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統一新羅 二重基壇石塔의 形式과 編年

        신용철 동악미술사학회 2008 東岳美術史學 Vol.0 No.9

        Silla Stone Stupa has gone through various changes and development for 200years from the end of the 7th century. The study of Silla Stone Stupa was conducted by Go Yu Seop(高裕燮) in 1940s. The chronicle of era of Silla Stone Stupa, by dividing into the 3 periodization, attempted by Go Yu Seop, has been generalized up to now, and the subdivision study, is being carried out now. This study is based on the precedent study and attempted the chronicle analysis of Silla Stone Stupa on the basis of the recent investigation outcome. First of all, the particulars which can be the basis of division of era, attempted by an author of this thesis, I are as followings: First is the construction method of stylobate part, second is the aspect of proportion, third is the statue, carved on the surface of Stupa, and fourth is the regional distribution. As a result of objectively analyzing 4 chronicle factors, mentioned above, Silla Stone Stupa is divided into 4 periodization. The first periodization is until 686, the second periodization is 686~780, the third periodization is 780~830, and the 4th periodization is from 830 to the end of Silla. The history of the style of Silla Stone Stupa is grasped as a matter about how to simplify the number of stone material. The biggest change is to show the phase of change according to the era with the construction method of stylobate part. The Silla Stone Stupa of early United Silla, which is in the first periodization, shows the process of change, which is the method to construct the stone material but is out of the style of wooden Stupa. However, it can be found that several methods were attempted about how to simplify the stone material due to inefficiency. Especially, the second periodization and the third periodization are noticed as periods, when various forms of stone stupa coexist and are manufactured in the history of Silla Stupa.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2nd periodization, which largely appears as 3 kinds, was developed from the matter about how to complement the structural aspect of Stone Stupa. However, the Stone Stupa, which constructs only with the flagstone in the stylobate of the upper and bottom layer, became the mainstream in the time of the 3rd periodization. Eventually, the change in the Silla stone Stupa of the 4th periodization was made in 2ways, which was the Stone Stupa of slim and long type, with the flagstone construction of the upper and bottom layer, and the Stone Stupa of single story. Especially, the range of Silla Stone Stupa went through the expansion process nationwide in the 4th periodization, which is meaningful in the aspect of expansion of pagoda faith in Gyeongju(慶州) and its neighboring area. Meanwhile, there were many stupas, which were created by the local craftsmen in the end of the 9th century and strikingly behind backwards in the figurative feature. It shows the proliferation of the stupa construction technology of the end of Silla and the transmission process of it, and it is estimated that this phenomenon was working as a driving force of the construction of Stone Stupa, tinged with the unique locality by stimulating the natives of each region in the early period of Goryeo Dynasty. 신라석탑은 7세기 말부터 약 200년 동안 다양한 변화와 발전으로 많은 작품을 남기고 있다. 신라석탑 의 연구는 1940년대 고유섭 선생에 의하여 본격화 되었다. 고유섭 선생이 시도한 신라석탑의 시대편년은 3시기 구분법은 지금까지 일반화 되어 있으며 최근 이를 세분화 시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 역시 이 같은 선학의 연구를 토대로 하고 있으며 최근 조사성과를 바탕으로 신라석탑의 편년분석을 시도 한 것이다. 먼저 필자가 시도한 시대구분의 근거가 되는 사항들로는 첫째, 기단부의 결구방식이다. 둘째, 비례의 측면이다. 셋째, 탑 표면에 새겨진 조각상이다. 넷째, 석탑의 지역적 분포를 언급할 수 있다. 위의 4가지 편년요소들을 객관화하여 분석한 결과 신라석탑은 4시기로 구분이 가능한데, 1기는 686년까지, 2기는 686∼780, 3기는 780∼830, 4기는 830부터 신라말까지이다. 신라석탑의 양식사는 석재의 숫자를 어떻게 간략화 하는가라는 문제로 파악된다. 그런데 가장 큰 변화 는 기단부의 결구법으로 시대에 따른 변화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1기인 통일초기 신라석탑은 많은 석재 를 결구하는 방법이면서도 목탑양식에서 벗어나 석탑양식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볼 수 있다. 그러나 곧 석재의 사용과 결구의 비효율성으로 많은 석재를 어떠한 방식으로 간략화 하는가 라는 점에서 여러 가지 결구방법들이 시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2기와 3기까지는 신라탑파사에서 매우 다양한 형식의 석탑들이 서로 공존하며 제작된 시기로 주 목된다. 크게 3가지로 나타난 2기의 결구법은 석탑으로서 구조적인 면을 어떻게 보완할 것인가 하는 문 제에서 발전하였다. 그러나 3기에 이르러 상하층 기단을 판석으로만 결구하는 석탑이 주류를 이루게 된 다. 이는 점차 지방으로 확산되는 석탑건립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결국 4기 신라석탑은 2가지 방향에서 그 양식적 변화가 이루어졌는데, 상하층 판석식 결구를 가진 세 장형의 석탑과 단층기단 석탑의 성립이다. 특히 4기에 이르러 신라석탑의 범위는 서울 경기 지역을 제외 한 전국적 확대 과정을 겪는데, 종전에 경주와 그 인근에 머물던 불탑신앙의 전국적 확대라는 측면에서 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한편 9세기 말엽 지방 장인에 의해 만들어진 조형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탑들 이 다수 있다. 이는 신라말기 건탑 기술의 확산과 전래 과정을 보여주는 것으로 고려초기 각 지방의 토착 민을 자극하여 독특한 지역성을 띤 석탑 건립의 원동력으로 작용하였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통일신라 범종 명문의 서풍 변화

