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과차(five-fruit tea)의 추출시간에 따른 성분 변화

        유맹자 한국식품영양학회 1994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7 No.4

        우리나라 전통 음료의 품질 향상과 산업화를 위한 기초 실험으로 오과차의 추출 시간에 따른 성분을 분석하였다. 오과차의 추출 시간에 따른 산도는 30분인 경우 2.4%, 50분에 2.3%, 70분에 1.7%였으며, 고형분은 추출 시간에 따라 각각 0.22g, 0.31g, 0.41g 이었고, pH는 4.70, 4.85, 4.98로 약한 산성을 나타냈으며, 총당은 54.01㎎, 108.82㎎, 142.92㎎으로 추출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오과차의 유리당은 glucose, sucrose, fructose, maltose, xylose 5종이 확인되었는데 유리당의 총량은 각각 1.14㎎, 1.36㎎, 2.17㎎ 함유하긴 있었으며 이중 glucose, sucrose, fructose가 전체의 98.2%, 92.6%, 92.6%로 그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오과차의 추출물에서는 30분, 50분 추출시 valino, cystine을 제외한 16종의 아미노산이, 70분 추출시 cystlne을 제외한 17종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었다. 총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은 각각 84.94㎎, 99.67㎎, 120.40㎎으로 증가하였으며, serine, glutamic acid, threonine, proline, alanine의 5종 아미노산이 각각 94.5%, 93.6%, 94.7%로 대부분을 차지 하였다. 추출 시간에 따른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 비율의 변화는 threonine이 50분간 추출하였을 때 헌저한 감소를 가져왔고, glutamic acid가 추출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으며, proline은 50분 추출하였을 때 그 비율이 가장 높게 증가하였다.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ingredients of five-fruit tea depending on extraction time as a basic experiment for quality improvement and industrialization of traditional Korean beverage. According to extraction time, the acidity of the tea is 2.4% at 30 minutes, 2.3% at 50 minutes and 1.7% at 70 minutes, and soluble solid is 0.22g, 0.31g and 0.41g. The pH of five-fruit tea, which is 4.70, 4.85 and 4.98 at each time, and total sugar is 54.01㎎, 108.82㎎ and 142.92㎎ as extraction time increases. The total amount of free sugars is 1.14㎎, 1.36㎎ and 2.17㎎, and glucose, surcose and fructose which are 98.2%, 92.6% and 92.6% of the whole percentage occupy the most part of free sugars. The total free amino acids content increases to 84.94㎎, 99.67㎎ and 120.40㎎. The five kinds of amino acids like serine, glutamic acid, threonine, pro-line and alanine amount to 94.5%, 93.6% and 94.7% at all. The variation in the percentage of free amino acids content in accordance with extraction time is as follows : threonine, extracted for 50 minutes, is reduced considerably and glutamic acid decreases gradually as extraction time increases. When proline is extracted for 50 minutes, it's rate of increase is most high.

      • KCI등재

        『내경(內經)』과 『의학입문(醫學入門)』, 『동의보감(東醫寶鑑)』 에 나타난 식이(食餌)의 오미(五味)비교

        조학준 ( Hak Jun Jo ) 대한한의학원전학회(구 대한원전의사학회) 2010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Vol.23 No.6

        In order to setup the diet guideline of five grains, five meats, five fruits, and five vegetables for the diseases of five organs, I reviewed the their tastes by comparing 『Naekyeong』 with 『Euhakibmun』, 『Dongeuibogam』. ``Ma(麻)`` in 『Naekyeong』 means not a hemp, a ramie or a jute, but a sesame(胡麻;참깨). ``Maik(麥)`` in it means both a barley(大麥;보리) and a wheat(小麥;밀). ``Guak(藿)`` in it means bean leaves(콩잎), leaves of a red-bean(팥잎) or brown seaweed(海藻;미역). ``Gyu(葵)`` in 『Euhakibmun·Jangbujobun(臟腑條分)』 is a miswritten word for ``Welsh onion(蔥)`` caused by similarity of shape of word. Food of a salty taste according to five elemental arrangement in 『Naekyeong』 is really salty according to 『Euhakibmun』 and 『Dongeuibogam』. But a barley(大麥) and a wheat(小麥) of sour taste are bitter, a chicken of sour taste or hot taste is sweet, nonglutinous millet of sour taste is sweet, an apricot of bitter taste is hot, a sesame seed of sweet taste is sour, a nonglutinous rice of hot taste is sweet, and a horsemeat of hot taste is bitter according to them. There are two ways to recommend the food for diseases of five organs. One way is to promote or control the Qi(氣) of five organs according to 『Somun(素問)』 and 『Euhakibmun · Jangbujobun』, the other way is to build up the Yin(陰血) of five organs according to 『Yungchu(靈樞) · five tastes(五味)』. The two different ways are not contradictory to each other, but complement on the view point of their substances(體) or actions(用).

