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두만강유역 단결크로우노브카 문화의 변천과 확산양상

        유은식(Yoo Eunshik) 백산학회 2020 白山學報 Vol.0 No.118

        이 글은 한·중·러 국경지역의 두만강유역, 綏芬河流域, 러시아 연해주 남부지역에 분포하는 단결-크로우노브카 문화와 중부지방 중도유형문화의 관련성을 적극 수용하는 입장에서작성되었다. 먼저 단결-크로우노브카 문화의 출현지였던 두만강유역의 변화양상과 지역성을살펴보기 위해서 북한에서 발굴보고된 자료를 비롯하여 그동안 연구자들이 크게 주목하지않았던 북한학자의 지표조사 자료, 일제강점기의 수집·발굴 자료,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중인 유리건판 자료 등을 새롭게 검토하였다. 두만강 중상류지역(내륙지역)은 청동기 후기 柳庭洞類型에서 단결-크로우노브카 문화로 변화하지만, 두만강 하류지역(동해안지역)은 얀콥스키 문화가 쇠퇴한 후에 단결-크로우노브카문화가 유입되었다. 이것은 자연지리 환경의 차이와 함께 두만강유역 초기철기문화의 지역성의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단결-크로우노브카 문화는 내륙지역에서 동해안지역으로 확산된다. 중국과 연해주의 수분하 수로를 따라 동해안으로 확산되는 루트와 무산, 회령, 종성 일대에서 나진, 웅기 일대로확산되는 두만강루트가 상정된다. 또한 단결-크로우노브카 문화요소는 牧丹江 중류지역의東興文化와 河口遺存, 삼강평원지역의 鳳林文化에서 확인되며 그 확산 시기는 기원전 2세기후반~기원전후, 기원후 3세기로 각각 추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중도유형문화 유적에서 확인되는 단결-크로우노브카 토기를 통해서 동해안루트, 철령 및 추가령루트, 내륙루트 등을 상정하였고, 이 경로를 따라 두만강유역 단결-크로우노브카 문화가 한반도 중부지방으로 유입되었을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actively accepted the relevance of the Tuanjie-Kroynovka Culture, which existed in the Tumen River basin of the border area of Korea, China and Russia, the Suifunhe basin(綏 芬河流域) and the southern part of the Maritime Province of Russia, to the Jungdo Type Culture of the central region of Korea. First of all,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s and locality of the Tumen River basin, which was the birthplace of the Tuanjie-Kroynovka Culture, this paper examined the ground survey data of North Korean scholars which had received little attention from researchers so far, as well as the data excavated and reported in North Korea, the collection and discovery data of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dry glass plate data kept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etc. The upper-middle reaches of the Tumen River(inland areas) changed from the Yujeodong Type(柳庭洞類型) in the late Bronze Age to the Tuanjie-Kroynova Culture. but the lower reaches of the Tumen River(east coastal areas) received the Tuanjie-Kroynovka Culture after the Yankovskiy Culture declined. This became an important factor in the locality of the Tumen River basin along with the differences in the natural geographic environment. The Tuanjie-Kroynovka Culture spread from inland areas to coastal areas. This paper assumed the route which spread to east coastal areas along the Subunha waterway in China and the Maritime Province, and the Tumen River route which spread from Musan, Hoeryong and Jongseong to Najin and Unggi. In addition, the elements of Tuanjie-Kroynovka Cultures are identified in Dongheung Culture in the middle reaches of the Mǔdānjiāng River(牧丹江), Hékǒu Type (河口 遺存) and Fènglín Culture(鳳林文化) in the Sān Jiāng Píngyuán(三江平原) region, and it is estimated that they spread during the period from the late 2nd century B.C. to around A.D. and after the 3rd century A.D. respectively. Lastly, this paper assumed east coastal route, Cheolryeong and Chugaryeong route, and inland route, etc. through Tuanjie-Kroynovka earthenwares and tools, which are found in the remains of the Jungdo Type Culture. Along these routes, the Tuanjie-Kroynovka Culture of the Tumen River basin entered the 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고고학자료로 본 沃沮와 挹婁

