(virile son)’ and ‘hwarang(male soldeir in Silla Dynasty)’ in all levels of schools. Secondly, gender role stereotypes and gender-discriminatory expressions were found in the school songs in female schools. Lastly, gender role stereotypes and gender-discriminatory expressions appeared in greater frequency in schools established before 2000, compared with those established after 2000. As the resulf of this study, we propose four recommendations to improve the gender-discriminatory elements in the school songs and precepts. Firstly, the Education Office of Gyeongsangbuk-do needs to revise its Gender Equality Ordinance as a way of providing institutional support. Secondly, it is necessary for the Education Office of Gyeongsangbuk-do to provide budget for correcting the gender-discriminatory factors in school songs and precepts. It requires a comprehensive program supported by the Education Office to improve the gender-discriminatory content in the school songs and precepts in this province. Thirdly, it is needed to hold meetings, talk concerts, and exhibits so as to share common grounds of school songs and precepts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 equality among the students, graduates, school employees, and parents. Fourthly, it is necessary to draw up guidelines for eliminating gender-discriminatory and human rights-violating factors in school songs and precept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include the opinions of students, who are the main members of schools, in the improvement of school songs and precepts from a gender equality perspective. Through follow-up research, we intend to propose ways to eliminate gender discrimination elements in Gyeongsangbuk-do public school songs and precepts based on the perspectives of the students. 본 연구는 경상북도 753개 공립학교 교가・교훈의 성차별적 요소를 발견하고 양성평등한 관점으로 개선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22년 경상북도교육청 소속 753개 공립학교를 전수조사하여 교가・교훈 속 성역할 고정관념 및 성차별적 언어표현을 기준으로 맥락분석 및 내용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학교급에서는 ‘건아, 화랑’과 같은 남성 지칭 표현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학교유형별 성역할 고정관념 및 성차별적 언어표현은 여학교 교가・교훈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설립연도에 따른 성역할 고정관념 및 성차별적 언어표현은 주로 2000년대 이전에 설립된 학교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상북도 교가・교훈의 성차별적 요소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가・교훈 개선을 위한 교육청의 양성평등 조례 개정을 통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교가・교훈개선을 위한 교육청의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 경상북도 공립학교 교가・교훈의 성차별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경상북도교육청 지원을 통한 일괄적 사업 운영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셋째, 재학생, 동문회, 교직원, 학부모회 등의 합의 도출을 위한 학교별 교가・교훈 성차별적 요소 개선 사업이 필요하다. 넷째, 성차별적 요소와 인권침해 요소를 포함한 교가・교훈 수정 가이드라인 마련이 필요하다. 특히, 양성평등한 교가・교훈 개선을 위해서는 학교 주 구성원인 학생들의 관점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후속 연구를 통해 학생들의 관점을 반영한 경상북도 교가・교훈의 성차별적 요소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자연재난과 젠더 : 개도국 양성평등 제고 가능성과 한국의 성인지적 재난관리정책을 위한 시사점

        장은하(Eun-Ha Cha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5 여성연구 Vol.88 No.-

