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문학의 독일어 번역 출판의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개선 방안 - 2000년대를 중심으로

        권선형 ( Son Hyoung Kwon )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14 독일언어문학 Vol.0 No.65

        Seit 2000 ist die Anzahl der ins Deutsche Ubersetzten und veroffentlichtenkoreanischen literarischen Werke erheblich gestiegen, wobei der Umstand,dass Korea 2005 Gastland auf der Frankfurter Buchmesse war, eine großeRolle gespielt hat. Von 2000 bis Dezember 2013 erschienen 187 Einzelbande mit koreanischen Werken, also 13 pro Jahr. Von den 187 Einzelbandenzahlen 16 zur klassischen Literatur, 150 zur modernen Literatur und 21sind Zeitschriften. Weil in den Zeitschriften ausschließlich Werke modernerAutoren enthalten sind, betragt das Verhaltnis von klassischer zu modernerLiteratur 1:9. Das vor 2000 beobachtete Problem, dass die klassischeLiteratur vernachlassigt wird, besteht also fort. Abgesehen von denZeitschriften sind 76 Werke mit UnterstUtzung der Forderinstitutionen wie‘Daesan Foundation’ und ‘Korea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erschienen.Dies belegt, dass deren Rolle bei der Ubersetzung sehr groß ist. Da mehrWerke Ubersetzt wurden, sind auch mehr Autoren bekannt gemacht worden,namlich insgesamt mehr als 113. Von 33 Autoren sind mehr als 2 Werkeerschienen. Darunter gibt es 23 Romanschriftsteller und 10 Lyriker. Nachwie vor ist zu beobachten, dass mehr Werke von lebenden als vonverstorbenen Autoren veroffentlicht werden. Von den genannten 33 Schriftstellernsind 23 noch am Leben. Auch die Zahl der Ubersetzer ist gestiegen. Siehat sich verdreifacht. 66 Personen haben mehr als 2 Bande Ubersetzt.Festzuhalten ist in diesem Zusammenhang auch, dass 56% der gesamtenEinzelbande von einem koreanischen-deutschen Ubersetzerteam bearbeitetwurden, wahrend 21% von einem koreanischen und 12% von einemdeutschen Ubersetzt wurden. 14 Verlage haben seit 2000 mehr als dreiEinzelbande veroffentlicht.

      • KCI등재

        손님, 경계넘기의 현상형식 -손님으로서의 메피스토와 파우스트, 이피게니에 그리고 괴테

        정현규 ( Hyun Kyu Jung ) 한국괴테학회 2008 괴테연구 Vol.0 No.21

        Die Grenze liegt uberall, und sie ubernimmt die Funktion, Innen/Außen oder Ich/Das andere zu unterscheiden. Aber oft hat sie die Tur oder die offene Stelle, die Kommunikation zwischen Innen und Außen zu ermoglichen. Der Gast ist ein sozialer Indikator, der empfindlich das Ausmaß der Kommunizierbarkeit von dieser Grenze auf sich schreiben lasst. Aber der Stand des Gastes ist sehr unstabil und sein Recht kann abrupt entzogen werden. Mephisto z. B., der als Gast/schwarzer Puddel ins Fausts Zimmer eingetreten ist, wird das Gastrecht einfach genommen, weil Faust sein Heulen und Bellen nicht leiden kann. Faust duldet auch nicht die kleine Hutte von Philemon und Baucis und laßt sie mit einem Wanderer verbrennen, fur seine makellose Utopie, die aber dadurch ein Name des Unvermogens wird, das das Fremde in sich nicht aufnehmen kann. Trotz all diesen negativen Beschreibungen bietet Goethe viele positive Erscheinungsformen des Gastseins an. Er selbst war sein Leben lang ein Gast in Weimar und als denjenigen bekennt er sich auch gerne im Bereich der Wissenschaften (Farbenlehre, Wolkenlehre, die Lehre der Pflanzen und Tiere). Zu Folge dieses Selbstverstandnisses werden die Erscheinungsformen des Gastseins auch in seinen Werken vielerlei thematisiert, namlich in der Form des Ubersetzers, der Frau (Iphigenie) und letztendlich des Kunstlers. Bei der Ubersetzung handelt es sich um die `Offnung-Kommunikation-Kreuzung-Entgrenzung`, die ein neues Organ in unserm "armen Ich" offnet. Bei Iphigenie, die zugleich Frau und Gast ist, wirkt die Lage trotz der doppelten Qual als ein Wundermittel fur eine Gesellschaft, die von der Außenwelt vollig barrikadiert ist, weil sie in die Machtbeziehung nicht integriert werden kann und paradoxerweise dadurch einen Beitrag leistet, dem Land Anderungen zu bescheren. Beim Kunstler geht es um die Rolle als "Sand im Getriebe des gesellschaftlichen Selbstverstandnisses", namlich als ein reibungsvolles Wesen innerhalb der Gesellschaft. Bei all diesen Erscheinungsformen ist von der unstabilen "Einheit der Nahe und Entferntheit" die Rede, in der das Gastgebersein gepruft wird.