        유은식(Eunshik Yoo) 한국상고사학회 2018 한국상고사학보 Vol.100 No.-

        이 글의 목적은 고고학자료를 통해서 沃沮와 挹婁의 문화성격을 살펴보는데 있다. 고고학자료를 이용하여 지역집단의 실체와 문화성격을 검토하는 것은 아무리 정치한 분석과정을 거쳤다 하더라도 왜곡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이에 문헌기록에 보이는 역사적 맥락과 고고학자료의 시공간적 범위를 세밀히 비교검토하면서 옥저와 읍루를 살펴보았다. 옥저는 남옥저와 북옥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함흥 일대의 남옥저는 세형동검문화와 낙랑계문화단계로 구분하였다. 이 지역은 위만의 복속과 한군현 설치 이후 서북한지역의 물질문화로 바뀌지만 재지계토기는 이전 시기의 토기 전통이 유지되었다. 북옥저는 두만강 중하류지역, 중국 수분하유역, 연해주 남부에서 확인되고 있는 단결-크로우노브카 문화로 비정하였다. 특히 북옥저는 기원전 1세기에서 기원 무렵에 단결-크로우노브카문화가 주변지역으로 확대되면서 문헌기록에 등장한 것으로 이해하였다. 읍루에 대해서는 夫餘에 臣屬한 정세, 문화사 관련 기록, 고고학자료의 시·공간성 등을체계적으로 검토하여, 漢代 挹婁는 흑룡강 중하류지역의 폴체 문화 2기와 三江平原 七星河 流域의 滾土嶺文化로 비정하였고, 魏晋代 읍루는 흑룡강 중하류지역의 폴체 문화 3기와 연해주 폴체 문화로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writing is to look into the cultural character of Okjeo(沃沮) and Eupru(挹婁) through archeological data. It’s necessary to pay close attention to the review of the true nature and cultural character of the ancient political body using archeological data because of the high possibility of being distorted whatever elaborate, detailed analysis process it may go through. Hereupon, this writing looked into Okjeo and Eupru while closely comparing and weighing the historical context shown in literature records, and the spatio-temporal scope of archeological data. First, this writing looked into Okjeo by dividing it into Southern okjeo(南沃沮) and Northern okjeo(北沃沮). Also, this writing divided the culture of Southern okjeo of the area of Hamheung into the periods of the slender bronze dagger culture and Nakrang-line culture. Although these cultures changed to the material culture of the northwestern Han area after Wiman’s subjugation to QiánHàn, and establishment of Four Commanderies of Han, this writing confirmed that the native-lineage earthenware maintained the earthenware tradition of the preceding periods. In addition, this writing characterized Bukokjeo culture as Tuanjie-Kroynovka Culture through comparison, which is identified at the mid-downstream area of Túménjiāng(豆滿江), Suífēnhé liúyù(綏芬河流域) and the southern area of Primorie(沿海州), as Tuanjie-Kroynovka Culture. Particularly, this writing understood that Northern okjeo appeared in literature records with Tuanjie-Kroynovka culture expanding towards its surroundings from the 1st century B.C. to the beginning of Christian time. As respects Eupru this writing characterized Eupru during the Han period as Guntuling Culture of SānJiāngPíngyuán(三江平原), and the secondary stage of Poltse Culture of the mid-downstream area of by examining the records related to the situation where vassalage became subordinate to Buyeo(夫餘), and cultural history, etc. while looking upon Eupru during the Wei and Jin Dynasties as the tertiary stage of Poltse Culture at the mid-downstream area of Hēilóngjiāng, and Primorie Poltse Culture. The earthenware culture of Eupru is characterized by diverse-pattern earthenware, and a small number of earthenware with the handle.

