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시의 미적 자율성 형성 과정 연구 : 근대지식과의 결합관계를 중심으로

        윤의섭(Youn Eui-seoup) 한국시학회 2012 한국시학연구 Vol.- No.33

        본 연구는 근대시의 미적 자율성 형성 과정에 근대지식이 어떠한 방식으로 결합, 배치, 전유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개화기 시가에 근대지식으로 쓰인 용어들은 그 자체로 계몽성을 갖고있다. 이는 당시의 시대적 요청에 의해 반계몽적 속성을 지닌 근대지식이 배제된 채 특정한 영역의 근대지식만이 시가에 쓰이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계몽적 속성을 가진 근대지식이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개화기의 시가는 생성단계부터 계몽적이 될 수밖에 없다. 동시에 이 시기 시가의 미적 자율성 획득 가능성도 원천적으로 차단되어버린 것이다. 1920년대 전후의 근대시는 개화기의 계몽 담론과는 다른 근대지식과의 결합관계에 의해 새로운 지류를 형성하며 나타나고 있다. 이 시기에는 개인으로서의 '나'와 미적 근대성이라는 근대지식이 개화기와는 다르게 근대시에 재배치되고 그 결합이 보다 강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 시기의 시는 대중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예술가의 정신으로 예술을 통해 현실을 극복하고 새로운 세계를 추구하고자 하는 낭만적 계몽성을 드러내고 있으며, 아직은 문학성에 있어서 일정한 한계가 있어 보다 확고한 미적 자율성을 획득하지는 못하고 있다. 1920년대 후반과 1930년대의 시에 수용되고 있는 근대지식은 시어로서, 또는 시적 인식의 틀로서 재번역되고 전유되는 가운데 전적으로 시라는 미적 형식과 본질에 복무하는 양상을 보인다. 또한 1930년대 전후에 시와 결합하는 근대지식은 시인들의 미의식에 의해 근대문명과 문화를 통해 학습된 '근대지식'이라는 기원적 성격은 은폐된 상태에서 미적인 성질의 것으로 전유되고 있다. 1930년대 전후의 시에서 보이는 미적 자율성은 시에 전유된 근대지식의 기원에 대한 은폐를 통해 형성되고 있는 것이다. 근대지식은 시의 미적 요소로 전유되면서 이전 시대부터 이루어져 왔던 번역과 조어, 그리고 새로운 개념의 창출이라는 복잡한 유입 과정을 드러내지 않는다. 이런 과정을 통해 1930년대의 시는 미적 자율성을 형성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how modern knowledge is combined, arranged and monopolized in forming aesthetic autonomy of modern poetry. Terms used as modern knowledge in poems during the time of enlightenment bear itself an enlightening nature. It is because modern knowledge of only certain areas was used on poems, with modern knowledge of anti-enlightening nature excluded by the request of the time, Ultimately poems during the time of enlightenment selectively combined with modern knowledge are destined to be enlightening from the forming stage. At the same time, the possibility of acquiring aesthetic autonomy in poems during this time is also completely blocked. Modern poems around the 1920s, unlike enlightenment discourse during the time of enlightenment, formed a new trend by combination with other modern knowledge. 'Self' as an individual and modern knowledge as aesthetic modernity during this period, unlike during the time of enlightenment, were re-arranged in modern poetry and the combination was more enhanced. However poetry during the period shows romantic enlightenment that was seeking overcoming the reality and new world through art and the artists' spirits placed above the general public; more solid aesthetic autonomy couldn't be achieved since there was a certain limit in the literary value. Modern knowledge adopted in poems during late 1920s and the 1930s was the language of poetry; as the frame of poetic perception, re-translated and monopolized, it serves as the aesthetic form and the essence. Also, modern knowledge combined with poems around the 1930s was monopolized as something of aesthetic nature with the origin of 'modern knowledge', learned from modern civilizations and cultures, concealed. Aesthetic autonomy seen in poems around the 1930s is formed by concealing of the origin of modern knowledge monopolized in poems. As modern knowledge is monopolized as aesthetic elements in poems, translation, coined words continued from the previous times, and complex adopting process, that is, creating new concepts, are not revealed. Through this process, poems in the 1930s form aesthetic autonomy.

