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죠몽·야요이 전환기의 석기 변화

        이기성(Yi Kisung) 한국상고사학회 2008 한국상고사학보 Vol.59 No.-

        일본 죠몽·야요이 전환기의 석기 연구에 대해서는 기존에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개별적인 특징만을 대상으로 하거나 죠몽시대의 석기에 대륙계 마제석기의 추가로서 그 변화 양상을 간단히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해, 일본의 킨키지역을 대상으로 죠몽·야요이 전환기에 있어서 석기변화의 전체상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우선 일본 전환기의 석기 연구사를 검토하고 전환기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개념인 문화 요소의 구분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킨키지역을 지형에 따라 5 지역으로 구분하여, 죠몽시대 후기·만기와 야요이시대 전기·중기의 유적을 대상으로 석기의 변화 양상을 검토한 후, 석기를 용도별로 구분하여 각 석기군의 비율 변화를 확인하여 각 석기군의 구체적인 변화 내용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킨키지방 전환기에 있어 석기의 변화는 그 내용에 있어 기종의 소멸·지속·등장과 각 석기군에 있어 추가·대체, 또한 석재의 사용에 있어서 기존의 석재사용, 죠몽시대에는 사용되지 않았던 새로운 석재의 사용 등 다양한 측면에서 복잡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Until now, there are several studies about stone tools in transition from Jomon period to Yayoi period in Japan. But most of previous studies, they treat individual features or explain simply as addition of continental polished stone tools on Jomon stone tool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the change of stone tools in transition in Kinki area as a whole. First of all, I explain the past studies about stone tools in transition era and division of cultural elements in Yayoi period. And I examine the aspect of stone tools change from late and final Jomon to early and middle Yayoi in Kinki area which is divided in five regions. The stone tools are classified as functional category and I examine proportion of categories and concrete aspect of change. As a result, I found stone tools change in transition from Jomon to Yayoi in Kinki cannot be briefly explained as addition of continental polished stone tools. In the change, there are various aspects, such as extinction, continuance, appearance of stone tools and addition, alternation in the categories and use of established stone sources or use of new stone sources from the point of stone sources. It could be said that stone tools change in transition era in Kinki area, Japan, is complex and has various aspects.

      • KCI등재

        제주도 신석기시대 석기 검토

        박근태(Park Geun Tae) 한국신석기학회 2011 한국신석기연구 Vol.- No.21

        신석기시대 석기는 용도별로 수렵구, 어로구, 채집농경구, 식료가공구, 가공구(목공구, 석기가공구), 의례활동이나 치레걸이로 사용되는 장신구로 분류할 수 있다. 제주도 신석기시대 유적에서 출토된 석기를 용도별로 분류하고 시기별, 유적별 조합상을 통해 신석기시대의 전반적인 생업활동 양상을 파악하였다. 초창기단계에는 모든 용도의 석기가 다양하게 확인되고 있다. 후기구석기시대의 가압박리에 의한 석기제작 방법으로 세석핵, 첨두기, 석촉, 밀개, 긁개, 새기개 등 격지를 이용한 소형석기가 제작되었고 더불어 다양한 형태의 갈돌, 갈판 등 식료가공구가 사용되었다. 따라서 생업활동은 적극적인 수렵과 채집활동을 영위하면서 부수적으로 어로활동이 행해졌던 것으로 추정된다. 조기단계에는 수렵구가 급감하고 새롭게 어망추가 확인되고 있다. 석기의 비중은 석재가공구와 식료가공구가 중심이 된다. 따라서 채집활동 중심의 생업활동을 영위하면서 수렵과 어로가 부수적으로 행해졌던 것으로 추정된다. 전기단계에서는 수렵구와 석재가공구·목재가공구가 확인되지 않고 어망추는 계속 사용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석기의 비중이 식료가공구에 한정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볼 때 생업활동은 채집활동이 중심이 되고 어망에 의한 어로활동이 부수적으로 행해진 것으로 보인다. 후·만기단계는 수렵구는 확인되지 않고 어로구 중 결합식조침이 사용되고 있다. 지석의 비중이 높아지며 골각기가 어로구 위주로 제작되어 성행하고 있다. 대형의 굴지구가 발달된 형태로 확인되는데 이는 채집생활을 넘어선 원시적인 농경생활을 영위했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후기 단계 이후 다양한 생업경제활동은 식료의 안적인 공급을 유도하여 거주집단의 규모가 늘어나게 되면서(인구의 증가) 제주전역으로 유적이 확산되고 패총이 형성되고 있다. Stone tools in the Neolithic Period can be divided into tools for hunting, fishing, gathering, cooking, manufacturing (wood and stone working tools) and ornaments for ceremonies and decorations. After classifying the Stone tools found at the Neolithic sites in Jeju Island on their purposes, activities for livlihood in the Neolithic Period are estimated with combinations of features of periods and sites. In the Incipient stage, in general, a variety of Stone tools for different purposes are identified. The method for producing Stone tools through punch or pressure flaking technique in the Upper Paleolithic Period is to use flake such as point, arrowhead, end-scraper, side-scrape, burin and make a small stone tools. Also, various forms of cooking tools such as stone grinding pestle, grinding pestle are used. It is estimated that hunting and gathering are considered as an aggressive action for livlihood and fishing as an incidental activity. In the initial stage, fishing net-sinker is found with the decrease of hunting tools. Stone working tools and cooking tools are the main Stone tools. Therefore, the major activities for living are not hunting and fishing but gathering. In the early stage, hunting tools wood and stone working tools are not identified and fishing net-sinker continues to be used. Stone tools are only made for cooking tools. Fishing is subordinate to gathering which is essential for living. In the Late -Final stage, there are no hunting tools found and two-piece hook among fishing tools is used. As the stone chisel increases, bone implement mainly used for fishing became popular. Large digging tools is identified in an advanced form, which shows the possibility of primitive agricultural life beyond gathering. After in the late stage, many kinds of economic activities for livlihood lead to stable supply of food and growth of population size. As the population increases, the sites are expanded to the entire Jeju and Shell Mound is formed.

