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Zion speaks in Isaiah 61:1-3a

        Seung Je Koh(고승제)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22 신학논단 Vol.107 No.-

        이 논문은 시온이 이사야 61:1-3a를 선포하는 1인칭 화자라고 주장한다. 이 주장은 다음과 같은 단계에 의해 증명한다. 1) 이사야 61:1-3a의 화자의 정체성을 밝히는 것은 결코 것은 쉬운 것이 아니다. 2) 의인화의 비유적 언어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결과 다수의 학자들이 이사야 61:1-3a의 화자의 정체성에 관하여 잘못된 주장을 하였다. 3) 이사야 61:1-3a에는 왕, 종, 선지자, 전령 등의 다양한 화자의 임무를 묘사하고 있다. 4) 이사야 61:1-3a의 화자를 의인화된 시온이라고 보는 것이 가장 타당하고 합리적인 결론이다. 이 결론은 다음과 같은 주장에 근거한다. 1) 시온은 이사야 60장에서 청자로 등장하며 이사야 61장에서 화자로 등장한다. 2) “종”( עֶבד )ֶ의 특성과 사명은 이사야 60-61장에서 시온에게 부과되어 있다. 3) 시온은 62장에서 다시 한 번 청자로 등장하며 그 중간에서 시온이 화자로 등장하는 구조를 보여준다. 4) 이사야49:14-26에 여호와와 시온의 대화 구조를 이사야서 60장의 여호와의 약속과 사 61:1-3a의 시온의 대화 구조로 이해할 수 있다. 5) 시온의 1인칭 화법은 이사야 40:9절 마지막에 이미 등장하고 있다( 6 .(ִהֵּנה אֹלֵהיֶכם ) 이사야서 전체에서 시온은 전적으로 여성으로 의인화 되며(최소 21회), 여호와의 말씀을 직접 듣는 청자로 자주 등장한다(최소 13회). 7) 시온이 1인칭 화자로 등장하는 경우는 성경과 외경에서 자주 발견된다(애 1장, 2장, 4장; 후기 예언서; Baruch 4:9b-29; 4 Ezra 9:43- 10:4). This paper asserts that Zion, which is personified, speaks in Isa 61:1-3a. This assertion is based on the following grounds. 1) It is not an easy task to identify the speaker of Isa 61:1-3a. 2) An oversight on the figurative language of the personification of Zion has led many scholars to make incorrect assertions about the identity of the speaker of Isa 61:1-3a. 3) Isa 61:1-3a depicts the speaker’s diverse tasks as a king, the Servant, a prophet, a herald, and the LORD’s agent for proclaiming and comforting. 4) It is most reasonable to conclude that Zion speaks in Isa 61:1-3a, which is personified and depicted as the one fulling the above diverse tasks. This conclusion is based on the following arguments: 1) Zion begins to make his speech from Isa 61:1 in response to Isaiah 60; 2) the characteristics and tasks of עֶבד are transferred to Zion in Isaiah 60-61, which is required to speak Isa 61:1-3a; 3) Zion is the addressee not only in Isaiah 60 but also in Isaiah 62, in the middle of which Zion speaks in Isa 61:1-3a; 4) a dialogical structure between the LORD’s promise of salvation and Zion’s first-person voice, which is found in Isa 49:14-26, can be applied to the LORD’s promise in Isaiah 60 and Zion’s first-person voice in Isa 61:1-3a; 5) Zion’s first-person voice is already heard from Isa 40:9bδff (i.e., from 6 ;(ִהֵּנה אֵֹלהיֶכם ) in the whole book of Isaiah, Zion is personified exclusively as female (at least 21 times), and is a frequent addressee of the LORD’s direct speech (at least 13 times); 7) Zion’s first-person voice is found beyond the book of Isaiah (Lamentations 1, 2, and 4; Latter Prophets; Baruch 4:9b-29; 4 Ezra 9:43-10:4).