        정현숙(Jung, Hyun-sook) 한국서예학회 2018 서예학연구 Vol.33 No.-

        통일신라에서 명문이 있는 것 중 탁본으로 그 명문이 전해지는 범종은 6구다. 이 종명들은 모두 해서로 쓰였으며 한 점의 후면만 행서로 쓰였다. 그러나 그 서풍은 시대적 변화와 더불어 조금씩 다르게 변천한다. 본고는 8-10세기에 걸쳐 주조된 이 종명들의 글씨를 통해 서풍의 특징과 변천 과정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8세기에서 9세기 초인 제1기에는 주로 북위풍과 안진경풍으로 구분되는 중국풍해서가 사용되었다. 가장 이른 <상원사종명>(725)은 북위풍으로, <무진사종명>(745), <성덕대왕신종명>(771), <선림원종명>(804)은 안진경풍으로 쓰였다. 안진경풍은 통일신라 비문에서는 부분적으로만 사용되었는데, 범종에서는 전체적으로 사용되었다. 이것은 종의 곡선미와 어울리는 서풍을 선택한 서자의 미의식과도 연관성이 있어 보인다. 9세기대인 제2기에는 중국풍이 아닌 해서가 사용되어 신라풍으로의 변천 과정을 보여 준다. <연지사종명>(833)에는 1기의 종명 글씨와는 다른 자유로운 변화가 있어 신라 서자의 자가적 분위기가 있다. 10세기인 제3기에는 1, 2기와는 구별되는 완연한 자가풍으로 쓰였다. 반각이 특이한 <송산촌대사종명>(904)에서 행서의 필의까지 가미된 자유분방한 서풍은 2기의 <연지사종명>보다 더 창의적 자가풍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3기의 종명 글 씨는 신라식 서예문화의 정착에 일조한 것이다. 통일신라 종명 글씨의 3단계에 걸친 이런 서풍의 변화는 중대, 하대, 나말여초라는 역사적 시기 구분과 거의 일치한다. 그리고 그것을 따르는 비천상의 3단계 양식 변화, 단월의 3단계 위상 변화, 장인의 3단계 소속 변화, 명문의 3단계 위치 변 화와도 대략 일치한다. 통일신라 종명의 글씨는 목간과 불교 금석문의 글씨처럼 북위풍에서 당풍을 거쳐 마침내 자가풍을 창조함으로써 중대에서 하대를 거쳐 나말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신라의 독자적 서예문화를 형성하는 사회적 분위기에 상응한다. There are six Buddhist bell inscriptions transmitted in ink rubbing in the Unified Silla period. They were written in regular script and the back side of one in running script. Their calligraphic style became changed gradually with the periodical change.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change of calligraphic style of them made from the 8th to the 10th century. The Chinese styles of the Northern Wei and Yan Zhenqing (顔眞卿) of the middle Tang were used during the first period from the 8th to the early 9th century. The bell inscription of Sangwonsa in 725, the earliest one of all, was written in the style of the Northern Wei and those of Mujinsa in 745, Seongdeokdaewang in 771, and Seollimwon in 804 in the style of Yan Zhenqing. The bell inscription of Yeonjisa in 833 that belongs to the second period was written in the atmosphere of free change, which i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first period. Its regular script shows the change process from the Chinese to the Silla style. The bell inscription of Songsanchondaesa in 904 that belongs to the third period was written in the own style of the Silla calligrapher, which differentiates from those of the first and second periods. It is more creative style than that of Yeonjisa of the second period. Accordingly, it can be said that the bell inscription of the third period contributed to the settlement of calligraphy culture in Silla style. Thus, the three-stage change of the calligraphic style of the bell inscriptions of the Unified Silla is in concordance with the period division, which are middle, late and end periods of Silla. It almost accords with the three-stage change of pattern of the image of a flying fairy, that of donator’s status, that of master artisan’s belonging, and that of inscription’s location following the three-stage periodical change. Like those of the wooden tablets and Buddhist stone inscriptions, the writings of the bell inscriptions of the Unified Silla period changed its style from that of the Northern Wei through that of the Tang to that of the Silla. It also corresponds the social atmosphere forming the calligraphy culture of Silla’s own, passing from the middle through the late to the end period.