      • KCI등재
      • KCI등재

        한국문학의 해외 번역과 보급의 현황

        권세훈 ( Se Hoon Kwon ),김갑년 ( Kab Nyun Kim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2 獨逸文學 Vol.124 No.-

        한 나라의 문학을 외국어로 번역해서 현지의 출판시장에 내놓는다는 것은 단순히 상업적인 이윤추구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외국 독자는 문학을 통해 그 나라의 문화와 정서를 이해하며 동시대인으로서 공감대를 이루게 된다. 문학은 이처럼 번역을 통해 모국어의 울타리를 벗어나 세계문학의 한 부분이 될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번역가 없는 세계문학은 공허한 개념이다’라는 말이 설득력을 가지게 된다. 번역가의 역할과 관련하여 자주 거론되는 인물이 일본 작가 가와바다 야스나리의 ≪설국≫을 영어로 번역하여 노벨문학상까지 받게 만든 에드워드 사이덴스티커(Edward G. Seidensticker)이다. 원작의 독창성과 예술성이 좋은 번역과 만날 때 외국 독자를 감동시키는 새로운 언어로 재탄생하는 것이다. 특히 문학은 고유의 지속성과 고급스러운 이미지로 인해 문화적 전파 효과가 크다. 그러나 한국문학은 세계문학 내에서의 인지도가 그다지 높지 않다. 이것은 최근 K-팝을 비롯한 대중음악과 드라마를 통해 해외에서 부각된 한류현상이나 학습만화와 같은 실용적인 도서 내지는 장르소설(인터넷소설)의 인기와도 대조된다. 물론 정통 문학이 물질주의가 더욱 기승을 부리는 일상적인 삶속에서 전반적으로 퇴조하는 것은 전 세계적인 현상이지만 한국문학 번역출판의 문제점은 몇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한국문학을 전문적으로 번역하는 번역가가 많지 않다. 특히 한국어를 제대로 구사할 뿐만 아니라 한국문학과 문화를 이해하면서 독자적으로 번역할 수 있는 원어민 번역자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현재 한국문학이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고 있지만 원어민 번역자는 전체적으로 100여명에 불과하다. 이것은 문학뿐만 아니라 인문학술서에도 해당된다. 개념어의 번역에 전문가적 지식이 요구되는 학술도서나 문체의 아름다움을 살려야 하는 문학 모두 번역가의 특별한 능력이 요구된다. 원어민 번역가의 부족은 해외출판사 입장에서도 또 다른 고민거리이다. 흥미로운 번역물이 접수된다 하더라도 그것이 얼마나 원문에 충실하게 번역되었는지 판단해줄 전문편집위원이 없기 때문에 출판을 주저하게 되는 것이다. 둘째, 한국문학의 번역출판은 지난 10여 년 동안 양적으로 크게 성장한 것도 사실이다. 여기에는 한국문학번역원과 대산문화재단의 지원이 큰 역할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초판 발행으로 끝난 경우가 많은 것은 ‘해외 독자가 무엇을 원하는가’보다는 ‘무엇을 보여줄 것인가’에 더 많이 치중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독일의 한 라디오 방송국(SWR)의 문학담당 기자이면서 한국문학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서평을 써온 카타리나 보르하르트(Katharina Borchardt)는 2011년 9월 한국문학번역원이 주최한 세계번역가대회에서 한국 문학의 독일 수용에 관한 주제발표를 했다. 이에 따르면 지금까지 독일에서 번역 출판된 한국문학의 주된 테마는 여전히 남북분단이나 민주화 투쟁이며 작가들 또한 50대 이상의 남성이 대부분이다. 이 기자는 독일 사회에서 지적 호기심이 많고 서적 구매력이 높은 젊은 여성들의 취향에 맞는 작품에도 신경을 쓸 것을 권한다. 가령 현대 시민사회에서의 고독한 개인의 삶이라는 문학의 보편적 주제가 한국 사회에서는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는지를 표현한 작품이 호응도가 더 높을 것이다. 번역할 작품의 선정 단계에서부터 작가, 번역자, 해외 출판사 사이의 긴밀한 사전 협의가 필요하다. 셋째, 기존의 한국문학 번역 출판은 대부분 치밀한 마케팅전략이 없는 상태에서 이루어져왔다. 세계 출판시장에서 중소 서점이 몰락하는 대신 대형 서점의 체인화가 진행되고 국제적인 저작권 에이전시 역시 글로벌한 차원에서 움직이는 최근의 추세를 고려할 때 한국문학 역시 이러한 시스템에 편입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더구나 미국을 중심으로 문화산업의 쏠림 현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한국문학의 입지를 넓히는 것이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몇몇 한국 작가의 경우 국내외 에이전시와 계약을 맺고 책을 출판하고 있으며 개별적인 성과도 내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문학이 세계문학의 한 부분으로 확고하게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의 시행착오를 거울삼아 많은 것이 새롭게 기획되고 감동 번역을 통해 현지 시장의 수요에 부응하는 맞춤형 전략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