        Since 1990s, the magnitude and frequency of mega disasters around the globe are on the rapid rise. The destructive impact of natural disasters is vast. They not only destroy personal life, health and wellbeing but also devastates livelihoods, social services and environments. Disasters are also gender discriminatory. Due to their biological/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unequal status in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life, women's vulnerability increases when disaster occurs. Despite such destructiveness however, disasters sometimes act as an opportunity for change towards a more gender-equal society. The demise of existing infrastructure and influx of external resources may create a positive opportunity for a change.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examines whether fundamental changes toward gender equality can take place during the reconstruction phase of a disaster in developing countries, and also examines implications for the disaster management policy of South Korea. The author examines several cases studies, using Caroline Moser's gender planning theory, focusing on practical gender needs and strategic gender needs. The case studies reveal that post-disaster reconstruction programs work towards satisfying both practical and strategic gender needs, and the effect is greater when the assistance organization has high gender sensitiveness. Nonetheless, taking a strategic gender approach did not directly resulted in more fundamental or structural change. In some cases negative results were observed. In addition, the existence of women's organization, men's resistance, trauma therapy were identified as importance factors to be considered for an effective change. This study concludes by suggesting several implications for South Korea’s gender-conscious disaster management policy. 1995년 일본 한신 대지진, 2004년 인도양 쓰나미, 2010년 아이티 대지진, 20011년 일본 쓰나미 등 1990년도 이후 전 세계적으로 대형 자연재난의 빈도와 강도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재난은 사망, 부상, 질병 등의 물리적 인명 피해 뿐 아니라, 생계기반을 파괴하고, 사회 서비스를 마비시키며, 사회경제적 혼란, 환경파괴를 불러오는 등 개인과 사회의 전 영역에 심각한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재난의 영향력은 또한 성차별적이다. 여성들은 생물학적/생리학적 특성과 한 사회 내에서 차지하는 사회, 경제, 정치적으로 불평등한 위치와 차별로 인해 재난 발생 시 취약성이 증가한다. 그러나 이러한 파괴력에도 불구하고 재난은 양성평등적 변화를 촉진하기도 한다. 재난으로 인한 기존 질서의 붕괴와 복구 과정에서의 자원의 유입은 해당 사회의 여성의 지위 향상과 양성평등을 위한 긍정적인 변화의 기회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논의를 배경으로 본 연구는 자연재난 복구 과정을 통해서 양성평등을 위한 근본적이고도 구조적인 변화가 일어날 수 있는지를 개도국의 사례에 비추어 고찰하고 한국에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양성평등적 변화를 위해서는 모저(Moser)의 실제적 젠더 요구(practical gender needs, PGN)와 전략적 젠더 요구(strategic gender needs, SGN) 모두 충족되어야 하나, 보다 구조적인 변화를 위해서는 전략적 젠더 요구가 충족되어야 할 것으로 보았다. 연구 결과로는 검토한 대부분 사례에서 여성의 실제적 젠더 요구와 전략적 젠더 요구에 부응하는 지원이 이루어 진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특히 지원 단체의 젠더 민감도가 높은 경우 전략적 젠더 요구가 효과적으로 충족되는 것으로 나타나났다. 그러나 전략적 젠더 요구 충족을 위한 접근이 시도되었다고 해서 이것이 바로 구조적이고도 근본적인 변화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오히려 부정적인 변화가 일어난 경우도 있었다. 또한 보다 구조적인 양성평등적 변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재난 복구 시기에서의 여성조직의 역할, 남성의 저항에 대한 대응, 트라우마 치료 등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양성평등 제고를 위한 내재적, 외재적 요인들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한국의 성인지적 재난관리정책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한국어 교재의 성차별적 요소 연구

