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敬堂 張興孝와 17세기 경북 북부지역 성리학에 관한 연구

        장윤수(Jang Yun-su) 대한철학회 2006 哲學硏究 Vol.99 No.-

        이 연구는 외적으로 敬堂 張興孝(1564~1633)의 삶과 사상을 중심으로 하여 17세기 경북 북부 지역 성리학의 특징을 해명하는 것이 주된 목표이다. 그리고 내적으로는 영남학파 특히 퇴계학파가 지닌 이론적 특징과 실천적 관심을 장흥효와 경북 북부지역의 성리학자들을 통해 확인해 보려는 것이다. 장흥효는 17세기 경북 북부지역 성리학계의 최대 학자이다. 그는 여러 면에서 퇴계학파의 중심에 있으며, 또한 그 자신이 직·간접적으로 퇴계학파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학문 관심은 이론 논변에만 머물지 않고 근본적으로 실천수양의 방면을 지향하였다. 그러나 종래 학계에서 장흥효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글에서는 퇴계학파의 이론적 標識를 염두에 두고 경당의 기본 성리이론과 실천적 삶의 특징을 그려보고자 한다. 경당의 성리이론에서 가장 주목되는 것은 體用論이다. 그는 體用의 구조로써 성리이론의 전모를 체계적으로 설명해 내고자 하였다. 그리고 경당은 인간과 만물을 理氣妙合의 존재로 보나, 퇴계와 마찬가지로 오직 인간만이 유일한 윤리적 존재일 수 있는 근거를 理에서 찾는다. 경당의 이러한 이론은 퇴계학파의 기본 이론을 이루는 標識 중 하나이다. 한편 경당은 성리학적 이론을 삶 속에 구체화하고 실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持敬의 삶을 살아가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持敬論은 퇴계의 입장을 기본적으로 계승한 것이기는 하나, 경당에 이르러 더욱 구체적 삶의 모습으로 體現되며 이후 퇴계학파의 학자들에게서 공통적으로 찾아볼 수 있는 하나의 특징이 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경당은 퇴계학을 思辨的 이론뿐만 아니라 실천의 영역에서도 균형 있게 발전시켰다고 평가할 수 있다. 우리는 이 연구를 통해 종래 거의 주목받지 못했던 17세기 경북 북부지역의 성리학적 전통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하며, 특히 퇴계학파의 형성에 관한 이론적 토대가 보다 선명하게 그려질 수 있기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Neo-Confucianism in northern Kyeong-Buk Province in the 17th century in terms of Jang-Heung-Hyo"s (1564∼1633) life as a scholar and his thoughts. This study also compares Jang-Heung-Hyo and other scholars with Toe-Gye School in terms of theoretical characteristics and practical concerns of Neo-Confucianism. Jang-Heung-Hyo was one of the most famous scholars of Neo-Confucianism in northern Kyeong-Buk Province through the 17th century. His concerns had not been limited to theoretical arguments. He also emphasized practical and moral cultivation of the human mind. His main concerns were Yi-Hak(理學), Gyeong-Ron(敬論) and Sim-Hak(心學). These concerns had led him to pursue a society in which those fields are realized through cultivation and practice. He could become a key person of Neo-Confucianism in the 17th century by educating young students in northern areas of Kyeong-Buk Province. The Neo-Confucian traditions in northern Kyeong-buk Province has not been shed a proper light. Hopefully, this study can lead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Neo-Confucian traditions in north areas of Kyeong-buk and the spread of Toe-Gye School.

