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주의 시학과 기독교적 인류애

        허혜정(Huh, Hye-jung) 한국비평문학회 2016 批評文學 Vol.- No.61

        양명문의 후기시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상황에서 본고는 양명문의 시집 『묵시록』과 『지구촌』 및 발굴된 시론과 미발표 수상집, 유고시 등을 통해 70년대 이후 그의 창작논리와 후기 시세계를 탐사해보았다. 그간에 양명문의 시론조차 온전히 발굴되지 않아 그의 창작논리가 규명되지 못하고 있었지만, 새로이 발굴된 시론에서 확인되는 바 ,그가 한국시단의 유형화된 창작을 극복하기 위해 ‘극시’의 이론화에 몰두하고 창작의 필요성을 역설했던 것은 매우 주목할 만한 주장이라 판단된다. 또한 양명문이 동서양의 우주론과 시의 음악성, 상징적 언어를 시적 탐구의 대상으로 삼았음도 주목을 요한다. 그는 21세기를 ‘우주시대’로 보고 자연과 우주의 생성원리를 담아낼 수 있는 서정시의 가능성을 실험했으며 이를 기독교적 신앙세계와 연결시킴으로써 그만의 독특한 시세계를 주조해낸다. 양명문의 우주시학은 그가 의식적으로 탐구했던 우주론, 한국의 역사와 전통, 기독적 사유가 어우러진 시적 인식의 소산이다. 그의 시는 ‘사랑의 원리’ 속에 서로가 연결되어 있는 기독교적 인류애에 기반해 분열과 대립의 경계들을 극복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민족’이나 ‘국가’가 중심축으로 작용하던 당대의 민중시같은 흐름과는 개성을 달리한다. 비록 양명문이 당대 시단의 주류에서 비껴나 있다 할지라도, 그의 후기시에 담겨 있는 독특한 실험성과 시적 비젼을 주목하는 것은, 한국 현대시의 깊이와 다양성을 재고할 기회를 마련해줄 수 있을 것이다. Since practically no studies have been done on Yang Myeong-mun’s later poetry, this thesis explores the logic of the poet’s poetic creation in the 1970s and later as well as his later poetry through his poetic collections of Apocalypse and Global Village, his newly discovered essays on poetic theory, an unpublished collection of essays, and his posthumous poems. Previously, with his essays on poetic theory not wholly discovered, the logic of his poetic creation wasn’t clarified. As is verified in his newly discovered essays on poetic theory, it is highly remarkable that the poet applied himself to theorizing ‘dramatic poetry’ in a bid to overcome typified creation among Korean poets and asserted the need for poetic creation.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Yang Myeong-mun took as the objects of his poetic exploration the cosmological theories of East and West and the symbolic language that can carry the principles of nature. Through the originary language like a child’s frist word, the poet experimented with the possibility of lyrical poetry that assimilates all human expressions including songs and gestures, and by linking it with the world of Christian faith, he forged his unique world of poetry. Yang Myeong-mun’s cosmic poetics is a product of a poetic perception that mixes the cosmologies that he consciously inquired into, the history and tradition of Korea, and Christian thinking. His poetry is distinguished from his contemporary trend instanced in people’s poetry in which ‘nation’ or ‘state’ served as the central axis, in that based on the Christian philanthropy which connects one another in ‘the principle of love’, it aimed to transcend the borderlines of division and opposition. Even though Yang Myeong-mun found himself outside the mainstream, focusing on the distinctive experimentality and poetic vision in his world of poetry will create an opportunity to reconsider the depth and diversity of modern Korean poetry.