      • KCI등재

        統一新羅時代 北原小京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

        이재환(Lee, Jaewhan) 한국상고사학회 2012 한국상고사학보 Vol.75 No.-

        통일신라시대에 설치된 5소경 중 원주지역에 설치된 것으로 알려진 북원소경은 관련 사료나 고고학적 자료가 부족하여 연구 성과가 미진하다. 기존 연구에서는 구체적인 근거 없이 원주지역에 북원소경이 설치되었음을 설명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의 고고학적 자료를 바탕으로 북원소경이 원주지역에 설치된 배경과 과정, 중심지 등을 고찰해 보았다. 신라 통일기 이전인 삼국시대까지 원주지역의 중심지는 법천리유적으로 대표되는 백제계 세력권인 남한강유역의 부론지역이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법천리유적 등에서 출토된 유물의 성격으로 보아 백제계의 강력한 토착세력의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이후, 지방통치체제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토착세력의 존재를 약화시키거나 견제할 필요성이 있었다. 이를 위해서 중원소경에 인접하지만 또 하나의 소경을 설치가 필요하였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교통상의 입지라는 측면에서 북원소경이 자리 잡은 지역을 강원감영지 등이 위치하고 있는 치악산의 서쪽, 원주천유역인 현재의 원주시내지역으로 비정하게 한다. 이러한 추론을 가능하게 하는 고고학 자료들인 통일신라시대의 유물과 유적이 원주천유역인 현재 원주시내지역을 중심으로 확인된다. 현재의 원주시내지역의 고고학적 양상을 종합해 보면 이 지역은 신라 통일기를 즈음하여 본격적인 개발이 시작되었으며 통일신라시대 문화가 확실히 존재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결국, 신라는 통일기에 이르러 남한강유역에 있던 기존 토착세력을 견제하고 새로운 교통상의 요지에 북원소경을 설치함으로써 지방통치체제의 정비를 추진했을 것이다. 따라서 북원소경의 설치를 계기로 원주권 문화의 중심지가 원주천유역인 현재 원주시내지역으로 옮겨진 것으로 보인다. 통일신라시대 북원소경의 설치와 더불어 원주시내지역은 원주권 문화의 중심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후 원주지역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강원감영지 등이 위치하고 있는 현재의 원주시내지역을 중심으로 발전해 왔다고 할 수 있다. Bukwonsogyeong was among five small capital cities in the Unified Silla Period, which is known to be established in the region of Wonju, Gangwon. However, it has not been studied well due to lack of historical records or archaeological finds. An existing theory that Bukwonsogyeong was established in Wonju area is based on without sufficient evidences. This study investigated on the background, the process, and the site showing how and where bukwonsogyeong was established in the area of Wonju by consideration of recently revealed archaeological evidences. Before the unification of Silla, an area of Buron in Namhan River basin is considered as a cultural and political center of the area where had been governed by people of Bakje origin by examination of the Bubcheonli site excavated in this area. Characteristics of the Bubcheonli site indicate existence of powerful people of Bakje origin. After unification Silla was necessary to weaken or restrain the indigenous forces to settle down local government systems. Thus another small local capital might have to be established in this area although it is located closely to Jungwonsogyeong. From consideration of a transportation aspect, in addition, location of Bukwonsogyeong can be inferred current urban area of Wonju in Wonjuchen basin, where is current site of the supreme local government office (Gamyoung) located on west side of Chiac Mountain. This inference was reached on the basis of archaeological materials, site of Unified Silla Period, which was excavated in current urban Wonju area. After considering all the archaeological aspects obtained from current urban Wonju area, it is apparent that the area have begun to grow since the period of unification of Silla and the culture of Unified Silla Period exists unambiguously in the remains. Silla consequently restrained the indigenous forces during the period of unification and tried to organize local government systems by installing Bukwonsogyeong at the emerging major transportation point. The establishment of Bukwonsogyeong, therefore, resulted in transfer of cultural hub of Wonju region to current urban Wonju in Wonjuchen basin. Urban Wonju area became a centre of culture of Wonju regio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Bukwonsogyeong in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region of Wonju, thereafter, has continuously developed and expanded around current Wonju area through Koryo Dynasty and Chosun Dynasty.

      • KCI등재

        삼국시대∼통일신라시대 동경(銅鏡)에 관한 연구

        홍세아 ( Hong Se Ah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1

        동경이란 동판의 경면을 잘 다듬고 문질러 얼굴이 비치게 하는 것이 본래의 용도인데, 그 뒷면에 다양한 문양이 표현되면서 동경의 본래 용도 이외에 다양한 쓰임새로도 사용되었다. 이런 동경은 청동기시대 이후부터 시대별 연속성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발굴되고 있다. 동경은 얼굴을 비춰보고 화장을 하는 도구이지만, 고대의 동경은 사람들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당시의 사상, 문화, 시대적인 풍속 등을 동경의 배면에 장식하고 있다. 따라서 동경의 배면을 통해 그 시대의 사상이나 신앙을 짐작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경의 기원과 전개에 대해 살펴보고 동경이 가진 상징성과 용도에 대해 정리한 후, 선사시대와 고려시대를 잇는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의 동경에 대해 연구하였다. 특히 삼국시대와 통일신라 동경의 현황을 시대별로 정리하고 동경의 기형과 문양에 대해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동경의 상징성과 용도가 시기별로 차이가 나타나는 것이다. 둘째, 동경의 기형이 원형만이 나타나던 삼국시대와 달리 통일신라에 들어서 다양한 형태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셋째, 삼국시대에 비해 통일신라시대에 들어 동경의 문양이 구체적인 형상을 갖추고 있다는 것이다. 넷째, 이전시대에선 볼 수 없었던 특수기법이 사용된 동경이 통일신라시대에 나타나는 것이다. Bronze mirrors were originally used to produce reflection by clearing and rubbing the surface of a copperplate. However, as numerous patterns were engraved on the back, they have been used for purposes other than intended. Bronze mirrors have been excavated with chronological continuity from the late Bronze Age. Basically used for personal grooming and deeply ingrained in people’s daily life, bronze mirrors reflected philosophy, culture and customs of the time on the back. Therefore, the backside of bronze mirrors enables the future generation to catch a glimpse of philosophy or religion of the past. This paper examines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bronze mirrors, explores their symbolism and use, and studies bronze mirrors of the Three Kingdom and Unified Silla periods which succeed prehistoric times and precede Goryeo Dynasty. Especially, the status of bronze mirrors of the Three Kingdom and Unified Silla periods was organized in a chronological order, and figure and pattern were analyzed as follows. First, bronze mirrors had different symbolism and usage by time period. Second, while mostly taking a round shape in the Three Kingdom period, bronze mirrors were created in various forms in the Unified Silla period. Third, compared to the Three Kingdom period, bronze mirrors have taken specific patterns in the Unified Silla period. Last but not least, unprecedented special techniques were used to create bronze mirrors in the Unified Silla period.