      • KCI등재

        ‘세계의 어머니’로서의 시온 -시편 87편에 대한 주석적 연구

        하경택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5 장신논단 Vol.47 No.2

        The rich symbolism of ‘Zion’ is used for a variety of meanings in the Old Testament and the New Testament. Through an exegetical study of Psalm 87, which is considered as the summary and culmination for the psalms of the sons of Korah, this paper tries to show what the theology of the Zion psalms is and what the meanings and mission of the church revealed by the various roles of Zion are. Psalm 87 offers “a new understanding of pre-exilic Zion Theology.” This psalm shows God’s establishment of Zion and a vision of Zion that serves as the center of the world. What is emphasized here is not the judgment and destruction of the nations, but the salvation of the nations by Yahweh’s intervention on behalf of Zion. Through the study of Psalm 87 three major functions designated to Zion are confirmed. The first of them is Zion as the “navel of the world.” Zion as the center of the world is higher than all the mountains in the world, and it connects heaven and earth. The people of God meet God there and experience the heavenly world. The second is Zion as the “mother of the world.” All the nations will confess that Zion is their birthplace. All the countries hostile to Israel also will be registered in the book of life as the sons of Zion and the citizen of Jerusalem. The third is Zion as the “spring of the world.” Everyone should confess that all his springs are in Zion. Zion is the source of life to all. Everyone is supplied with a spiritual life in Zion. Psalm 87 lets us find the universal and eschatological vision and perspective that penetrate are penetrated deep into the Old Testament and awaken the mission of the Church. In addition, Psalm 87 has lots of implications for ‘Ohn Theology,’ which aims to be a complete theology for the church and the world. ‘시온’은 풍부한 상징성을 가지고 구약성서와 신약성서에서 다양한 의미로 사용된다. 본 논문은 시온시편의 ‘요약’이요 ‘정점’으로 여겨지는 시편 87편에 대한주석적 연구를 통해 ‘시온 시편’의 신학뿐만 아니라 시온의 다양한 역할을 통해 드러나는 교회의 의미와 사명을 보여주고자 한다. 시편 87편은 포로기 이전 ‘시온신학에 대한 포로기 이후의 새로운 이해’이다. 이 시편은 하나님의 기초 놓으심과세계의 중심으로 기능하는 시온에 대한 환상을 보여준다. 여기에서 강조되는 바는 열방에 대한 심판이나 파괴가 아니라 시온에 대한 야훼의 개입 속에서 이루어지는 열방을 위한 구원이다. 시편 87편에 대한 고찰을 통해서 시온에게 부여된 세가지 기능이 확인된다. 첫째는 ‘세계의 배꼽’으로서 시온이다. 시온은 세계의 중심으로서 모든 산보다 뛰어나 있어 천상과 지상을 연결한다. 그곳에서 하나님을 만나고 하늘의 세계를 경험한다. 둘째는 ‘세계의 어머니’로서 시온이다. 모든 열방은자신의 출생지를 시온이라고 고백할 것이다. 이스라엘과 적대관계에 있던 모든나라들도 시온의 아들이요, 예루살렘 시민으로서 생명책에 등록될 것이다. 셋째는 ‘세계의 젖줄’로서 시온이다. 모든 사람이 시온에 자신의 ‘모든 샘’이 있다고 고백한다. 시온은 모든 이에게 생명의 원천이다. 모든 사람은 시온에서 영적 생명력을 공급받는다. 시편 87편은 구약성서에 깊이 스며있는 시온에 관한 우주적이며종말론적 전망과 비전을 발견하게 하며 교회의 선교적 사명을 일깨운다. 더 나아가 시편 87편은 교회와 세상을 위한 신학을 지향하는 ‘온 신학’에도 많은 시사점을제공한다.