      • 기독교 시 창작 방법 연구

        박일우 한남대학교 한남어문학회 2021 한남어문학 Vol.42 No.-

        본고는 기독교 시 창작을 위한 기독교 시에 대한 정의와 창작의 방법을 모색하려고 한다. 1784년 조선 기독교의 전래로부터 신문화의 기수로 등장 한 초기 기독교와 문학의 세계관은 각 시기마다 새로운 가치의 해석을 전 제하고 있다. 기독교 세계관의 가치와 해석은 근대 시기에서 도입된 근대화의 기치아 래 제국주의의 침략과 식민지의 억압, 이념과 전쟁의 격변하는 시기마다 새로운 문학장을 형성하고 시대적 변동에 발맞추어 가치와 해석을 새롭게 노정해왔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종교와 문학이 가지는 이질적인 요소와 더불어 공통의 과제를 함축한 관계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종교와 문학의 관계성은 새로운 종교사회적 대응의 시대적 가치와 해석을 요구한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 이러한 요구에 직면한 기독교 시 창작의 몇 가지 문제점을 유의 하면서 네 가지의 창작 방법론을 제시하려고 한다. 첫째는 가치단절의 문제 로 윤리적 체험이 결여된 심미적 향유가 가져오는 위험이며 둘째는 기독교 문학의 당위성을 오로지 호교론적 입장에서 찾음으로 문학을 도구화하는 오류이다. 셋째는 기독교 신앙의 가치를 물량적 세속의 가치로 전복한 기복 신앙적 영성의 문제이다. 이상의 기독교 시 창작의 영역에서 유의하여 신중 하게 배제하여야 할 문제들이다. 기독교 시 창작의 방법 연구에서는 네 가지 방법을 제시하였다. 첫째, 성서적 모티프를 활용한 창작 방법으로 박두진의 「돌베개, 야곱」 을 예시 로 들었다. 둘째는 작가의 경험이나 세상의 물음을 믿음으로 형상화한 창작 방법으로 성서의 진리를 독자에게 설교하는 형태가 아니라 삶의 진지한 물음을 신에게 구하는 태도이다. 여기에는 김춘수, 김현승의 작품을 예시로 들었다. 셋째 기독교의 가치(구원, 속죄, 영생, 사랑, 부활, 평화, 하나님 나 라, 공의)를 형상화한 창작방법은 김종삼의 「시인학교」, 「북치는 소년」 「 여름 성경학교」, 등을 예시로 들었으며, 넷째 기독교 영성(개인 영성과 사 회적 영성)을 형상화한 창작방법은 기형도, 「포도밭 묘지1」, 「빈 집」과 박 일우, 「기도」, 「솟대의 꿈」을 예시로 들었다. 이것은 물량적 성공의 신비주 의로 전락한 한국 기독교의 현실을 개혁할 새로운 영성의 각성을 요구하는 창작 방법이다. 이상의 기독교 시 창작의 유의점과 네 가지 창작 방법이 조금이나마 기독교적 세계관을 시 창작의 새로운 문학으로 승화되도록 하 는데 실마리를 얻었으면 한다. This paper seeks to find the definition and method of creation of Christian poetry for the creation of Christian poetry. The worldview of early Christianity and literature, which emerged as a new cultural rider from the tradition of Christianity in 1784, presupposes a new interpretation of values at each time. The values and interpretations of the Christian worldviews have formed new literary fields and “redefined values” and interpretations in line with the changing times of imperialism, colonial oppression, ideology and war under the banner of modernization introduced in the modern era. It show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literature, along with the heterogeneous elements, implies common tasks. This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literature demands the values and interpretations of the new religious and social response. This paper seeks to present four creative methodologies, noting some of the problems of creating Christian poetry in the face of these demands. The first is the risk of aesthetic enjoyment, which lacks ethical experience due to the problem of value disconnection, and the second is the error of instrumenting literature solely by finding the legitimacy of Christian literature from a sociological standpoint. Third, it is a matter of ups and downs religious spirituality that overthrew the values of Christian faith to the values of quantitative secularity. These are matters that should be carefully excluded from the area of creation of Christian poetry. The study of ways to create Christian poetry suggested four ways. First, Park Doo-jin's “stone pillow, Jacob” was used as an example of the creation method using biblical motifs. Second, it is not a form of preaching the truth of the Bible to readers through the writer's experience or creative methods that embody the world's questions through faith, but rather an attitude of asking God for serious questions of life. Examples include works by Kim Chun-soo and Kim Hyun-seung. Third, Kim Jong-sam's Poet School, Drumming Boys, Summer Bible School, and Kee-Hyung-do(individual spirituality and social spirituality) were used as examples of Christian values (redemption, atonement, eternal life, resurrection, peace, God's kingdom). This is a creative method that calls for the awakening of a new spirituality that will reform the reality of Korean Christianity, which has become a mysticism of volume success. I hope that the above-mentioned significance of Christian poetry creation and the four methods of creation will give you a clue to sublimating the Christian worldview into poetry literature

