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의 동아시아 지역 침략전쟁을 통해 본 군사사상의 전통과 함의

        조필군 육군군사연구소 2016 군사연구 Vol.- No.141

        Historically, in East Asia, powers surrounding Korea never ceased to bring on wars as well as interventions. Japan’s first participation in war was the Battle of Baekchon River to support Baekje, but Japan started its invasion of the continent decisively from Imjinwaeran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fter that, Japan’s continent-oriented military thought continued to be exhibited through its war of aggression in East Asia, and up to now, there have been conflicts and confrontations uprising in East Asia on account of Japan’s distortion of history to deny what it did in the past. The thought that Japanese had in the past can be the mirror to reflect the inside of those living in that era and also the basis that forms the thought of the futur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Japanese military thought by figuring out its traditional thought rooted in its history as well as the Japanese national character. Also, military thought is grounded on its national thought that has been from the ancient times, so understanding military thought should be started from figuring out the national thought. Accordingly, this author has examined Japanese’s traditional thought and their characteristics and performed historical consideration on its war of aggression in East Asia including the Chino-Japanese War, Russo-Japanese Wars, First World War, invasion of Manchuria, the Sino-Japanese War, and Second World War, and so on in order to draw the roots and tradition of its military thought and its implications. What brought the most significant change to the people of Japan in the modern times was the establishment of the absolute Japanese Emperor(てんのう)system. Especially from the 19th century, the ideology of the Emperor system was always at the top of its national ruling system as the ruling ideology to create a new, modernized state and dominated the mentality of its people. Also, in the process of its modernization, the warrior's code became a symbol of Japanese militarism, and Japan Self-Defense Forces can be said to have been carrying on the spirit of it. At the Restoration of Meiji(めいじ), Japan rose as the one and only rising power in Asia and strengthened its forces and began to attack nearby countries based on that. After winning in the Chino-Japanese War, Japan concluded Treaty of Shimonoseki and created modernized international relations in East Asia centering about Japan successfully. Moreover, through Russo-Japanese Wars, it succeeded in making Chosun one of its protectorates. Japan’s continental expansion policy was disguised as ‘solidarity in Asia’, and in the 1940’s, it appeared again as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Considering the directions of Japan’s current foreign policy grounded on the presentness of history, we can see that its foreign expansion policy that was promoted up to the Second World War from the Restoration of Meiji has never ceased to end up until now, and its national behavior in early Meiji is appearing now again in similar ways. Taking the wars in East Asia into account, we can conclude that it is needed to pay attention to Japan’s continent-oriented military thought when its military power is becoming stronger than its surrounding nations’.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역사적으로 주변 강국들의 개입과 함께 끊임없는 전쟁이 지속되어 왔다. 일본의 최초 전쟁 참여는 백제를 지원하기 위한 백촌강 전투였지만, 일본의 본격적인 대륙침략은 임진왜란부터이다. 이후에도 일본의 대륙지향적 군사사상은 동아시아 지역 침략전쟁을 통해 지속적으로 표출되었고, 현재도 침략의 과거사를 부정하는 일본의 역사왜곡으로 인해 동아시아 지역은 대립과 갈등이 증폭되고 있다. 과거 일본인의 정신세계는 당대 일본인들의 내면을 비춰주는 거울인 동시에 미래의 사상을 형성하는 기조라고 할 수 있으므로 일본의 군사사상에 대한 이해는 일본의 과거 역사에 뿌리를 두고 있는 일본의 전통사상과 국민성에 대한 이해를 통해서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민족사상을 토대로 형성된 것이 군사사상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군사사상의 이해는 그 국가의 민족사상에 대한 이해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본인의 전통적 사상과 국민성에 대해 살펴보고, 동아시아 지역에서 일본이 참여했던 청일전쟁, 러일전쟁, 제1차 세계대전, 만주침략, 중일전쟁, 제2차 세계대전 등 침략전쟁의 역사적 고찰을 통해 일본 군사사상의 뿌리와 전통 그리고 그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근대일본의 국민성에 있어서 가장 중대한 변화를 가져온 것은 절대주의적인 천황제의 확립이다. 특히 19세기에 접어들어 새로운 근대국가 창출의 지배이념으로서 천황제 이데올로기는 언제나 국가지배체제의 정점에 군림하면서 일본인들의 정신사적 영역을 장악해 왔다. 또한 근대화 과정에서 무사도는 일본 군국주의 군대의 상징이 되었고 현재 일본의 자위대는 이러한 무사도의 정신을 계승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일본은 메이지 유신을 계기로 아시아에서는 유일하게 신흥강국으로 부상하여 군사력을 키우고 이를 바탕으로 주변국을 침공하기 시작하였다. 청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시모노세키조약을 체결함으로써 일본을 중심으로 하는 근대적 동아시아 국제관계를 창출하는 데 성공하였다. 또한 러일전쟁을 통해 조선을 보호국으로 만드는데 성공하였다. 일본의 이러한 대륙팽창정책은 ‘아시아 연대’라는 미명으로 위장되었고, 1940년대에는 ‘대동아공영권’이라는 이름으로 나타났다. 역사의 현재성에 입각하여 최근 일본의 대외정책 방향을 볼 때, 메이지유신 이래 제2차 세계대전까지 추진했던 대외팽창정책은 오늘날에도 결코 사라지지 않았고 메이지초기에 추진했던 국가적 행동양태와 유사한 조짐들이 나타나고 있다. 동아시아 지역 전쟁을 통해 볼 때, 일본은 주변국에 비하여 군사력이 강해졌을 때에는 항상 대륙을 바라보았던 일본의 대륙지향적 군사사상을 눈여겨봐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북한의 ‘독자적’ 군사 사상의 역사적 기원과 변화

