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회화 매체를 활용한 포스트모던 도예의 조형언어 연구

        김지혜(Kim, Ji-hye),이명순(Lee, Myung-soo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7 조형디자인연구 Vol.20 No.3

        포스트모던 도예의 한 유형으로 등장한 회화 매체를 활용한 조형언어의 연구로부터 도자 기벽에 대한 인식 변화와 더불어 다양한 회화적 표현기법을 도입한 결과였음을 도출할 수 있다. 그것은 다양한 성형기법, 장식기법과 아울러 소성기법에서의 발전과 무관하지 않지만, 예술 분야에서 회화를 필두로 한 포스트모던 미술 경향의 전개와도 결코 무관하지 않다. 특히 화가의 내면적인 이야 기를 내러티브 형식으로 형상화하는 경향을 수용하여 도예가도 기벽을 마치 회화의 캔버스와 같은 표현 매체로 인식하게 되면서부터 이제 도예에서도 탈장르 현상이 가속화되어 표현의 주제와 내용 또한 순수미술의 그것들과 크게 다르지 않게 되었다. 이러한 포스트모던 도예가 60년대 이후 펑크 도예(Funk), 슈퍼 오브제(Super Object)와 같은 표현형식으로 전개되면서부터 점토와 회화의 속성이 결합되는 다양한 유형들이 탄생했다. 따라서 포스트모던 도예에서의 장식기법은 그것이 더 이상 전통적인 의미에서의 장식성이 아니라 작가 심상의 주체적 표현 공간으로 변모하게 된 것이다. 본 논문에서 포스트모던 도예에서 활용된 회화 매체로서의 조형언어를 크게 두 유형으로 분류했 다. 하나는 도예 작품의 기벽에 회화적 표현 요소로서 드로잉(drawing), 페인팅(painting), 전사기 법(printing technique), 문양(pattern) 등을 활용한 포스트모던 도예이며, 다른 하나는 다양한 점토 매체에 문양, 일러스트(illustration) 등을 구사한 도자 오브제와 표현 공간의 확장, 그리고 해체와 결합으로 전개되는 하이브리드(hybrid)형 포스트모던 도예이다. 이러한 분류를 통하여 알 수 있듯이 점토 매체와 회화적 기법을 활용해온 포스트모던 도예는 전통적 장식에서 회화적, 입체적 조형으로 변모되었다. 그리고 도예가의 작가적 심상을 다양하게 구현하는 표현영역으로 정착되었음은 물론이고 관람자와의 교감도 확대되는 등의 조형언어로의 인식 전환도 가능해진 것이다. From a study on the formative language using painterly medium that appeared as a type of postmodern ceramics, we can induce that it is a result of introduction of various painterly rendering techniques as well as a change in recognition of the porcelain’s surface. It is not irrelevant not only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formation, decoration and firing techniques, but also a spread of postmodern art tendencies which first began with the painting in the field of arts. In particular, the ceramists, introduced a tendency to visualize the painter’s inner stories with a narrative form, also began to recognize the porcelain’s surface as a rendering medium as if a canvas in the painting, and nowadays there accelerated a phenomenon of genre deconstruction in the ceramics, and thus it did not become largely different with them of pure art in the realms of theme and content of the expression. As soon as postmodern ceramics as such became to be developed into the expression forms as the Funk and Super object since the 1960s, there created various types that combine with the properties of clay and painting. Thus the decoration technique in postmodern ceramics is no longer a decoration from the meaning of tradition, but is transformed into a subjective expression space of a ceramist’s imagery. In this paper, I largely divided the formative language as painterly medium used postmodern ceramics into two. One is a postmodern ceramics which used drawing, painting, printing technique, pattern etc. as expression element on the porcelain’s surface, and another is a postmodern ceramics of hybrid-form which introduced the expansion, deconstruction and combination of ceramic object and expression space that attempted the pattern, illustration, etc. on various clay medium. As known from this division, the postmodern ceramics using clay medium and painterly technique was transformed from traditional decoration into painterly, plastic formation. And it was settled downed as an expression realm to variously represent the ceramist’s inner imagery, and at the same time was possible for a change in recognition as a formative language like an expansion of communication with the spectator.

