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남제도개척사 김옥균의 울릉도 목재 반출과 채무 상환을 둘러싼 조일 교섭

        박한민(Park Hanmin) 동북아역사재단 2021 東北亞歷史論叢 Vol.- No.73

        1883년 4월 김옥균은 동남제도개척사에 임명되었다. 그는 울릉도의 풍부한 목재를 반출하여 판매할 목적으로 일본에 건너가 선박과 인부를 고용하였다. 백춘배와 가이 군지는 울릉도와 바칸, 고베, 도쿄 등지를 오가면서 벌목작업을 할 인부와 선박의 고용 계약을 체결하고, 개척사를 대리하여 울릉도 목재의 반출과 관련된 업무를 처리하였다. 울릉도에 왕복한 고용 선박은 초호마루, 모료마루, 이세마루, 반리마루였다. 갑신정변 발발 이후, 벌목 작업에 종사한 일본인 인부들이 인건비 상환을 요구하면서 조선과 일본 정부는 협상에 나섰다. 장시간 동안 난항을 거듭하던 양국의 교섭 국면을 타결하기 위해 정병하가 나섰다. 그는 외아문 참의로서 일본공사와 협상하여 금전 상환 문제를 해결하였다. 개척사 수행원 가운데 김우성과 양재문은 시마네현에 표착하기도 하였다. 김우성은 휴대하고 있던 총기를 담보물로 맡기고 일본 현지에서 사용할 자금을 현지인에게 빌렸다. 연락이 끊어지고 돈을 갚지 않자, 외무성은 원산영사관을 경유하여 조선 지방관청으로 김우성의 신원조회를 하였으나, 소재 파악에는 실패하였다. 일본측은 총기를 신고자 소유로 간주하고 「총포단속규칙」에 따라 처분하기로 하였다. 울릉도 목재를 적재한 선박이 고베항에 도착한 이후 소유권을 두고 소송이 벌어졌다. 당시 일본신문은 소송을 상세히 보도하였다. 울릉도장 전석규가 일본인에게 발급한 전령서의 효력이 핵심 쟁점이었다. 일본인 업자들은 울릉도장의 발급한 문서를 소지한 자신들에게 목재 소유권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판사는 울릉도가 조선 소속임은 분명하나, 제출 증거물만으로 원고의 소유권을 입증하기에는 증거가 부족하다며 원고 패소 판결을 내렸다. 가이 군지도 비용 정산을 조선정부에 요청하였다. 그는 도쿄에 체류하던 외아문 주사 이원긍과 만나기도 했고, 도한 후에는 외아문에 찾아가 개척사 관련 금액의 변제를 촉구하였다. 1889년 12월, 동남제도개척사 업무와 관련하여 발생한 비용 정산과 관련 증빙서류의 반환은 완료되었다. 조선정부는 더 이상 개척사와 관련된 비용 청구를 받지 않겠다는 의사를 공문으로 일본 측에 전달하였다. In April 1883, Kim Ok-kyun(金玉均) was appointed as the development commissioner for the Southeastern Islands(東南諸島開拓使). He went to Japan to hire ships and workers for the purpose of transporting and selling abundant wood from Ulleung Island. Baek Chun-bae(白春培) and Gai Gun-ji(甲斐軍治) were in charge of the actual affairs on behalf of Kim Ok-kyun. They signed contracts with workers and ships that would log while coming and going Ulleung Island, Kobe and Tokyo, and handled the transportation wood from Ulleung Island on behalf of the development commissioner. The round-trip employment vessels to Ulleung Island were Chohomaru, Moryomaru, Isemaru, and Banlimaru. After the outbreak of the Gapsin Coup in 1884, the Joseon and Japanese governments began negotiations as Japanese workers engaged in logging demanded the repayment of labor costs. Jung Byung-ha stepped up to settle the negoti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which had been struggling for a long time. As an official of the Foreign Office, Jung negotiated with the Japanese minister to resolve the issue of money repayments. Kim Woo-sung and Yang Jae-moon were among the entourage of the development commissioner who arrived in Shimane Prefecture. Kim left his gun as collateral and borrowed money from locals for use in Japan. When the contact was lost and the money was not paid back,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conducted a background check on Kim Woo-sung through the Wonsan Consulate, but failed to locate him. The Japanese government considered guns owned by the reporter and decided to dispose of them in accordance with the gun control rules. A lawsuit took place over ownership after a ship loaded with Ulleung Island wood arrived at Kobe Port. The Japanese newspaper reported the lawsuit in detail at the time. Japanese workers claimed that they had the right to own woods for those who had documents issued by the Ulleung Island official. The judge ruled in favor of the plaintiff, saying, “It is clear that Ulleung Island belongs to Joseon, but there is not enough evidence to prove the ownership of the plaintiff by the evidence submitted only.” Gai also asked the Joseon government to settle the cost. He also contacted Lee Won-gung(李源兢), the official of the Foreign Office in Tokyo, and after he moved to Joseon, he visited the Foreign Office to urge him to reimburse the amount related to the development commissioner. In December 1889, the settlement of expenses incurred in connection with the work of the development commissioner for the Southeastern Islands and the return of related documentary evidence were completed. The Joseon government officially informed Japan that it would no longer accept expenses related to the development commissioner.