      • KCI등재

        남원 교룡산성의 변천 과정과 고고학적 가치

        김세종 한국고대학회 2022 先史와 古代 Vol.- No.70

        This thesis, which investigates the alterations to Namwon Gyoryong Fortress—the greatest defensive structure in Honam and a prominent strategic location—based on the investigation's findings—presents the archaeological value of Gyoryong Fortress. It is well known that Namwon Sogyeong was founded around urban area, where Gyoryongsanseong Fortress is located, in March 685 (under King Sinmun 5), and that regional capital fortress was constructed in 691. Namwon Sogyeong established an urban area at that time that used a land division in grid pattern similar to that of the capital and constructed regional capital Fortress at the location of Namwoneupseong in the Joseon Dynasty to use it as a main space. Gyoryongsanseong Fortress was constructed behind it. Wansanju and Mujinju also indicate the period city layout integrating regional capital Fortress and Background Mountain Fortress erected on flat land. A State fortress (州城=治所城) was constructed in the flat city region of Wansanju and Mujinju at that time, and a Sukchuk fortress was constructed from the behind, resulting in a scenery that was distinct from other counties and prefectures. It is thought that under rigorous governmental control, this design wascreated especially for capital and minor areas. In instance, Donggosanseong Fortress in Jeonju, which wasconstructed by Wansanju, and Gyoryong Fortress have homogeneities in many ways. The manner of employing the terrain and the design of auxiliary facilities in the fortress are similar, and it is categorized as a massive fortress with a height of 1,000m or more that is useful for safeguarding water supplies and long-term agriculture. Above all, it is remarkable that the initial fortress wall of Gyoryongsanseong Fortress used the same construction technique. Foundation stones were placed at the bottom of the outer wall to preserve the fortress wall's strength and stability, and square or rectangular fortress stones were appropriately piled. Other locations, such as Gunhyeonseong and Gyeongju Gwanmunseong(722), which are assembled in Wansanju and Mujinju, may be discovered using this common building technique from the Unified Silla period. Gyoryongsanseong Fortress, the circular land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continued to serve as an access point throughout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while joining forces with Chisoseong Fortress in the flatland and Background mountain Fortress. It is believed that it was in use during the Goryeo Dynasty's last years, when the anti-mongol struggle and Japanese invasion was at its height. It was run in accordance with the conditions of the time and the country's fortress entrance strategy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current Gyoryong Fortress was finished in the early 18th century after being rebuilt and refurbishe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lthough it was later discovered that its original structure was constructed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According to the preceding information, Gyoryongsanseong Fortress was first constructed in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was used until the Joseon Dynasty. Particularly, original fortress walls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served as the foundation for the fortress walls that were restored and refurbished in other ages, and these fortress walls represent the fortification methods and historical experiences appropriate for each era. Through examination and research on Gyoryongsanseong Fortress, which includes the identity of the Namwon area, it is anticipated that the traits and traits of each era will be recognized in solid in the future. 이 글은 그간에 조사성과를 토대로 남원 교룡산성의 변화상을 살펴보고, 호남 제일의 요해지(要害地)이자 방어시설인 교룡산성의 고고학적 가치를 제시하였다. 주지하다시피 교룡산성이 위치한 남원 시가지(市街地) 일대는 685년(신문왕 5) 3월에 남원소경(南原小京)이 설치되고, 691년에 소경성(小京城)의 축성이 이루어졌다. 당시 남원소경은왕경과 닮은 격자형의 토지구획을 적용한 시가지를 조성하고, 조선시대의 남원읍성(南原邑 城) 자리에 소경성(治所城)을 축조하여 중심공간으로 활용하였다. 그리고 그 배후에 교룡산성을 축조하였다. 평지에 축조된 소경성과 배후산성(背後山城)을 조합한 당시의 도시계획은 완산주(全州)와 무진주(武州)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당시 완산주와 무진주에는 평지 시가지의 중심공간에 주성(州城=治所城), 배후에 석축산성을 축조하여 일반군현과 차별화 된 경관을 연출했다. 이러한 형태는 국가의 엄격한 관리하에 주‧소경에만 특화하여 정비된 것으로 이해된다. 특히 완산주의 배후에 축조된 전주 동고산성은 교룡산성과의 여러 속성에서 동질성이 간취된다. 1,000m 이상의 대형급 산성으로 분류되며, 수원확보와 장기간의 농성에 유리한 포곡식 산성으로서 성내 지형의 활용방식과 부대시설의 배치양상이 닮아 있다. 무엇보다 주목되는 점은 교룡산성의 초축 성벽과 동일한 축성법이 적용된 점이다. 성벽은내구성과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외벽 기저부에 지대석(地臺石)을 배치하고, 방형 또는 장방형으로 가공된 성돌을 바르게 들여쌓았다. 이와 같은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인 축성법은 완산주와 무진주에 편제된 군현성(郡縣城)과 경주 관문성(722)을 비롯한 타 지역에서도 확인할수 있다. 고려와 조선시대에 교룡산성은 통일신라시대의 원형인 평지 치소성과 배후산성이 하나의조(組)를 이루면서 입보용(入保用)의 기능을 유지하였다. 고려시대에는 대몽항쟁기와 왜구의침입이 본격화되는 고려 후기에 활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시대에는 국가의 산성입보전략에 따라 시대적 상황에 맞게 운영되었다. 현존하는 교룡산성은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이후18세기 초반에 수‧개축되어 완성되었지만, 그 원형은 통일신라시대에 갖춰진 것임을 알 수있었다.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교룡산성은 통일신라시대에 초축되어 조선시대까지 시대적 상황에 맞게 활용되었다. 특히 통일신라시대의 초축 성벽은 시대를 달리하여 수‧개축되는 성벽의근간이 되었으며, 이러한 성벽에는 각 시대에 맞는 축성기술과 역사적 경험이 반영되어 있다. 향후 남원지역의 정체성을 담고 있는 교룡산성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와 연구를 통해 시기별특징과 성격이 보다 입체적으로 규명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고령지역 출토 막새기와로 본 통일신라기의 지역양상