      • KCI등재

        청동기시대 타제인기의 속성과기능 연구

        김수영(Kim, Soo-Young) 중앙문화재연구원 2018 중앙고고연구 Vol.0 No.26

        그 동안의 청동기시대 석기 연구는 마제석기를 중심£로 이루어졌는데, 이러한 연구 경향은 마제 석기가 본격적으로 시용되면서 타제석기는 소멸한다는 인식에 가장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인식은 구체적 검토를 거친 것이 아니며, 일부 보고 및 연구사례를 보았을 때 타제 석기가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 오히려 현재의 석기 기종 구성으로는 당시의 생활상을 이해할 수 없다는 점에서 그 동안 간과되어 왔던 타제석기에 대해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타제석기 연구의 일환으로 타제인기의 여러 속성과 기능을 검토하였다. 검토 대상이 된 자료는 충주 조동리유적의 타제인기로, 석재 • 인부형태 • 잔손질 퉁의 속성과 사 용흔을 중심으로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석재는 사암 및 세립사암, 편암 등이 확인되었는데, 다른 기종의 석기에 사용된 것과 유사한 것으로 미루어 보아 석기 제작 과정의 부산물을 이용해 제작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였다. 인부 각도와 사용흔의 관계도 주목되는데 인부 각도가 30∼50중심인 그룹에서는 미세박리혼과 마모흔이 다양하게 나타난 반면, 90중심인 그룹에서는 마모혼I만 나타나 전자의 그룹은 다양한 작업에 사용되고 후자의 그룹은 특정 용도로 사용되었을 것이라 추청하였다. 나아가 석재나 부정형의 형태 등은 공들여 만들지 않은 석기, 즉 일회성 석기일 가능성을 시사하며, 이에 따라 석재 획득에서부터 폐기까지의 주기가 다른 석기보다 훨씬 짧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Previous studies on Bronze Age stone tools have focused on polished stone tools, in part due to the perception that polished stone tools replaced chipped stone tools. This perception, however, has not been thoroughly investigated. Ample reports and cases indicate that chipped stone tools continued to be used. In fact, since we cannot fully understand the Bronze Age life with only polished stone tools, there is a need to study chipped stone tools that have been overlooked thus far. The present paper examines various features and functions of chipped stone blades as a part of the larger research on chipped stone tools. The focus of this study are the chipped stone blades from Jodongri site in Chungju. The study analyzes features such as raw material, blade shape, final touches, and use-wear. Sandstone, fine-grained sandstone, and schist were used as raw materials. Since the raw materials that were used are similar to those used in other stone tool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by-products were us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lade angle and use-wear was also examined. In the tool group where the blade angle is mostly 30~50 micro-chipping patterns and use-wear are seen in various forms. In contrast, in the tool group here the blade angle is mostly 90, only use-wear is seen. As such, it suggests that the former group was used in a variety of tasks, while the latter was used for specific purposes. Furthermore, the raw materials used and the indeterminate shape indicate that they were stone tools made in a casual manner: they were disposable, suggesting that the cycle from the acquisition of raw materials to disposal was much shorter than that of other stone tools.