      • KCI등재

        탈근대 담론의 '차이의 선'에 대한 계보학적·윤리적 연구 : 크리스토프 멘케의 미학적 담론을 중심으로

        김동규(Kim Dong-Gyu)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12 사회와 철학 Vol.0 No.23

        이 글의 목적은 탈근대 담론의 전제가 되고 있는 '차이의 선'의 의미와 타당성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데 있다. 이 글은 특히 '차이의 선'의 확립 과정이 미학의 성립 과정과 연동되어 있다는 테제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이 작업을 통해서 탈근대담론의 계보학적 뿌리는 물론이거니와 근대 이래로 부단히 지속되어 온 '철학의 미학화' 과정의 의미와 '미학의 (윤리/정치) 철학적 의미'를 새로운 반성적 지평에서 조망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차이의 선을 산출하는 원천이 결국 (이성적 주체만이 아닌 감성적 인간의) '자유'임을 밝힐 것이다. 추가적으로 '차이의 선'의 한계는 바로 '자유' 개념의 '서양적 한계'에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근대에 이르러 감각적인 것(미학적인 것)은 더 이상 거짓과 오류의 원천이 아니라, '또 다른 선'으로 등장한다. 미학적인 것은 규정할 수 없는 어두운 힘이지만 실천적 주체를 변형시키는 위력으로 이해된다. 미학은 이런 위력이 현상하는 장소로 출발한다. 이런 점에서 미학은 근대의 산물이다. 그리고 근대의 미학화의 과정은 선의 분화 과정, '선의 차이화' 과정으로 명명될 수 있다. 그러나 '선의 차이'는 한 순간 '차이의 선'으로 전도된다. '선의 차이'를 '차이의 선'으로 전복시킨 사람이 바로 니체다. 선의 차이화로 말미암아 더 이상 통일적인 '선'을 말할 수 없게 될 때, 차이의 생성은 일단 조건 없이 긍정될 수밖에 없다. 차이는 "선악의 저편"에서 실천적 주체를 변형시키는 미학적 힘이기 때문이다. 이런 전복적인 변화의 핵심부에는 인간에 대한 상이한 존재이해가 놓여있다. 즉 근대에 인간이 '이성적 주체'로 이해 되었다면, 탈근대적 인간은 '미학적 존재'로 이해된다. 이런 계보학적 탐구를 통해서 볼 때, 탈근대 담론은 이성적 자유만이 아닌 감각의 자유, 미학적 자유를 추구하는 담론이며 그런 담론이기에 '차이의 선'을 핵심 모토로 삼을 수 있었다. 하지만 '차이의 선' 역시 서구적 자유개념의 연장선상에 있다. 결국 '차이의 선'은 외관상 타자성을 극대화시킨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 서양의 자기-중심-자유론, 그것의 최신 버전일 뿐이다. The aim of this investigation is to consider genealogically significances of the goodness of difference, which postmodernism has presupposed. The thesis, that I would like to focus on specially, is that the goodness of difference related to the birth of aesthetics. Through this study, I will analyze a philosophical sense of the autonomic aesthetics as well as a meaning of the inevitable aestheticization of philosophy in postmodernism. Finally I hold that the deepest ground of the goodness of difference is the human's freedom which belongs to the aesthetic being as well as to the reasonal subject. In addition, I will suggest that the limit of the goodness of difference is that of the occidental freedom concept. One didn't consider the sensible(aesthetic/aisthesis) thing as the other goodness until modern times. Instead it had been regarded as the source of the fallacy and mistake. In the modern age, aesthetic things are understood as the power that can transform practical subject, in despite of their undefined dark force. Aesthetics starts as the place where this force emerges. And the process of the modern aestheticization can be named as the process of the differentiation of the goodness. But the process of the differentiation of the goodness could not be recognized clearly from the beginning, because the aesthetic could not be recognized directly as the ethical/practical goodness. Therefore it was called as autonomy of the aesthetic. In postmodernism, the difference of goodness has been transformed dramatically. In a moment, the difference of goodness was reversed as the goodness of difference. Man expected the unified goodness, i.e supreme goodness, but this turned out to be hopeless after Hegel's philosophy. Nietzsche is the first philosopher who reversed the difference of goodness. After the independence of aesthetics, aesthetic things became not only the other goodness, but man also manifested the sovereignty of the aesthetic. The history of aesthetics is the process of differentiation of the practical goodness, and at the same time the process of establishing of the goodness of difference. While human being was understood as a rational subject in modern, it is understood as a aesthetic being in post-modern. But both of them presuppose the freedom, which is the necessary condition of the rational and aesthetic being as well. Postmodernism requests us not only the rational freedom but also the aesthetic freedom. Therefore the goodness of difference is in fact the latest version of the occidental self-centric freedom, although it seems to be not.