        주홍규(Ju, Hong-gyu) 역사문화학회 2015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8 No.2

        낙동강 중류의 좌안에 위치하는 고령지역은, 청동기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적과 유물이 발견되는 점으로 미루어 지속적으로 인간활동이 이루어져 온 곳임을 알 수 있다. 고령지역에서는 특히 대가야의 유적과 유물을 대상으로 학술연구가 집중되고 있으나, 대가야가 멸망한 직후와 이어지는 통일신라기에 이 지방의 역사상과 문화에 관해서는 문헌기록이 빈약해 정확한 양상을 파악하기에 많은 어려운 점이 있다. 본 고는 고령지역에서 출토된 통일신라기의 막새기와를 통해 유적의 특징과 조영시기를 파악한 후, 문헌에서 구체적인 양상이 확인되지 않아 그 실상을 파악하기 어려운 대가야 고도의 시대상의 일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대가야읍을 중심으로 한 고령지역에서 출토된 통일신라기 막새기와의 중심연대는 7세기말에서 8세기경이며, 막새기와를 통해볼 때 지산리 30-10번지 유적 일대가 국가사찰로서 중요시된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를 통해 지금까지 문헌기록에서 확인할 수 없는 대가야의 고도에 국가 관련의 불교사찰이 존재할 가능성을 명확히 했고, 대가야읍을 중심으로 한 고령지역의 통일신라기 유적과 유물에 관한 새로운 설정을 할 수 있었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이후에 고령지역의 구체적인 양상을 문헌기록으로는 알 수 없었지만, 통일신라기 막새기와의 검토 결과로 인해 경덕왕(742-765)이 개명한 8세기 중엽 이전부터 고령지역이 신라의 요충지로 기능하고 있었고, 이 일대에 조영된 사원터의 위상은 매우 높았던 것으로 보인다. 대가야읍을 중심으로 한 고령과 인근지역에는 통일신라기의 도성이 있었던 경주지역 출토의 막새기와들과 문양적 특징이 유사하지만, 한편으로는 구별되는 양상을 보이는 지산리식 수막새가 있다. 지역성이 강한 재지계의 기와가 삼국을 신라가 통일한 이후에 각 지역에서 제작되고 소비되었을 가능성이 상정된다. The Goryeong area, located on the mid-western part of the Naktong River, is a place where various remains and relics dating from the Bronze Age to the Chosun dynasty have been found. The existence of these relics indicates the continued presence of human communities there. Research on the region has focused on artifacts from the Great Gaya kingdom, but it is difficult to learn about local life at that time, as there are few historical records about the culture and life in the region from the collapse of the kingdom until the time of the Unified Silla Kingdom. This article aims to shed light on the local culture of the ancient city of Great Gaya, which has remained in obscurity due to a lack of historical records, by unveil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ics and identifying the time when the relics were produced. The production of roof-end tiles in the Great Gaya towns in Goryeong is presumed to have been concentrated at the site of a major Buddhist temple at 30-10, Jisan-ri in the late 7th through 8th centuries. This research identifies the possible existence of a state-run Buddhist temple in the ancient city of Great Gaya and provides new explanations about the remains and relics in the Great Gaya town in the Unified Silla period. Though there was no record of the Goryeong area in the post-Unified Silla period, this research indicates the possibility of its existence based on evidence from the roof-endtiles excavated from the area. The Goryeong region might, in fact, have been astrategic point in the Silla Kingdoms in seven before the 8th century, when King Gyeongdeok(742-765) rechristened the place. Additionally, the temple constructed in the area might have occupied a significant status at that time. Among the Goryeong relics are convex tiles, prevalent in the Jisan-riarea, with a design pattern similar to that of the roof-endtiles excavated in Gyeongju, the capital city of Unified Silla, although different from them in shape. Evidence from these tiles indicates a possibility that the locally end emictiles were produced in each region after the Silla’s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 KCI등재

        통일신라시대 식도구 연구 - 숟가락과 의례 -

        정의도 ( Jung Eui-do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9 石堂論叢 Vol.0 No.73

