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pot Urine Albumin to Creatinine Ratio and Serum Cystatin C are Effective for Detection of Diabetic Nephropathy in Childhood Diabetic Patients

        채현욱,신재일,권아름,김호성,Duk-Hee Kim 대한의학회 2012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27 No.7

        Spot urinary albumin to creatinine ratio (ACR) measurement has been suggested as a surrogate to 24-hr urine collection for the assessment of microalbuminuria, and cystatin C (cysC) is known as an advantageous marker for renal func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values of spot urinary ACR and serum cysC for the assessment of diabetic nephropathy instead of 24-hr urine microalbumi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diabetes. A total of 113 children and adolescents (age 12-19 yr, M:F = 47:66) with type 1 or 2 diabetes were enrolled. We evaluated the validity of spot urine ACR and serum cysC,and then compared them to 24-hr urine microalbumin and creatinine clearance. Spot urine ACR was correlated with 24-hr urine albumin excretion (R2 = 0.828, P = 0.001) and creatinine clearance (R2 = 0.249, P = 0.017). The ROC curve analysis of serum cysC demonstrated higher diagnostic accuracy than that of serum creatinine (AUC 0.732 vs 0.615). Both the measurements of spot urine ACR and serum cysC might better predict the presence of diabetic nephropathy than 24-hr urine microalbumin in childhood diabetic patients.

      • KCI등재후보

        소아청소년기 당뇨병성 신병증(I); 임상 소견을 중심으로

        하태선,Ha, Tae-Sun 대한소아신장학회 2009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3 No.1

        소아청소년기의 당뇨병은 대부분 제1형 당뇨병이나 최근 우리나라를 포함한 서구 사회에서는 제2형 당뇨병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임상소견 상 제1형 당뇨병은 여러 위험인자에 의하여 비교적 전형적인 단계를 거치면서 미세알부민뇨와 당뇨병성 신병증으로 진행하면서 만성 신질환으로 발전하게 되며, 제2형 당뇨병은 비전형적 임상경과를 거치나 신병증 진행율이 높아서, 실제로 당뇨병성 신병증은 전세계 신장대체요법이 필요한 말기 신질환의 가장 많은 원인이며 국내에서도 꾸준히 원인 질환으로서 증가 중이다. 당뇨병이 사춘기 전에 발생하는 경우보다 사춘기나 그 이후에 발생하는 경우에 혈관합병증의 발생이 증가하므로, 사춘기가 위험인자로 작용하며, 이것은 유병기간과 함께 사춘기 전에 소아 당뇨병성 신병증이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문 이유이다. 제1형과 제2형 당뇨병에서 신병증은 비슷하게 15-25%에서 발병하며, 당뇨병성 신병증과 만성 신질환으로 진행하는 과정 중에 가장 중요한 표식자인 미세알부민뇨는 위험인자이고 병리학적 소견과 관련이 있다. Type 1 diabetes mellitus commonly occur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although the prevalence of type 2 diabetes mellitus in these age groups is now being increased in the western world and Korea. Diabetic nephropathy developing in 15-25% of subjects with type 1 diabetes mellitus and in similar or higher percentage of type 2 diabetes mellitus patients is the leading cause of end-stage renal disease worldwide. Although prepubertal diabetic duration may contribute less to the development of microvascular complications than pubertal and postpubertal duration, diabetic nephropathy in susceptible patients almost certainly begins soon after disease onset and may accelerate during adolescence, leading to microalbuminuria or incipient DN. Type 1 diabetes is commonly associated with a period of hyperfiltration followed by the development of persistent microalbuminuria after as little as 7-10 years of type 1 diabetes. Microalbuminuria is associated with pathologic lesions that are so advanced as to overlap with those seen in patients with overt proteinuria and declining kidney function, therefore, microalbuminuria currently considered the best clinical indicator of overt diabetic nephropathy risk. This review covers the natural history and renal manifestations of diabetic nephropath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KCI등재

        Role of exercise on insulin sensitivity and beta-cell function: is exercise sufficient for the prevention of youth-onset type 2 diabetes?

        Joon Young Kim,전용관 대한소아내분비학회 2020 Annals of Pediatirc Endocrinology & Metabolism Vol.25 No.4

        Parallel with the current pediatric obesity epidemic, the escalating rates of youth-onset type 2 diabetes mellitus (T2DM) have become a major public health burden. Although lifestyle modification can be the first-line prevention for T2DM in youths, there is a lack of evidence to establish optimal specific exercise strategies for obese youths at high risk for T2DM. The purpose of this narrative review is to summarize the potential impact of exercise on 2 key pathophysiological risk factors for T2DM, insulin sensitivity and β-cell function, among obese youths. The studies cited are grouped by use of metabolic tests, i.e., direct and indirect measures of insulin sensitivity and β-cell function. In general, there are an increasing number of studies that demonstrate positive effects of aerobic exercise, resistance exercise, and the 2 combined on insulin sensitivity. However, a lack of evidence exists for the effect of any exercise modality on β-cell functional improvement. We also suggest a future direction for research into exercise medical prevention of youth-onset T2DM. These suggestions focus on the effects of exercise modalities on emerging biomarkers of T2DM risk.

