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창립 후 20년(1988-2007) 발전과정

        이은숙(Eunsook Lee)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9 문화 역사 지리 Vol.21 No.1

        Since its foundation, the Association of Korean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ers has mainly dealt with the issues such as Koreans' traditional perspectives on geography, perceptions about environment, Korea's history and culture embedded in the cultural landscape, and the restoration of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ical phenomena. During the initial ten years, the active research of th korea's traditional geography of the Association became the well-established area of Korean studies. The following ten years of the Association were devoted to studies of old map, Feng Shui landscape and the building of general system of Korean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At the same time, one observes an increase of the studies adopting the cultural and ecological approach as a way to address environmental problems. To connect modern human geography and traditional geography, there have been interdisciplinary studies on toponyms or contemporary diaspora. Young geographers in particular have been trying to use cultural-political or social-economical approaches regarding historical changes in society and culture, and to apply systematic approaches to the formation of culture. 1988년 창립이후 한국문화역사지리확회는 한국인의 전통적 지리관, 전통적 환경지각 방식, 문화경관에 각인되어 있는 우리역사와 문화, 과거 문화역사지리적 현상의 복원 등을 주요과제로 삼았다. 처음 10년 동안은 한국의 전통지리학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국학연구의 한 분야로 자리 매김하게 되었다. 다음 10년 동안은 고지도나 또는 풍수경관 등 전통지리학연구의 증가와 함께 종합적 체계구축을 위한 노력을 하여 왔다. 한편 환경문제의 대안으로 문화생태학적 접근을 시도한 연구가 증가되었으며, 현대 인문지리학과 전통지리학의 연결방안의 하나로 다학문적 접근을 시도한 지명 연구, 현대 디아스포라 연구 등 많은 성과를 올려TEk. 특히 젊은 지리학자들을 중심으로 방법론적 대안으로 신문화지리학적 접근, 사회와 문화의 역사적 변동에 대한 문화정치적 접근, 사회경제적 접근, 문화 형성에 대한 구조적 접근도 시도되고 있다.

      • KCI우수등재

        The Shaping and Progress of Korean Historical Geography Since 1945

        Keumsoo Hong 대한지리학회 2012 대한지리학회지 Vol.47 No.4

        현대 역사지리학은 일제강점기 일본 여러 대학의 지리역사과에서 수학한 1세대 지리학자, 특히 노도양의 선구적인 활약에 힘입은 바 크며, 1960년에 미국 유학을 마치고 귀국한 이찬에 의해 본격적인 출발과 비약적인 성장을 기대할 수 있었다. 사우어의 문하생인 니펜의 지도를 받은 연유로 이찬은 답사와 문헌자료에 입각한 버클리 학파의 방법론을 한국에 이식하였으며, 1988년에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를 창립하여 과거의 지리와 지리적 변화에 관심을 가진 학자의 역량을 결집하는 구심체로 삼았다. 2세대 학자가 양산된 1980년대 이래 한국 역사지리학은 케임브리지 학파의 단면법의 성과를 수용하면서 연구의 활성화를 기하고 있으며, 주제와 방법론의 폭을 넓혀가고 있다. Korean historical geography as a distinct subset of modern geography began with the pathbreaking efforts of Do-Yang Roh in the second half of the 1940s. He was joined in 1960 by founding father Dr. Chan Lee who carried with himself the Berkeley geography he learned from Fred Kniffen, his advisor, and Robert West at Louisiana State University. Dr. Lee, the single-most important figure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historical geography, founded in 1988 the Association of Korean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ers in order to pull together those interested in past geographies and geographical change. Korean historical geography took off in the 1980s when large numbers of doctoral theses were produced domestically and abroad and British cross-sectional methodology added. Diversity in research theme and methodology characterizes present-day Korean historical geography.

      • KCI등재

        이찬과 한국 현대문화ㆍ역사지리학의 정립

        홍금수(Kewmsoo Hong)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4 문화 역사 지리 Vol.26 No.1

        현대 문화ㆍ역사지리학의 개척자인 이찬은 1923년에 황해도 연백에서 출생하여 평양사범학교와 서울대학교를 거치며 근대지리학의 내적 토대를 다진다. 이후 루이지애나 주립대학교로 유학의 장도에 올라 버클리 학파의 일원인 니펜에게서 문화ㆍ역사지리학의 방법론을 체계적으로 전수받는 한편, 도작문화에 관한 연구로 1960년에 박사학위를 취득한 뒤 귀국하여 현대지리학 1.5세대에 기대되는 교육, 연구, 국제 활동을 활발히 펼친다. 이찬의 문화지리학은 문화요소의 기원, 전파, 분포에 맞추어져 있으며 시간적인 변화를 중시하기 때문에 동시에 역사지리흑에기도 했다. 지도교수를 통해 시우어 지리학과 크뢰버 인류학을 섭렵한 까닭에 문헌보다는 야외 조사에 비중을 둔 경험적인 연구를 지향하였다. 중부지방의 민가를 조사하는 단계에서 니펜의 물질문화분석법을 원용하고, 한국지리학시를 개관하는 중에 국학으로서의 지리학에 관심을 환기하고 고지도의 중요성을 역설했으며, 도작에 관한 연구를 통해 역사지리 연구방법을 체계적으로 구현하였다 한국문화역사지라학회, 『문화역사지리』, 다방면에서 활동 중인 후학은 이찬의 유산이자 한국문화ㆍ역사지리학 발전을 위한 소중한 자산이 되고 있다. Born in a pastoral countryside in 1923 Chan Lee had learned and practiced geograph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before flying over to Louisiana State University for his post-graduate work. He was awarded Ph.D. for the thesis A Culture history of rκe with special reference to Louisiana in 1960 under the guidance of the Berkeley school's cultural geographer Fred B. Kniffen. Lee's cultural geography which laid emphasis on the origin, diffusion and distribution of cultural traits took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geography with the addition of time dimension.Exposed to Sauerian culture history of landscape morphology and Kroeberian ethnography Chan Lee emphasized fieldwork in practicing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as is exemplified by the researches on folk housing, rice cultivation, and various other topics. Chan Lee left behind the Association of Korean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ers, Journal of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and disciples as his enduring leg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