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과학분야 :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신체이미지가 자아존중감 및 무용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강은주 ( Eun Ju Kang ),김정수 ( Jung Soo Kim ),이미영 ( Mi Young Lee ),이민기 ( Min Ki Lee ),오진숙 ( Jin Sook Oh ) 한국무용과학회 2014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1 No.1

        이 연구는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신체이미지가 자아존중감 및 무용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 대전, 경기, 충남, 충북에 위치한 예술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443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일원분산분석과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경로분석을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개인적 특성 중 성, 무용경력, 공연 횟수에 따라 자아존중감과 무용수행능력은 차이가 있었다. 둘째, 신체이미지에 따른 자아존중감에서 신체매력은 긍정적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체중관심과 외모무관심은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긍정적 자아존중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신체이미지에 따른 무용수행능력에서 외모관심은 무용수행성취와 무용수행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신체매력은 무용수행성취, 무용수행집중, 무용수행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모무관심은 무용수행집중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무용수행자신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자아존중감에 따른 무용수행능력에서 긍정적 자아존중감은 무용수행성취, 무용수행집중, 무용수행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부정적 자아존중감은 무용수행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 무용수행능력 간에는 인과적 관계가 있었다. 위 결과를 종합해보면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신체이미지는 무용수행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아존중감을 통해 무용수행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body image on self-esteem and dance performance ability of art high 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Using a purposive sampling method and the questionnaire based on previous study, 443 students majoring in dance were selected from art high schools in Seoul, Daejeon, Kyung-gi, Chung-nam and Chung-buk Province. The method of the statistical analysis used in this study were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gender, dance career and performance frequency of person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steem and dance performance ability. Second, the body image of art high school students influenced on self-esteem significantly. Physical attractiveness influenced on positive self-esteem and it also negatively influenced on negative self-esteem. Concern of weight and unconcern of appearance influenced on negative self-esteem and they also negatively influenced on positive self-esteem. Third, body image influenced on dance performance ability significantly. Concern of appearance influenced on achievement and confidence of dance performance ability. Physical attractiveness influenced on achievement, concentration and confidence of dance performance ability. Unconcern of appearance influenced on concentration of dance performance and it also negatively influenced on confidence of dance performance. Forth, self-esteem influenced on dance performance ability significantly. Positive self-esteem influenced on achievement, concentration and confidence of dance performance. Negative self-esteem influenced on achievement of dance performance ability. Fifth, there were causal relationship among body image, self-esteem and dance performance ability. To sum up the above results, body image of art high 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influenced on dance performance ability directly. Also, body image had positively indirect influence on dance performance ability through self-esteem.

      • KCI등재

        무용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무용교수행동유형이 지도자 신뢰 및 무용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혜정(Hye Jeong Kim),박혜은(Hye Eun Park) 한국무용과학회 2010 한국무용과학회지 Vol.22 No.-

        이 연구는 무용전공대학생이 지각한 교수행동유형이 지도자신뢰 및 무용수행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무용전공 대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유의표집방법을 사용하여 총 280부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 중 분석 가능한 자료를 가지고 SPSS 12.0을 이용하여 ANOVA,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경험특성에 따라 지도자 신뢰와 무용수행능력에는 차이가 있다. 즉, 참가시간과 빈도, 공연횟수가 많을수록 지도자신뢰와 무용수행능력이 높다. 또한 무용 참가경력이 많을수록 무용수행능력이 높다. 둘째, 지도자행동유형은 지도자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지도자가 연습과 지시행동, 민주적 행동, 사회적지지행동을 보일수록 학생들은 지도자의 성실과 능력을 높게 평가하며, 지도자가 권위적 행동을 보일수록 지도자 신뢰가 낮다. 셋째, 지도자행동유형은 무용수행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즉, 연습과 지시행동, 긍정적 보상행동, 사회적지지행동을 보일수록 수행집중과 수행자신감이 높으며, 사회적 지지행동은 수행성취가 높다. 넷째, 지도자신뢰는 무용수행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지도자신뢰의 하위변인인 성실과 능력, 일관성은 학생들의 수행집중과 수행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지도자행동유형과 지도자 신뢰 및 무용수행능력 간에는 인과적 관계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eaching behavior style,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 majoring in dance, on trust in instructor and dance performance ability. To achieve this purpose,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ance are set up as a population, and 280 materials are used in final analysis through purposive sampling. Path analysis of useful materials among collected is made through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12.0. The conclusions made through that method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dance experience, there are differences in trust in instructor and dance performance ability. In other words, the time and frequency of participation and the number of performance times are more, trust in instructor and dance performance ability are higher. And, dance participation experience is more, dance performance ability is higher. Second, according to the teaching behavior style, there is a difference in trust in instructor. The instructor shows more practice, instruction behavior, democratic behavior and social behavior, then students evaluate instructor's sincerity and ability as high, and shows more authoritative behavior, trust in instructor is low. Third, according to the instructor behavior style, there is a difference in dance performance ability. In other words, the more practice, instruction behavior, positive compensation behavior and social support behavior are shown, then dance performance ability and dance performance achievement are high. Forth, according to the trust in instructor, there is a difference in dance performance ability. Sincerity, ability and consistency, the subvariables of trust in instructor, have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 concentration and achievement of performance. Fifth, instructor behavior style, trust in instructor and dance performance ability have causality among them.