      • KCI등재

        칸트 미학에서 `취미의 자율성` 문제 - 칸트의 수사적 예술 비판을 중심으로 -

        박배형 ( Park Bai Hyoung ) 한국미학회 2017 美學 Vol.83 No.3

        근대미학은 인간의 감성적인 차원 내지는 미적인 영역에 고유성과 독자성을 부여하려는 문제의식 속에서 성립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미학이라는 학명(Aesthetica)을 처음으로 도입하고 이와 동일한 이름의 책을 저술한 바움가르텐에게서도 또한 근대미학을 실질적으로 독립적인 철학적 교과로 확립하는 데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 칸트에게서도 마찬가지이다. 바움가르텐과 칸트 이래로 미학의 대상은 주로 미 내지는 미적 경험과 예술이 되고 있는데, 칸트 미학 역시 예술에 관한 이론을 포함한다. 그는 『판단력비판』 51절에서 아름다운 기예(die schone Kunste), 즉 예술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제시한다. 그 첫 번째 종류에 해당하는 것이 언어예술(die redende Kunst)인데, 칸트는 이를 다시 수사적 예술(Beredsamkeit)과 시예술(Dichtkunst)로 나누고 있다. 칸트는 여기서 수사적 예술을 매우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러한 그의 분류와 평가는 그의 미학적 입장 및 예술론을 이해하고 해석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칸트가 아름다운 기예 즉 예술의 일종으로 취급하는 수사적 예술에 대한 그의 평가와 비판이야말로 무관심적 쾌와 미에 기초하는 이른바 그의 자율성 미학의 실질적인 성격을 잘 드러내주는 동시에 이 미학이 갖는 도덕적 차원과의 뿌리 깊은 결합관계를 반영하는 독특한 사태임을 보이고자 한다. 2장에서 필자는 `취미의 자율성`으로 대변되는 칸트의 자율성 미학이 그의 『판단력비판』에서 어떻게 제시되고 있는지를 고찰해 볼 것이다. 3장에서 필자는 칸트의 수사적 예술에 대한 평가와 비판을 분석할 것이다. 4장에서는 3장의 분석을 기초로 하여 취미의 자율성과 자유 이념과의 불가분적 연관성을 밝힘으로써 그의 자율성 미학이 도덕적 차원과 맺는 심층적 관계를 제시할 것이다. The development of modern aesthetics rests on the consciousness that the aesthetic realm of human being has a kind of uniqueness and an autonomous character. This consciousness is found in A. G. Baumgarten, even though not fully realized in his theory, who coined the name of aesthetics (Aesthetica) and began to advocate it as a new philosophical discipline. After him, Kant also tried to ground the aesthetic as an autonomous realm of human experience. The Critique of Judgment, Kant`s great aesthetic work, deals with aesthetic problem of beauty and assigns rhetoric to the province of the beautiful. In his system, rhetoric, together with poetry, comprise the two arts of speech. He compares rhetoric with poetry and evaluates the both kinds of fine arts. But interestingly he estimates rhetoric almost entirely negatively and in contrast to it praises poetry. This estimation of both the arts and his critique of rhetoric reveal a fundamental feature of his aesthetics of `autonomy`. In this paper, I argue that Kant`s aesthetics of autonomy is not entirely independent of, but inseparably connected to morality and this connection shows itself markedly in his critique of rhetoric. In the first part of the paper, I illustrate the background of the theme of the paper. In the second part, I explain Kant`s conception of autonomy of taste and his so-called aesthetics of autonomy. In the third part, I investigate and analyze Kant`s critique of rhetoric and show that in his critique a characteristic feature of his aesthetics of autonomy can be found. From this investigation and analysis I conclude that my thesis is based on sound arguments.