      • 울릉도(경상북도 울릉군)의 거미상

        김주필(Joo Pil Kim),최한석(Han Seak Choi),김대희(Dae Hee Kim),지승환(Seung Hwan Ji),이형민(Hyung Min Lee),변진관(Jean Koan Byun),이형진(Hyung Jeen Lee),조형진(Hyung Jeen Jo),한정혁(Jung Huk Han),이태후(Tae Hoo Lee),조윤규(Yoon Kyu Jo 한국거미연구소 2018 한국거미 Vol.34 No.2

        2018년 7월 26일부터 28일까지 울릉도 나리분지, 독도 지역을 주야로 한국거미연구회 회원 17명(김주필, 최한석, 김대희, 지승환, 이형민, 변진관, 조형진, 이형진, 이태후, 한정혁, 조윤규, 조원규, 이현동, 이윤정, 조용하, 윤혜원, 이용화)이 채집한 결과 20과 43속 60종이 채집되어 이에 보고 발표하는 바이다. From July 26 to 28 in 2018. Koran Arachnological Study members investigated the Spiders in the Ulleung Island (Gyeongsangbuk-do, Ulleung-gun), and reported 20 Families, 43 Genus 60 Species of spiders. The collected spiders are placed (stored) in the Joo-Pil Spider museum.

      • KCI등재

        울릉군 노동시장구조의 특징

        남병탁 ( Pyeong-tak Nahm )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17 지역개발연구 Vol.49 No.1

        본 논문은 울릉군 노동시장구조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울릉군은 타 시군에서 출퇴근이 불가능한 단일노동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울릉군 인구는 1만여 명으로 감소 추세이며 취업자도 전국 평균과 달리 감소하고 있다.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은 전국 평균보다 훨씬 높은 80% 내외를 유지하고 있다. 울릉군은 경제규모가 매우 작고 성장률이 미약하다. 지역내 총생산에서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군내 모든 사업체가 중소기업이며 숙박 및 음식점업이 사업체와 종사자가 가장 많다. 직종별로는 관리자전문가 및 관련종사자의 비중이 전국에 비해 크게 낮고 단순노무종사자의 비중은 전국을 크게 상회하고 있다. 임금근로자의 비중과 상용근로자의 비중이 전국평균보다 낮다. 이는 울릉군에 좋은 일자리가 적고 미숙련 직업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며 근로자들의 고용안정성이 낮음을 시사한다. This paper documents the characteristics of Ulleung-gun labor market structure. Ulleung forms one labor market that no one in other local administrative districts travels to and from work. The number of population has decreased around 10,000 and those who employed have also decreased over the years on the contrary to national level. Labor market participation rate and employment rate are around 80%, much higher than national level. Ulleung is a very small economy and its growth rate is way behind national rate. Public administration, defence and social security constitutes the biggest part in GRDP. All the businesses are small and medium sized establishments. The numbers of establishments and employees of Restaurant and accommodation industry are the most. The ratios of wage and salary workers and regular employees are low relative to national average. The number of unskilled workers has increased. Employment stability is lower than the average national level.