        숟가락은 밥상에서 국을 뜨거나 음식을 덜어 직접 입으로 넣는 도구이다. 통일신라시대에 제작된 숟가락은 술잎의 끝이 뾰족하고 세장한 자루가 부가된 것과 술잎이 거의 원형이면서 세장한 자루가 한 세트로 사용된 형식(월지형Ⅰ식, Ⅱ 식), 술잎의 날이 둥글면서 최대 너비가 4부 보다 상위에 위치하며 너비가 상단한 자루가 부가되는 형식(분황사형), 술잎이 유엽형이면서 가는 자루가 부가되는 한우물형이 있다. 그리고 술잎이 월지형Ⅰ식과 같이 거의 원형이지만 술잎에서 이어지는 자루가 넓게 이어지는 형식(월지형Ⅰ식-a)이 있다. 각 형식의 사용시기는 월지형과 분황사형은 거의 같은 시기에 사용된 것으로 볼 수 있고 한우물형은 9세기 경이 되어서 등장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월지형2식은 출토지가 안압지로 한정되어 있어 사용 계층이 극히 한정되었거나 짧은 시기에만 제작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월지형 1식은 경주지역에서 출토 예가 적지 않고 지방에서도 출토된 예가 있기 때문에 특정 계층의 숟가락으로 보았고 월지형 1식과 2식을 같이 사용하는 경우에 한정된 경우이다. 지금까지 발굴조사 상황을 보면 월지형1식과 2식은 일본 정창원 소장 숟가락을 보더라도 세트로 사용되었을 것이 분명하여 늦어도 7세기 후반 경에는 제작 사용되었고 1식은 경주지역을 중심으로 9세기 후반까지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았다. 또한 분황사형은 월지에서도 1점이 출토되었지만 지방에서 월지형 1-a식과 같이 사용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월지형 2식이 빠른 시간 내에 사라지고 월지형 1식만 사용되거나 분황사형과 세트로 사용되었을 가능성도 있지만 단언하기 어렵다. 경주지역에서 젓가락이 한 점도 출토되지 않는 것은 의문스러운 일이다. 삼국시대에도 젓가락 출토 예가 있고 일본 정창원에도 당에서 건너간 것으로 보이는 수저 한 세트가 소장되어 있다. 젓가락 대신 월지형 숟가락 세트를 사용하는 것이 당시의 식사 풍습이었는지 아니면 아직 출토되지 않고 있는 것인지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겠다. 그리고 숟가락은 경주지역에는 월지나 우물지 등 물과 관련된 유구에서 주로 출토되었다. 월지는 구체적인 숟가락 출토 상황을 알 수 없으나 경주지역 우물에서 출토된 숟가락은 우물의 계획적인 폐기과정에서 매납한 것이 확인되었다. 신라 사람들은 우물에 용이 깃들어 있으며 나라의 시조가 태어난 곳이며 왕궁으로 상징되는 신령스런 장소로 여겼으므로 폐기에는 당연히 제사를 지냈고 제사지낸 기물을 매납하여 신령을 위무하였다고 추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에 걸쳐 축조된 성곽 내부에는 농성에 대비한 집수지를 조성하게 되는데 그 내부에서는 가위나 대도, 마구류가 출토되는 예가 있고 농기구도 출토되기도 하는데 그 출토 유물의 종류가 모두 월지 출토유물에 포함되어 있다. 그러므로 집수지에서 출토되는 무기나 마구류는 그냥 흘러들어간 것이 아니라 군사를 상징하는 것으로 제사의 결과로 투기된 것이며 숟가락이나 가위 등은 집수지 내부에 깃들여 있으면서 물을 주관하는 용에게 기우제나 풍년제를 지내면서 올린 헌물로 볼 수 있다. 또한 산지유적인 부소산유적이나 황해도 평산유적은 제사유적으로 볼 수 있다고 생각된다. 부소산은 부여의 진산으로 성황사가 부소산의 정상에 있었던 곳이며 평산유적도 산성리 성황산성 내에서 출토된 것으로 추정되어 모두 산천제사와 관련된 헌물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이 숟가락은 통일신라시대에는 물론 식도구로 사용되었겠지만 풍년을 비는 용신제나 산천제에서 먹을 것을 상징하는 도구로 신에게 받쳐졌다고 생각된다. Spoons are used for eating liquid or semi-liquid foods. Spoons of Unified Silla include some types in below : spoons with oval bowl and thin and long handle (Wolji type I); spoons with round bowl and thin and long handle (Wolji type II), spoons with round bowl tip and drop located on the higher than 1/4 of the bowl(Bunhwangsa type); spoons with willow leaf shaped bowl and thin handle (Hanumul type); spoons with round bowl like Wolji type I, and wide stem(Wolji type I-a). Wolji type and Bunhwangsa type seem to have been used amost at the same time and Hanumul type seems to have been appeared in 9th century. The fact that Wolji type II were found only in the Anapji site, suggests that this type of spoons were used by a certain class of people or it had been used during a short period. Wolji type I has been discovered not only in Gyeongju district but also other districts, which suggests that a certain class of people had used it, and Wolji type I and type II had used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accumulated materials by excavations and spoons from Jungchanwon collection in Japan, Wolji type I and II had been used as a set and had been made and used at least in 7th century. The Wolji type I seems to be used until the late 9th century in Geongju district. Even though in Wolji site one of Bunwhangsa type was excavated, it seems that Bunwhangsa type and Wolji type I-a were used at the same time in the provinces. It may be possible to make decision that Wolji type II disappeared in a short time and only Wolji type I or Wolji type as a set with Bunhwangsa type had continued to used, but it’s hard to be sure. It’s doubtful that there’s no chopsticks from Geongju district. Chopsticts had been found from some sites dating as Three Kingdom period, and in the Jungchanwon collection in Japan there is a set of chopsticks and spoon, which estimated to have been shifted from Chinese Tang. It is necessary to make attention whether using Wolji type spoon set instead of chopsticks was customs of that period or chopsticks are not found yet. By the way, spoons have been unearthed primarily in places in Geongju district which related to water such as artificial lake named Wolji and wells. For Wolji, it is not known how a spoon was unearthed. On the other hand, in situ spoons from the wells were buried while the wells were destroyed intensionally. The people of Silla believed that dragons live under the water like well, and progenitor of Silla dynasty was born from the well, and well is symbolized royal palace. And therefore it is estimated that when they destroyed the well, they appeased spirits by celebrating closing ceremony and burying ritual items. During the Three Kingdom period and Unified Silla period reservoirs were built in fortresses to prepare for defense. Scissors, swords, horse gears and farming tools have been unearthed in reservoirs sites and all above-mentioned item categories were found in Wolji site. Therefore it is estimated that unearthed weapons and horse gear which symbolize military power in reservoirs were buried as a result of memorial services. Spoons, scissors etc. were dedicated to a dragon that was believed to live under the reservoir and take water control, when people held ceremonies for calling rains and good harvest. Busosan relic and Pyeongsan relic are estimates to have been used for ritual purpose. Sunghwangsa temple was located on the top of the Mt.Busosan and Pyeongsan relic seems to be located in Sungwhang fortress in Sansungri, which implies that they might be a ritual offering. It is estimated that spoons were devoted to dragon or deities for bumper harvest as well as they were used as a dinnerware for people during Unified Silla period.