      • KCI우수등재

        무용학 : 무용수의 공연 자신감 형성 요인에 대한 분석

        김영미(KimYoung-Mee),송인숙(SongIn_Sook),김영옥(KimYoung-Ok) 한국체육학회 2003 한국체육학회지 Vol.42 No.6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out the various factors affecting confidence of dance performance. Using a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 583 dancers selected from performance place in Seoul, Incheon, Kyeongki, Daejon, and Chungnam from March to July, 2003.Data were collected by using the questionnaire whose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tested. Statistical methods such as t-test,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lso used to test the hypotheses. Each hypothesis was tested at the signigicant level of .05.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e conclusions were drawn as followings:1. Sex and age of dancers have positive influences on confidence of dance performance: male dancers have higher performance confidence than female dancers, and the older the age of the dancers and the higher confidence of dance performance.2. Dancers majoring in Korean dance have the highest confidence of dance performance. Frequence and duration of dance practices and careers of dance performances have positive influences on confidence of dance performance.3. Perceived dance ability and the level of state anxiety have positive influences on confidence of dance performance.4. Dancers with dance injury experience have higher confidence of dance performance than non-experienced dancers.Conclusively, confidence of dance performance is affected by various variables such as sex, age, frequence and duration of dance practice, careers of dance performance, perceived dance ability, the level of state anxiety, and dance injury experiences.

      • KCI등재

        무용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능력, 무용성취능력, 공연자신감의 관계

        최재희 ( Choi Jae-hee ) 한국무용과학회 2018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5 No.3

        이 연구는 무용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중요성에 초점을 두고 학습자의 무용성취능력과 공연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이를 토대로 대학 무용교육 현장에서 무용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요인들을 효율적으로 활용 할 수 있는 교수유형과 교수행동의 구체적인 실천방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 대전광역시, 경기도, 전라북도 등 4개 지역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에서 무용전공 재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으며, 총 400부 중 불성실한 응답 자료와 누락된 자료 56부가 제외되어 최종 분석에 344부가 사용되었다. 자료처리방법은 SPSS 18.0,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하위요인인 신체언어, 신체적 외양, 의사언어는 무용전공 학생들의 무용성취능력의 하위요인인 정의적, 심동적, 인지적 성취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전공 대학생의 무용성취능력의 하위요인인 정의적, 심동적 성취능력은 공연자신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적 성취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하위요인인 신체언어, 신체적 외양, 의사언어는 공연자신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신체 움직임을 통하여 표현하는 무용교육현장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요인으로 검증되었다. 이에 대학 무용교육 현장에서 무용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요인들을 파악하고 적합하게 활용하여 적용한다면 무용지도자의 교수유형 및 교수행동의 구체적인 실천방법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resent study has the purpose of exploring the factors influencing dance achievement ability and confidence in dance performance of learners, with a focus placed on the importance of dance instructors' non-verbal communication ability. For this purpose, the students who majored in dance at the four-year universities in Seoul, Daejeon Metropolitan City, Gyeonggi-do and Jeollabuk-do were selected as the population, and the convenience sampling was used as a specific sampling method out of non-random sampling ones. The data were collected by self-administration method immediately after briefing the respondents sufficiently on the content and purpose of the study as well as the points to notice when filling in and responding to the questionnaires. Of 400 replies collected, 344 were used in final analysis since 56 were excluded for reason of unfaithful or missing responses. The frequenc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process the data by using SPSS 18.0 program, and AMOS 18.0 statistical package was us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is was also performed to verify the model and hypothesis that were set up in the present paper, with the significance level set to α=.05.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drawn from the investigation: First, such sub-factors of the dance instructors' non-verbal communication ability as body language, physical appearance and pseudo languag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ub-factors of the dance achievement ability like affective, psychomotor and cognitive achievements of dance major students. Second, the sub-factors of dance achievement abilit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such as affective, psychomotor and cognitive achievement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confidence in dance performance, whereas cognitive achievement abili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it, though. Third, the sub-factors of the dance instructors' non-verbal communication ability like body language and physical appearance turned out to influence positively the performance confidence, but the pseudo language did not exercis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erformance confidence.