      • KCI등재후보

        시편의 신학- 시내 산과 시온 산

        왕대일 한국구약학회 2009 구약논단 Vol.15 No.2

        This paper is intended to show that the Sinaitic experience of divine presence, which was described as the Mosaic faith in the Pentateuch, especially in the Sinai Pericope (Ex 19:1-Num 10:10), was re-enacted in the Davidic Temple at Zion that was conceived as the cosmic mountain in the book of Psalms. Sinai is the mountain where Israel's formative years launched. Mt. Sinai, which is understood as “YHWH's home in no man's land,” is a sacred place where Yahweh, the liberator, encountered Israel who was liberated out of the bondage of Egypt. The experience of Israel at Mt. Sinai passed on to us meta-historical or transcendent reality of the presence of God. It showed an essential, normative relationship of YHWH to his people Israel first, the covenantal relationship, second, the tabernacling presence of God in the tent of meeting. Sinai gave Israel the world in which Israel should become a witness to the legitimate Jewish way of living. Theologically speaking, Israel was a sacral kingdom before she became a political state. The final editing of the Psalter was made with a great interest in perceiving Zion as the successor to Sinai. The present form of the book of Psalms, by which prayers, hymns, and songs were to be read as a form of Torah, had integrated the Zion tradition to legitimate the temple as sacred space reenacting the Sinaitic experience at Jerusalem. It shows the presence of God in Zion, which appears as a crucial constituent not only in the texts where the word Zion is prevalent. It also functions within each of the five books of the Psalter as a deliberate feature whereby the Zion tradition is given a central place. It would be surprising, if the one who was in responsible for editing the final form of Psalms belonged to the same Levitical circles as those who compiled the Book of Chronicles: They shared the same vision for restructuring that Zion was the central locus for Judaism, both for the individual and the community as a whole. Theology of the book of Psalms puts its emphasis on the fact that the tradition of YHWH's theophany at Mt. Sinai was transferred to Zion. God was no longer seen as dwelling in an extraterritorial no man's land. He is seen as abiding in the temple, the primarily visual vehicle for the knowledge of God, which was standing within the borders of the Israel's community. The fact that temple was built by Solomon is now hermeneutically transferred: it was built by God. It describes the divine choice of Zion before the rise of David. By way of the psalmistic understanding, visionary experiences at Mt. Sinai and the temple on Mt. Zion appear as entries into the faith of Israel that could coexist in the end. 시편의 최종형태는 모세전승의 시내 산과 다윗 전승의 시온 산을 해석학적으로 연결한다. 시편의 최종형태를 토라로 재구성한 시온전승은 시내 산의 하나님 체험이 시온의 성전에서 구현된다는 것을 강조한다. 시와 기도와 노래를 토라라는 책으로 변형시키면서 거룩한 산 시온을 이스라엘 신앙의 지평에 합법적으로 뿌리 내리게 한다. 시편의 노력으로 시내 산과 시온 산은 이스라엘 신앙을 구축하는 두 기둥이 되었다.

