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后山謾詠」의 문학적 형상화와 의미

        문정우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2 남명학연구 Vol.73 No.-

        「后山謾詠」은 江右 지역의 문인이자 학자인 愚山 韓愉 (1868-1911)가 國難에 대처한 삼십여 명의 고절한 인물의 기개를 형상화한 18題의 연작시이다. 「후산만영」에 나오는 인물은 중국과 우 리나라의 인사로 구성되어 있는데, 중국의 경우는 명나라와 청나라의 교체기에 나라를 잃은 슬픔에 목숨을 버리거나 자취를 감춘 인물들이 고, 우리나라의 경우는 일제 침략기에 굳은 절의를 보여준 사람들이다. 우산은 일제의 침략을 직접 겪고 있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비분강개의 마음으로 「후산만영」을 창작하였다. 인물들은 대의를 위해 진심을 다하여 각자의 소신에 따라 대처하였는데, 우산은 그들의 절의에 대해 일화를 소개하고 감동적이며 인상적으로 詩에 형상화하였다. 「후산만영」에는 창작 당시의 危難한 시대 상황이 드러나 있으며, 우 산의 지향처가 극명하게 나타난다. 「후산만영」의 문학적 형상화와 의 미를 고찰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해볼 수 있다. 첫째, 殺身成仁의 忠臣을 경모하고 있다. 나라의 존폐에는 신하의 역할이 중요한만큼 우산은 충 신의 충절을 드높였다. 충신이 남긴 절명사의 내용을 시구에 인용하고, 충신과 간신을 대비함으로써 충신의 절의를 형상화하였다. 또한 충신 을 역사 속 절의의 인물에 비견하여 묘사함으로써 망국의 슬픔을 함축 적으로 표현하였다. 우산은 위협과 회유에 굴복하지 않은 충신들의 살 신성인의 行誼를 형상하여, 그들의 죽음이 헛되지 않도록 높은 기상을 전하고자 한 것이다. 둘째, 捨生取義의 행적을 남긴 丈夫를 현양하고 있다. 이름은 남기고 있으나 벼슬을 하지 않은 선비의 義氣를 기리고 있으며, 또한 이름조차 남기지 않은 인물의 사생취의한 행적이 형상되어 있다. 이름을 남기고 있는 경우는 후세 사람들이 그들의 이름을 기억하고 추모할 수 있지만, 무명의 인물에 대해서는 그들의 행적을 통해 그 정신을 기릴 수밖에 없다. 여기에는 우산이 명성과 실질을 꿰뚫어보고, 명성보다 정신을 중시하는 면모를 드러낸 것이다. 셋째, 春秋大義의 史筆意識을 드러내고 있다. 우산은 역사적 사건과 인물의 위인됨을 평가함에 있어서 공자가 보여준 春秋의 비판적 정 신이 점차 쇠퇴하고 있는 것에 대해 안타까워하였다. 「후산만영」에서는 춘추대의에 입각하여 小中華 의식을 드러내고, 인물의 功業을 기록 하여 전하는 문인으로서의 소명의식을 다하며, 학문을 닦으면서도 나 라의 위난에 외면하고 있는 지식인을 비판하는 뜻을 표출하였다. 「후산만영」의 문학적 형상화를 통해 당대의 사태를 통찰하며 현실문 제를 타개하고자 하는 선비로서의 고뇌를 읽을 수 있다. 우산은 「후산 만영」에서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을 나타내었으며, 나라의 위난에 사람 들이 大道를 실천할 것을 촉구하는 뜻을 드러내었다. 우산은 비극적인 나라의 현실에 문학의 가치를 믿고 사람의 정신 경계를 일깨우고자, 문인이자 지식인으로서 대응해나간 것이다. 「Hoosanmanyoung」 is a series of poems by Hanyoo (1868-1911), a literary and scholar of the Gangwoo region, depicting the spirit of more than 30 hard-working characters who dealt with the country. The characters in 「Hoosanmanyoung」 are composed of Chinese figures, who abandoned their lives or disappeared due to the sadness of losing their country during the replacement of the Ming and Qing. And in Korea, they were people who showed a firm spiri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characters faithfully responded to the cause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beliefs, and Woo-san was embodied as a poem in a touching and impressive manner by adding anecdotes. In 「Hoosanmanyoung」, the situation of the times at the time of creation is revealed, and the orientation of the umbrella is clearly revealed. Considering the literary form and meaning of 「 Hoosanmanyoung」, i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oo-san increased loyalty as the role of vassal is important for the existence and abolition of the country. In the verse of poetry, the contents of loyalists were cited, and respect for loyalists and officials was embodied. In addition, the sadness of the deceased was expressed implicitly by describing loyalty by comparing it to a character in history. Woo-san conveyed their spirit so that the deaths of loyalists who did not give in to threats and conciliations would not be in vain. Second, the spirit of the scholar who did not hold a government post and the person who did not leave his name was commemorated. In the case of leaving a name, descendants can remember and commemorate the name, but in the case of unknown figures, they have no choice but to honor the spirit through their deeds. This reveals the aspect of penetrating fame and substance and putting more weight on the mind than fame. Third, it shows Chunchu spirit of criticism. Woo-san felt sorry for the gradual decline of the critical spirit of Chunchu shown by Confucius in evaluating the greatness of historical events and characters. 「Hoosanmanyoung」 expressed his criticism of intellectuals who showed their consciousness based on the  Chunchu, did their best as literary men who recorded and conveyed the character's duties, and turned a blind eye to the nation's crisis while studying. Through the literary figuration of 「Hoosanmanyoung」, we are able to read the agony as a scholar trying to overcome real problems by insight into the situation of the day. Woo-san expressed his love for the country in 「Hoosanmanyoung」 and expressed his urge for people to practice the great deeds in the crisis of the country. Woo-san responded as a writer and intellectual to believe in the value of literature in the reality of a tragic country and awaken people's mental boundaries.

      • KCI등재

        우산(愚山) 한유(韓愉)의 『분양악부(汾陽樂府)』에 드러난 현실인식(現實認識)과 사의식(士意識)의 지향(志向)

        문정우 ( Jung Woo Moon ) 영주어문학회 2011 영주어문 Vol.21 No.-

        『Bunyangakboo』 is Youngsaakboo written by Woo-san Hanyoo based on the historic stories in Jin-ju area. This study has researched the recognition of realities and scholarly attitude in 『Bunyangakboo』. 『Bunyangakboo』 expresses Woo-san`s the recognition of realities. It was aimed at emulating the good points and reflecting the undesirable things. It criticized a mere show without reality. And it shows Woo-san`s the scholarly attitude. Woo-san considerably modeled and was proud of feat and the person who did not desire wealth and honor. It summarized and got the core of scholarship and achievement of Nam-myong Jo Shik and his disciples. 『Bunyangakboo』 is somewhat different with Youngsaakboo of other areas in that it expresses the scholarly attitude which stimulates the duty of scholars in the time of a crisis and peril.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