      • KCI등재

        재료와 매체로서의 색태토도자조형 연구

        윤경혜(Youn Kyong hey)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7 조형디자인연구 Vol.20 No.1

        현대 도자공예에서는 색채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태토를 새로운 관점으로 수차례 논의한 바 있지만, 이에 대한 해석은 아직 그 사례가 적은 편이다. 특히 색태토는 연리문이나 장식 등에서 소극적으로 사용되어 주도적 매체로서 가치와 활용 사례는 찾아보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색태토의 재료적 측면에서 확장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표현 매체로서 가치를 실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이론적 근거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색태토가 가진 특성에 대해서는 『도자예술의 새로운 시각』의 논지와 레오포드 폴름과 피터 도머 그리고 아서 단토 의 주장, 빅터 로웬펠드의 연구를 바탕으로 고찰하였다. 제작과정의 반복에 대한 의의는 질 들뢰즈의 연구를 철학적 기반으로 이해하였다. 색태토의 색채는 먼셀과 캐롤 잭슨의 연구를 비교함으로써 그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재료와 매체로서의 색태토도자조형을 규명하기위해 연구자의 작품을 분석하였다. 색태토는 도예성을 지닌 재료로써 이에 대한 암묵적 지식에 의한 사고와 행위의 통합을 인지하여야 색태토도자조형의 제작이 가능하다. 제작 과정을 통해 생성된 기술의 발전은 숙련의 에너지로 치환할 수 있다. 촉각에 의해 형성된 저채도의 부드러운 색감과 다양한 질감의 색태토는 자아가 투영되어 내면의 미묘한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매체로 활용이 가능하다. 이를 이용한 단위형태의 집적, 비정형적 조합 등에 의한 집합은 규모의 확대와 이미지의 전달력을 상승시킬 수 있었다. 더불어 타 재료와의 연계는 재료적 표현 범위의 확장과 매체로써 능력을 보완, 강조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형성된 다양한 색상과 질감의 색태토는 경험에 의한 사상과 감정이 이입되어 조형물로 시각화되었다. 이로써 색태토도자조형은 색상과 질감을 지닌 도예성을 지닌 재료이자 본연의 발색으로 자아의 내면을 표출하는 데 적합한 매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clay and color of ceramics have been handled from new perspectives, as the universal concept of ceramics changes into contemporary ceramic art. Within such a change, clay has been constantly discussed from a formal and a conceptual aspect, although studies on color are still few. In particular, Colored Clay is used only passively in Yeollimun or decorations, and examples and values as a leading medium are difficult to find. Therefore, the study reconfirms the value of Colored Clay, and attempts to secure the following theoretical basis to substantiate its potential from a formative aspect. The study was based on the study of 『The new aspects of ceramics』 and the study of Leopold Foulem, Peter Dormer and Arthur Danto, Victor Lowenfeld s research. The significance of the repetition process was understood by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Gilles Deleuze. The color of the colored clay is attributed to the uniqueness of ceramic art. 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Munsell and Carol Jackson s research, it confirmed the differences. Based on this, they analyzed the works pieces to identify Colored clay formative ceramics as Material and Media Colored Clay is a material that has ceramicness. It is possible to fabricate Colored clay formative ceramics by recognizing the integration of thought and action by tacit knowledge.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created in this iterative process can be replaced with the energy of the skilled. Colored Clay of the soft color of saturation and various textures formed by the tactile sense can be utilized as a medium to express the subtle emotions of the inner self projected by the self. The combination of the unit type and the atypical combination using this can increase the scale and the image transfer ability. In addition, the linkage with other materials was able to expand the range of material expression and to supplement and emphasize the ability as a medium. Various colors and textures of the colors and textures formed by this colored clay were visualized by experience and emotion. As a result,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olored clay formative ceramics is a material having ceramicness having color and texture, and it is a suitable medium for expressing the inner surface of the self by its original coloring.