      • KCI등재

        통일신라시대의 洗宅 재론

        김수태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0 嶺南學 Vol.0 No.73

        This paper takes a new look at the Se-taek of the Unified Silla period in relation to royal authority. This is because there is considerable controversy over the function and status of the Se-taek. An earlier study focusing on the Se-taek described in the wooden documents excavated in Anapji pond, identified it as the attendant office of the Inner Court. King Gyeongdeok, through the Se-taek, promoted reformative politics to strengthen the royal authority. Entering the late period, the Se-taek gained a bigger political influence as carrying the function of the literary office of the Inner Court. Through this, the transition from ancient to the middle ages of Korea was addressed. In subsequent discussions, the Se-taek developed into a different direction. In the middle period, the Se-taek was merely the odd jobs office of the Inner Court, responsible for the odd jobs of the Royal Court. It was in the late period that it began to have the function as the literary office of the Inner Court. This interpretation has been continuously accepted by various researchers. Recently, a new understanding is being added that the Se-taek was connected to the Eunuch Office. However, through another approach, it can be verified that the Se-taek was more than just the odd jobs office of the Inner Court. This is because the Se-taek was an important aides that served to strengthen the royal authority of the king and the (crown) prince of the Unified Silla period. In that case, the existing view that the Se-taek functioned as an aide office of the king and the crown prince(,) and then also acquired the function of the literary office of the Inner Court as it changed to the Jungsa-seong, is still very convincing. Therefore, based on these studies, I hope that a new phase of research will be opened for the history of political institution of the Unified Silla period. 이 글에서는 통일신라시대의 세택을 왕권과 관련해서 새롭게 다루어보고자 한다. 현재 세택의 성격과 위치에 대해서는 상당한 논란이 있기 때문이다. 일찍이 안압지에서 출토된 목간자료에 나오는 세택에 주목한 연구는 이를 近侍機構로 파악하였다. 경덕왕이 세택을 통해서 왕권강화를 위한 개혁정치를 추진하였다는 것이다. 그리고 하대에 들어가서 文翰機構의 성격을 함께 지니면서 더욱 커다란 정치적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고 보았다. 이를 통해서 한국 고대에서 중세로의 전환이라는 변화까지를 살펴보았다. 이후의 논의에서 세택은 다른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중대에는 세택이 궁중의 잡역을 담당하는 하급의 供奉機構에 불과하였으며, 하대에 가서야 문한기구의 성격을 가지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해석은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서 계속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세택을 宦官과 연결되는 관청이라는 새로운 이해도 덧붙여지고 있다. 그러나 세택에 대한 또 다른 접근을 통해서 단순히 공봉기구가 아니라는 사실을 확인해볼 수가 있을 것이다. 세택이 통일신라시대 국왕과 태자의 왕권강화를 위해서 기능한 중요한 측근기구였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국왕과 동궁의 세택이 근시기구의 성격을 담당하다가, 중사성으로의 변화와 함께 문한기구의 성격까지를 가지게 되었다는 기존의 견해가 여전히 설득력이 높다고 하겠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통일신라시대의 정치제도사 연구에 대해서 새로운 국면이 열리게 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통일신라시대 와당의 식물 문양을 응용한 네일아트 디자인 연구

        조한솔 한국의상디자인학회 2022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Vol.24 No.3

        With the recent proliferation of Hallyu content, national interest in Korea and the demand for designs with traditional Korean patterns as a motif is on the rise. In addition, as customers' design requirements tend to value more and more detailed and differentiated handcrafted designs, research on the motifs used in nail experts' original nail design development and nail design is continuously need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scope of nail design motifs with high practical value by producing nail design works applying plant patterns of Wadang, used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to diversify nail art expression techniques. The research reviewed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related to Wadang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analyzed the collection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categorized the motif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plant patterns and Wadang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tangible motifs are intended to be presented as a fusion of nail art design works that utilizes both flat and stereoscopic art technique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plant pattern of Wadang from the Unified Silla Period is an attractive motif that can be expressed in various nail designs expressing Korean emotions and traditional beauty, and furthermore,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idea of various beauty design areas.