      • KCI등재

        환동해문화권 북부지역의 쪽구들 유라시아 확산 현상 - 청천강 유역, 자바이칼의 흉노, 우리나라 중부지역 -

        김재윤 중부고고학회 2022 고고학 Vol.21 No.2

        기원전 5세기 단결-크로우노프카 문화의 쪽구들은 라즈돌라야 강(수분하)의 대성자 유적과 크로우노프카 I유적에서 만들어졌다. 단결-크로우노프카 문화가 등장한 시점은 기후하강기이다. 이 지역의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 문화가 기후 온난기에 우리나라 중부지역 및 남부지역으로 이동한 것과는 달리 기후 하강기에 발생한 단결-크로우노프카 문화는 여러 곳에서 발견되는데, 쪽구들을 사용했기 때문에 가능했다. 단결-크로우노프카 문화 I기에서는 석재로 된 ㄱ자형 쪽구들이 만들어진다. II기에서는 ㄱ자형과 ㄷ자형쪽구들이 확인되고, 여기서 발전된 ㅁ자형 쪽구들도 확인된다. 축조재료는 아궁이와 구들이 모두 점토로 된것과 석재로 된 것이 있다. III기에서도 ㄱ자형 쪽구들이 설치되어 가장 오랫동안 사용되었다. 기원지에서는 가장 다양한 형태의 쪽구들이 사용되었으며 평면형태, 축조재료, 단면형태는 일정하게 변하지 않는다. 기원전 3세기경 단결-크로우노프카 문화의 쪽구들이 청천강 유역과 남해안에서 발견된다. 기원전 4세기~3세기 및 기원전 2세기 세형동검, 다뉴세문경, 쌍조형 동검이 연해주에서 발견되는데 이는 청천강 유역의 고조선 후기~위만조선의 문화교류로 그 과정 중에 쪽구들이 청천강 유역으로 유입되었을 것이다. 우리나라 남해안의 방지리와 늑도 유적 쪽구들은 별도의 논고로 설명하겠다. 청천강 유역의 쪽구들은 오늘날 자바이칼 지역인 기원전 2세기 흉노 유적에서 나온다. 쪽구들이 많이 나온 이볼가 유적에서는 주거지의 80%이상에서 확인되었기 때문에 매우 적극적으로 사용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곳의 쪽구들은 문화적으로 관련성이 크게 알려진 바 없는 북옥저 보다는 청청강 유역에서 요동동부까지분포한 고조선후기 사회 혹은 위만조선과 흉노와의 교류는 잘 알려져 있는데 그로 인한 가능성이 크다. 양지역간의 인적 교류로 보는 것이 자연스럽다. 우리나라 중부지역에서는 북한강 유역에서 기원후 2세기에 처음 나타난다. 당연히 기원전 3세기 청천강유역이나 남해안에 나타났을 때와는 다른 양상이었다고 생각된다. 북한강 유역에서는 같은 유적 내에서도쪽구들이 발견되는 숫자는 제한적이다. 이러한 현상은 쪽구들이 수용되는 방법의 차이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In the 5th century BC, the Ondol of Tuanjie-Krunovka culture was created at the Dachéngzi and Kronovka I sites on the Rajdolaya River The time when the Tuanjie-Krunovka culture emerged is during the climate downturn. Unlike the Neolithic and Bronze Age cultures of this region, which moved to the central and southern regions of Korea during the climate warming period, the Tuanji-Krunovka culture that occurred during the climate downturn is found in many other regions, which was possible because of the use of early ondol. In the Tuanji-Krunovka Cultural I period, an L-shaped ondol made of stone is made. In Phase II, there are L-shaped and U-shaped, and the ㅁ-shaped ondol developed from them is also confirmed. The construction materials are made of clay and stone, both of which do not change constantly. In the III stage, the L-shape was installed and used for the longest time. In the origin, the most diverse types of ondol were used, and the planar shape, construction material, and cross-sectional shape did not change constantly. Around the 3rd century BC, the Tuanjie-Krunovka cultural dunes are found in the Cheongcheon River basin and on the southern coast. Long bronze bronze daggers and mirrors from the 4th to 3rd centuries BC and 2nd centuries BC are found in Primorsky, which is a cultural exchange in the late Gojoseon Period of the Cheongcheong River basin, and during the process, daggues may have flowed into the Cheongcheong River basin. The side districts of Bangji-ri and Neukdo ruins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will be explained in a separate paper. Ondol in the Cheongcheon River basin comes from the ruins of Hunno in the 2nd century BC, which is today the region of Zabaikal. In the Ibolga ruins, where the most ondol was produced, it was used very actively because more than 80% of the houses had ondol. Rather than the cultural relationship of Bukokjeo, the exchanges between the late Ogjeo and Joseon and Hunno, which are distributed from the Cheongcheong River basin to the eastern part of Liaodong, are well known, and it is natural to see it as human exchanges between the two regions. In the central region of Korea, it first appeared in the 2nd century AD in the Bukhan River basin. Naturally, it is thought that it was different from when it appeared in the Cheongcheon River basin or the southern coast in the 3rd century BC. In the Bukhan River basin, the number of ondol found within the same ruins is limited. Perhaps it was the difference in the way Ondol was accepted.