      • KCI등재

        시와 정치: 미학적 아방가르드의 모럴

        진은영(Jin Eun-young) 韓國批評文學會 2011 批評文學 Vol.- No.39

        문학은 윤리에 대립함으로써 감각적 자율성을 지닌 미학의 정치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랑시에르의 주장은 최근 ‘문학과 정치’ 담론의 가장 중요한 쟁점이 되어왔다. 기성의 감각적 분배 방식을 고수하는 습속의 윤리(ethos)와 그 분배 방식을 파열하고 침입하는 모럴(moral)을 대비시킴으로써 랑시에르는 미학적 아방가르드의 모럴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제공한다. 그에 따르면 미학적 아방가르드 시인이 시인적 모럴을 견지하기 위해서는 문학적 실험을 수행하는 것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실험적 문학이든 현실참여적 문학이든 삶과 타자가 가하는 제한 속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그와 같은 수행을 통해 양자는 문학의 고유한 경계를 넘어서 기성의 분배 방식에 침입하며 (‘미학적 자율성’) 삶의 새로운 형식이 됨으로써 삶에 침입한다(‘미학적 타율성’). 바로 이 점에서 시인의 모럴은 침입자의 모럴이며, 미학적 자율성만을 옹호하는 ‘숭고의 미학’과 달리 문학의 삶-되기를 부정하지 않는다. 침입의 모럴을 온전히 이해하려면 시 창작 과정에는 이중의 시작(始作)이 존재함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먼저 시에는 바디우가 말라르메의 표현을 인용하여 강조한 바와 같이 ‘모든 필기구를 벗어난’ 시작이 있다. 그것은 작품이 읽히는 시 · 공간과 감응하면서 하나의 문학적 사건을 발생시키는 시작이다. 여기서 시는 시인의 경험으로 환원되지 않는다. 그러나 시는 필기구로 쓰여지기 전부터 시인의 모든 삶의 경험 속에서 시작되고 있다는 점에서 또 다른 시작을 가지고 있다. 이런 이중의 시작은 미학의 정치를 이해하는 관건이 된다. 미학의 정치를 위한 아방가르드 시인의 모럴은 시인의 현실참여로 환원되지 않지만 그와 무관하거나 그것을 금지하는 것이 아니다. 감각적 파열과 발명을 가져오는 사회적 · 정치적 사건들에 대한 참여는 미학의 정치를 실현하는 시 창작의 계기가 될 수 있으며 문학적인 방식의 현실참여 활동은 그 자체로 미학의 정치를 실현할 가능성을 지닌다. The politics of aesthetics argued by Ranci?re has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the recent discour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politics. He argues that literature should involve the politics of aesthetics guaranteeing the autonomy of the sensible. Ranci?re offers a new understanding on the moral of the aesthetic avant-garde, contrasting it with the conventional ethos insisting on the existing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According to him, the aesthetic avant-garde poet should not only conduct literary experiments. Literature should be produced within the restrictions imposed by life and others, whether it is experimental literature or participative. It thereby intrudes on existing distribution, going beyond the intrinsic bounds of literature(‘aesthetic autonomy’), and intrudes on life, becoming a new form of life(‘aesthetic heteronomy’). Therefore the moral of the poet is that of the intruder that doesn't refuse art’s becoming-life unlike ‘the aesthetic of the sublime’ advocating only aesthetic autonomy. To understand fully the significance of the moral of the intruder, we should realize that there is a double beginning in the process of writing poems. First, there is a beginning ‘‘set free of any scribe's apparatus’’ in Mallarm?’s words that Badiou quotes. The beginning generates a literary event responding to time and space in which we read literary works. Poetry can not be reduced to poet’s experiences. However there is the other beginning in that poetry has already begun to be in all experiences of the poet’s life before it is written with any scribe’s apparatus. This double beginning is the key to understanding the politics of aesthetics. The moral of the avant-garde poet for the politics of aesthetics can not be reduced to the poet’s participation in reality, but even so, it is not unrelated to the participation, and neither prohibit the participation. The participation in social-political events, bringing about the ruptures and inventions in the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can be a moment of writing poetry realizing the politics of aesthetics, and the participation activities performed literarily as such has a possibility to realize it.

      • KCI등재후보

        눌인(訥人) 김환태 비평 연구

        이도연 ( Do Yeon Lee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1 인문학연구 Vol.0 No.42