      • KCI등재

        敬堂日記를 통해서 본 張興孝 學團의 地形圖와 性理學的 思惟

        장윤수(Jang Yun-su) 대한철학회 2008 哲學硏究 Vol.107 No.-

        이 연구는 敬堂 張興孝(1564~1633)의 日記(敬堂日記)를 통해 장홍효 자신의 삶과 사상을 해명하고, 그리고 장홍효 學團이 중심이 된 17세기 경북 북부지역 성리학계의 地形圖를 그려내고 그 성리학적 문제의식과 이론적 특징을 재구성해보는 것이 주된 목표이다.’장홍효는 17세기 경북 북부지역 성리학계의 최대 학자이다. 그는 여러 면에서 퇴계학파의 중심에 있으며, 또한 그 자신이 직·간접적으로 퇴계학파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학문 관심은 이론 논변에만 머물지 않고 근본적으로 실천수양의 방면을 지향하였다.’退溪學脈의 중심에 있는 장홍효는 退溪의 경우처럼 칠십 평생을 持敬의 삶으로 일관했다. 그리고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추스르는 일환으로 日記를 썼는데, 成人이 된 이후 거의 평생을 써갔다. 그의 日記는 무엇보다 자신의 수양과정을 기록해나간 工夫錄이라는 점이 특색이며, 門下生들과의 학업과정도 충실하게 기록해두고 있어서 17세기 경북 북부지역 성리학계의 동향을 파악하는 데 대단히 귀중한 자료이다.’종래 학계에서 장홍효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필자는 이 연구를 통해 종래 거의 주목받지 못했던 장홍효의 성리사상 뿐만 아니라, 17세기 경북 북부 지역의 성리학적 전통에 대한 이해를 도모해 보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Gyeong-Dang-Diary and Neo-Confucian in the District of Kyeong-Buk North in the 17th Century. Jang-Heung-Hyo(1564~1633) was one of the most famous scholars of Neo-Confucianism in northern Kyeong-Buk Province through the 17th century. His concerns had not been limited to theoretical arguments. He also emphasized practical and moral cultivation of the human mind. These concerns had led him to pursue a society in which those fields are realized through cultivation and practice. He could become a key person of Neo-Confucianism in the 17th century by educating young students in northern areas of Kyeong-Buk Province. Jang-Heung-Hyo kept a diary to reflect on own life. After he became a adult, he wrote a diary almost all life. He accounted for class process faithfully with disciples in a diary. First of all, his diary is study journal that account for own moral culture process. Therefore, His diary is a very important literature to understand the Neo-Confucian in the District of Kyeong-Buk North in the 17th Century. Hopefully, this study can lead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Neo-Confucian traditions in north areas of Kyeong-Buk and the spread of Toe-Gye School.