      • KCI등재

        北沃沮의 기원과 실체에 관한 高句麗의 두만강 유역 進出

        이종록(Lee, Jong-Rok) 한국고대사학회 2018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91

        본고에서는 사료상에서 등장하는 문화집단으로서의 沃沮 및 北沃沮라는 용어가 형성되는 과정을 추적하면서, 이 지역에 거주하고 있던 토착 집단의 실체 및 高句麗의 이 지역 진출과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옥저’라는 용어는 본래 함흥 일대에 한정된 집단 및 지역을 지칭하는 용어에 지나지 않았지만, 이후 동해안 일대의 문화전파 등의 과정으로 인해 하나의 종족명으로 정착된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그 명칭의 형성은 고구려의 진출 과정에서 나타난 결과로 파악하였다. 『三國志』 東夷傳의 서술 체계에서는 옥저가 하나의 종족집단으로 비정될 수 있는 반면, 사료 내부에서 濊라는 문화권에 속한 함흥 일대의 소규모 집단의 이름으로 볼 수 있는 이중적인 요소가 있다. 기원후 1세기 무렵에 함흥 지역에서는 군현 조직이 철폐되는 한편, 얼마 지나지 않아 함흥과 두만강 유역은 모두 고구려의 영역으로 편입되었다. 그런데 이 시기는 연해주 일대의 團結-크로우노프카 문화는 소멸하는 반면, 한반도 동북부 지방에는 동질의 문화권이 확산되어가는 시점이다. 때문에 이 무렵 동해안 일대에서는 공통된 문화를 공유하던 집단들이 거주하고 있었으며, 이들이 단일의 종족명으로 지칭될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고 추정하였다. 그리고 이 용어는 太祖王代에 고구려가 함흥에서부터 두만강 유역에 이르는 지역의 지배권을 정비하면서, 역으로 이 과정의 기초가 된 옥저(함흥) 지역의 종족명을 북옥저에도 확대 · 적용시킨 결과로 보았다. This paper analyzed the process of the emergence the terms ‘Okchŏ(沃沮)’ and especially ‘North Okchŏ (Pugokchŏ 北沃沮)’ as an ethnic group, and how these terms are related to the cultural groups in this area. More specifically, although the term ‘Okchŏ’ was originally limited to the term for the inhabitants in the Hamhŭng area, it was established as a name for an ethnic group after culture diffusion on the coastal area of East Sea. Also, the formation of the term was directly linked to Koguryŏ’s militaristic expansion to this area .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Biography of East Barbarians(東夷)” in Sanguozhi(三國志), Okchŏ could be regarded as an ethnic group. Yet, the book also inconsistently illustrates the term as a name of the small group or area belonging to the cultural group named ‘Ye(濊)’. Around the first century AD, Chinese commanderies in Hamhŭng area were abolished, and Koguryŏ conquered these areas. Archaeological research indicate that, during this period, the Tuanjie-Krounovka culture, usually known as the culture of North Okchŏ, was extinguished and the culture in the northeast coastal area of Korean peninsula shows similarities to Krounovka culture. Thus, the inhabitants in the areas from Hamhŭng to Tuman River shared a similar culture by the first century, which was the reason to call the inhabitants as a generic term for an ethnic group. Additionally, the term emerg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Koguryŏ’s authority over these areas during the reign of King T’aejo, as people of Koguryŏ expanded its meaning and applied the term for the inhabitants in Hamhŭng to the people in Tuman River.