        칸트의 판단력비판 은 예술의 고유한 독자성과 자율성의 영역을 승인함으로써 ``미적 자율성``이라는 근대미학의 논리적 근거를 정초(定礎)하였다. 한국문학비평사에서 김환태 비평의 자리와 의의는 이와 같은 맥락에서 파악될 수 있다. 즉카프문학의 공리주의적 비평관에서 탈피하여 문학과 예술의 독자성을 김환태는 주장했던 것이다. 카프의 편내용주의는 심각한 것이어서 카프문학운동에 ``창작 무관사(創作無關史)``라는 오명을 안겨주기도 했다. 따라서 김환태의 비평은 이에 대한 대항 담론, 일종의 안티테제로서 제출되었던 것이고 그 역사적 의미 또한 인정될 수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의 인상주의 비평이 지니고 있었던 한계 역시 정당하게 지적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그는 예술의 미적 자율성을 ``절대적 현존``으로까지 비약·격상시키고 있어서 식민지배기 한국의 문학 · 예술이 지닐 수밖에 없는 ``필연적으로 정치적인 성격``을 도외시하고 말았다. 그의 인상비평이 뚜렷한 방법론이 없으며, 추상적 인성론이나 도덕론을 통해 문학의 효용성과 기능을 주장하게 된 것도 사실 이런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문학의 자율성은 상대적 자율성으로서, 토대와의 관계 속에서``과잉결정·중층결정(overdetermination)``되는 것이지 토대나 하부구조에 무관하게 독립하여 존재하는 것이 결코 아니다. 김환태에게 있어서, ``미적 자율성``이라는 이념은 문학적 신념으로 존재하는 것이었다. 20세기 전반 식민지 조선의 역사적 개별성 속에서, 그것은 ``사실 명제``로 수렴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었다. 이런 맥락에서 김환태 비평이 한국문학비평사에서 근대미학의 진정한 출발을 알렸던 것만큼 그 한계 또한 뚜렷한 것이었다. 그러나 그가 1940년대 이후 친일보국문학이 문단을 휩쓸자, 절필을 선언하고, 고독하게 병마와 싸우다 34세의 나이에 영면했다는 점 또한 우리문학사가 기억해 두어야 할 것이다. Kant`s 『critique of judgment』 laid the cornerstone of a building of its own ``aesthetic autonomy`` in the modern aesthetics by approving the autonomy of the art in their own area. The place and significance of Kim, Hwan-tae`s criticism in the Korean literary hitory can be grasped in this context. He would have a claim the independence of the literature and the arts. KAPF`s content-oriented literature was serious. Therefore, criticism of Kim, Hwan Tae would have been made as a kind of antithesis and also be recognized that it was of historical significance. But the limits of his impressionistic criticism may properly be also duly noted. His aesthetic autonomy of art has been upgraded to ``absolute presence``, and ``inevitably political nature`` was disregard in the colonial period, There is no distinct methodology in the his impressive criticism and a fact can be understood that abstract personality of theory and the utility and functionality of the literature were declared in this context. The autonomy of literature as a relative autonomy was ``over-determined in relation to the foundation. His ``aesthetic autonomy`` philosophy was to exist as a literary creed. Throughout the 20th century in a colonial historical identity was not to converge as ``true ``propositions`` in nature. Joining in this context, His criticism of modern aesthetics was a true forerunner and the limit was also apparent. We will also keep in mind that he lonely struggle with illness at the age of 34 and it was laid to rest in the koran literary history.

      • KCI등재

        '순수 음악'의 미적인 자율성 - 모든 예술이 열망한 조건

        정우진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人文科學 Vol.114 No.-

        This study investigates to begin with several problems on the idea of autonomy of music, then elucidates them in both the social context and the perspective of music aesthetics. Thereby it makes an effort to explain the change of cognition at the nineteenth century and its aesthetic significance that the instrumental music, the ‘pure music’, as called by the early German Romantics, have been considered as an ideal of aesthetic autonomy. The present article aims to demonstrate that it is the inner necessity and the spirituality of music which it seems to be the only art of the unity of form and content that, in words of Walter Pater, the condition of music to which all art constantly aspires. 이 글은 우선 음악의 자율성 개념을 둘러싼 몇몇 문제를 검토한 다음, 이를 사회적 맥락과 음악미학의 관점에서 해명함으로써 초기 독일낭만주의자들이 ‘순 수 음악’이라고 일컬은 기악 음악이 19세기에 이르러 자율성의 이상(理想)으로서 여겨지게 된 인식 변화와 그것의 미학적 의의를 밝히려는 시도이다. 이를 통해 형식과 내용이 일치하는 듯 보이는 유일한 예술인 음악의 내적인 ‘필연성’과 ‘정 신성’이야말로 현대의 여러 예술이 열망한 “음악의 조건”(월터 페이터)임을 설득 력 있게 보여주고자 한다.