      • KCI등재

        자은대사 규기의 오종유식(五種唯識) 고찰

        박재용 한국불교학회 2020 韓國佛敎學 Vol.96 No.-

        Jaeun Kuiji (慈恩窺基, 632-682) categorized characteristics of Consciousness -Only Buddhism into five aspects in the Dasheng Fayuan Yilin Chang, and called them the Five Aspects of Consciousness-Only (五種唯識). This essay is a pedagogical examination of the Five Aspects of Consciousness-Only, which aims to show why Kuiji organized them as he did. The Five Aspects of Consciousness-Only Buddhism consist of objective conditions (境), interpretation of scripture (敎), principles (理), meditation and practice (行), and the fruit of Buddhahood (果). These five terms are not found in earlier Buddhist scriptures, and thus they can be considered as original terms defined by Kuiji. As for their respective meanings, the aspect of objective conditions express the logic of Yogâcāra perceiving external objects from a perspective that focuses on what is observed cognitively. The aspect of interpretation lists teachings of Consciousness-Only as shown in various scriptures, while the aspect of principles analyzes the doctrine of Consciousness-Only as shown in scriptures based on the logic of transformation (轉變). Practice deals with the method of contemplating and observing the logic of Consciousness-Only and the practices related to those teachings. Lastly, the fruit of Buddhahood explains wisdom and the hierarchy of practice as the result of contemplating and observing the logic of Consciousness-Only. Based on the discussions appearing in each of these five aspects, this study identifies key doctrines and further examines the background of Kuiji’s categorization of Yogâcāra teachings. The findings suggest that divisions within the structure of the ‘Triṃśikā-kārikā’ or ‘Ch'engwei-shih-jun’ were extended to the Five Aspects of Consciousness-Only by adding sections corresponding with ‘realization through teaching’ (敎證) and ‘realization through principle’ (理證) to cognitive objects (境), practice (行) and fruit (果). Kuiji particularl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objective conditions. Expanding the discourse in the Dasheng Fayuan Yilin Chang, he further supplemented the aspect of objective conditions into six gates (六門). By doing so, he presumably attempted to reaffirm the core teaching of Consciousness-Only Buddhism, which is that all phenomena are nothing but consciousness (萬法唯識). This was emphasized with an investigation into the denial of external objects (外境) from various points of view. 자은(慈恩)대사 규기(窺基)는 『대승법원의림장』에서 유식불교의 특징을 5가지 범주로 정리하여 오종유식(五種唯識)이라고 명명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오종유식을 교학적(敎學的)으로 고찰하여 그 성격을 규명하고, 규기가 5가지 범주로 정리한 이유를 밝히고자 하였다. 오종유식은 각각 경유식(境唯識), 교유식(敎唯識), 이유식(理唯識), 행유식(行唯識), 과유식(果唯識)으로서, 오종유식을 포함하여 각 용어는 기존의 경론에서는 찾아볼 수 없으므로 규기의 독창적 사유라고 볼 수 있다. 오종유식이 의미하는 바를 살펴보면, 경유식은 관찰되는 대상에 초점을 두는 관점으로 외부대상에 대한 유식의 이치를 밝히고 있다. 교유식에서는 여러 경론에 등장하는 유식교의를 정리한다. 이유식에서는 경전에 나타난 유식교리를 유식 전변(轉變)의 이치로 설명한다. 행유식이란 유식수행을 한다는 의미이며 유식의 이치를 수행을 통해 체득하는 방법에 대해 다룬다. 과유식이란 행유식을 통해 수행하여 과보로 얻는 지혜와 경지를 밝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오종유식의 각 유식에 나타나는 논의를 토대로, 핵심 교리를 파악하고 나아가 규기가 오종유식으로 유식교학을 나눈 배경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유식삼십송』 혹은 『성유식론』을 나누는 분과인 경(境)·행(行)·과(果)에 교증(敎證)과 이증(理證)에 해당하는 교유식과 이유식을 추가하여 5종유식으로 확장한 것임을 파악하였다. 또한 규기는 오종유식을 설하는 뒷부분에서 오종유식 중 첫 번째인 경유식에 대해 집착, 유루, 유위, 유정, 일체법, 외부대상 등 6가지 문[六門]로 재차 나누어 논의를 보충하고 있는데, 이것이 오종유식을 설한 이유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고찰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그 이유로써 대상을 대하는 중생의 유형에 따라 외경(外境)의 의미를 차별적으로 밝혀 ‘만법유식’이라고 하는 유식의 핵심교리를 재차 강조하고자 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 KCI등재

