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2배부 중수골 유경 혈관 이식과 일시적 삼중 주상골 고정에 의한 Kienböck 질환의 치료

        서재성(Jae-Sung Seo),손욱진(Oog-Jin Shon),한재형(Jae-Hyeung Han),박삼국(Sam-Kuk Park),고진혁(Jin-Hyuk Ko),정승민(Sung-Min Chu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4

        목적: Kienbock 질환 치료에 있어 월상골의 재혈관화를 위한 유경혈관 이식술은 유용한 치료법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Kienbock 질환 환자에서 유경 혈관 이식 및 일시적 삼중 주상골 고정술의 결과와 예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3월부터 2003년 5월까지 Kienbock 질환으로 유경 혈관 이식 및 일시적 삼중 주상골 유합술을 받은 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추시 관찰하였다. 추시 기간은 15개월에서 54개월로 평균 35개월이었고 수술 당시 2명이 Lichtman stage Ⅱ, 6명이 stage Ⅲa, 1명이 stage Ⅲb였으며 모든 환자에서 척골 중립변위였다. 수술은 요골 동맥의 제2배부 중수골 분지와 동반 정맥을 이용한 유경 혈관 이식 및 일시적 삼중 주상골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요측 편위를 제외한 술 후 운동범위와 악력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전의 직업으로 복귀하는데 걸린 시간은 평균 22주였다. 단순 방사선 검사상 경화가 호전되는 소견은 8예에서 보였으나 월상골의 함몰 이 6예에서 증가된 소견을 보였다. Lichtman의 기준에 의한 평가는 7예에서는 만족, 비교적 고연령인 2예에서는 불만족이었으며 Nakamura 평가법에 의하면 5예에서 양호, 3예에서 보통, 1예에서는 불량이었다. 결론: 척골 중립변위인 Lichtman stage IIIa 이하의 Kienbock 질환 환자에서 일시적 삼중 주상골 고정술을 동반한 유경 혈관 이식술은 시도할 만한 가치가 있는 치료법이다. 하지만 재혈관화 술식 시 환자의 나이를 고려해야하며 향후 일시적 삼중 주상골 고정의 기간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Revascularization is a useful method for treating Kienbock's disea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e of the second dorsal metacarpal vascular pedicle to treat Kienbock's disease. Materials and Methods : A retrospective study was carried out on 9 patients who had undergone vascular pedicle graft for Kienbock's disease between 1999 and 2003. The mean follow up period was 35 months. At the time of surgery, 2 patients were graded as stage Ⅱ, 6 as Ⅲa and 1 as Ⅲb. The ulnar variance was neutral in all cases. A vascular pedicle graft using second dorsal metacarpal vessel were performed and temporary scaphotrapeziotrapezoid (STT) fixation were applied for 6 months. Results : Wrist motion except for the radial deviation and grip strength had improved significantly. The patients returned to work after an average of 22 weeks. Resorption of the sclerosis was observed in 7 cases, but lunate collapse was observed in the simple radiograph in 6 cases. According to Lichtman's criteria, 7 cases were satisfactory but 2 cases with a relative old age were unsatisfactory. According to Nakamura's classification, 5 cases were good, 3 cases were fair and 1 case was poor. Conclusion : In Kienbock's disease with neutral ulnar variance, a revascularization procedure of vascular pedicle graft with temporary STT fixation is a good treatment method but the patient's age should be considered when determining the revascularization procedure. A prospective study will be needed to determine the optimal duration of temporary STT fixation.

      • KCI등재

        Vascularized Bone Graft Reconstruction for Upper Extremity Defects: A Review

        Ava G. Chappell 대한성형외과학회 2023 Archives of Plastic Surgery Vol.50 No.1

        Upper extremity reconstruction may pose clinical challenges for surgeons due to the often-critical, complex functional demands of the damaged and/or missing structures. The advent of vascularized bone grafts (VBGs) has aided in reconstruction of upper extremity (UE) defects due to their superior regenerative properties compared with nonvascularized bone grafts, ability to reconstruct large bony defects, and multiple donor site options. VBGs may be pedicled or free transfers and have the potential for composite tissue transfers when bone and soft tissue are needed. This article provides a comprehensive up-to-date review of VBGs, the commonly reported donor sites, and their indications for the treatment of specific UE defects.

      • KCI등재

        유경 혈관화 골 이식술을 이용한 주상골 불유합의 치료

        박민종(Min Jong Park),이재성(Jae Sung Lee),신성기(Seong Kee Shin)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5