      • KCI등재

        실용무용 인식 및 심리적 요인과 수행능력에 관한 영향 연구

        박정옥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4

        A Study on Practical Dance Awareness andPsychological Factors and Influences on Performance AbilityJungok Park Abstract: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fidence, physical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through recognition of practical dance, and also to investigat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in practical dance. From June 2022 to July 2022, 444 people were surveyed. The analysis methods wer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e-way ANOVA,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sub-factors of the perception of practical dance on performance ability, the influence was shown in the order of psychological effect, social effect, activation of dance education, battle and competition. Second, confidence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effects of battles and competitions, activation of dance education, and psychological effects, which are sub-factors of practical dance perception, on performance ability. Third, physical self-efficacy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effect of social and psychological effects, which are sub-factors of practical dance recognition, on performance ability. Fourth, there wer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practical dance, performance ability, self-confidence, and physical self-efficacy according to battle and competition participation experience, award history, and number of particip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awareness of practical dance, confidence, physical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ability was investigated, and differences according to participant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It is hoped that this will create an environment where practical dance can grow. Key Words: Dance Awareness, Confidence, Performance Ability, Physical Self-efficacy, Practical Dance 실용무용 인식 및 심리적 요인과 수행능력에 관한 영향 연구박 정 옥*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실용무용 인식을 통한 자신감, 신체적 자기효능감, 수행능력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실용무용 참여자 특성에 따른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2022년 6월부터 2022년 7월까지 4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분석방법은 탐색적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독립표본 t-test를 하였다. 연구 내용: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행능력에 미치는 실용무용 인식의 하위요인은 심리적 효과, 사회적 효과, 무용교육 활성화, 배틀 및 대회 순으로 영향력이 나타났다. 둘째, 실용무용 인식의 하위요인인 배틀 및 대회, 무용교육 활성화, 심리적 효과가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신감은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실용무용 인식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효과와 심리적 효과가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배틀 및 대회 참여경험, 수상경력, 참여횟수에 따라 실용무용 인식, 수행능력, 자신감,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실용무용 인식과 자신감, 신체적 자기효능감, 수행능력의 관계를 규명하였고, 참여자 특성에 따른 차이를 규명하였다. 이를 통해 실용무용이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길 기대한다. 핵심어: 무용인식, 자신감, 신체적 자기효능감, 수행능력, 실용무용 □ 접수일: 2022년 7월 11일, 수정일: 2022년 7월 30일, 게재확정일: 2022년 8월 20일* 조선대학교 공연예술무용과 초빙객원교수(Professor, Chosun Univ., Email: dans97@hanmail.net)

      • KCI등재

        부모의 기대와 경제적 지원이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무용수행능력과 공연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김영미(Young Mee Kim),김양근(Yang Keun Kim),(Gerri Houlihan) 한국무용과학회 2010 한국무용과학회지 Vol.22 No.-

        이 연구에서는 부모의 기대와 경제적 지원이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무용수행능력과 공연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집락표집 방법을 이용하여 8개 예술계 고등학교에서 무용전공 학생 488명을 표집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일원변량분석과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공변량구조분석을 통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개인적 특성과 무용경험 특성에 따라 무용수행능력과 공연자신감은 유의한 차이가 있다.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무용수행 능력 중 무용기능과 정신력이, 그리고 공연자신감이 높다. 또한 학년에 따라서는 3학년이 1, 2학년 학생들에 비해 무용수행능력과 공연자신감이 높다. 또한 무용참여기간이 길수록 그리고 무용공연 횟수가 많을수록 무용수행능력과 공연자신감이 높다. 둘째 부모의 기대는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무용수행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자녀의 행동특성과 무용재능에 대한 부모의 기대는 무용전공 고등학생들의 무용기능과 공연대처 행동, 정신력을 높인다. 셋째, 부모의 기대는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공연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자녀에 대한 행동특성과 무용재능에 대한 부모의 기대는 무용전공 학생의 외형적, 내형적 공연자신감을 높인다. 넷째, 무용전공 고등학생들의 무용수행능력은 공연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학생들의 무용수행능력이 높을수록 공연자신감이 높다. 다섯째,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공연자신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용수행능력, 부모의 기대와 지원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기대와 경제적 지원은 무용전공학생들의 무용수행능력을 높여 공연자신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nfluences of parents' expectation and economic support on dance performance ability and performance confidence of art high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Using a cluster sampling method and the questionnaire based on previous study, 488 students majoring in dance selected from 8 art highschools. The method of the statistical analysis used in this study were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SEM analysi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e conclusions were drawn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ance performance ability and performance confidence according to the personal attributes and experience extend of dance of high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Second, parents" expectation about children's behavior attribute and dance talent influences on dance performance ability of high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Third, parents" expectation about children's behavior attribute and dance talent influences on external and internal dance confidence of high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Forth, dance performance ability influences on external and internal dance confidence of high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Fifth, parents' expectation and economic support, and dance performance ability influence on dance confidence directly and influenced on it indirectly through dance performance ability.