        장서각 소장본 『향약집성방』 향약식물 5부(초목과곡채) 목록화 및 북송대 『증류분초』 식물부와 비교 연구

        김일권(Kim, Il-gwon) 한국학중앙연구원 2020 장서각 Vol.0 No.43

        이 글은 국내 최우량 완질본으로 새로 부각된 장서각 소장본 『향약집성방』(인조11, 1633년 중간본, 훈련도감 소활자본, 藏J017341~4)의 판본가치를 주목하고, 「향약본초편」의 이른바 〈향약식물 5부〉(초목과곡채)에 대한 식물목록화를 수립하면서, 장서각본에 표기된 중간본(1633)의 향명표기를 전면 재검토하여 분석한 연구이다. 그간 선행연구는 우량본 없이 이런저런 여러 잔본을 합성한 채로 연구한 까닭에 향명표기가 일정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본 연구는 이를 일정 개선하는 연구의의가 있다. 5부 중 가장 분량이 많은 〈초부〉는 별도 연구로 수행하여 논문게재하였고(『장서각』 41, 2019), 본고는 그에 이어 나머지 4부(목과곡채)를 후속 연구하였고, 이 결과로서 본고 말미에 〈『향약집성방』 「향약본초편」 향약식물 5부(초목과곡채) 종합목록표〉를 수록할 수 있었다. 우선 수록항목에는 식물이 아닌 것도 포함되어 있어서 이를 분리하는 분류작업을 고찰하였고, 그 내역 결과는 제1 〈초부〉 179항 157종, 제2 〈목 부〉 79항 52종, 제3 〈과부〉 27항 27종, 제4 〈미곡부〉는 36항 24종, 제5 〈채부〉는 41항 40종이며, 총 362항 300종으로 추산되었고, 이 전체를 목록화하였다. 이들 목록에서 우리말 鄕稱(鄕名과 卽稱)을 재분류하면, 〈초부〉는 157종 중 97종(62%), 〈목부〉는 52종 중 23종(44%), 〈과부〉는 27종 중 8종(30%), 〈미곡부〉는 24종 중 9종(38%), 〈채부〉는 40종 중 28종(70%)에 매겨져 있었다. 전체로는 총 300종 중 165종(55%)에 이르므로 과반수 가량에 향칭을 매긴 상황이다. 이때 〈채부〉의 향칭비율이 가장 높아 당시 우리말 식물지식의 착근 정도가 매우 높았음을 보이고, 〈초부〉가 그 다음 높고, 〈과부〉와 〈미곡부〉는 가장 낮은 비율이어서, 15세기 세종시대 당시 우리말 향칭의 면모를 짐작케 한다. 이 향칭 분석 과정에서 〈목부〉 명칭의 혼동 상황이 종종 확인되었으며, 욱리인(산매자)과 곡약(조리참나무)은 반대로 된 경우이고, 유피(楡皮)는 느릅나무, 무이(蕪荑)는 느름나무로 재정의할 만하고, 안식향은 황칠나무, 오배자는 북나무로 대비할 만하다고 보았다. 〈과부〉의 순우리말 향명 중 이스랏(櫻桃), 오얏(李), 먿(柰), 가얌(榛子) 등의 표기법을 다시 활성화하는 문제를 제기하였고, 〈미곡부〉의 우리말 향칭은 불과 수수□(秫米), □동□(靑粱米), □보리(穬麥), 모밀(蕎麥)의 4종에 불과하였으며, 그외 출미(秫米)는 『향집』이 수수쌀, 『동의』는 찰기장쌀로 달리 불렸고, 광맥(穬麥)은 『향집』이 쌀보리, 『동의』는 것보리로 달리 불렀고, 찹쌀의 한자명이 『향집』은 도미(稻米), 『동의』는 나미(糯米)로 다르게 표기한 점 등을 검토하였다. 가장 높은 비율로 향칭이 매겨진 〈채부〉에서 『향집』 기준으로 동와(冬瓜), 겨자(芥), 고사리(蕨), 파(葱), 미나리(水斳), 가지(茄子) 등 12종에는 향칭이 없는 문제가 주목되었다. 또 구(韭)는 소불(蘇勃), 해(薤)는 부추(付菜)라 향명을 매겨 『동의보감』과 반대인 상황이었다. 또 상추(白苣)의 향명이 사라부로(斜羅夫老)인데 『동의보감』의 부루(萵苣)와 통한다 보였다. 덧붙여 향칭한 식물종이 『향약집성방』에 330종이던 것이 『동의보감』에서 459종으로 크게 150% 증가된 흐름을 검토하여, 조선초기와 중기 사이에 우리말 전통식물지식의 확장 국면을 담아내고자 하였다. 끝으로 북송대 『증류본초』가 『향약집성방』의 식물목록으로 수록된 문제를 비교하였고, 그 결과 〈초부〉는 449종 중 157종(35%), 〈목부〉는 262종 중 52종(20%), 〈과부〉는 53종 중 27종(51%), 〈미곡부〉는 48종 중 24종(50%), 〈채부〉는 65종 중 40종 (62%)을 수록하여, 가장 높은 비율이 〈채부〉 〈과부〉 〈미곡부〉에서, 가장 낮은 비율은〈목부〉와 〈초부〉에서 찾아졌다. 