      • KCI등재

        예배자와 현실 사이의 이중적 관계 이해하기: 미학적 관점에서 본 예배자의 자율성과 사회성

        권용준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23 복음과 실천신학 Vol.68 No.-

        Worshippers often find themselves trapped in a false dichotomy between escaping from reality(autonomy) and assimilating with reality (sociology). Worshippers who solely focus on autonomy from reality tend to withdraw from becoming socially engaged Christians due to their fear of being tainted by the sinful aspect of reality. They use their worship as a collective defence mechanism to isolate themselves from reality. Conversely, worshippers who emphasise sociality at the expense of autonomy fail to acknowledge both the sinfulness of the immanent reality and the transcendent realm (the not-yet-kingdom of God). They struggle to maintain a healthy distance from reality, leading their worship to become a mere ritual for the social, political, and ethical progress of humanity, or worse, a tool for perpetuating a sinful society. The article aims to help worshippers understand that their autonomous and social characteristics are not in conflict but rather mutually complementary.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article enters into dialogue with aesthetics. Worshippers, being human beings created as God’s artworks, share characteristics with artworks that are both autonomous and social. This article begins by exploring the dual feature of art and suggests the movements of art that arise from its characteristics as follows: 1) having aesthetic distance from ordinary reality (autonomy); 2) resisting against reality (autonomy); 3)imagining an alternative reality (sociality); and transforming reality(sociality). Subsequently, the article examines the dual feature of worshippers, which mirrors the characteristics and movements of art, and presents four aesthetic movements of worshippers as follows: 1) having doxological distance from sinful reality (autonomy); 2) resisting sinful reality (autonomy); 3)imagining an alternative reality (sociality); and 4) transforming the reality(sociality). Worshippers can both reject sinful reality and socially take part in God’s work of redeeming and restoring reality simultaneously. 예배자들은 현실로부터의 도피(자율성) 아니면 현실로의 동화(사회성)라는 그릇된 이분법에 사로잡히는 경향이 있다. 현실로부터의 자율적이기만 한 예배자들은 현실의 악한 측면에 오염될 것에 대한 두려움때문에 사회적인 기독교인이 되기를 포기한다. 그들은 예배를 현실로부터 그들 스스로를 고립시키는 폐쇄적 방어 도구로 사용한다. 반면에자율성과 분리된 사회성을 강조하는 예배자들은 현실로부터 거리두기에 실패하기 때문에 내재적 현실의 죄악성과 초월적 세계(아직 오지 않은 하나님 나라) 모두를 인식하지 못한다. 그 결과, 그들의 예배는 단지인류의 사회적·정치적·윤리적인 진보를 위한 의례가 되었으며, 더나쁜 경우에는, 죄악된 사회를 유지하기 위한 도구로 변질된다. 이 글은 예배자들이 그들의 자율적 특성과 그들의 사회적 특성을 대립 관계가 아니라 공존 관계로 이해하도록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이 글은 미학과의 대화를 시도한다. 왜냐하면 예배자는 하나님의예술작품이며, 따라서, 예배자는 자율적인 동시에 사회적인 예술과 그특성을 공유하기 때문이다. 이 글은 먼저 예술의 이중적 특성을 살펴보고 그 특성이 생성하는 예술의 미학적 움직임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1) 일상적인 현실로부터 미적 거리감 가지기(자율성), 2) 현실에 저항하기(자율성), 3) 대안적인 현실을 상상하기(사회성), 4) 현실을 변화하기(사회성). 그 이후, 이 글은 예술의 특성과 움직임을 반영하는 예배자의이중적 특성을 살펴보고 예배자의 네 가지 미학적인 움직임을 다음과같이 제시한다. 1) 송영적 거리감 가지기(자율성), 2) 죄악된 현실에 저항하기(자율성), 3) 대안적 현실을 상상하기(사회성), 4) 현실을 변화하기(사회성). 자율성과 사회성의 상호작용이 만들어낸 이 미학적인 움직임을 따라 살아갈 때 예배자들은 타락한 현실을 거부하는 동시에 그것의 구속과 회복을 위한 하나님의 사역에 사회적으로 참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이장희 시의 감각 연구

