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Hesses Einfluss auf koreanische Schriftsteller : Unter besonderer Beru¨cksichtigung von H. Tjon, B. Cho und D. Kim 전혜린, 조병화, 김동리를 중심으로

        Cheong, Kyung Yang 한국헤세학회 2002 헤세연구 Vol.7 No.-

        한국에서의 헤세 붐을 반영이라도 해 주듯이 헤세의 문학은 그 동안 한국의 작가들에게도 많은 사랑을 받았다. 번역가, 수필가로서 전혜린은 헤세의 문학을 사랑하여 헤세의 작품을 직접 번역하였을 뿐만 아니라, 주위 사람들에게 헤세의 문학을 읽도록 권유하거나 헤세에게 직접 편지를 띠워볼 것을 제안하기도 하였다. 전혜린은 자신의 체험과 삶을 바탕으로 헤세의 문학에 깊이 공감하여 자신의 낭만주의적인 성향과 더불어 헤세의 문학을 정서적인, 사상적인 관점에서 강하게 수용하였다. 시인 조병화 역시 헤세를 깊이 사랑한 나머지 자신의 시작품에 헤세의 시구를 직접 인용할 정도로 헤세의 문학에 대한 강한 사랑을 표출하였다. 조병화는 특히 서정적이고 낭만주의적인 관점에서 헤세의 시문학을 수용했는데, 조병화 자신의 낭만주의적 문학세계와 헤세의 낭만주의적인 문학세계를 한데 아우르면서 자신의 문학세계를 창출하였다. 조병화는 시작품의 주제와 소재 면에서도 헤세의 문학을 적극 수용하고 변용하였다. 조병화와는 달리 소설가 김동리는 주로 헤세 문학의 종교 사상적인 측면에 깊은 관심을 나타냈다. 따라서 김동리는 헤세 문학의 낭만주의적인 면보다는 중기와 후기 작품에 중점적으로 나타나는 동양 사상적, 내재적, 신비주의 종교성에 공감하면서 자신의 문학사상에 수용하였다. 또한 김동리는 헤세와 마찬가지로 일찍부터 동양의 종교적 고전문헌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섭렵하였기 때문에, 김동리와 헤세의 문학은 인간의 자아에 존재하는 신적인 속성이나, 내재신(內在神)등의 종교적 표상을 구축하면서 내재적인 신비주의적 종교성을 공통적으로 표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