      • KCI등재후보

        원주민에 대한 이민자의 문화적 대응 ― 조선족 소설의 다문화적 측면

        장춘식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0 국어교육연구 Vol.26 No.-

        The multi-cultural features of Chinese Korean literature were mainly reflected in its ways of cultural responsive solutions to the Chinese aboriginal culture. In the early years of immigrants novels have been displayed the Korean immigrants' desire of settlement and the resistant responding from Chinese aboriginals. After that, the immigrants have constantly made efforts to find a resolution for the mutual benefits. However, compromises with the Japanese imperialism exposed the hybridity maintaining by the intellectuals in the colonial era. After the foundin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he writers have created the literary images with the political ideas of “national unity”(minzu tuanjie). With the rapid urbanization in the 21C, a new migration of Korean has happened, new works have come out in dealing with the ethnic relations between the Han and the Koreans. One is a sensation of loss for the Korean ethnic novelists, concerning declining of the “heart homeland”, the other is a struggle between the assimilation and anti-assimilation, and the desire of having a new style of urban Korean ethnic community in order to adapt to the Han centered society. 조선족 소설의 다문화적 성격은 주로 중국 원주민에 대한 이주민으로서의 문화적인 대응 방식으로 표현된다. 초기 이민소설에서는 조선 이주민의 정착의 욕구와 중국 원주민의 배척 양상으로 표현되다가 점차 소통과 타협을 통한 상생의 방법 모색으로 진화하며 여기에 식민주체인 일제에의 타협이 개입되면서 일부 피식민 지식인의 혼종성을 노출하기도 한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이러한 대응방식은 “민족단결”의 정치 이념으로 굳어져 다분히 국책적인 측면에서 소설작품에 형상화된다. 1970년대 말, 1980년대 초의 개혁개방 소설에서 한족과 조선족의 관계 문제는 한동안 거의 자취를 감춘다. 그러나 2000년대에 이르러 도시화가 빨리 진척됨에 따라 조선족의 새로운 인구 이동―이른바 “두 번째 이민”이 이루어지면서 조선족 소설에서는 또다시 한족과 조선족의 관계 문제가 다루어지기 시작한다. 한편으로는 조선족의 도시 진출에 따라 조선족이 4대, 5대에 걸쳐 살아왔던 삶의 근본이요 마음의 고향이었던 조선족 마을이 몰락하며 이로 하여 느끼는 상실감이 문학 형상화의 대상이 되며, 다른 한편으로 도시에 진출한 조선족들이 한족 중심의 도시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 벌이는 동화와 반 동화의 기싸움이 작품화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이러한 동화와 반 동화의 기싸움은 도시 사회에서 새로운 공동체를 형성하려는 조선족의 생존 욕구와 더불어 이제 조선족 문학의 중요한 문제의식으로 부상하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한성백제기의 영동 · 영서

        심재연(Sim, Jae yoaun) 중부고고학회 2009 고고학 Vol.8 No.2

        This study examines the culture of Hanseongbaekjae in the Youngdong-Youngseo region. Specifically,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 of Stone-mound-tombs in the up and mid stream of Han River revealed that whereas Hanseongbaekjae-style pottery was found in the upstream of Bukhangang Valley, relatively different style of pottery was found from the Stone-mound-tombs in the upstream of Namhangang Valley. This difference between water systems explains the widening cultural difference between Youngdong and Youngseo regions, indicating cultural differences specific to the upstream of Namhangang and Bukhangan Valley. As far as the plane pattern of housing sites during the 3rd and 4th centuries was concemed, that of Youngdong region changed to the oblong shape in some areas, with some of yeoja-type(呂字形)and cheolja type(凸字形) houses remaining. On the contrary, existing yeoja and cheolja type houses continued to be found in the Youngseo region. What is noteworthy at this points is that a kitchen range was used, which is believed to be associated with the production of iron in the basin of Hongcheongang Valley. In the case of the Namhangang Valley, there have been only two found, and therefore it seems necessary to wait for more materials to be released. The group who used plain coarse pottery of the the Youngdong-Youngseo Region was 'Yae(濊)" which appears in the Samguksagi(三國史記), and the Mohe tribe(말갈) in the "Basic Annals of Baekjae(百濟本紀)" of the same book is believed to be "Yae" as well. The 'Yae" group seems to have been assimilated with Shilla rapidly, as the Youngdong region began exchanges with Shilla in the Youngnam region in the mid and late 4th century. The Youngseo region is believed to have begun to fall by Kogureo which expanded its territory toward south at the end of 4th century. Meanwhile, 'proto more tribe pottery' excavated from Udu-dong and Pungnabtoseong showed continued exchange with this region, although it is uncertain since the death of 'Tuanjie - Krounovka Culture (Okjeo) in the northeast region. 이글은 漢城百濟期嶺東·領西地域의 문화상을 밝히는 작업이다. 특히 한강 중상류지역 적석총의 분포와 성격을 살펴보면 北漢江中·上流域의 경우 漢城百濟 樣式의 土器가출현하는 것에 비하여 南漢江 上流地域의 積石緣에서는 한성백제와는 다소 異質的인 양상이 확인된다. 아마도 이러한 水系간의 차이는 時期差를 반영하는 동시에 각 집단의 문화상을 보여주는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領東 · 領西地域間의 文化的인 差異가 점차 深化되어가는 過程과 軟를 같이하는 것으로 南漢江·北漢江上流地域의 文化的인 地域性의 差異를 보여주는 것이다. 3~4세기대의 주거 양태를 住居 平面 形態 變化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嶺東地域은 각 지역별로 長方形住居址로 변화하거나 재래의 여자형·철자형 주거지가 잔존히는 양상을 보인다. 嶺西地域은 기존 여자형·철자형 주거지가 조영되고 있다. 다만 부뚜막의 채용이 주목되는데 洪川江流域은 鐵生産과 관련지어 보았고 남힌강유역의 경우는 2기에 지나지 않아 자료의 증가를 기다려야할것으로 보인다. 領東·嶺西地域의 硬質無文土器를사용하던 集團은 『三國志』에 보이는 ‘滅’ 이며『三國史記』 本紀에 보이는 ‘蘇騙’ 도 ‘滅’ 로 보인다. 이 滅集團은 嶺東地域의 경우 4세기 중후반경에 嶺南新羅와의 交涉을 시작하면서 급속히 新羅化의 과정을 거친 것으로 보이며 嶺西地域은 4세기 말 高句麗의 南進에 따라 해체되어 나간 것으로 보인다. 한편 동북지방의 團結-끄로우노프카文化(決沮)의 소멸이후의 양상이 확실하지는 않지만 牛頭洞과 風納土城 출토 ‘原蘇觸土器’ 의 존재를 볼 때 이 지역과의 교류는 꾸준히 지속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러시아 출토 한국식 청동기의 이해