양자의 목록 순서가 동일하고, 내용 역시 부분 편집전재한 방식이어서, 조선초 향약식물지식의 성립과 전개에 북송대 식물학의 성취와 체계에 대해 향후 더욱 주목하여 심화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 전망되었다. This is an analytical examination of the vernacular names of plants appeared in Hyang’yak jipseongbang (Compilation of Native Korean Prescriptions, the second edition, 1633) of Jangseogak Archive. This edition is recognized for its invaluable quality in its print condition and containing the Native Plants in Five Classifications, namely Herb, Wood, Fruit, Grain, and Vegetables in the chapter Hyang’yak boncho ( Native Korean Prescriptions). Having established the catalog-making which provides a central reference, this study significantly improved upon the previous studies that dealt with the collection of scattered names from various sources. Following the Herb research (published in Jangseogak 41, 2019) the other four parts are now studied and resulted in the “Comprehensive List of the Five Classifications: Herb, Wood, Fruit, Grain, and Vegetables.” This includes respectively 179 examples in Herb, 79 in Wood, 27 in Fruit, 36 in Grain, and 41 in Vegetables thus to a total of 362 articles. Among these more than half (55%) is written in vernacular names, in which 70% of Vegetables, 62% of Herbs and lower percentages in Fruit and Grain names are included. This and various other indicatives reveal the aspects of vernacular naming during King Sejong period in the 15th century. Additionally, a comparison is made between Hyang’yak jipseongbang (1433) and Dong’eui bogam (Exemplar of Korean Medicine, 1610) which revealed a 150 % increase of vernacular names from 330 types to 459 types. It indicates the increase in the usage of traditional Korean names of plants, which occurred in the period between early Joson and mid Joseon. Finally regarding the establishment and spread of the knowledge of plants, Hyang’yak jipseongbang is compared to Jeongryuboncho of Northern Sung (960-1127) for further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