        이금영 어문연구학회 2023 어문연구 Vol.116 No.-

        This paper analyzed gender discriminatory factor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order to develop more desirable Korean textbooks in which the values of gender equality and diversity are respected from the perspectiv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o this end, a total of 40 textbooks in 3 type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including <Sejong Korean>(2022) were analyzed for language materials and visual materials such as illustrations and photos in the textbooks, and what gender-discrimination factors appeared by textbook and lev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men and women were generally balanced in the frequency of characters and the number of utterance sentences in the dialogue, except for the advanced level of male-oriented <Yonsei University> textbooks. However, there was a different imbalance depending on the textbook or level in the frequency of gender conversations, and in the frequency of initiating & leading conversation. In the dialogues, all three types of Korean textbooks did not consistently show typical differences in male and female speech act described in previous studies, but it was confirmed that some speech acts of men and women were not balanced by level. In terms of conversation topics,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textbooks revealed gender stereotypes and imbalances by showing differences in conversation topics between men and women. However,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textbooks did not show such standardized differences, but showed an imbalance centered on female speakers in most topics. The <Yonsei University> textbooks showed typical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in topics related to ‘social’, but women were biased in topics related to ‘individual’. In the analysis of gender occupations and activity types, typical gender stereotypes and imbalances were also confirmed. The gender occupation and activity types were classified into 12 categories each. Imbalance and gender stereotypes were observed, with differences ranging from approximately 1.5 to 14 times in 6 categories for gender occupation and 6 categories for gender activity types of <Korean Language Institute>, 9 and 10 categorie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12 and 11 categories of <Yonsei University>, respectively. In addition, other typical gender stereotypes and gender -separated thinking were confirmed, such as the standardized expressions of men and women's characteristics, appearance- oriented expressions for women, representation or invisualization of either gender, and cosmetic discrimination. Such gender discrimination elements of Korean textbooks are a kind of potential curriculum that allows foreign learners to unconsciously learn such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against men and women. Therefore, for gender-equ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present equal and balanced data that does not reveal gender discriminat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void a mindset that separates men and women, contrast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to prevent the representation, visualization, and subordination of either man or woman. Instead, we should aim for a gender-neutral approach that embrace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diversity. 이 논문은 세계 시민 교육의 관점에서 양성평등과 다양성의 가치가 존중되는 보다 바람직한 한국어 교재의 개발을 위해 한국어 교재에 나타나는 성차별적 요소를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세종 한국어 (2022) 등 3종의 교재 총 40권을 대상으로 교재 내 모든 언어 자료와 삽화, 사진 등의 시각적 자료를 분석하여, 교재별 그리고 등급별로 어떠한 성차별적 요소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화문에서의 성별 등장인물의 빈도 및 발화 문장 수는 남성 편중의 <연세대> 고급을 제외하고 대체로 남녀가 균형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성별 대화문 빈도와 대화 개시 및 주도 양상에서는 교재나 등급에 따라 다르게 불균형이 나타났다. 대화문의 화행에서는 세 교재 모두 선행 연구에서 기술된 전형적인 남녀 화행상의 차이가 일관되게 나타나지는 않지만, 등급별로 일부 남녀의 화행이 균형 있게 구성되지 못한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화문의 주제에서는 <서울대> 교재가 가장 정형화된 남녀 간 대화 주제의 차이를 보여 성 고정 관념과 불균형을 드러낸 데 비해, <국어원> 교재는 그러한 정형화된 차이를 보이지는 않지만, 대부분의 주제에서 여성 화자에 편중된 불균형을 보였다. <연세대> 교재는 ‘사회’ 관련 주제에서는 전형적인 남녀 간의 차이를 보였지만, ‘개인’ 관련 주제의 ‘남-우세’ 주제에서는 여성 편중 현상을 보였다. 또한 성별 직업 및 활동 유형을 각각 12개로 분류하여 그 빈도 차이를 분석하였는데 <국어원>은 각각 6개, <서울대>는 9개와 10개, <연세대>는 12개와 11개 유형에서 약 1.5~14배의 차이를 보이는 불균형과 성 고정 관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밖에도 정형화된 남녀의 특성 표현이나 여성의 외모 중시 표현, 남녀 한 성의 대표화나 비가시화 양상, 겉 포장적 차별 등 전형적인 성 고정 관념과 성 분리적 사고를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불교신자의 성평등의식에 관한 성별 분석 - 종교적 영역을 중심으로 -