      • KCI등재

        호서지방 원형점토대토기 문화의 석기 조성 - 석기~철기 전환의 전단계 -

        이기성 한국청동기학회 2018 한국청동기학보 Vol.22 No.-

        한반도의 석기-금속기 전환 과정은 청동기시대 중기 후반부터 원형점토대토기 문화를 거쳐, 삼각형점 토대토기 문화까지로 말해지고 있다. 이 과정 중에서, 위신재는 석기에서 청동기로, 실용기는 석기에서 철기로 대체되었다고 이야기되며, 이러한 인식에는 청동기시대 중기부터 삼각형점토대토기 문화까지 동일한 문화 계통, 생업경제를 영위했다는 전제가 깔려 있는 듯하다. 그러나 실제 고고학적 양상은 그리 명확하지 않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도구의 재질 변화는, 기존의 재질은 점차 줄어들고 새로운 재질이 점차 증가하는 ‘과도기’ 또는‘이행기’의 과정을 거쳐 새로운 재질이 완전히 정착되는 흐름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석기에서 철기로의 변화는 그러하지 않다. 철기가 등장하기까지는 수백 년간의 시간적 공백이 존재한다. 또한 원형점토대토기 문화는 토착의 청동기시대 중기 문화와는 계통을 달리하는 것으로, 이후 삼각형점토대토기 문화에서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는 석기에서 철기로의 전환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은 원형점토대토기 문화이다. 즉 청동기시대 중기 에서 원형점토대토기 문화를‘석기의 감소’로 보아야 할 것이 아니라 청동기시대 중기의 석기 기종과 수량의 풍부함과 대비되는 현상으로 원형점토대토기 문화의 석기 양상을 확인하고 그 배경을 검토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호서지방 원형점토대토기 문화의 석기 조성을 검토하고, 석기 기종 구성의 편중은 목기의 사용과 일회적인 석기 제작·사용 방식에 의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The transition period from the Stone Age to the Metal Ages in the Korean Peninsula ranges from the Middle and Late Bronze Age to the stage of pottery with round clay stripes to the stage of pottery with triangular round clay stripes. During this period, stone tools were replaced with bronze tools for prestige goods, and stone tools were replaced with iron tools for practical tools. However, the actual archaeological patterns of these changes have not been clearly identified. A general perception is that changes in materials used for tools should undergo the “transition period” during which existing materials gradually decrease and new materials steadily increase, and then reach the stage in which the adoption of new materials is fully established. However, this was not the case for the transition from the Stone Age to the Iron Age. A substantial number of stone tools types were not identified in the ancient remains, and a time gap was found with hundreds of years passing until the appearance of iron tools that would replace stone tools. In addition, the culture of pottery with round clay stripes did not descend from the culture of the indigenous Middle Bronze Age. The transition from stone tools to iron tools, which began in earnest in the stage of pottery with triangular clay stripes, was directly linked with the stage of pottery with round clay stripes. In other words, the period from the Middle Bronze Age to the stage of pottery with round clay strips should not be viewed as the one marked by “decreases in stone tools”. Rather, the development of stone tools in the stage of pottery with round clay stripes should be identified as a phenomenon that contrasts with abundance in the type and quantity of stone tools in the Middle Bronze Age, and the background of this development should be reviewed accordingly. In this study, a review was performed on the development of stone tools in the Hoseo region in the culture of pottery with round clay stripes. As a result, the use of wooden tools and the production methods for stone tools were considered the factors that caused the unequal distribution of stone tools types.