      • KCI등재

        문자를 활용한 현대도예의 표현 특성 연구

        맹욱재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0 조형디자인연구 Vol.23 No.3

        The letter media, which started to be adopted actively with the advent of conceptual art, has been used as new expression tool of art, expanded into various expressions, making the its significance as a formative medium increas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rength and possibility of letter express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using letters in contemporary ceramics. Chapter II researched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process of the media, called letters which enables the acceptance in art field. From the use of letters that began in the 20th century cubism to restricted acceptance in Dadaism and pop art, and the letter expression in the conceptual art. In addition, we will identify the process in which letters are adopted and used as a medium of formative expression in the history of ceramics which is transformed into a means of formative expression beyond the limits of the production of practical purposes. Chapter III analyzed expressions using characters seen in contemporary ceramic art since the 2000s. In the ways in which recent ceramic works adopt letters, letters are not only used as language as a function of conveying meaning, but also as a medium for connecting individuals and the public, and as a means of showing visual formativeness, and are being developed in various ways. This study classified, analyzed and organized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expression patterns shown in contemporary ceramic art into concept-oriented letter, letter as records, and formative letter. Through this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it is possible to consider the meaning and possibility of expression using letter whose importance has increased as a direct medium of contemporary ceramics. 개념미술의 등장과 함께 적극 수용된 문자 매체는 미술의 새로운 표현 수단으로서 사용되었고, 다양한 표현으로 확장되며 언어로서, 그리고 조형매체로서 차지하는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미술의 다양한 문자 표현과 더불어 현대 도예에서 문자를 활용한 표현을 비교, 분석하여 문자가 표현매체로서 갖는 특성과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Ⅱ장에서는 문자를 미술 분야에 사용하게 된 역사적 배경과 과정에 대하여 서술한다. 20세기 입체파에서 시작된 문자의 활용부터 다다이즘과 팝아트에서 제한적으로 수용된 문자, 주체적 표현요소로 활용하게 된 개념미술에서의 문자 표현을 알아본다. 그리고 실용적 목적의 제작이라는 한계를 벗어나 조형적 표현수단으로 변화되는 현대도예의 역사 속에서 문자가 수용되고 조형적 표현 매체로 활용되는 과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Ⅲ장에서는 2000년대 이후의 현대도예에서 문자를 활용한 표현들을 분석한다. 최근의 도예 작품들이 문자를 수용하는 방식들은 의미를 전달하는 기능으로서의 언어만이 아닌 개인과 대중을 연결하는 매개체로, 그리고 시각적 조형성을 보여주는 수단으로도 활용되며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다. 현대도예에서 보이는 다양한 표현 양상들은 개념중심의 문자, 기록중심의 문자, 조형중심의 문자로 특성을 분류하여 분석하고 정리하였다. 이러한 표현 특성에 따른 분류와 분석을 통하여 의미전달과 조형성 추구를 위한 문자 표현의 다양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현대도예의 직접적 표현매체로 중요성이 증가된 문자가 미술적 표현요소로서 갖는 가능성에 대하여 고찰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콘노 토모코(今野朋子)의 작품에 보이는 연리문(練理紋)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정현구,김현숙 한국도자학회 2023 한국도자학연구 Vol.20 No.2