        허준양(JUN-YANG HEO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2 민족문화논총 Vol.81 No.-

        러시아 연해주 출토 한국식 청동기는 한국식동검, 다뉴경, 동사 등이며, 그출토지는 이즈베스토브까, 스코토보, 아누치노 유적이다. 이들 출토품은 동검의 구분마연, 다뉴경의 문양 등 한국의 고고자료와 공통된 요소가 관찰된다. 러시아의 한국식 청동기는 한국의 동북부지역(함경도 일대)을 거쳐 전파된 것으로, 함흥 리화동, 금야 룡산리 유적의 한국식동검, 동모, 다뉴경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은 대체로 다뉴조문경과 다뉴세문경의 전환기에 전파된 것으로분석된다. 일련의 고고자료는 상호 간 호혜적인 관계 속에 러시아 단결-크로우노브까문화와 병행되는 양상으로 이어지고, 집단의 이주(전파)는 한국식 청동기의 단순 모방이 아닌 기물의 기능까지 삽입되어 이뤄진 것이다. 특히 이즈베스토브까-스코토보 유적은 인접한 거리(직선거리 12km 정도)에 위치하여 집단 간교류 및 공유가 가능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한・러의 고고자료와 자연・지리적 여건은 양자의 교통로로 확인된다. 한・러의 교통로는 함흥→슬라반캬→스코토보→이즈베스토브까의 루트와 함흥→슬라반캬→(우수리스크)→아누치노의 루트로 파악되는 바이다. 현재의 고고자료로 볼 때, 러시아 출토 한국식 청동기는 한국 고고자료의 최북단 출토품으로판단된다. 다만 러시아 연해주의 한국식 청동기 출토 사례는 아직 미미한 수준이며 추후의 자료를 통해 병행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orean bronze wares excavated from Izvestovka・Shkotovo・Anuchino in Primorye, Russia include Korean bronze swords(韓國式銅劍), Bronze mirror with knobs(多紐鏡), and Bronze engraver(銅釶). T he e lements of these artifacts common to Korean archaeological materials such as the pattern of straight lines engraved separately on the edgehe of the copper sword and the pattern of the Bronze mirror with knobs were observed, and it is analyzed that they were generally spread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between the Bronze mirror with coarse linear designs(多紐粗文鏡) and the Bronze mirror with fine linear designs(多紐細文鏡). The Korean-style bronze ware of Russia was transmitted through the northeastern region of Korea (Hamgyeong-do area), and representative examples are the Korean-style bronze sword, Korean type bronze spearhead(銅矛), and Bronze mirror with knobs excavated from the ruins of Rihwa-dong in Hamheung and Ryongsan-ri in Geumya. These common archaeological materials are in a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 and parallel to the Russian Tuanjie-Krounovka culture. In particular, it is confirmed that the migration (propagation) of the group is not a simple imitation of the Korean bronze ware, but also the function of the object. Also, the Izvestovka-Shkotovo ruins are located at an adjacent distance (about 12km in a straight line), so that exchanges between groups and It seems possible to share. The archaeological data of Korea and Russia and the natural and geographical conditions are set as the transportation routes for both countries. The route between Korea and Russia is Hamheung→Slavankya →Shkotovo→Izvestovka (Krounovka) and Hamheung→Slavankya→ (Usurisk)→Anuchino. Judging from the current archaeological data, the Korean-style bronze ware excavated in Russia can be identified as the northernmost excavated object of Korean archaeological data. However, we look forward to future data on the insignificant excavation of Korean-style bronze ware in Primorye, Russia, and there is still ample room for parallel research.