      • KCI등재

        退溪 李滉의 書藝觀과 學書態度

        이동국(Lee, Dong-kook*) 한국서예학회 2005 서예학연구 Vol.7 No.-

        본 논문은 書藝家로서 退溪 李滉(1501-1570)의 書藝觀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퇴계에 대한 道學者나 詩人으로서의 면모는 오래 전부터 國學 전 분야 걸쳐 심층적인 연구가 있어왔다. 그러나 書藝家로서 퇴계가 남긴 작품이나 서예를 보는 관점이 16세기 조선이나 후대에 끼친 영향력을 감안해 볼 때 연구가 일천한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차에 2001년도 예술의전당에서 탄신 500주년기념 ‘退溪 李滉 書藝’ 전시를 통해 작품이 대거 공개되어 퇴계 서예의 전모를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전시작품과 퇴계의 문집자료를 통해 道學者인 退溪의 書藝觀과 學書態度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먼저 퇴계는 居敬窮理의 道學者的 書藝觀을 견지하면서 書藝를 詩文의 末端으로 보고 있지만 여전히 글씨는 心法에서 비롯되기 때문에 글씨를 쓸 때 점획을 오로지[存一]하게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다만 시나 글씨를 씀에 있어 玩物喪志라 하여 그 과도함을 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러한 입장은 딱딱한 經文一致에 사로잡혀 辭章之文을 ‘作文害道說’로 부정하는 다른 道學者들과는 다르다. 이러한 퇴계의 글씨는 生涯事實과 道學의 성숙과정으로 볼 때 대체적으로 4시기로 나누어 그 특질을 살펴볼 수 있다. 즉 30대․40대 퇴계의 글씨가 비교적 활달한 運筆에 세로로 긴[縱長] 結構가 특징이었다면 50대․60대 퇴계의 글씨는 활달한 기운이 필획의 안으로 온축되면서 嚴正端雅하고, 필획의 陰陽對比가 심한 가로로 긴[橫長]의 결구가 특징인데 우리가 흔히 ‘濃墨草書’로 부르는 退筆도 이 시대에 만들어진 것이다. 뿐만 아니라 퇴계는 동시대 어떤 작가보다도 多樣한 書體驅使를 구사하였는데 楷書와 額書, 行書와 草書, 篆書와 隸書, 國漢文混用書를 들 수 있다.그리고 퇴필이 단순한 서사기능을 넘어 이렇게 書體 變化의 時期 區分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同時代라도 多樣한 書體가 共存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퇴계는 書藝 자체를 하나의 藝道로 積極的으로 認識하고 不斷한 訓練을 해간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退筆에 대한 評價는 당시 道學者들은 물론 社友 文人들을 통해 후대에까지 지속적으로 전개되었는데, 趙穆은 퇴필의 성격이 초년에 ‘典雅硏精’함에서 만년에 華美를 제거하고 날카로움을 거두어들여 ‘沖澹健奧’하고 ‘端方縝密’하게 변모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그리고 鄭惟一도 50代를 前後하여 詩風과 書風의 劇的인 변화를 ‘詩文의 아름다움과 書法의 묘함을 온 세상이 스승으로 본받지 아니함이 없었다’ 고 밝히고 있다. 이러한 退筆은 道學者들을 통해 전개된 王羲之 復古運動의 중심이 되었고 퇴계의 學統을 이은 嶺南學派 글씨의 典型으로 자리 메김 되었다. 즉 16세기에 들어 性理學의 朝鮮化 過程이 진전되면서 외모에 치중하고 무게가 없는 松雪體에 싫증을 느끼고 王羲之의 法으로 회기하는 경향이 농후해지면서 송설체의 姸眉之態에서 벗어나 美麗하지만 端正한 왕희지체로 변화되어 갔는데, 이러한 복고경향은 魏晋古法에서 글씨의 근본을 찾으려는 도학자들의 의식상태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This is a study of T'oe-gye Yi Hwang as calligrapher, focusing on his calligraphic works and views on calligraphy. An in-depth study on T'oe-gye as confucian scholar or poet has already been made in various other fields of Korean studies over the years. However, there has not yet been a concentrated regard on T'oe-gye as calligrapher. It is judged as a rather pressing issue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his works and his views of calligraphy on the calligraphic culture of the 16th century and later Joseon. The exhibition of 'T'oe-gye Yi Hwang' in commemoration of his 500th anniversary featured at Seoul Arts Center in 2001, in which an extensive quantity of his works were introduced to the public, served as a chance to take a full view of the world of his calligraphy. Through the exhibited works of calligraphy and T'oe-gye’s anthology, this article investigates T'oe-gye’s views of calligraphy and his attitude toward studying calligraphy, formation of his unique calligraphic style and its formative features, and the evaluation on and influence of T'oe-gye's calligraphy on his contemporaries and posterity. This study revealed that T'oe-gye maintained the attitude of a Confucian scholar to study the law of nature居敬窮理,' and believed that calligraphy is the manifestation of confucian philosophy rooted in Shim-beop心法, or the way of mental discipline, and stressed that one should be consistent with dots and brush strokes. Such an attitude of his is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confucian scholars who insisted that 'poetry composition and calligraphy impairs the confucian doctrines作文害道說.' T'oe-gye’s calligraphy can be divided into four phases according to his life chronology and maturity of his confucian studies. While in his 30s and 40s, he used relatively vigorous brush strokes and vertically longer character composition, in his 50s and 60s, the vigor was stored and concealed into the strokes, and the characters became strict and neat, using horizontally longer character composition with severe contrast in the yin and yang of the brush strokes. What is often referred to as the 'rich ink cursive script ‘ of T'oe-濃墨草書gye corresponds to the style of this period. T'oe-gye used a variety of calligraphy script styles. Especially, a lot of his works written in Large Characters(大字書) as well as his Running Script(行書) and Cursive Script(草書) which are representative of T'oe-gye are extant today. Judging from the materials so far discovered, it is rather rare for his time that he also used Clerical Script(隸書) and wrote Korean characters and Chinese characters in mixture. Also, the fact that T'oe-gye's calligraphy went beyond the function of simple transcription, that his calligraphy can be divided into a number of phases according to the stylistic changes throughout his life, and that he used various calligraphic script styles in a period, tells that T'oe-gye recognized calligraphy as a way of arts and conducted consistent disciplines in it. The evaluation of T'oe-gye's calligraphy was attempted by the confucianscholars, his friends and companions during his life time and afterwards. It was done on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 of his calligraphy and the attitude of his calligraphy training. Jo Mok趙穆pointed out that T'oe-gye's calligraphy was 'elegant and elaborate典 雅硏精' in his earlier years, but that the flourishing beauty and sharpness was eliminated and changed to 'deep and simple, yet equipped with inner strength沖澹健奧' and 'neat, square and thick端方縝密' in his later period. Jeong Yu-il鄭惟一also indicated that there was a dramatic change in his calligraphy and poetry style around his 50s. He said that 'the beauty of his poetry and exquisiteness of his calligraphy was such that the entire world took it as a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