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가치 중심적 HCI를 위한 새로운 방법론의 개발 및 적용

        이인성(Inseong Lee),최보름(Boreum Choi),김진우(Jinwoo Kim),이기호(Kiho Lee),정승기(Seungki Jung) 한국HCI학회 2007 한국HCI학회 논문지 Vol.2 No.1

        지금까지 HCI분야의 많은 연구들은 사용성 (Usability)을 중요한 연구 주제로 인식하여 왔다. 그러나 연구의 범위를 사용성에 한정하는 것은 HCI 분야의 잠재성을 좁히고, 사용자 경험 (User Experience)의 개념도 좁은 범위로 한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향후 HCI 분야의 연구는 정보 기술의 사용성 측면의 뿐만 아니라, 정보 기술의 사용을 통한 다양한 사용자 경험을 구조적인 관점에서 살펴보아야 한다. 즉 사용성 중심의 연구가 아닌, 보다 전반적이고 구조적인 측면에서 사용자 경험을 살펴보는 새로운 방향의 HCI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사용자 경험을 보다 전반적이고 구조적인 측정에서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특정 정보 기술의 사용을 통해 추구하는 가치(Value)와 그와 같은 가치를 실현 시킬 수 있는 정보 기술의 속성 (Attribute) 및 결과 (Consequence), 그리고 속성, 결과, 가치 간 연관 관계를 구조적인 측면에서 살펴보아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사용자 가치에 대한 대표적인 이론인 Means-End Chain Theory와 속성, 결과, 가치 간 연관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정성적 연구 방법론인 Laddering 기법을 기반으로 사용자 경험 구조 파악 및 가치 중심적 HCI (Value-Centered HCI)를 위한 새로운 연구 방법론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새롭게 제안된 방법론을 통해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경험 구조를 도출하고, 모바일 인터넷 상황에서 도출된 결과 및 본 연구에서 새롭게 제안된 방법론의 이론적이고 실용적인 의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For many years, human-computer interaction (HCI) practitioners have focused on usability in order to enhance the user experience, and companies have seen it as an area where they can gain advantages over their competitors. However, a focus on usability limits the potential of HCI research because it restricts the concept of user experience to just an implemented functionality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 (I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boundary of user experience research into a holistic dimension. We suggest that one of the most powerful ways to broadly understand user experience with an IT is to investigate the attributes of an IT and users’ perceived values and to construct a user experience structure, a hierarchical structure between the attributes of an IT and users’ perceived values. This study thus undertakes two research tasks: to develop a specific methodology, which is the visual probing, for constructing a user experience structure with the attributes of an IT and users" perceived values, and then to build a user experience structure practically by conducting a case study to a specific IT: mobile data service.

      • KCI등재후보

        스마트 폰의 사용자 경험 증진을 위한 컨트롤 구조개선

        이영주 (사)디지털산업정보학회 2017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3 No.4

        As the usage of smart phones continues to increase, the control UI, which users have to continue to use, sometimes finds a heavy burden on users. Therefore, in this study, we have studied the control user interface structure along with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control user interface, and we have studied the role and usage of the control component based on it. Typical commonly used controls are button controls for transmission, selection controls for various selections, link controls for navigation, text controls for inputting characters, indicator controls for feedback on progress, A message control that displays information about warnings and errors, and a window control such as a dialog box. The structure of the control should be design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separated control to help the user efficiently use the control user interfac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theoretical usage of representative components belonging to the separated controls, we presented a new and correct way to use the control to improve the user experience. The use of improved control components will help to design the control structure efficiently and to improve the user experience.

      • KCI등재

        사고 유형에 기초한 디지털 TV 채널 정보구조의 구상

        현혜정(Hye-Jung Hyun),고일주(Il-Ju Ko)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0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5 No.9