      • KCI등재

        沈能淑의 紀行詩 연구

        장효현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3 고전과 해석 Vol.15 No.-

        小楠沈能淑(1782∼1840)은 한문장편소설 <玉樹記>, 詩文集後吾知可, 백 과전서적인 雜錄文時를 남기고 있는데, 그동안의 연구는 한문장편소설 <玉樹 記>에 집중된 감이 있다. 이 글에서는 심능숙의 紀行詩의 특징적 양상을 살펴 보 았다. 심능숙 가문의 세습 봉토가 경기도 金浦에 있어, 심능숙은 일생의 상당 부분을 이 김포의 私邸에서 지내면서, 때로는 부친 沈允之의 任所를 따라 지방에 머물며 여러 지역을 여행하면서 史蹟趾에서 과거의 歷史에 대한 감회를 읊기도 하고 자신 의 호쾌한 기상을 표현하기도 하였다. 26세 때인 1807년에 지은 <登三角山白雲 臺>와 27세 때인 1808년에 지은 36韻의 <遊狎鷗亭>은 심능숙의 ‘豪爽不羈’한 기 상을 잘 보여준다. 심능숙은 사상적으로 매우 자유로운 脫俗의 태도를 보였으며, 특히 우리 민족 고 유의 사상으로서 맥을 이어 온 仙家에 지대한 관심을 기울여 많은 시와 산문에서 仙家에 대한 관심을 표출하였다. 1802년에 우리나라 仙家의 淵源이라 할 三郞의 遺跡을 직접 探訪한 후 시를 남기고 있는 바, 부친의 任所인 황해도 文化에 머물러 지내던 이 시기의 기행 시에는 심능숙의 仙家에 대한 관심이 도처에 엿보인다. 1803 년에 부친을 따라 任所인 전라도 古阜에 내려가 있을 때에 우리나라 仙家사상을 정비한 權克中의 유적을 살펴 보았고 그때 얻은 권극중의 參同契註解와 遺集을 아껴 보관하였다 하는데, 이 시기에 지어진 시에는 그의 仙家취향이 뚜렷이 드러 난다. 1800년 부친을 따라 그 任所인 황해도 文化에 내려가 있으면서 高麗王朝의 수 도였던 松京에서는 쇠망한 고려왕조의 역사를 반추하는 시들을 읊었고, 檀君의 神 蹟이 도처에 남아 있는 九月山에서는 檀君에 대한 감회를 시로 남겨 주었다. 1810 년에 김포의 私邸에 小楠軒을 지어 머물던 시기에, 端宗의 妃定順王后가 묻힌 思陵을 지나며, 또 단종의 비가 머물러 있으며 강원도 寧越에 유배 가 있는 단종을 東望峰에 올라 그리워했던 처소인 淨業院을 방문하고서, 그 비극적 역사에 대한 감회를 시로 남긴다. 정순왕후를 定順聖妃로 표현하며 舜임금을 따라 殉死한 二 妃에 비기는 데에서 심능숙의 節義觀을 엿볼 수 있다. 이로부터 10여년이 지난 뒤 인 1825~1829년의 시기에 梅月堂金時習의 유적을 방문한 자리에서 일련의 시를 통해 다시금 端宗의 비극적 역사에 결부되어 있는 生六臣매월당의 節義를 되새긴다. Simneungsook wrote Korean classical novel Oksoogi(玉樹記) in Chinese character, and hundreds of poems and proses in Chinese character. Various world of poems which was produced by Simneungsook, reflects the experiences of the poet. Especially Simneungsook wrote many travel poetry which was produced through his various experiences of journey. He expressed his intrepid spirit in travel poetry. And Simneungsook had the liberal acceptance of various ideas, especially had the interest in fairy-idea. He wrote many poems and concerning fairy-idea. Many poems which Simneungsook wrote reflect the interest in fairy-idea, so there are many motifs of fairy-idea in them. And Simneungsook expressed his deeply moved emotion in travel poetry, when he had a journey to the historical cites. Especially he expressed his faithful mind when he visited to tragical historic cites. Former some researcher produced the results about world of poems which was written by Simneungsook. But she takes it as only the products of poet's fun and joy. I emphasize, in this study, that many poems Simneungsook wrote reflect various experiences and deeply moved emotion of the poet.

