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6세기 안동지역 서당의 설립 양태와 ‘書院’化 과정

        정순우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8 민족문화논총 Vol.69 No.-

        Since the middle of the 16th century, Seodang established in Andong by Toegye disciples, has an important educational significance. If the former Seodang was a kind of family Seodang(家塾形 書堂) based on a kinesthetic solidarity, Seodang founded by the Toegye disciples could be called Seodang for Tao-learning(道學形 書堂). And it made possible the emergence of Neo-Confucian literati in Andong. This new type of Seodang pursued education based on Neo-Confucian philosophy of the heart and mind and spread self-cultivation theory of Toegye to the whole of Yeongnam and Joseon society. Due to this ideological orientation, Seodang for Tao-learning in this period has naturally shifted and developed to Seowon. However, not all Seodang has developed into Sewon. Some of them remained in Seodang, and some developed into Seowon. If so, what is the criteria for that discrimination?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is poin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riteria based on the cases of Gyunggwang Seodang, Seongsan Seodang, and Gaya Seodang. 16세기 중 후반 안동지역을 중심으로 퇴계 문도들에 의해 설립된 일련의 서당은 그 교육사적 의미가 매우 크다. 전대의 서당들이 혈연적 연대성에 기반한 ‘가숙형’ 서당이었다면, 퇴계학단이 설립한 이 시기의 서당은 새로운 사림세력의 출현을 가능하게 한 이념 지향의 ‘도학형’ 서당이었다. 물론 이들 도학형 서당도 문중 단위의 경제적 지원이나 학연이나 혼반에 근거한 인적 구성을 보여주기는 하나, 그 학습내용이나 강학방식이 성리 철학에 바탕을 둔 ‘심학적 공부론’에 근거하고 있었다. 또한 이들 서당들의 설립과 운영에 관여하는 인물들은 안동 문화권 중에서도 상층 양반층을 출신기반으로 향내에 막강한 영향력을 가진 세력들이었다. 이들 도학서당은 퇴계의 토착화된 조선 심학을 급속한 속도로 영남 일원과 조선 사회 전반으로 확대해갔다. 이들 도학 서당은 퇴계 고유의 경 철학과 이에 기반한 공부론을 서당 교육의 제일 원리로 삼고 위기지학에 근거한 사림문화를 형성해가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이념적 지향성으로 인해 이 시기의 도학서당은 자연스럽게 서원으로의 승격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특히 본고에서는 이 시기 도학서당이 계속 서당으로 잔류하거나 도태되는 경우와, 서원으로 승원되는 경우와의 변별 기준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사례를 경광서당과 성산서당, 그리고 가야서당의 사례를 통하여 시론적으로 탐색해 보았다. 그 초기 기준은 퇴계의 도학관이나 도통이념에 얼마나 충실하였는가를 질문하는 사림 공론이었고, 17세기 중엽 이후에는 향사가 지역적 연고에 근거해 절의나 학문과 같은 좀 더 다양한 현실적 기준들이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 KCI등재