      • KCI등재

        江原 嶺東地域 鐵器時代 上限과 下限

        심재연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8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16

        Due to recent increase in excavation investigations in Yeongdong region, Gangwon, materials needed for chronical recording of each era have been secured. Particularly, there is an ongoing work to record chronologically the basics of the Bronze Age and advancement and expansion of Shilla Ancient Tomb during the Age of the Three States. However, in case of the Iron Age, the residences of 10-ho, Byeongsan-dong, Gangneung and of 2-ho Gapyung-ri enable only so much as to retroactively locate the historical age to the third century B.C.; there is still a gap vis-a-vis the clay pottery stage across all era. As an alternative to this gap, there has been a suggested version that assumed a migration of "Tuanjie-krounovka culture" people to the northern east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after studying excavated material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many problems in assuming the migration of these people. Therefore, in noting the upper bound of the Iron Age, there must be accurate investigations on sand-dune regions and some inland area. For a lower bound as well, it is noted that the time of expansion of Shilla Ancient Tomb during the Age of the Three States is considered to be at least at the end of the fourth century or the beginning of the fifth century; thereby making the gap in fourth century more apparent. The remains that correspond to this gap period have been confirmed recently in Songjeong-dong, Donghae and Geumjin-ri, Gangneung. Looking at recently disclosed data in various brochures, hard and no motif earthenware was present up until the fourth century, and lattice designed Do-Jil earthenware was also said to be present. Therefore, there must be a new explanation for Gangmun-dong remains, Gangneung, Byeongsan-dong remains, Anin-ri remains, Geumjin-ri remains, Songjeong- dong remains, Gangneung, and Jigyeong-ri remains, Yangyang, which have been recorded to be chronologically earlier than they actually are.

      • KCI등재

        러시아 출토 한국식 청동기의 이해

        허준양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2 민족문화논총 Vol.81 No.-

        러시아 연해주 출토 한국식 청동기는 한국식동검, 다뉴경, 동사 등이며, 그 출토지는 이즈베스토브까, 스코토보, 아누치노 유적이다. 이들 출토품은 동검의 구분마연, 다뉴경의 문양 등 한국의 고고자료와 공통된 요소가 관찰된다. 러시아의 한국식 청동기는 한국의 동북부지역(함경도 일대)을 거쳐 전파된 것으로, 함흥 리화동, 금야 룡산리 유적의 한국식동검, 동모, 다뉴경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은 대체로 다뉴조문경과 다뉴세문경의 전환기에 전파된 것으로 분석된다. 일련의 고고자료는 상호 간 호혜적인 관계 속에 러시아 단결-크로우노브까문화와 병행되는 양상으로 이어지고, 집단의 이주(전파)는 한국식 청동기의 단순 모방이 아닌 기물의 기능까지 삽입되어 이뤄진 것이다. 특히 이즈베스토브까-스코토보 유적은 인접한 거리(직선거리 12km 정도)에 위치하여 집단 간 교류 및 공유가 가능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한・러의 고고자료와 자연・지리적 여건은 양자의 교통로로 확인된다. 한・러의 교통로는 함흥→슬라반캬→스코토보→이즈베스토브까의 루트와 함흥→슬라반캬→(우수리스크)→아누치노의 루트로 파악되는 바이다. 현재의 고고자료로 볼 때, 러시아 출토 한국식 청동기는 한국 고고자료의 최북단 출토품으로 판단된다. 다만 러시아 연해주의 한국식 청동기 출토 사례는 아직 미미한 수준이며 추후의 자료를 통해 병행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