      • KCI등재

        아동기 사회경제적 환경이 중고령자의 당뇨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김민혜,최은진 한국인구학회 2019 한국인구학 Vol.42 No.1

        This study examines direct effects of childhood socioeconomic circumstances, and indirect pathways via adulthood socioeconomic status, on diabete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Koreans. We employed a path analysis approach, using raw data, entitled “Health-related Factors on Successful Aging”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6), which is representative of Seoul citizens aged 50–69 years. Among older Korean men, depressive symptoms tended to be directly affected by father’s education and childhood life conditions (e.g., in utero and childhood nutrition), with the latter being the largest in size. In terms of diabetes, older men’s own education was the most important. The indirect effect of childhood life conditions and father’s education through own education was marginally significant with small effect sizes. Older Korean women showed a directly significant and biggest effect of childhood life conditions on depressive symptoms. This result is in accordance with the literature regarding the importance of early life conditions on depression and that of malnutrition on diabetes for older adults. It is also noteworthy that the generational transmission of education was found among older men in terms of diabetes, although the coefficient was small. Further investigation is required for the reason why the effects of early life conditions are different between older men and women. These results shed light on the importance and dynamics of early life conditions on health status among older adults. 최근 건강과 질병의 발달 기원설 등 생애 초기 삶의 조건이 생애 후반기 건강 상태에 미치는 영향이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아동기 사회경제적 환경이 직접적으로, 동시에 성인기사회경제적 지위를 통해 간접적으로 중고령기 당뇨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경로분석 방법을통해 분석하였다. 대상 원시 자료는 ‘성공적 노화에 대한 건강영향요인 조사(한국보건사회연구원 주관, 2016년 수집)’으로, 서울 거주 50~69세의 중고령자에 대해 대표성 있는 자료이다. 중고령자 남성의 우울의 경우, 아동기 조건과 아버지의 교육 수준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드러났다. 특히 태아기 어머니의 영양 상태, 유소년기 영양 상태와 경제적/의료적 생활 상태로이루어진 아동기 조건의 계수가 컸고, 부의 교육 수준도 약하게나마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당뇨에 대해서는 본인의 성인기 교육 수준의 영향이 가장 컸고, 아동기 부정적 사회경제적 조건은 본인의 낮은 교육 수준과 연결되어 당뇨 가능성을 약하게 높이는 것으로 것으로 나타났다. 중고령기 여성의 우울의 경우 아동기 조건이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가장 두드러지는 것으로 보인다. 아동기 조건이 양호하지 않을수록 당뇨 및 우울 가능성이 높은 부분은 기존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남성 중고령자의 당뇨와 관련해 본인의 교육이 부의 교육을 매개하는 세대간 전승 효과가 일부 보였고, 본인 교육의 직접 효과가 강한 점도 특징적이었다. 당뇨에서 아동기 사회경제적 조건이 미치는 영향이 남성과 여성 중고령자에게 다르게 나타나는 부분은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성인기 사회경제적 지위를 넘어 태내기에서부터 아동기까지를 포괄하는 생애 초기 경험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그 구체적인 경로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소아 청소년기에 발생한 2형 당뇨병의 임상적 경과

        윤경아,이영아,양세원,신충호 대한소아내분비학회 2009 Annals of Pediatirc Endocrinology & Metabolism Vol.14 No.1