      • KCI등재

        박두진 시인의 유년기와 시력(詩歷)의 상관성 연구

        박홍배(Park, Hong-Bae) 한국시학회 2018 한국시학연구 Vol.- No.54

        본 연구는 박두진의 유년시절의 의식이 박두진의 성장기는 물론이고 청년기와 장년기, 나아가 노년기에 이르기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관점을 보이고 있다. 박두진의 특수한 경험에 해당되는 유년기의 가난은 박두진을 좌절시키기보다는 오히려 박두진의 일생에 걸쳐 박두진을 곧고 강한 인물이 되도록 할 수 있었던 요인이 되었던 것이다. 물론 유년기의 불우했던 환경이 모든 이에게 긍정적인 방향으로 귀결되지는 않았을 것이나 박두진은 이러한 조건에 굴복한 것이 아니라 이를 딛고 자신의 인생을 개척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박두진의 강직하고도 자의식 강한 성품을 말해주는바, 본고를 통해 박두진의 유년기의 정신적 풍경을 살펴봄으로써 그의 어떠한 요인이 그의 삶을 바르고 곧은 길로 이끌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지독한 가난으로 잦은 이사를 다니면서 동네 아이들로부터 심한 따돌림으로 고통 받아야 했던 박두진에게 산과의 인연은 절대적인 요인으로 다가왔다. 가난의 고통과 텃세로 인해 죽음을 생각할 만큼 열등감에 시달렸던 박두진에게 산은 놀이 공간이자 안식처였고 구원의 지대였다. 또한 산은 박두진에게 하나의 공동체였고 삶의 터전이었다. 박두진은 온갖 생명이 생기가 넘쳐나는 산을 통해 자유와 평등과 사랑으로 공동체를 이루고 살아가는 모습을 보게 되었고 생의 의욕을 다지게 된다. 산을 오르내리면서 얻게 되었던 이러한 체험은 소년 박두진을 좌절로부터 일으켜 세움으로써 그의 이상과 의지와 꿈을 형성하게 한 계기가 되었다. 이는 박두진이 에릭슨이 말한 바 유아 남성성의 단계를 슬기롭게 겪음으로써 ‘유능함’의 삶의 과정을 거치게 되었음을 말해준다. 유년기 산에서의 체험에 힘입어 박두진은 인생의 매 시기 강건하고 올곧은 선택을 할 수 있었고 이는 박두진의 시력의 세 단계로 나타나게 되었다. 그것은 첫째 산에서의 행복했던 체험에 바탕을 둔 초기 자연시와 관련되며 둘째 산에서 발견한 공동체의 모습에 의지하여 중기에 보여주었던 사회참여시와 관련되고, 셋째 산에서 얻게 된 이상적 공간에 대한 감각에 따른 후기의 신앙시와 관련된다. 산에서 외로움과 고통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었던 박두진에게 산은 안식의 공간이었을 뿐만 아니라 이상적인 공동체였으며 바른 삶을 살 수 있도록 하는 안내자였던 것이다. 이는 산에서 겪었던 유년기의 체험이 그의 시력에 결정적인 영향력으로 작용했음을 말해준다. 즉 소년 박두진은 산을 오르내리면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고 이때 다져진 그의 굳은 의지는 박두진의 가슴에 화석처럼 쌓여 일생 동안 길잡이가 되었던 것이다. 박두진의 초기, 중기, 후기의 시들이 모두 변함없이 일관되게 강직하고도 완전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었던 것도 이러한 사정에 기인한다. This study shows that Park’s childhood consciousness influences Park’s growing years, youth, and even the first years of life. The childhood poverty, which is equivalent to Park Doo-Jin’s special experience, could have made Park Doo-Jin a straight and strong character over her lifetime rather than let Park Doo-Jin be frustrated. Of course, the poor childhood environment may not have resulted in a positive one for everyone, but Park Doo-Jin overcame these conditions to learn about it. It shows Park’s strong and self-conscious character, and reveals what factors led Park in his life to the mental landscape. For Park Doo-Jin, who had to suffer from severe bullying by local children after moving around a lot due to extreme poverty, the bond with the mountain has become an essential factor. For Park Doo-Jin, who suffered from poverty and inferiority complex that made him think about his death, the mountain was a playground, a haven, and a land of salvation. The mountain was also a community for Park Doo-Jin and a place to live. Park Doo-Jin saw all kinds of lives forming a community of freedom, equality and love through the lively mountain, and he became more passionate about his life. The experience, which was gained from climbing the mountain, helped raise the boy Park Doo-Jin from frustration, forming his ideals, will, and dreams. It tells us that Park Doo-Jin has gone through what Erickson calls the “capable” lifestyle process by going through the smart phase of infant manhood. Thanks to his experiences in the mountain, he was able to make strong, straight choices during each phase of his life, which appeared to be three stages of Park’s vision. First, it is related to the early natural poetry based on the mountain experience, second, it is associated with the social participation in the latter phase of the year, depending on the appearance of the community found. Third, it is related with the latter faithful poetry. For Park Doo-Jin, who was able to escape from loneliness and suffering in the mountain, it was not only a place of rest, but also an ideal community and a guide to a just life. It suggests that his childhood experiences in the mountain served as a decisive factor in his vision. The boy, Park Doo-Jin, came up with many thoughts as he traveled around the mountain, and his strong will was wrapped up in Park’s chest like a fossil, making him a guide throughout his life. It is also due to these circumstances that Park Doo-Jin’s early, mid-and-after and later-the-day poems could all be performed consistently and in a complete form.