        옥복연 한국불교학회 2011 韓國佛敎學 Vol.59 No.-

        This study analyzes the reality of gender-equality consciousness between buddhist men and women, especially in the religious area. Using the data from a Survey of Buddhist Gender-Equality Consciousness conducted on 1,589 buddhists throughout the Jogejong temples from August to September, 2010. The study focuses on the sexual discrimination during the religious life, Buddhist teachings(dharma), gender-equality policy, and Jogejong order's law. Also the study focuses on the gender-equality education to understand how many buddhists are interested in the gender-equality, and search for the method of overcome sexual discrimination. Many buddhists believed that dharma does teach gender-equality and that it helps to have such behavior. In the Jogejong order's law area, most buddhist were agreed that the prohibition of bikuni's head of Jogejong's central organization(Chongmuwon), a Representative of the main branch temples, and the regulation of sexual ratio in the central meeting(Jongwhi) are gender-inequality. Therefore, both men and women were agreed that these sex-discriminative law should be amended.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most frequent type of sex discrimination was the use of crude language only to women. In the policy area, the lack of women leaders in Chongmuwon is an example of sex discrimination, and Jogejong leaders and Buddhist men should recognize women's ability based on the Buddhist doctrine. Generally, men experienced the education for gender -equality more than women, and it indeed helped them. Since then, more people intended to take the gender- equality education. People also said that in order to have the gender-equality spread throughout the religion, the buddhist people must have the gender-equal behavior,and that the monks and the leaders must be the examples. In conclusion, buddhists recognize that the Buddha is not represented as a misogynist, but buddhist traditions and a monastic order make androcentric text and context. Therefore, Buddhist should not discriminate against women, and that gender is an irrelevant category in the spiritual life. 이 논문은 종교영역에서의 남녀 불교신자의 성평등의식의 실태와 성별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2010년 전국의 조계종소속 사찰에서 신행활동을 하는 남녀불자 1,589명을 대상으로 한 ‘불교신자의 성평등의식실태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종교 영역에서의 성평등 실태와 성평등의식의 확산을 위한 불교계의 앞으로의 과제를 살펴보았다. 많은 불자들이 불교 교리가 성평등을 가르치며, 성평등한 생활태도를갖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는데, 특히 여성에 비해 남성이 교리가 성평등하다는 응답이 더 많았다. 하지만 조계종 종헌종법상 비구니스님의 총무원장/본사주지 불가/중앙종회의 비구 71명 및 비구니10명의 성비 규정등은 성차별이라는 응답이 압도적이었다. 불교계에 여성리더의 부족은 능력보다 남성을 우선시하기 때문이며, 수행과정에서 경험한 성차별 중 가장많은 유형은 여성에게만 반말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성평등교육 경험은 남성이 여성보다 많이 경험했고, 교육 경험자가 교리적 성평등의식이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성평등 확산을 위한 과제로 일반 신도들이 스스로 남녀 평등한 생활태도를 가져야 하며, 스님을 포함한 교계 지도자가 남녀평등의 모범을 보여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 KCI등재

        젠더전환수술과 성별 변경

        음선필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홍익법학 Vol.21 No.2

        Today, gender transitoning (transgender) is one of very important legal isues inKorean society. A legal isue directly related to it is the change of name and legalsex (legal gender). There is curently no law governing gender change of those whowant it through a gender(sex) reasignment surgery. Acording to the SupremeCourt's rule revised on February 21, 2020, gender transitoning wil be posiblewithout a genital reconstruction surgery. The revised rule, in efect, greatly expandsthe discretion of individual courts to alow gender change. As a result, theuniformity and consistency of the court decisions could be greatly undermined. Therefore, there is a great ned for the legislation concerning legal sex change forwhich a gender reasignment surgery is required as a requisite. Legal sex changewithout botom surgery has numerous social problems. This inevitably negates thegender binary of men and women, and recognizes not only “third gender” but alsovarious genders. So it wil bring about the fundamental chaos of the nationalidentiy system and the huge disruption of legal order. In conclusion, the changeof legal sex may be permited only in the case of gender transitoning in the narowmeaning by gender confirmment surgery in the narow meaning, i.e., by a genital reconstruction surgery, on the premise of the gender binary. 오늘날 젠더전환은 한국 사회에서 중요한 법적 쟁점의 하나이다. 젠더전환과 직접 관련한 법적 문제는 이름의 변경과 법적 성의 변경이다. 현재 젠더전환수술에 따른 성별 변경을규율하는 법률은 없다. 2020년 2월 21일 개정된 대법원의 사무처리지침에 따르면, 외부성기형성수술을 하지 않은 상태로도 성별 변경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개정된 사무처리지침은사실상 개별 법원에게 성별 변경을 허용하는 재량을 크게 넓혀줌으로써 법원결정의 통일성과 일관성을 크게 해칠 수 있다. 이로 말미암아 젠더전환수술에 따른 법적 성 변경에 관한 입법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었다. 성기변환 수술을 하지 않은 젠더전환은 실로 여러사회적 문제점을 안고 있다. 왜냐하면 이것으로 말미암아 필연적으로 남성-여성의 젠더이분법(gender binary)을 부정하며 제3의 젠더 뿐 아니라 다양한 젠더를 인정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는 협의의 젠더전환과는 전혀 다른 차원으로 국가신원제도의 근본적인 혼돈과법질서의 엄청난 혼란을 가져올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법적 성의 변경은 젠더이분법을전제로 하여 협의의 젠더전환수술에 따른 협의의 젠더전환의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허용되어야 한다.