      • KCI등재

        南江流域 靑銅器時代 磨製石器 硏究

        이민주 한국청동기학회 2015 한국청동기학보 Vol.16 No.-

        주지하다시피 청동기시대는 신석기시대보다 정형화된 석기인 磨製石器가 성행하였으며, 청동기시 대에서 당시인들의 주요 도구였던 석기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비교적 지역연구가 활발하다고 할 수 있는 남강유역의 청동기시대 연구는 아직까지도 토기 나 특정 유구 중심의 연구가 대부분이고, 그에 비해 석기연구는 미진하다고 볼 수 있다. 그나마 최근 에 나온 남강유역 석기연구는 석기의 개별 기종만을 분석한 연구이기 때문에 남강유역의 전체적인 석 기양상을 알기에는 무리가 있다. 필자는 이에 영남지역의 청동기시대 대표 동일문화지역권이라 할 수 있는 南江流域을 연구대상지 역으로 하여 최근까지 확인된 다수의 자료를 바탕으로 형식 분류가 가능한 대표 마제석기들의 편년과 단계설정을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 지역 석기문화가 가진 특징과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천과정 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본고는 기본적으로 기존에 연구가 상당히 진행되어 시간성을 잘 알 수 있고, 공반관계 검 토가 용이한 출토유구인 주거지와 무덤과의 비교 검토 및 각 기종별 마제석기의 공반양상을 통해 남 강유역 청동기시대를 총 5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다. 남강유역 석기에서 보이는 특징적인 형식을 기종별로 살펴보자면, 석검은 무덤에서만 출토되는 병 부가 직선형인 ⅡC식, 단부돌출형 석촉 ⅢA5식과 촉신의 형태가 방패형인 ⅢBㄱ식, 한쪽 단부가 부 푼형태의 석도 Ⅳㄷ식 등이 있다. 이러한 형식들은 남강유역의 지표형식으로서 추후 다른 지역과의 상관관계 및 영향력까지도 상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뿐만 아니라 본고의 석기연구를 통하여 남강유 역이라는 동일문화지역에서 확인되는 諸석기 양상을 살펴보고, 청동기시대의 문화상과 관련된 선행 연구의 공백을 메울 수 있는 주요한 고고학자료로서 가진 의미를 상기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Nam-river basin is located in the southwest Gyeongsangnam-do which has been recognized archaeologist by large-scale excavation through Nam-river Dam project in 1990’s, also where has attracted the notice of the world. It have been a lot of previous studies about archaeological materials of Nam-river basin. Among others, Bronze age achieved considerable research. In order to excavated a lot of relics of Bronze Age, it have served as not only chronological study based on Mumun pottery but also improved polished pottery and extensive studies of settlement on Nam-river, new study to restoration of dwelling site and other various studies have gone through significant growth consistently. Based on the achievements of such researches, we could be confirmed that Nam-river basin had the distinguished and regionalized cultural cluster. In spite of many meaningful attempts, there are focused on certain remains or pottery. While researches of stone tools had been limited. Though, recently studies related to Nam-river basin stone tools are unreasonable for figure out through phase of stone tools due to analyse of each separated item. The stone tools study of Nam-river basin as a cultural cluster, represented the Bronze age, has not been sufficiently made. It is thus necessary to recognize them to be reinforced. This study aims to analyzed cultural features and historical changes by over time; and concentrate on classified polished stone tools of representative; and established stages in chronological order that have been recently excavated and reported. This paper consists of three major parts. In the second chapter, stone daggers, stone arrowheads, stone knives and stone axe as major represented by reviewing prior studies of and the overall research on the status of stone age analysis for the polished stone tools. In the third chapter, it were established stages in chronological order by referred to the overlapping relation in the accompanying relationship, in the stone tools based on the classified type. In the four chapter, the cultural features by period on the basis of the changing aspect by period, analyzed and compared to other regions. As a result, extensive reviews bound to improve Nam-river basin of bronze age by divided into 5 stages. Stone daggers and stone arrows heads getting more and more various and different aspects by relics’s trait. It determine that the tools had been reflected opinion of the people. On the contrary, In EarlyㆍFirst, stone knives and polished stone axe kind of work tools had various types that stone knives had been dropping steadily except for explosively increased triangle stone knife. A certain tool had been stereotyped through designed to maximize efficiency. The need for mass production had increased when expanded the settlement site demanded a standardizing crop tool as social backgrounds. The advent of‘ full equipped stone tools set’ was considered defining point in time to be remarkable progress in Bronze age. It had a important thing to their around lives when they concentrated on the selected efficient model by enable to convenient work than previous tools in the era. According to the progress, it seems to be specialized and standardized many models by purposes in the late Bronze age.

      • KCI등재

        석장리 구석기유적의 생활상 복원 연구 : 석기의 쓴자국 분석을 중심으로

        김경진(Kyungjin Kim) 한국구석기학회 2020 한국구석기학보 Vol.- No.41

        선사시대 인간이 보편적으로 제작하고 사용하였던 도구인 석기는 인류의 물질문화와 진화를 파악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연구 대상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므로 현재 고고학자들은 선사인들에 의해 남겨진 석기를 바탕으로 그들의 생활상을 복원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연구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이 가운데 쓴자국 분석(use-wear analysis, traceology)을 통한 기능 연구는 당시 선사 사람들이 다양한 작업 활동에서 사용하였던 석기에 남겨진 미세 흔적들을 현미경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선사 도구의 쓰임새를 유추학고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석기의 기능 연구는 당시 선사인들의 삶의 모습과 생계 방식을 재구성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해 준다. 공주 석장리 유적에서 출토된 석기 가운데 416점을 선별해 석기 쓴자국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47점 (약 11.3%)에서 사용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는 흔적들이 관찰되었다. 단단한 동물재료와 관련된 흔적들은 긁개, 밀개, 새기개, 격지 등 여러 종류의 석기에서 관찰되었으며, 부드러운 동물재료는 밀개에서 주로 확인되었다. 도구의 사용 방법으로는 긁기, 자르기, 다듬기 등 여러 형태로 사용되었다. 한편, 잔손질석기의 경우 장시간 사용되면서 흔적이 형성되는 반면, 격지의 경우 필요에 따라 단시간 일회성으로 사용되어 잘 발달한 흔적이 드문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리나라 및 유럽의 다른 유적에서 실시한 석기 쓴자국 분석과 비교한 결과 석장리 유적은 선사인들에게 장기간 점유된 거주 중심의 유적으로 볼 수 있다. The stone tool, produced and used by prehistoric human being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search subject in understanding human material culture and evolution. Archaeologists are currently applying various research methods to restore their life based on stone tools left by prehistoric people. Use-wear analysis (traceology) can infer and interpret the use of prehistoric tools by analyzing microscopic traces left in stone tools. Therefore, the functional study of stone tools provides a clue to reconstruct the life and livelihood of the prehistoric people at the time. 416 stone tools excavated from the Seokjang-ri site, were selected for use-wear analysis. Among them, 47 stone tools (approximately 11.3%) showed traces that could be formed by use. Traces related to hard animal materials have been observed in several types of stone tools, including scrapers, end-scrapers, burins, flakes, etc. Soft animal materials have been identified mainly in end-scrapers. In the case of the retouched stone tools, traces are formed while being used for a long time.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well-developed trace was rare because it was used as a short-term one-time use if necessary. As a result of comparison with use-wear analysis of stone tools conducted in other sites, Seokjang-ri site can be seen as residential site occupied by prehistoric people for a long time.