        Yeonrimun (練理紋) is characterized by a unique pattern that comes from the difference in color of the clay by mixing different colors of clay. It has been used in the East and the West, starting with Egypt around 3,000 B.C., but due to the difference in shrinkage rate at different points, it did not form the mainstream until modern times. This study organizes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concepts of Yeonnimun ceramics, analyzes and describes various production techniques, and compares oriental characteristics of Korea, China, and Japan with Western characteristics. Japan's Yeonrimun, which started later than other regions, is creating a new realm as a modern ceramic thanks to its solid position in traditional crafts, Japan's Nerage is so well known that it is commonly used as a term for world ceramics. This study seeks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expression of modern ceramic art through the works of Tomoko Konno, a contemporary Japanese ceramic artist who expands the formativeness and philosophy of the work in addition to the pictorial elements of abstract and semi-abstract images appearing in Yeonrimun. expands the formative world of modern ceramic art in Korea It has its purpose. 연리문(練理紋)은 서로 다른 색의 소지를 섞어 소지의 색상 차이에서 오는 독특한 문양이 특징이다. 기원전 3,000년경 이집트를 시작으로 동양과 서양에서 사용되어 왔으나 각기 다른 소지의 수축률의 차이로 인해 근대까지 주류를 형성하지는 못했다. 본 연구는 연리문 도자의 이론적 고찰 및 개념을 정리하고 다양한 제작기법을 분석, 서술하여 한국을 비롯한 중국, 일본의 동양적 특징과 서양의 특징에 대해 비교 서술힌디. 다른 지역보다 늦게 시작한 일본의 연리문은 전통공예의 확고한 위치에 힘입어 현대도자로서의 새로운 영역을 만들어 가고 있어, 일본 네리아게(Neriage)는 세계도자용어로 통용될 만큼 인지도가 높다. 본 연구는 연리문에 나타나는 추상적, 반추상적 이미지의 회화적 요소에 더해 작품의 조형성과 철학까지 확장하고 있는 일본 현대도예작가 콘노 토모코(今野朋子)의 작품을 통해 현대도예의 표현의 확장가능성을 찾고 한국의 현대도예의 조형 세계를 넓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 KCI등재

        규방공예(閨房工藝)의 조형적 특징을 응용한 현대도예연구

        김미선,정진원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19 조형디자인연구 Vol.22 No.2

        The Gyubang, Korean women’s quarter of the Joseon Dynasty, although limiting was the mainstream tendency of Confucian philosophy for the female gender. This was a space restricted to females only. The craft works made in the gyubang spaces fulfilled creative needs and released energies of Korean women. What they created was unique with distinct character. The craft works were feminine in aesthetics with special traits. This study researches the circumstances confronted by Joseon dynasty femal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craft works of gyubang culture. The materials and techniques used at the time are researched to translate into clay as an artistic expression for creating new works. The concept behind gyubang craft works is studied to understand its significance and philosophy. The formative language applied to gyubang craft work is defined in terms of point, line, and plane. The diverse expressions in their craft based on these focal formative tendencies produced sewing methods, embroidery, pojagi(Korean patchwork). Contemporary ceramics is able to translate almost anything into clay. Here in this study, points are expressed by applying the sewing method, lines are based on embroidery, planes interpret Korean pojagi. Research for the study was conducted by examining both Korean and international artists. Through the study, it has been possible to understand traditional culture and the diversity it embraces to be applied to contemporary ceramics today. It is important to succeed tradition and history in order for further developments in the field of contemporary ceramics. Infinite possibilities can be suggested by studying the gyubang culture and its craft works. 규방공예는 조선시대 유교사상을 배경으로 나타난 특별한 공간인 규방을 배경으로 탄생하였다. 규방에서 만들어진 공예는 여성들만의 창조적 욕구와 특별한 감성을 바탕으로 그들만의 독특한 조형미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가족과 집안의 문화와 역사를 내포하고 있는 규방공예의 조형미를 통해 현대도예에서 보이는 다양한 표현을 이해 및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는 규방공예의 조형적 특징을 점, 선, 면으로 분류하였고, 이를 규방공예의 다양한 표현 및 전통적 기법인 침선, 자수, 조각보로 연계하여 현대도예의 표현 해석을 위한 모티브로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① 침선의 반복과 숙달의 결과물인 점의 연속을 통한 운동감(정소혜), 규칙적인 점의 심리적 연결성(룻 레일만), ② 자수의 선의 반복을 통한 면적 공간 형성(김선), 선의 규칙적 나열에 의한 입체감(박정홍), ③조각보의 면의 중첩을 통한 형의 형성(이기조), 면의 시각적 중첩에 의한 밀도 표현(웨인 힉비) 등 규방공예의 조형미를 각기 다른 방식으로 해석 가능한 작가들의 작품을 선별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는 민족에서 작게는 가족마다의 역사와 문화에 의해 생성된 독특한 의미와 감성 그리고 미감이 담긴 규방공예를 이해하고 분석했다. 이를 기반으로 한 조형적 접근을 통해 현대도예의 다양한 표현을 재해석하였다. 연구는 전통문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과 실험, 그리고 융합 등을 통해 새로운 표현 창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연조직 확대를 위한 필러: 재료적 관점