      • KCI등재

        젠더평등원칙 확립을 위한 EU법의 구조와 특징 -젠더 스테레오타입 해소를 중심으로-

        채형복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22 江原法學 Vol.69 No.-

        Gender stereotypes are biased perceptions, preconceived notions or prejudices that people have about sex and sex roles. Sex and sex roles are gender, and biased perceptions, preconceived notions or prejudices about sex or gender are stereotypes. Gender stereotypes based on biased perceptions about sex or gender cause serious problems of discrimination and inequality between individuals and groups. The EU paid attention to the negative effects of gender stereotypes that justify discrimination and reinforce inequality from the beginning of the internal market. If the gender stereotypes are left unresolved, it will have a negative impact that hinders european integration. The establishment of the principle of gender equality eventually activates the function of the internal market and generates positive effects that expand and deepen integration. Considering these effects, the EU has established and implemented the 「Gender Equality Strategy 2020-2025」 from March 5, 2020. The Treaty of Lisbon and the Charter of Fundamental Rights of the EU require the guarantee of gender equality in all areas of EU activity. What is the reason that the EU has various provisions to realize a gender-equal Europe in the basic treaties? Because it does achieving gender equality between men and women according to changes in gender relations by eliminating traditional gender stereotypes. To realize the principle of gender equality, the EU has established and is operating the European Institute for Gender Equality (EIGE) as an independent organization. 젠더 스테레오타입이란 성, 성별 및 성역할 등에 대해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편향된 인식, 선입견, 편견 내지는 고정관념이라고 할 수 있다. 성, 성별, 성역할 등은 젠더이고, 성에 대한 편향된 인식, 선입견, 편견 내지는 고정관념은 스테레오타입이다. 성 혹은 젠더에 대한 편향된 고정관념에 바탕을 둔 젠더 스테레오타입은 개인과 개인, 개인과 집단, 집단과 집단 사이에 심각한 차별과 불평등의 문제를 야기한다. EU는 역내시장 초기부터 차별을 정당화하고, 불평등을 강화하는 젠더 스테레오타입이 가진 부정적 효과에 주목하였다. 만일 젠더 스테레오타입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 방치하면, 유럽통합을 저해하는 부정적 영향으로 작용한다. 젠더평등원칙의 확립은 결국 역내시장의 기능을 활성화하고, 통합을 확대·심화시키는 긍정적 효과를 발생시킨다. 이 점에 착안한 EU는 2020년 3월 5일부터 「젠더평등전략 2020-2025」을 수립하여 실시하고 있다. 리스본조약과 EU기본권헌장은 EU의 모든 활동 영역에서 남녀평등의 보장을 요구하고 있다. 리스본조약을 비롯한 기본조약에서 EU가 젠더평등유럽을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조항을 두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전통적인 젠더 고정관념을 철폐함으로써 젠더 관계의 변화에 따라 남성과 여성 간 성 평등을 달성하는 것이 유럽사회의 발전은 물론 미래세대에게 더 많은 혜택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젠더평등원칙을 실현하기 위하여 EU는 독립기구의 하나로 유럽젠더평등연구소를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