      • KCI등재

        이사야서 설교를 위한 구조 분석과 주제들

        김창대 한국실천신학회 2017 신학과 실천 Vol.0 No.56

        본 연구는 한국 강단에서 이사야서를 손쉽게 설교하도록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이사야서의 구조와 주제들을 살폈다. 이사야서가 설교하기 어려운 이유 중 하나는 여러 가지 자료들이 아무렇게나 배열된 것처럼 구조를 찾기가 힘들기 때문이다. 구조가 없이 뒤죽박죽이라는 선입관 때문에 문맥의 흐름을 파악하지 못하고 설교자는 우왕좌왕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설교자를 위해 이사야서는 1-39장과 40-55장, 그리고 56-66장이라는 세 개의 대단락으로 이루어졌음을 밝혔다. 그리고 1-39장은 유다의 심판-열국의 심판-메시아의 출현-시온의 회복의 구도가 반복되는 구조임을 주장했다. 40-55장은 유다의 심판으로 바벨론에 포로로 끌려간 사람들을 향해 그들이 어떻게 시온으로 회복될 것인지를 제시하는 구조임을 설명했다. 특별히 49-55장은 여호와의 종을 통해 시온이 회복될 것이라는 설득이 세 번 반복되었음을 주장했다(49:1-50:3; 50:4-52:12; 52:13-55:13). 여기서 52:13-53:12에서 언급된 고난 받는 여호와의 종은 메시아로서 시온의 회복에서 결정적 열활을 하고 있음을 제시했다. 53장의 고난 받는 여호와의 종의 사역으로 여호와의 종들이 출현하고, 이들이 새 언약의 수혜자가 되어 종말의 시온에 거하게 될 것이다. 56-66장은 누가 그런 여호와의 종들이 되어 새 언약의 백성이 될 것인지를 설명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런 구조 속에서 이사야서를 포괄하는 전체 주제는 시온이 공의와 의로 빛나는 것임을 밝혔다. 원래 하나님은 시온을 공의와 의로 빛나게 하여 그 빛을 바라보고 열국이 찾아와서 열국도 하나님의 자녀가 되게 하는 계획을 세우셨다. 하지만 유다는 탐욕으로 인해 공의와 의에 눈과 귀를 닫고 어둠에 거하는 맹인과 귀머거리로 전락했다. 그 결과 하나님은 그들에게 흑암의 심판을 내려 바벨론에 포로로 끌려가게 하셨다. 어둠을 좋아하는 그들에게 어둠에 갇히는 심판을 내린 셈이다. 하지만 하나님의 계획은 심판이 아니라 회복에 있기 때문에, 종말에 새 언약을 체결하여 시온을 회복하고 다시 공의와 의로 빛나는 곳으로 만드실 것이다. 여기서 시온에 거하는 자는 여호와의 종들이다. 이들이 성령을 받아 공의와 의로 빛나게 되는 것이다. 이런 신학적 주제들의 큰 그림들을 염두에 둔다면, 설교자는 이사야의 구조에서 드러난 문맥 안에서 이사야서가 주장하는 논리대로 설교 대지를 이끌어 풍성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This work has attempted to elucidate the structures and themes of the book of Isaiah with a view to helping pastors to preach the Isaianic texts in a rich way. One of the reasons that many pastors have difficulties in proclaiming the messages of Isaiah on the pulpit is a distorted understanding that the book of Isaiah is arranged like a hopeless hodgepodge. With this in mind, our first attention has been drawn to the structures of the book of Isaiah, and then it is argued that the book of Isaiah is demarcated into three macro-units: chapters 1-39, 40-55, and 56-66. The structure of the chapters 1-39 displays the pattern as follows: judgement on Judah--judgement on nations--restoration of Zion in the eschaton. The chapters 40-55 conveys the structure which shows how the Judean community in the exilic period will be restored to Zion. In particular, the chapters 49-55 indicates a triple structure which repeats the restoration and consummation of Zion through the work of the so called servant of Yahweh(49:1-50:3; 50:4-52:12; 52:13-55:13). More specifically, the servant of Yahweh in 52:13-53:12 serves the function to be the Messiah who plays the definitive role in restoring the people of God to the eschatological Zion. As a result of the Messiah-servant of Yahweh, there occur servants of Yahweh who are modeled on the servant of Yahweh in chapter 53, and they will inherit Zion in the eschaton, putting into practice justice and righteousness. The chapters 56-66 shows the structure which has its focus on demonstrating who is going to be servants of Yahweh who are recipient of the new covenant. Within the framework of these structures, the book of Isaiah has its overarching theme of Zion shining through justice and righteousness. God's original plan was that when His people in Zion practice justice and righteousness, the nations see the light of justice and righteousness and come to Zion to be His children also. Due to the failure of Judah to conform to that plan of God, Judah had to be exiled to Babylon. However, God's ultimate plan is to restore Zion. For this, the book of Isaiah emphasizes that in the eschaton God will make the new covenant with his people, and that those people will be restored to Zion and will do justice and righteousness with the help of the Holy Spirit. The understanding of these structure and themes will facilitate sermons of the book of Isaiah.

      • 칠십인역 시편 86편에 나타난 ‘시온의 자녀들’의 신원에 관한 주석학적 연구:4-7절의 주해 중심으로

        강수원(Su-Won KANG)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 2019 가톨릭사상 Vol.- No.59