        신재호,박상수 한국조직공학과 재생의학회 2011 조직공학과 재생의학 Vol.8 No.1s

        Numerous biological and synthetic materials have been tried for soft tissue augmentation, including collagen,hyaluronic acid, and synthetic polymers such as polyacrylamide (PAAM), silicone, polymethylmethacrylate (PMMA), and poly-L-(lactic acid) (PLLA). Ceramic particles such as hydroxyapatite and tricalcium phosphate microbeads suspended in a polymeric gel have also been successfully employed as a semi-permanent filling agent. An ideal filler material, however, has yet to be developed that is non-allergenic and provides long-lasting filling effect without acute or delayed inflammatory reaction to the tissue. Biological fillers are generally safe as long as the long-term side-effects are concerned, but the volume augmentation effect is short and repeated treatment is necessary. The synthetic fillers with polymeric or ceramic origin are advantageous in that the durability of the filler particles in vivo are longer, compared to the biological fillers, but they often cause foreign-body granuloma formation.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llers developed so far are reviewed to provide insight into the ideal filler material with longevity and safety.

      • 평면도자조형의 추상표현 연구 : 작품사례를 중심으로

        구경모 ( Kyungmo Koo ) 이화여자대학교 도예연구소 2019 陶藝硏究 Vol.- No.28

        도예작품은 과거, 입체 위주의 작품이 주를 이루었다. 이는 도예의 시작이 공예라는 특성을 바탕으로 하며, 주로 실생활에서 쓰임이라는 화두로 접근했기 때문일 것이다. 미술사조의 흐름에도 여전히 입체작품이 주를 이루었던 이유도 흙이라는 물성의 특수성과 한계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입체나 설치작품을 구현해 내기에 적절했으며 평면작업에 대한 접근보다 상대적으로 수월했을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도예작가들의 작품들을 살펴보면 쉽게 알 수 있다. 그들은 입체나 설치작품을 위주로 하고 부분적으로 평면작품을 포함하는 정도였다. 그러나 재료의 발달과 연구를 통한 다양한 시도, 개념의 확장과 이를 바탕으로 구현된 기법연구는 평면작품을 더욱 풍성하게 만들어주었다. 이로 인해 구상적이거나 전통기법 위주의 표현이 주를 이루었던 과거 평면작품과는 달리 근래에 점차 추상적인 표현이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여러 작가들의 작품을 살펴보면 평면도자조형이라는 용어 속에는 평평한 캔버스 위에 ‘그림을 그리다’ 라는 전통적인 회화의 방식과는 달리 조형의 의미를 부각시킨 ‘그림을 만들다’라는 개념을 구현하고 있다. 또한 이 작품들은 평면작업의 한계를 장점으로 바꾸는 표현의 다양성을 나타내주고 있다. 가마의 공간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단위체들의 결합이나 조립, 태토에 수축과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온도조절과 신소재 함유 등과 같은 새로운 시도는 기존 미술 시장의 틀을 극복하는 흐름으로 볼 수 있었다. 20세기 이후 미술은 자본주의의 확장과 함께 시장성이 강조되면서 플랫폼의 한 형태로 미술경매라는 시장에 빠르게 퍼져나갔다. 여기서 역대 유명 미술품 판매순위라는 발표에서 회화라는 형식의 평면작품이 주를 이루었다. 입체작품은 자코메티 한사람뿐이었다. 이러한 흐름은 과거뿐 만아니라 현재에도 아트페어 등과 같은 장에서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작가의 생존경쟁이라는 흐름 속에서 설치나 영구성을 고려해 보았을 때 평면작품이라는 회화의 형식이 전통적으로 용이하기 때문이었다. 이에 평면도자조형이라는 여러 표현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연구와 시도를 통해 이루어낸 극복은 도예 영역이 동시대 미술의 흐름에 동조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앞으로 미술시장에서 살아남으려면 도예라는 영역에 대한 스스로의 고찰, 끊임없는 연구와 시도가 여전히 필수적이며 그 추이를 살펴 볼 일이다. Ceramic art work has featured a solid figure because it is nature of crafts that beginning of ceramics art has based on uses in the real life. Due to a property of clay which has not control over plane, the reason a solid art work or installation art work is the mainstream at the contemporary ceramics art trend is natural. This phenomenon is known in works of many ceramists with ease. They have mainly worked solid figures, who have partly worked plane works. However, it can make plane works plentiful that ceramists improve a feature of clay, make various experiments, extend concept and so on. With this flow, abstract expression of plane ceramics is more conspicious than figurative or traditional expression in recent years. Changing limitation of plane into merit, in concept of plane formative ceramics, above introduced ceramists have made so called ceramics paintings in formative sense, who have showed various expression other than painters have drew pictures on canvas in traditional painting way. To overcome spacial limit of kiln, as for plane ceramics, trials which made assembly or combination of units, a controlled temperature and containing new material which prevent clay from contraction, distortion can be considered as a flow to tear down barrier of art market. Meanwhile, after 20th Century art auction has rapidly spreaded as a platform owing to extension of capitalism and emphasis of marketability. At these auctions, paintings as traditional art form became a majority of sales rankings. This flow can easily be found in art fair at present as well as in the past because a form of plane painting is easily installed, has permanency and meets requirements of the struggle for existence. Despite various expressive constrains in plane formative ceramics, it is no doubt that ceramics accompanies the flow of contemporary art by studying and trying. To survive in art market from now on, it is essential that ceramists do careful consideration, self reflection, constant study and trial as well as watch how things progress.