      • KCI등재

        댄스스포츠 전공 대학생의 파트너 신뢰와 운동몰입 및 운동수행능력과의 관계

        김우경,박창범 대한무도학회 2019 대한무도학회지 Vol.21 No.1

        이 연구는 댄스스포츠 전공 대학생들의 파트너 신뢰와 운동몰입 및 운동수행능력과의 관계를 구명하여 댄스스포츠 전공 대학생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서울특별시, 경기도, 충청남북도지역 대학에 재학 중인 댄스스포츠 전공 대학생 231명을 대상으로 파트너 신뢰와 운동몰입 및 운동수행능력의 관계에서 변인들과의 인과관계를 구명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댄스스포츠 전공 대학생들의 파트너 신뢰는 운동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댄스스포츠 전공 대학생들의 파트너 신뢰는 운동수행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댄스스포츠 전공 대학생들의 운동몰입은 운동수행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댄스스포츠 전공 대학생들의 파트너 신뢰의 강화는 운동몰입 경험을 강화시켜 궁극적으로 운동수행능력 향상에 기여한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파트너 간의 다양한 방법의 소통을 통해서 의견을 공유하고 이상적인 인간관계를 형성 및 유지한다면 파트너 신뢰가 강화되어 높은 수준의 운동몰입을 통하여 경기력을 강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evidence of the exercise immersion and performance ability of the college dance sports athletes and verify causal relations between for performanc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231 subjects of the college dance sports athlete’s questionnaires in Seoul, Gyunggi, and Cheongchung province were analyzed.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college dance sports athletes’ partner confidence influenced exercise immersion positively significantly. Second, the college dance sports athletes’ partner confidence influenced the performance ability positively significantly. Third, the college dance sports athletes’ exercise immersion influenced performance ability positively significant. In conclusion, if the college dance sports athlete partner confidence can increase exercise immersion, it supported performance ability for the high performance level. Therefore, providing share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athletes, then to keep the relationship for the reinforcing partner confidence to achieve high performance level.

      • KCI등재

        무용전공 중고생의 무용만족, 무용자신감, 무용수행능력의 관계

        이준모(Lee, Joon-Mo) 한국체육과학회 2021 한국체육과학회지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dance satisfaction, dance confidence, and dance performance ability of middle/high 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The subject was a population of 250 middle/high school students during the period of time Oct, 16, 2020 to Nov. 13, 2020. The data on 239 students were used for actual analyses and data were processed with SPSS 24.0 for Window and Amos 24.0 for corre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dance satisfaction had positive effects on dance confidence. Second, dance confidence had positive effects on dance performance ability. Third, dance satisfaction had positive effects on dance performance ability. Forth, dance confidence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ance satisfaction and dance performance ability.

      • KCI등재

        태권도 시범공연자의 창작능력이 공연자신감 및 공연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실용댄스 적용 대상자를 중심으로

        이재은,박은식 대한무도학회 2018 대한무도학회지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Taekwondo demonstration performers' creative ability on their achievement and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with a focus on practical dance performer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To this end, data on 200 college students who performed in a Taekwondo demonstration performance team were collected through convenience and purposive sampling. According to the research hypothesis,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tatistical software SPSS 21.0, and its results could secure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 Descriptive statistics were generated and 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nd thei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reative ability of the Taekwondo demonstration performers applying practical dance partially affected their performance achievement. Second, the creative ability of the Taekwondo demonstration performers applying practical dance partially affected their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Third, the self-confidence of the Taekwondo demonstration performers applying practical dance in their performance partially affected their performance achievement. 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 시범공연자의 창작능력이 공연자신감 및 공연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용댄스 적용 대상자를 중심으로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태권도시범공연단 활동을 한 대학생 200명을 편의 목적표집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가설에 따라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으로 탐색적(EFA)요인분석을 실시하고, 측정도구의 내용타당도를 확보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첫째, 실용댄스적용을 통한 태권도시범공연자의 창작능력이 공연성취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실용댄스적용을 통한 태권도시범공연자의 창작능력은 공연자신감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실용댄스적용을 통한 태권도시범공연자의 공연자신감은 공연성취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 KCI등재

        한국무용전공 대학생의 자기관리, 무용수행능력 및 무용신명상태의 관계

        김정(Kim, Jung) 한국체육과학회 2012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1 No.2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shinmyeong, dance performance ability and self management for korean dance major students. The number of the surveyed for this study was 256 who participated in korea dance major student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of the questionnaire itself was conducted by using SPSS Window 18.0 program; the result of descriptive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ath analysis are as follows; The results were as being follows. First, self management is partially influences on the dance performance ability. Second, self management is partially influences on the shinmyeong. Third, dance performance ability is partially influences on the shinmyeong. Lastly there i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 management, dance performance ability and shinmyeong by korean dance major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