        퇴계(退溪)의 서원관(書院觀)에 대한 철학적 해명

        김형찬 ( Hyoung Chan Kim ) 퇴계학연구원 2014 退溪學報 Vol.136 No.-

        조선시대 서원의 역사에서 退溪 李滉(1501~1570)은 매우 특별한 위치를 차지한다. 조선의 서원은 周世鵬(1495~1554)의 白雲洞書院 건립으로부터 시작되었지만, 서원의 역할과 의의를 재천명하여 조선 서원의 발전 방향을 세우고, 서원이 국가의 공인을 받도록 함으로써서원의 공적 위상을 확립한 것은 바로 퇴계였다. 이 글에서는 기존의 연구 성과들을 바탕으로 하여 퇴계의 書院觀에 관해 철학적 관점에서 몇 가지 문제를 제기하고 이를 재검토한다. 첫째, 퇴계가 서원의 기능 중 교육과 함께 祭享을 중시하게 된 것 은 서원들의 건립과정에서 제향의 문제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깨달았 다는 사실 외에도, 天命·上帝에 대한‘종교적’敬畏의 자세를 강조 하고 학문의 기본자세로서 敬을 중시했던 퇴계의 공부·수양론과 연 관해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퇴계는 과거공부에 몰두하는 것을 비판했지만, 內聖外王이 라는 유학 또는 성리학의 궁극적 목적에 비추어볼 때 과거공부와 도 학공부의 관계를 대립적으로만 볼 수는 없다. 퇴계는 사적인 利를 추 구하는 것은 반대하였지만, 義를 추구하는 가운데 그 義에 대한 和應 으로서 얻어지는 利에 대해서는 반대하지 않았기 때문에 도학 연마의 결과로서의 관직 진출까지 반대한 것은 아니다. 셋째는 퇴계의 서원 건립 운동이 국가 차원의 정치를 포기하고 향 촌 단위의 정치로 입장을 전환한 것인가 하는 것이다. 관직을 물러나 향촌에 머무는 현실적 처지에서는 그것이 불가피한 선택일 수 있겠지 만, 오히려 진리의 성전으로서 서원을 세움으로써 理一分殊的 理가 군왕의 마음으로부터 향리까지 관철되는 중요한 거점으로서 서원을 자리매김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한 서원을 통해 현실 권력을 견제하고 공론을 형성하며 인재를 양성해 중앙정계와 향촌에 공급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의 서원 건립 운동을 향촌 차원의 일로 한정지 을 수는 없다. Yi Hwang (李滉, pen name T`oegye 退溪; 1501-1570) occupies a special place in the history of the Confucian academies (Sowon 書院) of the Choson dynasty. He set the direction for the academies` development by redefining their sociopolitical role, and established their public status by obtaining the official approval of the king, even though the institutions began with Chu Sebung`s (周世鵬; 1495-1554) building of Paegundong Sowon. Based on existing research, this paper reconsiders a few concerns about T`oegye`s view of the academies from a philosophical stance. First,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T`oegye emphasized ceremonial rites as the main functions of the academies besides education, after noticing the importance of the former in establishing such institutions. However, his stress on the rites should be considered in connection with his theoryof study and cultivation, which focused on the "religious" attitude of mindfulness and awe (敬畏) toward the Mandate of Heaven (天命) or the Lord on High (上帝) and regarded mindfulness (敬) as the basic posture for study. Second, in light of the final aims of Confucianism or Neo-Confucianism, the inner sage and outer sovereign (內聖外王), the preparation for the civil service exam (kwago 科擧), and the study of tao-learning (tohak 道學) were not necessarily in conflict, even though T`oegye opposed total absorption in study for the civil service exam. He objected to the seeking of personal interests [利], but did not disapprove of the attainment of personal interests as the outcome of the pursuit of justice [義] or of public posts that resulted from tao-learning. Third, does T`oegye`s campaign to establish the Sowon indicate that his concern changed from the politics of the nation to that of the rural communal society? This shift might have been inevitable after his move from public office to living in the country. However, it could also be understood as a reflection of his effort to build the Sowon as a sacred hall of truth and the primary base of disseminating the ideology of li (理) from the king`s mind to rural areas. The meaning of his campaign for Sowon is found in his desire to check political power, develop public opinion, and cultivate people of talent in order to offer them to the political world or rural society. Therefore, the meaning of his campaign cannot be limited to the scope of the rural society.