      • KCI등재

        경덕진 현대 도자조소의 인물조형에 관한 연구

        장췬에이,임헌자 한국도자학회 2023 한국도자학연구 Vol.20 No.2

        Jingdezhen is a ceramic production area that has been developing for decades. It has a superior topography and technology, a number of pottery stitchers, an inclusive cultural environment and a culture accumulated over many decades. Since China left behind the upside-down opening, the modern ceramic sculpture art world in Jingdezhen has developed stiffly. Accordingly, the style of art was constantly interrupted, and the arts were also constantly developed. Jingdezhen's pottery also continued in the field of ceramic sculpture for a long time, and with the change of the times, the modern ceramic sculptor in Jingdezhen came to have various artistic qualities of formative art. In this paper, among the modern ceramic sculpture arts produced in Jingdezhen after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ative arts centered on figures were studied, and the changes in the formative arts were analyzed and classified. As a research method, by study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production methods of five representative works of Gyeongdeokjin Ceramic Sculpture Artists, the expression form and formativ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modern figure ceramic sculpture art were identified. Therefore, it is hoped that the exploration of figure formation in modern ceramic sculpture will serve as a cornerstone for continuing to explore new possibilities of modern ceramic sculpture in China. 경덕진은 수천 년의 발전을 이어온 도자 생산지로서 우월한 지리 조건과 기술이 뛰어난 도자 장인그리고 포용적인 예술 분위기 및 수천 년 동안 축적된 문화 소양을 보유하고 있다. 중국이 개혁개방정책을 시행한 이후부터 경덕진의 현대 도자조소 예술 분야는 신속한 발전을 이루었다. 이에 따라예술의 양식이 계속해서 혁신을 이루고 예술에 관한 사상도 끊임없이 발전하였다. 경덕진의도예가들도 도자조소 분야에 종사하면서 탐구를 이어왔고, 도자조소 예술작품은 시대의 변화와 함께경덕진의 현대 도자조소는 다양한 조형의 예술성을 지니게 되었다. 본문은 중국 개혁개방 이후에 경덕진에서 제작된 현대 도자조소 예술 가운데 인물을 중심으로 한조형의 특징을 연구하고 조형에 나타난 변화를 분석하여 분류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경덕진도자조소 예술가의 5인의 대표작품의 조형의 특징 및 제작 방법을 연구함으로써 현대 인물도자조소예술의 표현 형식과 조형의 변화와 특징을 파악하였다. 이에 현대 도자조소의 인물조형탐구가 중국의 현대 도자조소 조형의 새로운 가능성을 계속해서 모색할 수 있는 초석이 되기를바란다.

      • KCI등재

        한국 현대조형도자의 재현성과 표현성에 관한 연구

        이훈기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Korean sculptural ceramics in terms of reproducibility and expressiveness according to the degree of abstract approach and to identify their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subjects were selected from the artists who have lectured at universities since the 1980s and a number of Korean artists who won the Korean International