        임곤택(Lim, Kon-taek) 우리문학회 2012 우리文學硏究 Vol.0 No.37

        이 논문은 이장희의 시를 통해 1920년대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감각’의 양상을 탐구하고, 이른바 ‘미적 자율성’과 관련하여 그 의미를 규명하고자 한다. 먼저 감각 활동이 이루어지는 최초의 매개인 ‘매질(감각 기관과 대상 사이에 존재하는)’을 통해 근대적 감각이 지닌 한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감각 주체(혹은 기관)와 대상의 만남이라는 사태는 일반적으로 물질적 매개를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최치원의 ?秋夜雨中?과 이장희의 ?비오는 날?을 비교 분석하여, ‘창호지’를 바른 창과 ‘유리’를 붙인 창의 차이에서 오는, 청각 중심과 시각 중심의 감각적 경험이 초래한 상상력 전개와 정서적 진행을 추적하고, 근대적 감각의 성립이 ‘물질’의 변화(근대화)와 무관하지 않다고 판단하였다. 다음으로 ‘대상’의 성격에 따라 감각의 양상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폈다. 이장희는 크게 보아 두 가지 대상을 시의 소재로 선택한다. 새로운 도시의풍경과 생활공간 속의 事象이 그것인데, 각각의 대상에 따라 전혀 다른 묘사양상이 나타난다. 전자의 경우 ‘신작로’나 ‘전차’같이 근대 이후 새로 도래했거나 정치ㆍ사회적 의미를 지닌 사물에 대해서는 불분명함을 나타내는 시어로 침울하게 묘사한다. 반면 익숙한 대상에 대해서는 구체적이고 밝은 이미지를 얻게 된다. 생활공간 속의 사상은 오래전부터 경험해 온 것들로, 그것들이 주는 익숙함과 편안함이 대상을 선명하고 구체적인 이미지로 묘사하게 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대상에 따라 감각(적 재현)의 양상이 달라지는 사태는 결국 이장희가 이른바 ‘미적 자율성’을 부분적으로 획득했다는 근거로 삼을 수 있을 듯하다. 정치ㆍ사회적 맥락과 연관된 사물과 그렇지 않은 사물에 대한 감각의 相異는, 이장희의 감각이 그 맥락으로부터 완전히 독립된 것이 아니었음을 증명한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이장희는 한국 현대시의 감각이 ‘미적 자율성’의 획득으로 향하는 중간 지점에 위치한다고 판단된다. 나아가 1920년대 한국 현대시는 근대의 ‘미적 자율성’ 획득을 위한 중요한 체험의 시기였다는 점을 이장희를 통해 부분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is to survey whether and how Lee Jang-Hee and Korean poetry of 1920s achieve the ‘aesthetic autonomy’, through the aspect of their ‘senation’. Firstly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sensation according to medium which lied between the sense organ and the objects, with analyzing Choi Chi-Won’s ?秋夜雨中? and Lee’s ?비오는 날? and concluded the modern sense was related with the material of sensation. It’s the difference from the material of the window. the sensation is varied on the objects. Lee selected two kind of objects. the one was that of modern city, and the other was that in living space. With the former Lee described the objects unclearly and gloomly. But in case of the objects in living space he described concretely and brightly. It’s because the sensational system of Lee was activ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objects, especially the politicalㆍsocial meaning of that objects. Lee could be estimated that he achieved the ‘aesthetic autonomy’ partially. And we conclude the korean poets in 1920s was a mediate step to ‘aesthetic autonomy’.

      • KCI등재

        서양 근ㆍ현대 미학에서 ‘미적 가상’에 관한 연구 ― 헤겔, 루카치, 아도르노, 블로흐를 중심으로

        김창준 대동철학회 2008 大同哲學 Vol.44 No.-

        서양 미학사에서 ‘미적 가상(ästhetischer Schein)’은 진리미학의 핵심 주제 가운데 하나이며, 헤겔 미학은 그 근대적 정점에 있다. 헤겔은 가상에 관한 근대 이전의 미학적 성과를 이어 받음과 동시에 근·현대의 가상 담론으로 이어지는 주요한 하나의 흐름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헤겔 이전, 서양 고대의 미학에서는 주로 가상의 존재론적 정초가 이루어진다. 플라톤이 모사상(phantasma)을 통해 가상의 지위를 부정적으로 정립한 반면, 아리스토텔레스는 예술적 허구(Fiktion)를 통해 가상의 외연을 풍부하게 한다. 근대미학에서는 칸트와 실러가 가상의 의미와 역할을 본격적으로 다룬다. 칸트가 가상을 논리적으로 체계화함으로써 주관에 발생하는 불가피한 인식상의 문제로 정위시켰다면, 실러는 충동이론을 통해 미적 가상을 예술의 본성으로 규정한다. 헤겔 미학은 미적 가상의 근대적 완성이라 할 수 있다. 헤겔은 주로 논리학을 통해, 가상에서 반성이라는 인식론적 의미를 이끌어 낸 후, 미학에서는 이념의 반영으로서 예술이라는 가상의 존재론적 성격을 확립한다. 따라서 반성과 반영이라는 성격 규정은 가상이 이념의 타자로서 인식론적 지위를 확보함과 동시에 자연보다 탁월한 이념의 타자로서 예술이 요청되는 존재론적 근거가 된다. 나아가 헤겔은 자연미의 한계에 의해서 요청된 예술미의 이념상이 이념과 형태의 통일로서 가상임을 밝힌다. 따라서 이념과 형태의 통일 정도에 따라 가상은 불완전한 가상, 적절한 가상, 자기 초월적 가상으로 변화하고, 예술의 성격도 이념상의 추구·성취·초월로 변화하며, 역사적으로는 상징·고전·낭만적 예술형식으로 전개·발전한다. 헤겔 이후에는 그의 미적 가상을 긍정적으로 계승하거나 비판적으로 재구성하는 움직임이 서양의 가상 담론 가운데 한 축을 형성한다. 이들은 가상의 진리 함축성과 예술의 가상적 성격에 원론적으로 동의하지만, 루카치는 가상을 현실의 총체적 반영과 새로운 세계의 창조 가능성으로 보는 긍정적 계승을, 블로흐는 더 나아가 가상의 유토피아적 가능성을 집중적으로 조망하는 적극적 발전을, 아도르노는 도구적 이성의 폭력적 동일화를 비판하는 무기로 가상의 의미를 역전시키는 비판적 재구성 작업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대표적인 차이를 보인다. This dissertation aims to study modern and contemporary western Aesthetics through the concept of 'aesthetic appearance' (ästhetischer Schein). Section 2 examines how the concept of aesthetic appearance is historically transformed and discussed.: Plato's the appearance (phantasma), Aristotle's the artistic fiction(Fiktion), Kant's the empirical and transcendental appearance, and Schiller's the beautiful appearance and the art as form of drive. Section 3 reveals the epistemological and the ontological meanings of Hegel's aesthetic appearance. The concept 'appearance' takes the epistemological meaning of reflection (Reflexion) and the ontological meaning of the reflection (Widerspiegelung) of idea. 'Appearance as Reflection' has two meanings. One is 'appearance as the passive and the negative' (Schein), the other is 'to appear as the active and the positive' (Scheinen). Appearance has the ontological meaning that realizes the freedom and the infiniteness of the idea. the beauty of art is the ideal called the sensuously embodied idea, and that this ideal is appearance as the unity of the idea (Idee), or the content the configuration (Gestalt) or form in Hegel's aesthetics. Moreover, appearance as art is realized as the three types of art in the concrete history of art. The position or value of each type is determined by the adequacy of the sensuous form to the idea expressed. Section 4 examines aesthetic appearance of other philosophers critically succeeds to and reconstructs Hegel's aesthetic appearance. Lukács succeeds to the Hegel's appearance by the viewpoint of the reflection (Widerspiegelung) theory. He asserts that appearance as art is 'another reality' grounded on the concept of 'Mimesis'. Adorno criticizes Hegel's dialectics of identity, and proposes his own 'Negative Dialectics'. He insists that art is ontological mimesis (resembling) of 'the non-Identified', that is, nature, empathizing that nature is independent of the idea or spirit, and criticizing the violence of spiritness and identity in Hegel's the beauty of art. To positively interpret Hegel's concept of appearance and manifestation, Bloch proposes the concept of 'pre-appearance (Vor-Schein)' based on 'the art as Utopia'. Through the concept of 'pre-appearance', Bloch explains that art has a certain possibility to criticize the actual and to anticipate the future.