        최근 다양한 컨버전스 제품이 활발하게 개발되면서 사용자 유저 인터페이스의 연구가 매우 활발하게 이루지고 있으며 사용자 중심 연구에서 좀 더 구체적인 방향으로 사용자 경험 중심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발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경향은 사용자의 중심개발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사용자의 감성을 잘 나타낼 수 있는 제품 개발을 초점을 맞추고자 하자 객관적 접근이 어려운 점이 있어 과거 사용자의 경험 자료를 기반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판단 근거가 있는 사용자 유저 인터페이스 디자인 프로세스 및 설계 방향을 정립하게 되므로 좀 더 구체적이고 객관적 근거를 나타낼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사용자의 경험을 나타내는 심리학적 설명 변수로서는 연령, 직업 등 은 제품 개발 시점에 사용자에 연구를 통해서 활발히 연구가 되어왔으며 해당 변수에 따른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반면에 문화적 차이로서 사용자의 경험을 구분하는 등의 심리적 차이에 대한 고려한 제품 개발은 아직 진척이 되고 있지 않다. 문화적 차이를 익히 알고 있지만 판단 근거가 연령이나 나이, 직업처럼 구분하기 어려운 점도 있다. 따라서 먼저 문화적 차이에 대한 이론적 배경 중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련하여 고려할 수 있는 사고유형에 따른 메뉴 정보 구조를 어떻게 디자인 할 것 인지에 대한 개념을 제시한다. 사고 유형 중 사물에 범주에 관한 사고 유형에 따른 구분으로 분석적 유형과 관계적 유형으로 구분하여 컨버전스 제품의 대표적인 디지털 TV의 메뉴 정보에 대한 유사성 및 관계성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시한 결과 분석적 유형 집단과 관계적 유형 집단의 결과가 차이를 나타내고 있고 이러한 차이를 고려한 메뉴 정보 디자인 컨셉을 이용하여 사용자 경험 중심 디자인 개발의 설명 변수로 사용하고자 한다. As various convergency products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the study on user interface has been conducted a lot, and for more specific direction, users' experience-oriented user interface from user-oriented studies is recently developed. Such a tendency aiming to focus on product development to express users' emotion, the next step in the user-oriented development had difficulties in an objective approach, so the data based on previous users' experiences were presented as the basic data to establish user interface design process with grounds and design direction, and therefore it is available to show more specific and objective grounds. From this perspective, such psychological variables showing users' experiences like age and job are studied through surveys of users at the development of products, and products according to the variables are released. On the other hand, the products considering psychological difference distinguishing users' experiences as the cultural cap are not progressed yet. Despite the understanding of cultural difference, its decisive grounds are hard to distinguish like age, and job. Therefore, the cognitive concept about how to design menu inform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ccident types that can be considered regarding user interface design among theoretical backgrounds about cultural difference. As the category according to the range of things among accident types, it is divided into analytical type and relational type to conduct a test on similarity and relations about the representative digital TV's menu information of the convergency product. As the result, analytical type and relational type showed difference and this study aims to use menu information concept considering this difference as explanatory variables of the users' experience-oriented development.

      • KCI등재

        대화 상호작용에서 경험의 개념적 구조에 관한 기초 연구

        주서영 ( Seoyoung Joo ),나건 ( Ken Nah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21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5 No.2

        연구배경 최근 대화형 제품 및 서비스의 출시가 증가하고 있다. 향후 이러한 대화형 시스템은 다양한 분야로 확대될 전망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사용자의 대화 경험에 대한 체계적이며 통합적인 개념적 구조를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대화 경험의 개념적 구조 도출을 위해서 첫째, 대화와 경험의 이론적 고찰을 수렴하여 대화 경험의 개념에 대해 파악한다. 둘째, 인터페이스와 대화형 시스템에 대한 문헌 고찰을 통해 대화형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개념을 정립한다. 셋째, 대화 경험과 대화형 제품 및 서비스의 관계 규명을 위해 행위, 과정, 방법, 결과로 구분하고, 이를 근거로 대화 상호작용에서 경험의 개념적 구조를 도출한다. 마지막으로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대화 경험 구조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연구결과 대화 상호작용에서 경험의 개념적 구조를 표면층, 골격층, 구조층, 범위층, 전략층의 5개 층위로 구분하여 파악하였다. 인간-시스템의 대화 상호작용에 서로 대응하는 구조를 도출하였다. 또한 각 층위에 상응하는 개념과 역할을 정립하였다. 또한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대화 상호작용의 기초 연구로써 가능성과 향후 연구 방향을 가늠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대화형 제품 및 서비스가 증가·확대되고, 관련 기술이 발전하는 추세에 발맞추어 대화 경험의 개념을 이해하는 토대를 마련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향후 대화형 서비스와 관련 연구와 개발에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Recently, the launch of conversational services has been on the rise. In the future, these systems are expected to expand into a variety of fields. Therefore, this work seeks to derive a systematic and integrated conceptual structure for the user's experience of conversation to respond to these changes. Methods To derive the conceptual structure of the conversational experience, first, we gather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conversation and experience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conversational experience. Second, we establish concepts for it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f interfaces and interactive systems. Third, classifying them into actions, processes, methods, and outcome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conversational experience and services, and derive the conceptual structure of experience from interactions based on this. Finally, gathering opinions on the conversational experience structure from expert interviews. Results In conversational interactions, the conceptual structure of experience was identified by dividing it into five layers: surface layer, skeleton layer, structural layer, range layer, and strategic layer. We derive structures that correspond to each other in interactions of human-system. We also establish concepts and roles corresponding to each layer. In addition, expert interviews were able to assess the potential as a preliminary research of conversational interaction and the direction of future study.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laid the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conversational experience in line with the trend of increasing and expanding conversational services and developing related technologies. We hope to be used as a fundamental resource for future related research and development.