        ‘구원의 보편주의’는 시편집뿐 아니라 구약 성경 곳곳에서 흔히 발견되는 신학적 주제이긴 하지만, 다수의 주해학자와 저자들은 ‘시온 시편들’ 중 하나인 시편 87(86)편이 ‘세상 모든 민족들을 하느님의 도성 시온에서 태어난 자녀로 선포하고 있다’고 쉽게 단정지어 말하곤 한다. 그러나 히브리 본문 자체는 여러 주석적 난제들과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포함하고 있고, 아직까지도 학자들 사이에서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들은 본 시편에서 시온의 ‘여성성’이나 ‘모성(어머니-고향)’이 부각된다는 점에는 기본적으로 동의하지만, ‘시온에서 탄생한 주체가 누구인가’에 대해서는 뚜렷한 해석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사실 이 문제는 본 시편 주해의 핵심관건이다. 왜냐햐면, 시온에서 탄생한 주인공을 유다인들과 이방인들 중 누구로 규정하는가에 따라, 또 그들이 시온과 제 땅 어디에서 태어났다는 말인가에 따라, 본 시편의 주제는 ‘이스라엘 중심의 특수주의(particularism)’와 ‘구원의 보편주의(universalism)’라는 양 극변을 오가는 전혀 다른 것이 되기 때문이다. 본 작업은 먼저 마소라 본문의 해석의 다양성을 대해 짚은 다음, 본문비교를 통해 칠십인역 번역자들이 자신들의 히브리 Vorlage를 어떻게 해석했는지 살핀다. 칠십인역 시편에서 발견되는 본문상의 차이점들은 ‘민족들의 탄생’ 관련 언급들에 온통 집중되어 있다. 그리스어 번역자는 일련의 ‘개입’을 통하여 본문을 재주해(re-interpretation)함으로써, 모든 이방 민족들을 이스라엘과 함께 “시온, 어머니시여!” 라고 부르는 이들로, 시온에서 태어난 자녀들로 규정한다. 그리고 그들을 하느님의 자녀요 천상예루살렘의 시민으로서의 특권과 은혜를 충만히 누리는 삶으로 초대한다. Although ‘Universal Salvation’ is a theological theme commonly found throughout the Old Testament as well as in the Psalter, many commentators and authors assert easily that Psalm 87(86), one of the ‘Zion Psalms’, proclaims the all gentile peoples of the world as children born in Zion. However, the hebrew text itself contains the various exegetical issues and the possibility of different interpretations, and is still an object of debate among scholars. They basically agree that Zion’s femininity or motherhood are highlighted in this psalm, but show different opinions of ‘who is born in Zion’. In fact, this is a key issue for the interpretation of this psalm. Because, depending on ‘which of the Jews and Gentiles is defined as the protagonist born in Zion?’ and ‘where were they born, in Zion or in their land?’, the theme of this psalm can be at opposite poles of the conclusions, particularism centered on Israel and the universalism of salvation. This work first examines the diversity of interpretations of the Masoretic text and then examines how the Septuagint translators interpreted their Hebrew Vorlage with the comparisons of the two texts. The textual differences found in the Septuagint psalm are all focused on references to the birth of the nations. The Greek translator, by re-interpretation of the hebrew text with a series of ‘interventions’, identifies all gentile nations with ones who call ‘Mother, Zion’ and who are born in Zion. So he invites them to delight their privilege and grace as children of God and citizens of heavenly Jerusalem.