      • KCI등재

        이상(李箱)의 경성(京城)

        최현희(Choe, Hyonhui) 한국현대문학회 2013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1

        이 글에서 필자는 이상(李箱) 문학의 모더니즘적 본질을 아방가르드 예술을 통한 미적 자율성 담론의 내파라는 관점에서 파악하고자 한다. 이상은 자신의 예술 행위가 자율적 예술의 담론 속에서 자족적인 것으로 머무르는 것에 저항하고자 했다. 그 예 중 하나가 이상이 스스로를 일러 “천재”라고 일컫는 행위이다. 그는 인위적으로 자신을 천재 예술가로 제작하겠다고 함으로써, 자율적 예술 작품의 창작자로서의 예술가 개념에 대한 반어적 비판을 시도하고 있는 것이다. 예술의 영역에 국한되지 않는, “전적인 인간”으로 거듭나 완전히 새로운 “미래”를 “창조”하고자 한 이상의 기획은 그를 아방가르드 예술가로 규정지을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 준다. 이러한 입지점에서 출발한 이상은, 「종생기」의 분석 과정에서 드러나듯이, 예술 작품의 창작을 통해 자족적 작품 개념의 허상을 시연해 보여주는 역설적 자기비판의 순간을 창출하는 데 이른다. 이상의 아방가르드 예술 행위를 통해서 생성되는 이 미답의 영역, 즉 현실의 영역에도 또 그로부터 독립된 자율적 예술 작품의 영역에도 귀속되지 않는 이 영역은 도시를 기축으로 하는 근대성 담론에 대한 가장 심층적인 전복의 가능성을 담지하고 있다. This paper argues that Yi Sang"s modernist literature is avant-garde practice that brings forth discursive implosion of modern conception of aesthetic autonomy. Yi refutes the idea that limits his writings to the realm of artistic autonomy. His denomination of himself as an artistic genius serves as a crucial evidence of his resistance to the idea; it is proved to be ironic criticism of the modern concept of "artist," who is in absolute control of creation of autonomous artworks. Yi"s artistic endeavors as a whole is an attempt to "create" the "future" that is not limited to the aesthetic by giving himself a birth as "a man of complete competence." This aesthetic liberation of art from art qualifies Yi Sang for an avant-garde artist, whose primary mission is to return art to the exterior reality within the realm of the aesthetic. In writing "Chongsaenggi [Record of Ending Life]," Yi practices the self-critiquing of art by making the work itself as disillusionment of the idea of aesthetic autonom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