      • KCI등재

        청동기시대 석기 분류

        손준호 호남사학회 2019 역사학연구 Vol.74 No.-

        This paper aims at setting up new criteria in classifying types and functions of the Bronze Age stone tools. Based on accumulated previous research, the better criteria of classification are discussed, producing a widely applicable objective and systematic classification system. In fact, there are not absolute criteria, which can be applied to any data. Classification variables should be selected depending on which traits of stone tools one would like to focus. Thus it is plausible that characteristics and analytical points can make various classification criteria. I hope that my new classification system can contribute to develop classification systems of artifacts further. I had attempted to classify the major Bronze Age stone tools in my doctoral dissertation. At that time, the classification system was made with the intact artifacts and variables, which proven to be significant in previous archaeological studies, were used as the criteria. In this paper new classification systems based on the previous system amended with new research results, is suggested. The new system has more specified classification categorization: stone daggers are sub-typed into the hilted type and the stemmed type; stone arrowheads are sub-typed into the flat type and the lozenge type; stone knives are sub-typed into the straight type and the curved type; axes are sub-typed into the double blade, single blade, and abnormal types. Lastly, classification system by use is: symbolic and ritual tools include a stone dagger, a round shaped axe, star-shaped axe and ornament; stone arrowhead, stone spear, throwing stone are hunting tools; stone knife and sickle are harvesting tools; a chipped stone axe is the digging tool; double blade axe is a wood cutting tool and single blade axe is a wood working tool; grinding stone, penetrating tool and cutting tool are the stone processing tools; food processing tools include various types of grinding stone and plates; a spindle whorl is the weaving tool and a net sinker is the fishery tool. 본고에서는 청동기시대 석기의 형식과 기능 분류를 새롭게 시도하였다. 기존의 축적된 연구 성과를 최대한 참고하여 보다 뚜렷한 분류의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광범위하게 활용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분류안을 도출하고자 노력하였다. 사실 어떤 자료에나 적용 가능한 절대적인 분류안은 존재하지 않는다. 석기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는 내용에 따라 이를 잘 반영하는 속성을 기준으로 분류가 이루어지면 된다. 즉, 자료의 성격과 분석 목적에 따라 다양한 분류안이 제시되는 것이 당연하다. 그렇다고 지나치게 특정 자료에만 적용되는 분류 기준과 방식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해당 자료의 특징을 제대로 파악하려면 다른 자료와의 비교가 필수적인데, 이를 위해서는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어느 정도 일반화된 분류안의 사용도 필요한 것이다. 분류에 앞서 먼저 석기가 다수 출토된 중요 유적의 보고서를 검토하여 분류 현황 및 그 문제점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일정 수준 이상의 분류와 분석이 이루어진 보고서가 많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많이 개선되었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청동기시대 석기에 대한 상대적 무관심이 보고서 작성 시 그대로 드러나고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형식 분류를 시도하였는데, 기존 연구에서 고고학적으로 의미가 크다고 판명된 속성을 분류의 기준으로 삼아 지나친 세분을 피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석검은 유병식과 유경식, 석촉은 편평형과 능형, 석도는 직인류와 호인류, 석부는 양인류․편인류․이형으로 대별한 다음 각각의 세부 형식을 설정할 수 있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석기를 기능에 따라 분류하였는데, 상징 의례구, 수렵구, 무구, 수확구, 굴지구, 벌채구, 목재 가공구, 석기 가공구, 식량 처리구, 방직구, 어구에 해당하는 각각의 기종을 상정하였다.