      • 이사야서에 1인칭 복수 ‘우리’에 관한 연구

        장혁 안양대학교 신학연구소 2018 신학지평 Vol.31 No.-

        본 연구는 이사야서에서 남은 자로 대변되는 1인칭 복수 ‘우리’의 정체를 밝히는 작업 이다. 이사야서의 남은 자는 환난을 통과하면서 죄를 회개하고 궁극적 시온의 완성을 고대하는 자들이다. 이사야 선지자는 ‘우리’ 공동체를 자신과 동일시하여 ‘우리’라는 표현을 썼던 것이다. 본 연구는 사 1:1-31, 9:1-7, 26:1-27:1, 52:13-53:12, 63:7-64:12 의 본문 구조, 주변 텍스트와의 관계, 그리고 본문들의 일관된 주제적 네트워크(thematic network)를 관찰을 통해 의미론적 일관성에 집중하여 ‘우리’ 본문 들 간에 논리적인 관계에 대해 살폈다. 이들 ‘우리’ 본문들은 서로 일관성을 가지고 연 결되어 있다. 특히 각각의 시대적 배경을 가지고 있는 ‘우리’의 발전과 변화를 통해 전 체적으로 역동적인 일관된 구조를 보여준다. 이사야서 전체 문맥을 고려할 때, ‘우리’ 의 정체는 환난을 통과하면서 시온의 최종 완성을 기다리는 남은 자들이다. 이사야서 에 언급된 ‘우리’는 여러 시기에 나타는 무리들이지만 궁극적으로 고난 가운데서 공 의와 의를 행하기 위해 몸부림치면서 시온의 회복이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자들이다. 이사야서에 언급된 ‘우리’는 여러 시대를 배경으로 하여 나타는 공동체이지만 궁극적 으로 하나같이 환난 가운데서 회개하며 공의와 의를 행하기 위해 몸부림치는 자들이 다. 이제 ‘우리’는 종의 사명을 감당하기 위해 먼저 자신들이 공의와 의를 행하고, 더 나아가 공의와 의를 열국에 행하여 그들도 시온으로 인도하여 궁극적으로 완성된 시 온을 이루는 자들이다. This work has the task to reveal the identity of 'we', the first plural person which is represented as those remained in the Book of Isaiah. Those who remained in the Book of Isaiah are passed through ordeal, repented their sin and looked forward to the ultimate Zion's completion. This work examined the structure of the text of Isaiah 1:1-31, 9:1-7, 26:1-27:1, 52:13-53:12, 63:7-64:12,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surrounding text, and the consistent thematic network of the body and studied the logical relationship among 'we' in the body. the body of 'we' is consistently related one another. In particular, it shows comprehensively dynamic consistent structure through the development & change of 'we' that have their own era background. Considering the whole context in the Book of Isaiah, the identity of 'we' is the ones who remained waiting for the ultimate completion of Zion. Though 'we' commented on the Book of Isaiah were the group appearing in the several periods, they were the ones who tried to do justice & righteousness against all odds and wished the recovery of Zion achieved. 'we' who was commented in the Book of Isaiah, were the ones the community which appeared against the background of several eras, but they also belonged to the ones who ultimately repented of their own sins among hardships and struggled to do justice & righteousness. Now, 'we' are trying to do justice & righteousness for the purpose of coping with mission as a servant, furthermore have done justice & righteousness to all the nations and guided them to Zion, ultimately trying to achieve the completed Zion.

      • KCI등재

        성전에 올라가는 노래 (시편 120-134)의 구성적 주석적 연구

        김아윤 ( Kim Ayun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신학연구소 2021 ACTS 신학저널 Vol.50 No.-