      • KCI등재

        조선시대 서원교육의 公的 기반 변화와 그 대응

        김자운(Kim, Ja-woon) 역사문화학회 2015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8 No.2

        이 연구는 소수서원 사례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서원 교육의 토대였던 공적 기반 변화와 그 대응 방식에 따라 서원교육의 정체성과 성격이 어떻게 변화해왔는가를 실증적으로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조선시대 서원은 공적 기반 확보를 위해 국왕에게 사액을 요청하여 국가의 공식적 승인과 지원을 획득함으로써 서원의 위상을 확립하는 한편, 지방관의 행 재정적 지원을 통해 서원교육의 실질적 기반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서원 운영에 있어, 관권을 배제한 향촌자치제를 강조했던 퇴계의 서원론을 따르던 영남 남인계 서원들 역시 조선후기로 가면서 경제적 기반이 약화되자 점차 관권에 의존하지 않을 수 없었다. 지방관의 행 재정적 지원 없이 서원교육의 유지는 사실상 거의 불가능하였으므로, 교육 이념과 내용 면에서는 관권의 개입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한편, 행 재정적 지원 확보를 위해 서원에서는 끊임없이 관권을 개입시키고자 하는 이중적 태도를 취하였다. 이와 같이 관권의 개입과 배제라는 모순적, 이중적 과업을 수행하기 위해 조선시대 서원이 처했던 딜레마와 다양한 대응 방식을 소수서원 사례를 통해 엿볼 수 있다. 한편, 16세기 소수서원은 공적 기반 뿐 아니라 교육의 성격에 있어서도 사학보다는 관학에 더 가까웠다. 16세기 풍기군수 주세붕과 경상감사 안현은 서원을 관학과 다름없는 교육기관으로 인식, 관학에 버금가는 특전을 제공하고, 교육 내용에 있어서도 철저하게 과거 대비를 위한 교육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후 도학으로 무장한 사림들이 정계에 진출, 풍기군수로 부임하면서 서원을 관학의 연장선에서 바라보던 서원관에 변화가 일어났고, 서원교육이 이념적으로 관학에서 독립하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17세기 풍기군수 이준은 지방관이자 동시에 사림의 일원으로서, 서원의 공적 기반을 제공하는 한편, 교육 이념에 있어 관학적 성격의 탈피를 주장하며 파격 논쟁에서 파격의 근거와 논리를 확립하였다. 우여곡절 끝에 그의 논리가 관철되면서 그는 서원교육이 관학적 성격에서 벗어나 주자와 퇴계가 주장한 서원의 사학 정신을 소수서원에 확립한 계기를 제공하였다. 그 결과 18세기 소수서원은 과거공부만하던 관학적 속성에서 벗어나 비로소 주자의 사학 정신과 이념을 확립하고 이를 실천하는 도학서원으로 재탄생할 수 있었다. 18세기 소수서원은 이념적으로는 관학에서 독립하였으나 18세기부터 지방관의 전폭적 지원이라는 특혜가 사라지면서 서원교육의 공적 기반을 상실하였다. 이에 삼동거재와 윤번거재, 양사청의 설치 등 다양한 자구책을 동원하여 교육을 지속하고자 도모하였다. 그러나 18세기 말 양사청이 완전히 폐지되면서, 교육을 지속하기 위해 다시 관의 지원을 확보할 묘안을 강구해야 했다. 이에 겸원장 제도를 마련하여 다시 관권을 개입시킴으로써, 공적 기반을 확보하고 수령의 지원과 참여를 끌어내고자 하였다. 그러나 공적 기반 확보를 위해 의도적으로 관권을 개입시킨 결과 수령의 지원과 참여는 또 다시 과거공부의 폐단을 낳기 시작하였다. 그 결과 19세기 서원의 지도자들은 과거공부가 도학을 방해하고 서원 본래의 교육이념을 해칠까 우려하며, 관권을 개입시켜 공적 기반을 확보하는 한편, 교육내용에서는 과거공부에 치우치지 않고 道學과 科業의 균형과 조화를 유지하기 위해 다방면의 노력을 강구하였다. 19세기 소수서원 동주 이가순과 강운의 사례에서 그 고군분투의 과정을 엿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rough a positivistic examination of Sosu Seowon, how the characteristics and orientation of seowon education have changed and how the public foothold of private academies changed during the Joseon Dynasty. Conventional views hold that the educational system of the dynasty made a transition from centralized to decentralized, with the government yielding its educational authority to local literati, thus shifting the nature of education from a government-operated education system to a private education system. A micro-historical analysis of Sosu Seowon, however, shows the coexistence of government initiatives and the local literati’s educational influences, as well as a mixture of public and private characteristics. This is contrary to the conventional view that there was a linear change in the Joseon Dynasty education system. Sosu Seowon continuously secured a public foothold and maintained its identity 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playing the role of a public academy at one time and a private academy at another, respon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The changes in Sosu Seowon’s public foothold have been closely linked to changes in its educational ideology and content. Understanding Joseon Dynasty seowon education, therefore, requires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changes in the public foothold of seowon. Characterizing seowon education in a dichotomous way, without a thorough analysis, as “public” or “private,” or “government-centered” or “private academy-led,” might distort the realities of seowon educat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As a case study,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nges in seowon education’s public foothold and its responses to changes of the times from the 16<SUP>th</SUP> to 19<SUP>th </SUP> centuries.