      • KCI등재

        선사·고대의 농구 조합과 생산력의 변화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김도헌 영남고고학회 2008 嶺南考古學 Vol.- No.47

        There have been many previous researches on farming tools in terms that one could be accessible to various agricultural forms through them. However, the existing researches on them have been divided into stone farming tools from prehistoric period and those made of iron from ancient period; for this reason, diachronic investigations on them have been more or less insufficient. Based on this problem, this study attempted to conduct a diachronic study on prehistoric farming tools. Farming tools could be classified into those made of shells, bones, wood, stone and iron according to material. Among them, the farming tools made of shells and bones have not been investigated in detail due to the lack of references. The stone farming tools included stone hoes and stone knives, the wooden farming tools included wooden hoes and wooden weeder-plows, wooden shovels and rakes, while iron farming tools included iron hoes and iron weeder-plows, iron shovel blades, forked rakes, spades for irritation, iron hoes, weeding hoes, iron knives and iron tongs. This study figured out the usage and transformation of such individual farming tools and established the changes in their combination in 4 stages. The 1st stage of farming tools indicated the period when stone plowing tools were used. In the 2nd stage, wooden plowing tools were mainly used and the formalized harvest tools named stone knives was commonly used. The 3rd stage signified the farming tools made of iron; therefore, iron plowing tools were utilized. And the tools exclusively used for farming appeared and the harvest using iron tongs was done. In the 4th stage, a plow using domestic animals' labor was introduced and a weeding hoe as a short-weapon tool appeared, too. The study looked closely into the changes in agricultural productivity deduced from the transformation of the combination of said farming tools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e farming began to be practiced in the 1st stage of farming tools. Then, as the 2nd stage came, the emphasis on farming has become higher when the aspects of cultivated land changed and the intensive arrangement of agricultural labor was gradually progressed. In the 3rd stage of farming tools, they were transformed into iron ones and arable land was subsequently expanded, resulting in the increase in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plant breeding was progressed to some extent and the degree of irrigation and weeding-out work improved, which in turn enhanced the grain production per land. In the 4th stage of farming tools, it has been estimated that the labor using domestic animals was introduced so that labor productivity was improved and the grain production per land improved further by the introduction of more sophisticated weeding-out work. 농경형태에 접근할 수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 농구에 대한 연구는 일찍부터 이루어졌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농구 연구는 선사시대의 석제농구와 고대의 철제농구로 구분되어 진행되었기 때문에 통시적인 검토가 다소 미흡한 실정이었다. 이러한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선사·고대 농구의 통시적 검토를 시도하였다. 선사·고대의 농구는 재질에 따라 패제와 골제, 목제, 석제, 철제 등으로 구분된다. 패제농구로는 반월형패도, 골제농구로는 굴지구, 석제농구로는 석제굴지구와 석도, 목제농구로는 목제괭이와 목제따비, 목제삽, 고무래, 철제농구로는 철제괭이와 철제따비, 쇠삽날, 쇠스랑, 살포, 철서, 호미, 철도자, 철겸 등이 있다. 이러한 개개 농구의 용도와 변화상을 파악한 다음, 농구 조합의 변화상을 4개의 단계로 설정하였다. 농구Ⅰ기는 석제기경구가 사용되었던 단계이다. 농구Ⅱ기는 목제기경구가 주체였던 단계이며 석도라는 정형화된 수확구가 보편화되었다. 농구Ⅲ기는 농구의 철제화가 진행되어 철제기경구가 사용되었다. 또한 전용철제농구가 출현하며 철겸을 이용한 수확이 이루어졌 던 단계이다. 농구Ⅳ기는 축력을 이용하는 쟁기가 도입되었으며 단병도구인 호미가 출현하였던 단계이다. 이러한 농구조합의 변화를 통해 유추할 수 있는 생산력의 변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농구Ⅰ기에 농경이 시작된 이후, 농구Ⅱ기가 되면 농경의 비중이 높아졌는데, 이 단계에는 경작지의 양상이 변화하였고 농업노동의 집약화도 점차 진행되었다. 농구Ⅲ기에는 가경지의 확대가 이루어지면서 농업생산력이 증대되었다. 또한 품종개량이 어느 정도 진행되었고 관개작업과 제초작업의 비중이 높아지면서 토지당 생산량이 증대되기 시작하였다. 농구Ⅳ기에는 축력이 도입되면서 노동생산성이 향상되었고 정교한 제초작업이 도입되면서 토지당 생산량이 보다 증대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후보

        신석기시대 여서도패총유적 자갈돌석기의 고고학적 의미 연구

        이헌종,김건수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2008 島嶼文化 Vol.0 No.31