Ceramic Biennal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work from the perspective of classical reproduction, expression concept, modern extension, and expression concept, Shin Sang-ho and Yeo Seon-gu's sculptures are interpreted as ‘Simulakr’ by Bodriyas, ‘Designation’ by Choi Kwang-jin, and ‘Denotation’ by Goodman. Meanwhile, the sculptural ceramic works by Jang Su-hong, Shin Kwang-seok, and Seo Byung-ho are analyzed as ‘Denotation, Metaphorical denotation’ by Goodman and ‘Designation, Exmaple’ by Choi Kwang-jin. Lastly, the ceramic sculptures of Kwon Oh-hoon and Lee Chun-bok were understood as ‘Example’ by Choi Gwang-jin and ‘Metaphorical denotation’ by Goodman.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sculptural ceramics in Korea can be divided into reproductive sculptural ceramics, expressive sculptural ceramics, and sculptural ceramics mixed with reproduction and expression depending on the degree of abstract approach. Reproductive sculpting ceramics are mainly used as motifs of visible objects, but the subjective intervention of writers is important, and some expressive sculpting ceramics, which are mainly used as motifs of non-visual objects, are included as visible objects. Visual and non-visual elements tended to be used equally as motifs in sculptural ceramics mixed with reproduction and expression. From a morphological perspective, the more reproducible to expressive implementation, the more likely the geometric tendency was to increase. 1970년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도예계에는 기능성이 배제된 조형도자가 활발히 제작되고있다. 본 연구는 한국 현대조형도자의 성격을 추상적 접근 정도에 따른 재현성과 표현성에 대한 관점으로 분석하여 그 성격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재현성과 표현성은 고전적 개념에 더해 현대의 확장된 개념을 적용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1980년대 이후 대학에서 교육한 작가와 ‘이천세계도자비엔날레’에서 수상한 국내 작가의 작품을 선정하였다. 연구작품을 고전적 재현, 표현개념과 현대의 확장된 재현, 표현개념의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 신상호와 여선구의 조형도자는 보드리야스의 ‘시뮬라크르’, 최광진의 ‘지칭’, 굿맨의 ‘지시’란 개념으로, 장수홍, 신광석, 서병호의 조형도자는 굿맨의 ‘지시, 은유적 예시’ 최광진의 ‘지칭, 예시’란 개념으로, 권오훈과 이춘복의 조형도자는 최광진의 ‘예시’, 굿맨의‘은유적 예시’적 성향을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의 현대조형도자의 성격은 추상적 접근 정도에따라 재현적 조형도자, 표현적 조형도자, 그리고 재현과 표현이 혼재하는 조형도자로 구분될 수 있는데, 재현적 조형도자는 주로 가시적 대상이 모티브로 사용되나 작가의 주관적 개입이 중시되며 일부표현적 성향을 내포하였고, 주로 비가시적 대상이 모티브로 사용되는 표현적 조형도자는 가시적 대상이 포함되어 일부 재현적 성향을 내포하였다. 재현과 표현이 혼재된 조형도자에는 가시적, 비가시적요소가 비등하게 모티브로 사용되는 경향을 보였다. 형태적 측면에서 보면 재현적에서 표현적으로 이행할수록 기하학적 성향이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작품에 담겨진 추상적 정서는 생명, 마음의 고향, 자연, 환생, 하늘, 신, 어머니, 기억, 목가적 정서, 바람, 빛, 경계 등의 동양적 성격이 주류를 이룬다,

