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에서의 중앙아시아 언어 연구 -1996년 이후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성 ( Yong Song Li ) 중앙아시아학회 2015 中央아시아硏究 Vol.20 No.2

        The Korean Association for Central Asian Studies was founded as a formal society in 1996. Its forerunner was the Central Asian Study group which had met since 1992.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Central Asian Studies is Central Asian Studies [中央아시아硏究] which have been published since 1996 and became one of the registered journals of Korea. Central Asian Studies is a representative expert journal for Central Asian studies in Korea. Focusing on cases since 1996, this paper makes a general survey of Central Asian studies in Korea. The basic data for this paper was collected from the following sources: (1) the journal of Central Asian Studies [中央아시아硏究]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Central Asian Studies, (2) the journal of Mongolian Studies [몽골학]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Mongolian Studies, (3) the journal of Altai Hakpo [알타이학보] of the Altaic Society of Korea, (4) the master’s/doctoral theses, the other journals, and books searched in the search box of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All the papers or theses on the following languages are the subjects of study: (1) the Turkic languages spoken in Central Asia, (2) all the Mongolic languages, (3) the Sibe language from the Tungusic languages, (4) the other languages in Central Asia. The following points were verified as the result of this survey, although it remained on the statistical level: (1) In connection with the “Altaic languages”, the Mongolic languages are most actively studied in Korea. (2) In connection with the “Altaic languages”, the Turkic languages are poorly studied in Korea. (3) The comparison with the Korean language is playing a significant role. (4) The journal of Central Asian Studies seems to be at the level of a journal in Korea. (5) The journal of Mongolian Studies seems to get out of the level of a journal in Korea. However, the subjects are specialized for the Mongolic languages. Most foreign authors are Mongols. (6) The journal of Altai Hakpo also seems to get out of the level of a journal in Korea. The papers of the foreign researchers of various nationalities are published in this journal. However, the foreign languages used in this journal are mostly limited to English or Chinese. (7) There is a very limited number of researchers who specialized in the “Altaic languages”. It is the case for the Turkic languages in particular.

      • KCI등재

        한국에서 高麗-몽골(元) 關係史 인식과 北方民族史 연구

        金壯求 동국사학회 2015 동국사학 Vol.59 No.-

        이 글의 목적은 지난 20세기에 저술된 대표적인 한국사와 동양사 개설 서, 고려-몽골(元) 관계사 논문 등에 보이는 몽골 인식과, 1990년대 이후 한국 역사학계와 관련학회, 관련기관의 북방민족사 연구 성과를 살펴봄으 로써 성찰과 전망의 기회로 삼기 위함이다. 20세기 중후반(1945~1989년)에 선학들은 대내외적으로 어려운 환경속에서도 뛰어난 연구 업적을 발표하였다. 일부 저서와 논문에서 북방민족 에 대한 편견이 존재하기는 하지만, 당시 상황에서는 어쩔 수 없는 측면이 있었다. 특히 선학들의 우수한 연구 성과는 이후 한국 북방민족사학계와 알타이학계에 초석을 놓았다고 할 수 있다. 그 결과 한국알타이학회, (사) 중앙아시아학회, (사)한국몽골학회 등이 성립되어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관련 기관으로는 동북아역사재단, 국립중앙박물관, 국립민속박물 관, 국립문화재연구소 등이 관련 연구를 진행하는 한편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경기도 박물관, 예술의 전당 등도 관련 전시회를 열고, 전시도록과 연 구서 등을 발간하여 일반인들의 이해를 돕고 있다. 이외에도 동국대학교, 단국대학교, 서울대학교, 부경대학교, 계명대학교 등에서 북아시아와 중앙 아시아, 실크로드의 역사와 문화에 관련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 글에서 살펴보는 바와 같이 한국 역사학계에서 고려-몽골(元) 관계 연구와 북방민족사 연구는 지난 20세기부터 2015년까지 괄목할 만한 연구 성과를 거두었다. 이번 발표에서 다루지 못한 관련 연구서와 논문 등을 계산에 넣는다면, 아마도 양적인 면에서 세계에서 가장 빠른 성장을 보였 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비판적으로 성찰해보면, 과연 모든 연구 성과가 질적으로도 만족할만한 수준에 이르렀는가라는 질문에는 어느 누 구도 선뜻 그렇다고 대답하기 힘들 것이다. 또한 고려-몽골(元) 관계사와 북방민족사 연구에서 반드시 필요한 주제 등 부족한 부분이 아직도 많다. 마지막으로 언급하고 싶은 심각한 문제는 연구자들이 상호 성과 인용과 건전한 비판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특히 연구자 층이 엷고 축적된 학문성 과가 부족한 한국 중앙유라시아학계에서 지양하고 반성해야 할 점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