        김태현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22 군사 Vol.- No.12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the historical origin and evolution of North Korea's "independent" military though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ursuit of independence and the distortion of ideology," and to clarify that North Korean military ideology influenced the 'Su-Ryong(which means ringleader)-centered' regime security and offensive adventure strategy.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e Max-Leninism to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 creatively, North Korea's military ideology was initially conceived as a "practical military guideline" focused on self-reliance. However, North Korea's military thought, coupled with the establishment of Kim Il-sung's monolithic political system in the late 1960s, was deflected from the nature of the "practical guideline" of "self-defense" to strengthen Kim Il-sung's monolithic political power and control. Specifically, North Korea's strategy to break away from the military influence and dependence of the Soviet Union and China during the Cold War was deflected into the political logic of supporting Kim Il-sung's "military genius". This refracted into a political logic affecting North Korea's offensive nature of military thought. Military thought as a "symbolic mechanism" for idol worship turned into "Mu-o-ryu-seong"(which means flawless or perfectness)of 'Su-ryong', and then became an unwavering military guideline to create an "immortal myth." Kim Il-sung's symbolic device, a "military genius," put a kind of "persona" on the North Korean military that should not be defeated in battle, which affected North Korea's offensive adventurism. 본 논문은 ‘주체 군사 사상’으로 불리는 북한의 ‘독자적’ 군사 사상의 역사적 기원과 변화 과정을 ‘자주의 모색과 이념의 굴절’이라는 관점으로 설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은 북한이 소련군의 기계적 모방에서 탈피하여 독자적 군사 사상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수령중심의 정권 안보 논리와 공세적 모험주의의 성향을 내재하게 되었다고 주장한다. 북한의 군사 사상은 기존의 마르크스-레닌주의를 북한 특색에 맞도록 창조적으로 적용하려는 과정에서 초기에는 ‘자주’와 ‘독자성’을 화두로 한 ‘실천적 군사지침’으로서 배태하였다. 하지만, 북한 군사 사상은 1960년대 후반 김일성의 유일 지배체제 구축과 맞물리면서 ‘자위 사상’이라는 ‘실천적 지침’의 성격에서 벗어나 김일성 유일 지배를 강화하는 ‘정치 전략적 지침’으로 굴절되었다. 구체적으로, 북한이 냉전기 소련과 중국의 군사적 영향력과 의존성에서 탈피하고자 했던 ‘자주’적 동기의 군사안보 차원의 발전전략은 김일성의 유일 지배체제와 맞물리면서 ‘군사적 천재’를 뒷받침하는 정치 논리로 굴절되었고, 이것은 또다시 김일성의 통치를 목숨으로 수호하자는 ‘수령 결사옹위’의 친위대화 논리로 변질되었다. 북한의 군사 사상이 ‘전군 친위대화’를 위한 정치 논리로 굴절되는 과정은 북한의 공세 주의에 영향을 미쳤다. 우상숭배를 위한 ‘상징 기제’로서 군사 사상은 김일성을 군사적 천재로 둔갑시키고, ‘무오류성’의 신적 위상을 가진 수령의 군사 사상은 ‘불패의 신화’를 창조해야 하는 확고부동한 군사지침이 되었다. 김일성의 ‘군사적 천재’라는 상징 장치는 북한군이 전투에서 패전해서는 안 된다는 일종의 ‘페르소나’를 씌우게 되었으며, 이것으로 북한의 공세적 모험주의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