      • KCI등재

        도자공예디자인 제작기법을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 연구 - 중등학교 교육을 중심으로 -

        박동욱 ( Park Dong Wook ),고정훈 ( Ko Jeong Hoon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1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7 No.-

        본 논문은 중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도자공예디자인 제작 기법을 활용한 교육적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도자공예디자인은 대상이 유아기의 어린 시기부터 수업이 가능하지만 전인교육이 절실히 필요한 중등학교 학생들에게 가장 적절한 수업이며 교육적으로도 가치가 있는 수업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교사의 역량과 학교 실험실습 기자재들의 부재로 인하여 원활하게 수업이 진행 되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전문 강사를 초빙하여 수업이 진행되는 경우가 상당히 많고 수업의 내용도 핸드페인팅 위주의 수업으로 진행 되는 경우가 많았다. 도자공예디자인의 다양한 제작 기법을 활용하여 수업이 진행 된다면 학생들의 창의적인 사고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을 것이다. 실제 수업에서 활용한 다양한 도자공예디자인 기법은 학생들에게 질 높은 수업을 제공 했고 학생들의 만족도도 높았다. 높은 인지발달로 이어지는 도자공예디자인은 흙의 물성을 이용하여 학생 내면의 세계를 조형 언어로의 표현이 가능하게 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도자공예디자인은 학생들이 작품을 제작하는 중간 과정에서 많은 집중력을 갖게 되며 이는 도자공예디자인의 특성이다. 학생들이 작품을 완성하고 난 뒤에는 성취감과 자존감을 느낄 수 있어 다양한 제작 기법을 활용한 창의적인 도자공예디자인 교육이 절실히 필요하다. 이를 통해 미래의 창의적인 인재를 양성하고 궁극적으로는 삶의 질을 높이는 교육의 바탕이 되기를 바란다. This paper aims to study educational methods using ceramic craft design production techniques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Ceramic craft design is the most appropriate class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who desperately need full-scale education, although the target can be taught from an early childhood. However, the reality is that classes are not proceeding smoothly due to the teacher's competence and the absence of school laboratory practice equipment. Therefore, classes were often conducted by inviting professional instructors, and the contents of the classes were often conducted with hand painting-oriented classes. Students' creative thinking skills can be maximized if classes are conducted using various production techniques of ceramic craft design. Various ceramic craft design techniques used in actual classes provided high-quality classes to students and students' satisfaction was high. Ceramic craft design, which leads to high cognitive development, provides an opportunity to express the inner world of students in formative language us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soil. Ceramic craft design has a lot of concentration in the middle of producing works by students, which can be said to be a characteristic of ceramic craft design. Students can feel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self-esteem after completing the work, so creative ceramic craft design education using various production techniques is urgently needed. Through this, we hope that it will be the basis for education that fosters creative talents in the future and ultimately improves the quality of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