      • KCI등재

        윤동주에게 영향을 준 기독교의 특징에 관한 연구 - 신앙과 실천의 관계를 중심으로 -

        이대성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49

        윤동주는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시인 중의 한 사람으로서 그에 관한 연구는 증가하는 추세이다. 대부분의 연구는 그가 기독교인이고 그의 시가 기독교적 이념을 담고 있다는 점을 중요하게 여긴다. 그러나 지금까지 대부분의 연구는 중요한 한 가지 한계를 갖고 있는데, 그것은 그 연구들이 윤동주에게 영향을 준 기독교가 어떤 것인지에 대해 정확한 분석을 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기독교가 윤동주에게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확인하는 데까지만 관심을 두었지, 그다음에 물어야 하는 더 중요한 질문, 즉 윤동주에게 영향을 준 기독교가 “어떤 기독교였나”에 대해서는 무관심했다. 특히 윤동주의 많은 시들은 신앙을 삶 속에서 어떻게 실천해야 할지 고민하는 가운데 써졌으므로 그가 어떤 유형의 신앙을 갖고 있었는지를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기독교는 다른 종교와 마찬가지로 구체적인 역사 속에서 구현되는 종교이므로 시대와 상황에 따라 다른 양상을 띨 수밖에 없고, 특히 윤동주가 살아왔던 시대는 서양의 기독교 역사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여러 독특한 유형의 신앙 형태가 형성되고 발전되는 시기였다. 윤동주가 경험했던 기독교를 백과사전에서 기술하는 일반적인 정의와 동일하다고 여기거나, 2016년 한국 기독교의 모습과 동일하다고 여기는 것은 모두 잘못이다. 윤동주에게 영향을 주었던 매우 특수한 유형의 기독교의 특성을 밝히고, 그 유형이 신앙과 실천의 관계에 대해 어떤 입장을 갖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은 윤동주의 시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전제조건이 된다. 본 연구는 실천신학, 조직신학, 교회사적 접근을 적용한 다학제적 관점에서 윤동주의 생애를 몇 시기로 나누어서 각 시기별로 그에게 영향을 준 기독교의 특징을 살펴보려고 한다. 이런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는 윤동주가 체득한 기독교는 일반화할 수 있는 보편적 이념이 아니라 한국의 근대사의 큰 흐름 속에서 수많은 우연한 요소들이 절묘하게 결합하여 이루어낸 매우 구체적이고 특수한 형태의 신앙 체험이라는 것을 밝히려고 한다. 그리고 윤동주의 시가 기독교적인 핵은 유지하면서 종교와 민족과 시대의 경계를 초월하여 두루 넓게 공감을 일으킬 수 있는 이유는 그가 체험한 다양한 형태의 기독교의 유형으로부터 자신만의 고유한 기독교상을 구성할 수 있었기 때문임을 밝히려 한다. Yun Dong-ju is one of the most favorite poets among Korean people. There is increasing academic interest in his life and his poetry. Most researches on Yun acknowledge that he is a Christian and his poems carry Christian ideals. They agree that Christianity has great influence on Yun. But most of these researches have one serious flaw: they don’t ask what types of Christianity influenced Yun. When we consider that many of Yun’s poems were written while he was struggling to apply his faith into practice in difficult situations, it is important to analyse various types of Christianity Yun encountered. Just as any other religions, Christianity is experienced in a specific historical context. The concrete ways how people meet Christianity are diverse. Particularly the time period of Yun’s life was filled with various types of Christian faith which cannot be found in any other places. If we rely on the definition of Christianity from a popular encyclopedia, or if we take today’s common view of Christianity, we cannot discern the profound influence of Christianity on Yun’s poems. We have to carefully examine what different kinds of Christianity influenced Yun in different stages of his growth as a poet and as a Christian. Particularly we have to pay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faith and practice. This study takes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incorporating the fields of Practical Theology, Systematic Theology, and Church History. Through this analysis, we will discover that Yun was exposed to diverse types of Christianity in his life. And we will argue that the greatness of Yun’s poetry comes from his ability to compose a unique image of Christianity from these various types. In this image, Yun could maintain the essential core of Christian faith while communicating with people from other religious, national, and historical backgrounds.