        신석기시대 여서도 패총유적에서 우리나라 구석기시대의 자갈돌석기전통의 특성을 보이는 석기들이 출토되었다. 이 석기들이 주목되는 것은 그 고졸성 때문이다. 자갈돌석기들은 격지떼기를 위한 다양한 몸돌들과 격지 뿐 아니라 양면찍개, 외면찍개, 주먹도끼와 같은 중량석기들과 긁개, 톱날석기, 뚜루개 등 격지 석기들이 확인되었다. 유적의 발굴범위가 넓지는 않지만 석기구성은 구조적으로 석기제작과정을 이해하기에 충분하였다. 소형석기가 많지 않은 것은 격지를 석기의 용도로 사용했을 가능성과 발굴된 많은 골각기류들이 이를 대체했기 때문이다. 신석기시대 전기에 해당하는 여서도 패총유적에서 확인된 이러한 자갈돌 석기들은 그 기술-형태상 후기구석기시대까지 연속되었던 자갈돌석기전통과 많은 상사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동북아시아와 북미의 갱신세-전신세 과도기 상에 나타나는 주요 석기문화 전개과정을 통해 연속될 가능성을 검토하여 보았다. 시베리아와 극동지역에서는 전신세의 구석기시대가 있었으나 기존 후기구석기시대 최말기의 세형 돌날문화를 이어가고 있었다. 북미 지역에서는 서해안일대와 주요 강에 폭넓게 자갈돌석기가 넓게 확산되어 있었으나 세형돌날문화와 석창문화가 다양하게 확산되는 시기와 같은 시점에 나타났으며 주요석기들 가운데 창끝찌르개와 같은 후기구석기시대의 석기문화를 이어갔다. 우리나라도 역시 이 시기의 유적들 가운데 고산리유적에서 볼 수 있듯이 후기구석기시대의 석기제작전통의 연속선상에서 석기군이 형성되어 있었다. 그동안 신석기시대의 연구자들에게 간과되었던 타제석기류들이 확인되면서 다양한 종류의 석기들이 최근 신석기시대 전기유적에서 폭넓게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여서도패총유적의 자갈돌석기는 구석기시대의 자갈돌석기전통의 연속선상에서 확인되었기 보다는 당시 신석기시대 사람들이 타제석기제작기술 메카니즘 속에서 풍부한 주변 석재를 활용하여 제작 사용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 자갈돌석기들은 석재수급이 제한된 섬에서 나무를 다루는 크고 작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그 행위와 연관된 일정한 공간에서 출토된 것으로 추정된다. In Yeoseodo shell mound on the Neolithic Age, it is excavated to many stone tools which have the feature of Korean traditional pebble tools in the Paleolithic Age. The reason why these tools attract public attention comes from their archaic features. Pebble tools shows a lot of cores for flaking as well as heavy weight tools like chopping tool, chopper, hand-axe etc. and flake tools like scraper, denticulate, borer etc. Even though the excavated range of this site is not wide, the construction of tools is fully enough to be understood to their making processes systematically. The reason there is little small tools comes from the possibility to use flake as stone tools and the fact that the small tools were replaced by many excavated tools of bone and antler. Yeoseodo shell mound site is applicable to the former term of the Neolithic Age, and the pebble tools of the site have a lot of similarity with the tradition of the pebble tools which had been continued until the late Paleolithic Age in the technical and shapely aspect.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s the continuing possibility by the developing process of major stone-tools culture to be appeared in the transition stage between Pleistocene and Holocene of Northeast Asia and North America. In Siberia and the Far Eastern area, there was the Paleolithic Age of Holocene, but the area had continued the existed micro-blade culture in the latest term of the late Paleolithic Age. In case of North American area, pebble tools were widely expanded to all over the west coast and major rivers, but they appeared at the same time as micro-blade culture and stone-spear culture were diversely extended. The cultures was also transmitted to the stone culture of the late Paleolithic Age like spear point among major stone tools. In case of Korea, as we can see in Gosan-li site among the sites of those period, the stone tool complex was formed on the continuous line of tools manufacture tradition in the last Paleolithic Age. For the meantime, researchers on the Neolithic Age have passed over chipped stone tools, and according to excavating the tools, various kinds of tools recently was widely found in the early period sites of the Neolithic Age. On this background, the pebble tools of Yeoseodo shell mound could be considered that the Neolithic Age’s people made and use the pebble tools by utilizing abundant peripheral stones under the mechanism of making technique for chipped stone tools, not that they were on the continuous line of pebble tools tradition in the Paleolithic Age. Especially, the study presumes that these pebble tools were used to carry out works to deal with woods in islands which the income and outgo of stones was limited, and were also excavated in the definite space related with the works.