        ‘성전에 올라가는 노래’라는 공통된 표제어를 가진 시편 120-134편에 통일성을 부여하는 가장 중요한 주제로 많은 학자가 ‘시온의 회복’을 꼽지만, 시편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연 윌슨(Wilson)은 ‘여호와 하나님 한 분 만을 전적으로 신뢰함’이라는 주제가 시편 120-134에 통일성을 부여하는 가장 강력한 주제라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그의 연구는 시편 전체의 편집 의도를 살피는 데 목적이 있었기 때문에 시편 120-134편을 자세히 살피지는 못하였다. 본 연구는 시편 120-134편의 최종 배열의 구조 분석을 통해 윌슨이 언급한 ‘오직 여호와를 신뢰함’이 성전에 올라가며 부르는 노래 전체를 아우르는 주제임을 밝히고, 주석적 분석을 통해 개별 시편 들이 중심 주제와 어떻게 연결되면서 유일하고 전적인 신뢰의 대상인 ‘여호와께로’ 나아가는지 고찰하였다. 시편 120-134편은 시편 120-124(A), 125-129(B), 130-134(A’)로 나눌 수 있다. 제1부 시편 120-124편에서는 여호와를 신뢰하는 예배자들이 ‘샬롬’ 이 없는 상황, ‘샬롬’이 없는 이방 땅에서 ‘샬롬’의 도시 예루살렘/시온에 계신 여호와께로 올라간다. 제2부 125-129편은 제1부에서 시인이 갈망하였던 ‘평안’과 ‘복’을 받는 자들이 누구인지 밝혀주고 있다. 이들은 ‘여호와를 의지하는 자들’로 ‘의인들’ ‘선 한 자들’ ‘마음이 정직한 자들’ ‘여호와를 경외하는 자’로도 불린다. 여호와께서 과거에 베풀어 주신 은혜와 구원에 감사하고 현재와 미래에도 그렇게 행하실 것을 믿는 자는 여호와를 의지하고 그분만을 경외한다. 그런 개인들에게 풍요와 다산의 복으로 대변되는 ‘복’을 주신다. 제2부에서는 복을 주시는 여호와에 대한 신뢰의 고백과 누가 여호와께서 주시는 복을 받는 자인가에 대해 노래한다면, 제3부에서는 ‘하나님의 집’ 성전이 있는 시온/예루살렘을 향하여 떠나는 발걸음이 예루살렘 성내로, 다시 성전으로 가까워갈수록, ‘여호와께로 향하는’ 사람들의 마음은 자신의 내면 깊은 곳의 죄를 인식한다. 하나님만이 하실 수 있는 용서와 속량을 구하며 더욱 온전히 주님만 의지하는 개인과 공동체에 주님이 주시는 미래 소망과 ‘복’이 이들을 충만한 기쁨과 감사로 이끈다. Because of the ambiguous title “Song of Ascents” and the complexity of Psalms 120-134, scholars have sought to discover their prominent unifying features. While many scholars agree that the Zion theme is the main feature that ties the psalms together, Gerald H. Wilson remarks that Psalms 120-134 are “an almost unbroken song of reliance on YHWH alone.” This study concurs with Wilson’s point of unity. It argues that trusting in the LORD alone is the central theme of the Song of Ascents. Further, this paper argues that the destination of the Song of Ascents is not Zion but YHWH himself, who chose to dwell in and bless from Zion. A structural analysis shows that Psalms 120-134 can be divided into three units: 120-124(A), 125-129 (B), and 130-134 (A’). In the first unit (Pss 120-124), a worshiper begins his journey from a place of hostility toward the city of Shalom (Jerusalem), seeking shalom. He has a firm trust that YHWH, the Maker of heaven and earth, would come to his help. The second unit (Pss 125-129) describes the status of shalom, the experience of blessings from Zion in terms of daily life in an agricultural society. It also tells who is qualifies to receive these blessings. “Those who trust in the LORD” are the ones who can enjoy the promised benefits. They are also called the righteous, the good, the upright, and those who fear the LORD. The third unit (Pss 130-134) deals with the problem of sin, which YHWH alone can forgive. The pilgrim realizes his sins and the sins of Israel before the presence of the LORD as he approaches Zion, which leads to complete reliance on the LORD for forgiveness and redemption. The pilgrimage towards YHWH ends with a prayer for the Davidic dynasty and the people of Israel, celebrating the blessings for Israel as a worshipping community and praising the LORD who blesses those who trust and obey him.

      • KCI등재후보

        시온의 토라와 “들음”의 이슈에 대한 고찰

        장세훈(Se-Hoon Jang)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1 Canon&Culture Vol.5 No.1