      • KCI등재

        서비스 디자인의 구조적 개념 분석을 통한 평가 고려요소 도출

        장정진 ( Jung Jin Jhang ),반영환 ( Young Hwan Pa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2 기초조형학연구 Vol.13 No.2

        디자인의 패러다임이 제품의 외형적인 스타일링으로부터 사용자 환경을 조정하여 효율이나 사용성 및 감성적인 만족감을 제공하는 것에 관심을 가지다가, 최근에는 사용자의 경험을 보다 새롭게 하면서 그것을 통해 의미 있는 가치를 부여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확대, 발전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현재 디자인 분야뿐 아니라 서비스, 마케팅 등의 관련 분야에서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디자인적 사고를 적용하여 비즈니스를 성공적으로 이끈 사례를 중심으로 서비스 디자인을 경쟁력 있는 서비스 개발을 위한 방안으로 주목하고 있다. 하지만 서비스 디자인 분야가 더 발전하기 위해서는 학문적인 연구를 기반으로 정립화된 평가 기준을 통해 일반화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서비스 디자인 평가 방법 개발을 위한 기반 연구로써 첫째 서비스 디자인의 구조적 개념 분석하여 접근 방안을 모색하고, 둘째 기존에 소개된 디자인 분야의 평가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서비스 디자인의 평가 시 고려되어야 하는 요소를 도출한다. 마지막으로 대표적인 서비스 디자인 연구 영역 사례에 적용해 제안된 기준의 유효성을 확인하고 타 평가 방법과 비교하여 향후 연구의 기반으로 삼는다. 이 연구를 통해 서비스 디자인을 실행 도구로써 사례 중심 연구뿐 아니라 그 특징을 바탕으로 제안된 평가 기준을 통해 사례를 검증해 봄으로써 학문적으로 일반화 연구에도 기여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실제 평가를 위한 규격화된 프레임워크 개발과 평가 테스트 및 검증을 진행할 예정이다. Design paradigm shifts from designing packages or styling shape of product to controlling efficiency, usability and satisfaction through better user interface. Now designers` goals are become expended and developed to make user experience something new and giving them valuable meaning. So, design field has a keen interest in the new paradigm as well as the other filed and industries related with service. In Korea, service design get attention as a solution for developing successful business cases. But formulated evaluation standards by basic disciplinary researches will be needed to develop service design field and universalize its methods. We study this research as our basic study for further researches about service design evaluation method. In this paper, first we analysis structural concept model of service design and explain the characteristic of service design by comparing its design tool and define evaluation elements of service design based on others evaluation study in design field. Lastly, compare the results of applying service design cases with existing methods. This paper has a meaning to suggest that service design study is not only focused on as a practical tool for case study but also need to be studied for academical generalization study by evaluating actual cases with concrete framework. We are planning to develop evaluation framework and validation after tests for representative service design cases in the future studies.

      • KCI등재후보

        스마트 폰의 햄버거 버튼 UI 연구

        김회광,이영주 (사)디지털산업정보학회 2017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3 No.4

        The controversy about the burger button triggered in 2013 is that it is difficult to know what the hamburger button itself means and that it is difficult to predict what will happen when the button is clicked, Could. This controversy was found to be fundamentally out of touch, and it could be seen that it caused conflict with Apple's navigation structure with iOS. Therefore, in the case of Apple, it is often used in the form of a tab at the bottom instead of using the slide menu, but it is preferable to be used for the purpose of the hamburger button. I've looked through a variety of documents and found that the amount of content you want to offer on your app or the web is large, and there are five or more categories. And if a sub-category needs to exist in the main category like a large shopping mall, the hamburger button could provide the best UI. Apps and webs that can be curated, such as news and pinterest, are better used to enhance the search filter than to place a hamburger button, and for apps or the web that has a longer amount of content on a page Scrolling was available as an alternative to the burger button. In other words, depending on the amount of content to be provided, it is possible to decide whether to use the hamburger menu from the time of designing the information architectur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