        목적: 주상골 불유합의 치료를 위하여 원위 요골에서 유경 혈관화 골 이식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주상골 불유합으로 유경 혈관화 골 이식술을 시행 받은 환자 21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나이는 평균 29.3세(16-47세), 추시 기간은 평균 19.6개월(12-36개월)이었다. 모든 예에서 원위 요골 부위에서 1, 2 구획 간 상지대 동맥을 이용한 유경 혈관화 골 이식술 및 K-강선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중 근위 골편 출혈을 육안적으로 평가한 결과 완전한 무혈성 골 괴사가 10예(47.5%)였다. 결과: 21예 중 19예에서(90%) 방사선학적으로 골유합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나머지 2예는 방사선학적으로 골유합 소견이 불확실하나 임상적으로는 유합된 것으로 판단하여 임상적 유합으로 판정하였다. 술 후 방사선학적 골유합까지의 평균 기간은 10.7주(6-16주)였다. 근위 골편이 완전한 무혈성 골 괴사였던 10예 중에서는 8예 (80%)에서 방사선학적 유합을 확인하였다. 주상골 평가 점수를 기준으로 평가한 기능적 및 주관적인 만족도에서 양호 이상이 16예(76%)였다. 결론: 주상골 불유합에서 유경 혈관화 골 이식술은 골유합을 얻을 수 있는 좋은 방법이며 특히 주상골 근위 골편의 무혈성 괴사가 동반된 경우 골유합의 확률이 기존의 골 이식술보다 높아 좋은 적응증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clinical usefulness of a pedicled vascularized bone graft for the treatment of a scaphoid nonunion. Materials and Methods: Twenty-one patients with a scaphoid nonunion were treated with a pedicled vascularized bone graft using the 1, 2 intercompartmental supraretinacular branch of the radial artery.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29.3 years (range, 16-47)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9.6 months (range, 12-36). Punctate bleeding of the proximal fragment was evaluated intraoperatively and complete avascular necrosis was observed in 10 patients (47.5%). Results: Radiographic union was observed in 19 patients (90%). The other 2 patients were considered to have clinical union although it was unclear radiographically. The average union time was 10.7 weeks (range, 6-16). Eight of the ten patients with an avascular proximal pole showed radio-graphic union. Sixteen patients (76%) showed satisfactory subjective results at the time of the last follow up based on the scaphoid score. Conclusion: Pedicled vascularized bone graft is a good method for treating a scaphoid nonunion and is strongly recommended in cases of scaphoid nonunion with proximal pole avascular necrosis.

      • 혈관경 이식술을 이용한 거골의 외상성 무혈성 괴사의 치료 - 2례의 예비보고 -

        김형민,정창훈,이기행,최문구,김윤수,고락현,Kim, Hyoung-Min,Jeong, Chang-Hoon,Lee, Kee-Haeng,Choi, Moon-Gu,Kim, Yoon-Soo,Ko, Lak-Hyun 대한미세수술학회 1999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Vol.8 No.1

        Avascular necrosis is a significant late complication of talar neck fracture. However, treatment for early stage avascular necrosis has been not established. Two patients with post-traumatic avascular necrosis of talus treated with vascular pedicle graft using lateral tarsal artery were reviewed to determine the efficacy of procedure. The procedure involved grafting the lateral tarsal artery and vein into a hole made in the talus through a anterolateral approach. Follow-up was 12 and 24 months respectively. Two patients had significant pain relief, improved function, no worsening of their radiologic staging. The results are promising enough to recommend consideration of this procedure in early stages of avascular necrosis.

      • KCI등재후보

        1, 2-구획간 상지대 동맥 유경 혈관화 골 이식술과 무두 압박나사 고정술로 치료한 주상골 불유합

        김동현,정양국,신승한,길호진,강진우,조한석 대한수부외과학회 2014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19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results of scaphoid nonunions treated with 1, 2-intercompartment supraretinacular artery (ICSRA) pedicled vascularized bone grafting (VBG) and headless com- pression screw fixation. Methods: Since August 1, 2005, 11 scaphoid nonunions with avascular necrosis or bone marrow edema of proximal fragments were managed with 1, 2-ICSRA pedicled VBG combined with headless compression screw fixation. The mean age was 37.1 years (range, 21-66 years). 8 patients had avascular necrosis (AVN) of proximal fragments and 3 patients had bone marrow edema in proximal frag- ments. Serial radiographic evaluations were performed in every 4-8 weeks for bone union and follow up computed tomography scanning were checked in 8 patients. Results: Bone unions were obtained in all 11 patients at 4.9 months (range, 3-9 months) after operation. At last follow up, the average range of motion was 82.5% and the grip power was 84.1% compared to the contralateral side. The mean New York Orthopaedic Hospital wrist score at last follow up was 83.2 (range, 58.1-93.3). Conclusion: Combined 1, 2-ICSRA pedicled VBG and headless compression screw fixation were reliable methods for managements of scaphoid nonunions even with AVN at proximal fragments. 목적: 1, 2-구획간 상지대 동맥(1, 2-intercompartmental supraretinacular artery) 유경 혈관화 생골 이식술과 무두 압박나사 고정술로 치료한 주상골 불유합 환자의 치료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5년 8월 이후 주상골 불유합에 대하여 1, 2-구획간 상지대 동맥 유경 혈관화 골 이식술과 무두 압박나사 고정술을 시행한 1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기공명영상 검사상 8예에서 근위골편에 무혈성 괴사가 있었고, 3예에서골수 내 부종변화가 있었다. 4-8주 간격으로 단순방사선사진 촬영을 시행하고, 8예에서는 전산화단층촬영을 통해 골유합의 진행을 평가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상, 전예에서 골유합을 얻었으며 유합까지의 평균기간은 4.9개월(범위, 3-9개월)이 소요되었다. 운동범위는 평균 82.5%로 회복되었고, 파악력은 84.1%로 회복되었다. 최종 추시 시 New York Orthopaedic Hospital wrist score는 평균 83.2점(범위, 58-93점)으로 평가되었다. 결론: 1, 2-구획간 상지대 동맥 유경 혈관화 골 이식술과 무두 압박나사 고정술은 주상골 불유합에서 근위골편의 무혈성 괴사를 동반한 경우에도 골유합을 얻을 수 있는 유용한 술식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