        Purpose:Worldwide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mellitus in youth is increased for last 3 decades. We review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and their long term complications. Methods:We reviewed the medical data of 69 patients who were diagnosed type 2 diabetes mellitu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before the age of 18 years between January 1991 and December 2007. Results:Forty seven patients (68.1%) developed after 2000. The mean age of onset was 13.1±2.0 years. Forty seven (69.1%) patients had family history of diabetes mellitus and forty six (66.6%) patients had overweight or obesity. Thirteen (22.4%) patients were small for gestational age but their body mass index wasn't increased compared to that of appropriate for gestational age at the onset of disease. There were 7 patients who had microvascular complication and the mean disease duration was 9.1±3.3 years. Hemoglobin A1c was not increased in the complication group compared to the complication-free group. Conclusion:The number of childhood and adolescence onset type 2 diabetes mellitus was increased. The proportion of small for gestation age was high and the long term complication developed in adolescence or early adult life. Early intervention of the risk factors and regular evaluation of the complications are needed and systematized follow-up of small for gestational age is also necessary. 목적:소아청소년기 2형 당뇨병의 유병율은 1980년대 이후 증가하고 있다. 저자들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치료받은 2형 당뇨병 환자들의 진단 당시의 임상적 양상과 만성 합병증을 조사하였다. 방법:18세가 되기 전에 2형 당뇨병으로 진단받은 69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결과:진단 당시의 평균연령은 13.1±2.0세였고, 69.1%가 당뇨병의 가족력이 있었고 66.6%가 진단 당시 과체중이거나 비만이었다. 22.4% (13/58)가 부당경량아였고 이들의 체질량지수는 정상체중으로 태어난 환자군과 차이가 없었다. 7명에서 미세혈관 합병증이 발생하였고 진단부터 합병증 발생까지의 기간은 9.1±3.3년이었으며 당화혈색소 값은 합병증이 없는 군과 차이가 없었다. 결론:본원의 소아청소년 2형 당뇨병 환자의 수는 증가하고 있으며 부당경량아의 분율이 높고 청소년기나 성인기 초기에 미세혈관 합병증이 발생한 환자들이 있었다. 2형 당뇨병 환자들에서 적극적인 위험인자의 제거와 정기적인 합병증검사가 필요하며 부당경량아에 대한 체계적인 관찰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소아당뇨가 있는 아동의 아동중심 놀이치료 사례연구

        전윤경 한국생애놀이치료학회 2022 한국생애놀이치료학회지 Vol.5 No.2

        본 연구는 소아당뇨가 있으며 가정에서 부적응적인 행동을 보이는 초등학교 2학년 여아의 놀이치료 사례연구이다. 아동은 소아당뇨로 인해 식습관 및 행동에 많은 제한을 받게 되면서 가정에서 짜증이 증가하였으며 거짓말을 자주 하고 가족의 돈을 훔치는 행동이 나타났다. 이에 따라 아동이 자신의 질병에 대한 불안감과 욕구 좌절에 따른 심리적 어려움을 표현하여 감소시키고 자기주도성을 충분히 경험하고 자신에 대한 가치감을 높일 수 있도록 비지시적인 아동중심 놀이치료를 실시하였다. 아동중심 놀이치료는 매회기 40분의 아동중심 놀이치료와 20분의 부모상담으로 구성하였으며 약 4개월 동안 주 1회, 총 15회기 실시하였다. 그리고 놀이주제의 변화를 파악해 보고 반구조화된 면담, 그림 투사검사, 모 상담의 사전사후 비교를 통해 아동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아동은 가정 내에서 짜증과 신경질을 부리는 횟수가 감소하였고, 돈을 훔치고 거짓말을 하는 행동이 없어지게 되었다. 또한 자신의 질병에 대한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자신에 대한 긍정적 가치감을 표현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소아당뇨로 인해 문제행동을 보이는 아동에게 아동중심 놀이치료가 실시되고 그에 따른 긍정적 변화를 다각적인 측면에서 살펴본 것에 의의가 있다.

      • 소아에서 인슐린의존성 당뇨병의 임상적 고찰

        유재홍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지역사회의학연구소 1996 충남의대잡지 Vol.23 No.2

        Insulin dependent diabetes(IDDM) is a rare disease in children, but it will progress rapidly and falls into a diabetic ketoacidosis or coma. Unfortunately, the characteristics and prevalence rate of children with IDDM are not well known in Korea, and also its in cidence is rising rescently. From January 1987 to October 1996, 22 children with IDDM who were were diagnosed at the Pediatric Departmen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highest age incidence was in the age group of 11-15 years, and male to female ratio was 1:1.75, and seasonal distribution showed two peak in Feburary and July. 2) Diabetic ketoacidosis was noted in 31.8% of IDDM patients on admission. 3) Ketoacidosis was noted in 7 patients, and the cardinal symptoms were polydipsia, polyuria, and altered consciousness. 4) Laboratory findings at the ketoacidosis showed hyperglycemia, hemoconcentration, severe metabolic acidosis, and higher level of HbAlc and lower level of C-peptide in ketoacidosis than in nonketoacidosis. 5) Complication in IDDM follow-up for 3 month to 9 years was diabetic ketoacidosis(7 cases). Many IDDM patients have suffered from ketoacidosis and they will have chronic complications such as cataract, nephropathy. Therefore we need of the further studies of IDDM on a national sca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