        본 논문은 이사야서의 최종 형태의 맥락에서 이사야 2:2-4의 역할에 초점을 둔다. 이사야 2:2-4은 후속 단락들과의 구조적 연관성뿐만 아니라 선행 단락인 이사야 1장과도 긴밀한 연관성을 갖는다. 예를 들면, 이사야 2:1의 표제는 이사야 1:1의 표제와의 연관성 속에서 이해할 수 있다. 흥미롭게도 이사야 2:1의 표제가 이사야 2-12장이라는 독립 단위를 이끄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만, 이사야 1:1의 표제를 연상시키는 것도 사실이다. 이사야 1:1은 이사야가 보았던 “계시”(‘!Azx])로 소개되는 반면, 이사야 2:1은 이사야가 “보았던 그 말씀”(hz"ex" rv<aa] ‘rb"D"h;)으로 간주된다. 흥미롭게도 이사야 1:1과 이사야 2:1은 “보았다”라는 의미의 명사와 동사를 함께 사용하여 표제의 상호 연관성을 시사해 준다. 나아가 이 표제의 상호 연관성은 이사야 1:1에 소개된 이사야의 계시가 이사야 1:1에 언급된 8세기 왕들의 시대뿐만 아니라 이사야 2:1에 묘사된 종말의 시대를 포괄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더욱이 이사야 1장과 이사야 2:2-4은 듣지 않는 시온에서 듣는 시온으로의 전환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들음”의 중요성은 이사야서의 서론과 결론으로 작용하는 이사야 1장과 65-66장, 그리고 이사야서의 전반부와 후반부를 이어주는 이사야 36-39장 속에서도 동일하게 강조되며, 전체 이사야서의 의도를 반영해 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ek to show how Isaiah 2:2-4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e final form of the book of Isaiah. It is widely agreed that the oracle in Isaiah 2:2-4 set forth one of the most eschatological pictures in the Old Testament in which Zion is identified and elevated not only as the world governmental center but also as The God’s dwelling place to which the nations would go on to a pilgrimage in the latter days. Interestingly the passage offers a sublime presentation in which the Torah will emanate from Zion so that the pilgrims who long to learn it will gain an insight into God’s ways an walk in them. It is noteworthy, furthermore, that Zion’s Torah and its role in Isaiah 2:2-4 lead us to the importance of hearing the Torah that is demonstrated in Isaiah 1 and 65-66 and Isaiah 36-39. Special Attention is paid to how Zion’s Torah in Isaiah 2:2-4 play a pivotal role in understanding the book of Isaiah as a whole.

      • KCI등재

        시온으로서의 다윗: 세 층위를 가진 시편으로서 시편 51편 읽기

        하경택 한국구약학회 2023 구약논단 Vol.29 No.4

        시편 51편에 대한 세 차원의 해석은 그 자체로 시편 51편의 형성사뿐 아니라 해석사를 보여준다. 이러한 과정에서 시온의 ‘화신’으로서 다윗의 의미와 시온의 ‘다윗화’라는 공동체적 이해가 분명하게 드러난다. 이 시편에서는 상하고 부서진 ‘손상된 구조물’로서의 시인이 그것을 보수하시고 재건하시는 ‘건축가’로서의 하나님을 갈망하며 탄식하고 청원하고 서약한다. The three-dimensional interpretation of Psalm 51 in itself shows not only the formation history of Psalm 51 but also the history of interpretation. We can get a glimpse of the process of growth and change from ‘individual lament’ to ‘a psalm of David’ and ultimately to ‘communal lament.’ In this process, we discover the meaning of David as the ‘incarnation’ of Zion and the communal understanding of Zion’s ‘Davidization.’ In Psalm 51, the poet, as a damaged and broken ‘structure,’ longing for God as an ‘architect’ who repairs and rebuilds it, laments, petitions, and pledges.

      • KCI등재

        "시온 현인들의 회의록": 반유대주의적 사료조작에 관한 소고

        윤용선 ( Yong Seon Yun ) 대구사학회 2007 대구사학 Vol.87 No.-

        ``The Protocols of the Elders of Zion`` which appeared in Europe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is regarded as the direct evidence of ``the conspiracy by the Jews for the world domination.`` The document consists of 80 pages and 24 chapters and contains what the 12 Jewish elders discuss for the world-wide domination and management. Since each chapter is the record of one meeting, they can be said to hold 24 meetings for the subject at least. The main content of the ``Protocols`` is the speech notes a Jewish leader provided in front of and with those ``Elders of Zion.`` The document could be evaluated just as some comic episodes of no historical value at all we are to consider. But on the contrary it attracts our gaze in two ways. First, the creation and diffusion of the document itself leads us to see how influential and prevalent the antisemitism in Europe was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Second, ``the Protocols``, though absurd in its contents, contributes to stimulating and spreading the antisemitic tendency over the European Christian world. The document has been translated and published in various languages and in many countries, inevitably arousing the serious antisemitic sentiment all over the world. What is worse, the book is now widely read in Arabic countries, resulting from and in increasing hostility toward Israel. And I`m afraid that their antisemitic fire is already over the acceptable and curable level. This paper refers to the backgrounds and development of the historical theories which have caused and added fuel to the Jewish conspiracy hypothesis, and aims to discuss the true nature and effectual results the document gives to us and to the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