      • KCI등재

        시 번역의 난제와 번역의 공간 우리시 영어 번역의 몇가지 예에 기대어

        정은귀 영미문학연구회 2009 안과 밖 Vol.0 No.26

        Is it possible to translate poetry, especially Korean poetry, into English? Why are most translations of poetry considered transgression not translation? What is lost and found in literary translation? The problems of translating Korean poetry into English are two­fold: the words and meaning on the one hand, the rhythm, form, and flow on the other. Rethinking the problems of translating poetry from untranslatability to translatability,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of translation practice and criticism based upon personal experiences. Following my own trail as a translator­teacher­critic, this paper focuses on the process and importance of interpretation in translation and suggests the need to problematize and redefine faithfulness, transparency, readability, and creativity in poetry translation. My argument here is that firstly, when we translate Korean poetry into English, it is important not to erase ambiguities of the original text. Especially in poetry translation, readability sometimes clashes with faithfulness and creativity goes with faithfulness, not against it, betraying the general assumptions of translation. My second argument is that both translation and translation criticism need to be reconsidered as the ever­changing space of interpretation where real and imagined communities of understanding and evaluation participate in many different ways in the generation of new forms of texts, knowledge, new relationships to language and culture. Translation, in its nature, is destined to betray itself and wait for an alternative at the very moment of its birth. Literary translation is not exclusively about words, it is also a telling example of the way words and worlds can intersect, clash, and be recreated. In the process of analyzing translation practice, the matrix of translation culture is lightly touched and the questions concerning cultural identities and translation subjectivity are also entailed. Rethinking the space of translation as the site for active exchanges of ideas and ideology embedded in language, translation education as the positive process for literary criticism, comparative literature, and cultural interchange, this essay goes toward reclaiming literary translation as the space that finds, re­forms, and preserves works that might otherwise be lost.

      • KCI등재후보

        조지 허버트의 신앙과 모형시

        강엽 한국고전중세르네상스영문학회 2002 중세근세영문학 Vol.12 No.2

        George Herbert described his poetry as "a picture of the many spiritual Conflicts that have past betwixt God and my Soul, before I could subject mine to the will of Jesus My Master." He profited from every aspect of John Donne's style, but he always adapted it to his own temperament, and employed more than one hundred stanza forms, many of them extremely complicated. In "Easter Wings" and "The Altar" Herbert made the poems visual hieroglyphs to create them in a shape which formed an immediately apparent image relevant both to content and structure, whereas in "Aaron," "The Church-floore," and "Paradise" the patterns are valuable as contents, that is, they are used as the objects which crystallize the meanings of the poems, and the poems could be constructed as formal hieroglyphs which mirror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natural hieroglyphs, the poems, and the individual's life. Finally in "The Collar" Herbert ventured in hieroglyphic form. The object of imitation is the disordered life of self-will. He has given a formalized picture of chaos in the elaborate anarchy of the patterns of measure and rhyme. But the poetry of Herbert is so intimately bound up with his faith as a Christian and his practice as a priest that those who want to enjoy the poetry without sharing his faith may well feel some presumption in attempting to define the human, as distinguished from the specifically Christian, value of his work.