      • 경남지역 통일신라시대 토성연구

        안성현 한국성곽학회 2012 한국성곽학보 Vol.21 No.-

        본고에서는 경남지역 통일신라시대 토성 중 시굴 및 발굴조사와 발표자가 지표조사상에서 확인된 성곽을 중심으로 이 시기 토성의 특징과 축조주체 및 목적에 대해서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이제까지의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통일신라시대는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면서 시작되었다. 이 시기 경남지역은 이전 시기와 달리 왜구의 방어를 중점을 둔 축성이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양상은 조선시대까지 변함없이 이어졌다. 통일신라시대 토성의 특징 중 가장 두르러지는 것은 해안가에 집중적인 축성이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그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으나 안정적인 해로의 통제와 대 왜구 방어에 중점을 둔 축성이 아니었나 생각된다. 그리고 토성의 규모는 길이900∼2,000m 사이의 토성들이 바닷가와 내륙 등 다양한 위치에 축조되고 있는 점으로 보아 길이 약 900∼2,000m 사이의 토성들이 주로 축성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경남지역 통일신라시대 토성들은 모두 내․외벽 기저부에 기단석렬을 배치한 뒤 성벽을 쌓았다. 기단석렬은 평행한 것과 사직선을 이루는 것으로 나누어지지만 시기성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지는 못한다. 또한 영정주 간격 역시 정형성을 찾기 힘들 정도로 다양하다. 주목되는 점은 기존에 알려진 것과 달리 영정주를 중심으로 좌․우의 판축토가 동일한 것과 판이하게 다른 것으로 나누어지는데 판축토가 달라지는 양 끝부분을 한 구간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할 것이다. 토성벽의 내․외부 퇴적토에서 출토되는 다량의 기와편들은 성벽의 구조를 밝히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는 가정하에 4가지 정도의 가능성을 검토해 본 결과 와적여장 및 성벽 상부 덮을 때 사용하는 개와였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 시기 토성의 축조주체는 신라사회의 변화 궤를 같이하므로 축조주체 역시 변하였을 것이다. 즉 삼국통일 후에서 9C 전반에서 중반 정도까지는 중앙 정부의 영향력이 강하였다고 생각된다. 그 이후 호족들의 세력이 커지는 9C 후반에서 10C 초반에는 새로운 토성을 축성하는 경우도 있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기존의 토성을 최대한 활용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토성들은 고려시대 초 조운제가 운영되면서 최대한 활용되었으며, 토성이 축조되어 있지 않은 지역은 새로운 축성을 통하여 안정적으로 해로를 통제한 것으로 보인다.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s, main construction agents and purpose of earthen fortifications constructed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which were confirmed in Gyeongnam region by the presenter through the investigation were examined briefly. The examinatio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unified Silla period began when Shilla unified three Kingdoms. During this period, fortifications were constructed in Gyeongnam region with intent to defend invasions by Japanese pirates unlike the previous periods, the this aspect had continued until the Joseon Dynasty period. The most prominent characteristic of fortifications in the unified Silla period was that the fortifications were intensively constructed on the coast. The exact reasons are not known, but it is considered to be for the purpose of controlling sea route and defending invasions by Japanese pirates. And, the earthen fortifications with a size ranged between 900m and 2,000m are found from various locations including the seaside and inland region, and this shows that earthen fortifications with a size ranged between 900m and 2,000m were mainly constructed. And, gidanseokyeol were placed on the base of both inside and outside walls first and then fortification walls were constructed for earthen fortifications constructed in Gyeongnam region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Gidanseokyeol are classified into parallel ones and obliquely straight ones, but gidanseokyeol in these fortifications do not reflect this aspect of change actively. And, also intervals between pillars are so diverse so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a set pattern. It is noted that, unlike as known previously, some places have panchukto between the right side and left side of panchukto and other places have different panchukto between the right side and left side of panchukto, and it would be proper to consider the both ends of where different panchukto were used as one section. Provided a large quantity of roof tiles excavated from deposit soils inside and outside of the earthen fortification walls provides a critical clue to reveal the structure of fortification walls, the examination of 4 possibilities confirmed that these roof tiles were used to cover whajeokyeojang and the top of fortification walls. And, the construction of earthen fortifications went along with the changes in the Silla society, so the main agents who constructed the earthen fortifications also might have been changed. That is, the influence of the central government must be powerful from the early 9th century to the mid 9th century after the Shilla unified three Kingdoms. New earthen fortifications might have been constructed during a period between the late 9th century and early 10th century when local lords became more powerful, but it is highly possible that existing earthen fortifications were utilized to the maximum. It seems that these earthen fortifications were utilized to the maximum after the marine transportation system was adopted in early Koryo Dynasty periods, and new fortifications were constructed in regions without earthen fortifications were to control safe sea rou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