      • KCI등재

        15~16세기 善山 - 金泉 지역 儒學者들의 교류와 朝鮮 性理學의 전개

        김성우(Kim, Sung Woo) 역사문화학회 2015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8 No.1

        조선 성리학은 15세기 중?후반까지만 해도 경상도 선산지역의 지식인들이 주도하는 교육 활동을 통해 鄕學으로, 그리고 父子 간의 전승을 통해 家學으로 전수되고 있었다. 吉再가 선산 출신 제자들을 중심으로 교육 활동을 전개하고, 그의 제자 金叔滋가 아들 金宗直과 金孟性을 훈육한 사례가 그런 경우였다. 學派 활동은 김종직이 제자 양성에 나서고 세를 결집한 15세기 중·후반 이후 시작되었다. 향학·가학으로부터 학파로 분립되어 가던 15세기 중·후반은 선산을 중심으로 그 주변 지식인들이 성리학의 대열에 합류하는 과정이기도 했다. 선산이 앞서 가고 주변 군현들이 따라가면서 학파 활동은 더욱 힘을 받았다. 선산의 감화를 받으면서 성리학의 확산에 크게 기여한 지역 가운데 한 곳이 오늘날 김천시[개령, 김산, 지례]였다. 새로운 학문으로서의 성리학, 새로운 정치 지향으로서의 道學 정치는 두 지역 지식인들이 긴밀하게 교류하고 또 전승하는 가운데 또 한층 더 강해졌다. 본고는 15~16세기 조선 성리학의 발전 과정을 선산과 이웃 고을인 김천 지역 유학자들의 교류와 전승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본 논문이다. As late as in the early and mid-15<SUP>th</SUP> century, Neo-Confucianism used to be taught at local communities or at homes by the local intellectuals, who wished to propagate their Confucian knowledge to their students and children. Kil Jae who taught students in Seonsan and Kim Suk-ja who gave private tutoring to his sons, Kim Jong-jik and Kim Maeng-seong, were the representative figures who engaged in the Neo-Confucian education for their students and sons. It was after Kim Jong-jik started to recruit students and exerted academic influences in the mid- and late 15<SUP>th</SUP> century that their educational activities transformed into one of an academic lineage. This was also the period, in which the intellectuals in and around Seonsan joined the Neo-Confucian school. Their activities as an academic lineage gathered more impetus, as those in the prefectures around Seonsan joined it. It was Gimcheon city area (formerly Gaeryeong, Gimsan and Jirye areas) that has contributed to the spread of the Neo-Confucianism under the influence of Seonsan. The new political ideology of the Neo-Confucianism, as Tao Learning (道學), gained more strength amid the academic exchanges and the activities to form a Neo-Confucian school among the intellectuals of the two regions. This paper examines the evolution of the Neo-Confucianism in the 15<SUP>th</SUP>-16<SUP>th</SUP> centuries in the context of the academic exchanges and the lineage of the Confucian scholars in Seonsan and its neighboring district Gimche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