      • KCI우수등재

        The Foreignness of Language and Literary Translation—A Retrospective Essay on Reaching the Age of 80

        안선재 한국영어영문학회 2022 영어 영문학 Vol.68 No.1

        This essay revisits a few of the main ideas which the author has formulated regarding the translation of Korean poetry during the more than thirty years in which he has been active as a translator. In an article published in 1996, he stressed the difference existing between any Korean poem and its English translations, due not only to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but above all to the need to produce a translation which has maximal poetic quality in English. He stressed the tension existing between “accuracy” and “readability” and the need to prioritize the latter over the former. He ends by echoing Walter Benjamin and Paul Ricoeur on the impossibility of a “perfect” translation. In a second part, he summarizes the ideas he developed in an unpublished 2016 lecture, illustrated by examples from translations of a poet such as Kim Soo-Bok. Here he also stress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freedom enjoyed by a translator, who is always obliged to refer to the original poem, and the poet who freely creates the original poem without reference to anything previously existing. He then contrasts his own position with the extremely literal translations demanded by Brodsky and Nabokov. After briefly surveying the challenges presented by a number of the poets he has translated, some of whose works seem to defy translation completely, he concludes with a longer review of his recent work on poems by Sin Yong-mok, to illustrate his attempts to transform fine Korean poetry into English poetry that will be effective in its new world, while remaining faithful to its original.

      • 정지용 시에 나타난 내면의식 변모

        여진숙 한남대학교 한남어문학회 2022 한남어문학 Vol.43 No.-

        이 글은 정지용의 시세계에 나타난 내면의식의 변모 과정을 살펴보는 것에 의미를 두 었다. 초기 시에서 정지용은 이미지즘의 시를 추구하여 상실에서 오는 그리움과 애도를 감각적인 언어로 그렸다. 중기 시에서는 부재하는 것에 대한 그리움과 애도를 극복의 의지로 미화하였다. 고통에 대하여 객관화시키며 미화하는 신앙시의 단계로 넘어오면서 시적 거리는 가까워지고 시적 자아가 강건해졌음을 보인다. 정지용의 후기 시는 시인의 시의식이 내적, 외적으로 크게 변모하여 이전의 시에서 거의 다루지 않았던 山水를 대상 으로 시의 중심이 옮겨간 시기였다. 바다에서 산으로의 시선의 이동은 현실 인식과 내면 의식의 변화에도 관련이 있다. 자연에서 자아는 무욕청정의 세계에 귀의하려 하며 그 속 에서 인생을 관조하기도 한다. 정지용 시에 나타나는 자아와 타자의 관계는 서로 관계 되고 의존적이며 우주적인 영역으로 확장되어 나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article was meaningful in examining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inner consciousness that appeared in the poetic world of Jeong Ji-yong. In his early poetry, Jeong Ji-yong pursued the poetry of imageism and portrayed the longing and mourning that comes from loss in sensuous language. In the mid-century poetry, longing and mourning for absence are glorified as a will to overcome. Moving on to the stage of religious poetry that objectifies and glorifies suffering, the poetic distance is getting closer and the poetic self has become stronger. Jeong Ji-yong’s late poetry was a period in which the poet’s poetic consciousness was greatly changed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and the center of poetry shifted toward mountains and waters, which were rarely dealt with in previous poems. The movement of the gaze from the sea to the mountain is also related to the change of perception of reality and inner consciousness. In nature, the ego tries to return to the world of innocence and purity, and contemplates life in it. It can be seen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 and the other, which appears in Jeong Ji-yong’s poems, is related, dependent, and extended to the cosmic realm.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