      • KCI등재

        슴베찌르개의 형태적 다양성과 기능의 분화 - 수양개⋅진그늘⋅용산동유적을 중심으로 -

        김은정(Eun-jeong, KIM) 한국구석기학회 2017 한국구석기학보 Vol.- No.36

        한반도에서 슴베찌르개가 대량으로 출토된 3군데 유적-수양개⋅진그늘⋅용산동-을 대상으로 , 슴베찌르개의 크기, 등면에 남아있는 뗀방향, 몸체인 격지의 잔존부 확인, 슴베 및 옆 가장자리의 손질 정도 등을 검토하였다. 특히 몸체 분석에서는 긴격지의 굽-몸 통-위끝을 잇는 몸체 전체가 온전히 남아있는지, 아니면 파손되거나 부러진 채 어느 일부분만 남아있는지를 중요하게 살폈다. 그리고 형태 분석을 위해 슴베부-(몸통부)-찌르 개부로 이어지는 석기의 전체 형태 중에서 손질 기법의 차이가 명확한 슴베부와 찌르 개부의 양옆 가장자리 잔손질 방식을 주로 살폈다. 나아가 각 분석 항목을 교차 검토하여 석기 형태 변화의 상관관계를 살펴, 형태적 다양성이 생기는 원인을 석기의 제작및 수리의 작업연쇄 과정에서 파악하였다. 그리하여 슴베찌르개의 형태적 다양성은 격지의 잔존 부위와 옆 가장자리 손질 사이의 상관관계로부터 비롯됨을 확인하였다. 여기에 더해 슴베찌르개의 주된 기능을 추정해 보고자, 수리 과정을 거쳤다고 볼수 있는 석기를 대상으로 형상의 대칭성 및 석기축의 변화 관계를 살폈다. 그리하여 격지 전체가 남아있는 완형 석기의 관찰로 슴베찌르개의 제작 방법을, 격지의 일부분만 남아있는 완형 석기의 관찰로부터 슴베찌르개의 수리(재생) 방식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수리 과정에서 볼 수 있는 격지 잔존 부위의 축소 , 석기축의 전환 여부와 대칭성의 상관관계로부터, 석기의 기능이 동일하게 유지되는 ‘재생 석기(슴베찌르개)’ 와 석기 기능이 전환되는 ‘전용 석기’로 구분하였다. 슴베찌르개의 원형은 세로축에 대칭인 긴격지가 몸체로, 굽부의 양옆 가장자리에 면조정에 의한 슴베가 조성되어 있고, 위끝부의 양옆 가장자리가 격지축에서 만나 뾰족날이 이루어진 찌르는 도구라고 정의할 수 있다. 그런데 전용 석기는 슴베가 조성되어 있으나 몸체는 격지의 일부분만 남아있고, 슴베찌르개에 비해 훨씬 적은 수량을 차지하고 있으며, 무엇보다도 손질에 의해 대칭이 흐트러진 상태이다. 이러한 점을 생각 하면 슴베찌르개의 파손 및 수리 과정에서 잔존한 몸체의 조건에 따라 석기의 기능이 전환되었을 가능성을 추정할 수 있다. 그리하여 파손된 슴베찌르개로부터 수리 및 재활용 과정에서 기능이 전환된 전용 석기를 슴베찌르개와 구분하기 위해 ‘슴베형석기’ 라는 명칭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석기의 형태적 특징은 도구의 기능과도 연계되므로, 날의 형태와 대칭성에 근거하여 찌르는 날을 갖춘 슴베찌르개와 찌르고 자르는 날, 둥근날 등으로 손질한 ‘슴베형석기(전용 석기)’로 구분하였다. 곧 석기의 제작 및 수리와 연계된 형태적 변화⋅변이는 석기의 재생⋅전용의 재활용 시스템에서 이해할 수 있다. A large number of Tanged-points(over 294) have been excavated in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sizes of Tanged-points, the direction of the debitage on the upper face (dorsal), the remaining parts of the blank(flake), and the retouch of tangs and side-edges. And we conducted a cross analysis between analysis items to examine correlations in morphological change aspects of stone tools and to identity the causes of such morphological diversity in a series of working processes of ‘manufacturing-use-breakage-repair’. As a result, we presumed the morphological diversity of Tanged-points has been derived from correlations between the remaining parts of the blank and the retouch of side-edges. In addition, in order to find out the main functions of Tanged-point, we examined the change relations between the morphological symmetry and tool axis by targeting stone tools that underwent repairing processes. In case of stone tools in a complete shape with the whole blank remaining, we analyzed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anged-point. We checked the repairing (recycling) methods of Tanged-point by observing complete-type stone tools with the partially remaining blank. Based on correlations between the downscaling of the remaining part of the blank, the presence or absence of axis transition, and symmetry, we classified them into two categories: ‘reproduced stone tools (Tanged-point)’, which maintain the same function, and ‘repurposed stone tools’, of which the function has been changed. The Tanged-point is a thrusting tool which has a long flake symmetrical with the vertical axis comprising the blank and has a tang formed by blunting on the edges of the both sides of the proximal part, and has a sharp blade formed where the edges of both sides of the distal part meet with the blank axis. Repurposed stone tools, which have some remaining parts of the blank and preserve the tang, has a remarkably smaller number compared to Tanged points. Given this, we can assume that the purposes of stone tools have changed in the breakage and repair processes of Tanged points, depending on the conditions of the remaining blanks. In this study, we named those stone tools which were recycled from broken stone tools as ‘Tanged-tool’ to distinguish them from ‘Tanged-point’. In addition to this,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tone artefacts are associated with their functions, and according to shapes of edge and symmetry, those with thrusting edge are classified as ‘Tanged-point’, while those whose edge are repurposed for piercing and cutting are classified as ‘Tanged-t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