      • KCI등재

        Fuzzy AHP를 활용한 관광정책의 우선순위 분석 - 울릉군을 중심으로 -

        노정철,변우희 동북아관광학회 2016 동북아관광연구 Vol.12 No.1

        국내의 대표적 도서지역인 울릉군은 주력산업인 수산업의 부진으로 지역경제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급격한 인구감소와 고령화가 진행되었지만, 2005년 독도 입도허용과함께 관광산업의 높은 성장세를 바탕으로 지역경제가 활성화되기 시작했다. 그러나2014년 세월호 사건이후, 선박의 안전성에 대한 불안감과 함께 운항규제 강화로 인해관광객이 급감하면서 지역경제가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바탕으로 울릉군의 지속적·안정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비교적 양호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관광산업을 중심으로 농림어업과 제조업 등 비관광부문과의 연계·융합을 통한 시너지 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 정책과 대응전략이 모색되어야 한다는 차원에서 본 연구가시도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울릉군의 기본적인 관광 인프라와 특성을 극대화시킨 관광개발 계획수립과 제한된 투자재원으로 지역 관광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관광정책의 우선순위 및 추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관광분야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상대적 중요도와 가중치를 산출하기 위해 Fuzzy AHP 분석을 관광학분야에서 선험적으로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울릉군 관광산업의 운영과 개발을 위한관광정책의 수립을 위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The Ulleung-gun has made efforts to develop policies for local residents to get their income increased by development of tourism industry, and now the execution of the tourism policies is just ahea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execution priority of travel polices in Ulleung-gun. To this end the study proposed a hierarchical structure for evaluating foctors of tourism policies by applying Fuzzy AHP. Data were collected from 37 experts in the field of tourism industry and tourism development. Fuzzy AHP hierarchical structure consisted of 5 determinants with 20 attributes. The findings will provide policy makers and tourism industry with practical implications in attracting tourists in Ulleung-gun.

      • 독도(경상북도 울릉군)의 거미상

        김주필(Joo Pil Kim),최한석(Han Seak Choi),지승환(Seung Hwan Ji),김대희(Dae Hee Kim),변진관(Jean Koan Byun),이형민(Hyung Min Lee),조형진(Hyung Jeen Jo),이형진(Hyung Jeen Lee),이태후(Tae Hoo Lee),한정혁(Jung Huk Han),조윤규(Yoon Kyu Jo 한국거미연구소 2018 한국거미 Vol.34 No.2

        2018년 7월 27일부터 독도 지역을 한국거미연구회 회원 17명(김주필, 최한석, 김대희, 지승환, 이형민, 변진관, 조형진, 이형진, 이태후, 한정혁, 조윤규, 조원규, 이현동, 이윤정, 조용하, 윤혜원, 이용화)이 채집한 결과 7과 9속 12종이 채집되어 이에 보고 발표하는 바이다. 2018 July 27th, Koran Arachnological Study members investigated the Spiders in the whole area Dok Island (Gyeongsangbuk-do, Ulleung-gun), and reported 7 Families, 9 Genus 12 Species of spiders. The collected spiders are placed (stored) in the Joo-Pil Spider museum.

      • SCOPUSKCI등재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Ulleungdo and Nearby Island Regions (Gwaneumdo, Jukdo), Korea

        Jung, S.Y.,Park, S.H.,Nam, C.H.,Lee, H.J.,Lee, Y.M.,Chang, K.S. Korean Biodiversity Information Facility 2013 Journal of Asia-Pacific Biodiversity Vol.6 No.1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Ulleungdo Island and nearby islands (Gwaneumdo and Jukdo) located in Ulleung-gun area, Gyeongsangbuk-do. On-sit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wice on June and September, 2012, investigating total 99 families, 304 genera and 508 taxa. This study also arranged already-secured specimens of the Korea National Arboretum (KH) (1917-2011), organizing 106 families, 362 genera and 646 taxa. As a result, total 108 families, 375 genera and 685 taxa of vascular plants were organized in the investigation area. In detail, this study confirmed 30 taxa of endemic plants including Sambucus sieboldiana var. pendula, Silene takeshimensis, and Corydalis filistipes, 41 taxa of rare plants including Arisaema takesimense, Dendranthema zawadskii var. lucidum, and Tripterospermum japonicum, 4 taxa of special plants of forest protection designat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including Abelia coreana var. insularis, Fagus engleriana. Besides, specific plant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121 taxa, and naturalized plants were 89 tax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