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변연 관절 성형술을 이용한 주관절 강직의 치료

        한정수(Chung Soo Han),이용걸(Yong Girl Rhee),정비오(Bi O Jeong),권부경(Boo Kyung Kw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6

        목적: 주관절 강직이 있는 환자에서 변연 관절 성형술을 시행하고 운동 범위 및 기능적 평가를 통해 수술의 결과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2월부터 2003년 4월까지 원발성 골관절염, 또는 외상 및 종양 등에 의해 주관절 강직이 발생하여 변연 관절 성형술을 시행한 환자 중 2년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했던 3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주관절 강직의 원인으로는 원발성 주관절 골관절염이 11예였으며 외상에 의한 경우가 18예, 주관절에 발생한 활액막 연골종증으로 인한 경우가 1예였다. 남자가 20예, 여자가 10예였으며 수술 시 평균 연령은 36세(범위: 14-61세)였다. 추시 기간은 평균 4년 4개월(범위: 2년-8년 5개월)이었다. 수술 방법은 전 예에서 후방 접근법을 이용한 변연 관절 성형술을 시행하였고 임상적 평가는 수술 전 및 최종 추시 시의 주관절의 운동 범위와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MEPS)를 통한 기능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결과: 주관절의 운동 범위는 평균 굴곡 122°(범위: 90-130°), 신전 11°(범위: 0-30°), 회내전 68°(범위: 20-90°), 회외전이 74° (20-90°)로 굴곡과 신전의 운동 범위가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p<0.05). 29예에서는 주관절 운동 시 전혀 동통이 없거나 경도의 동통을 호소하였으며 1예에서만 중등도의 동통을 호소하였다. MEPS는 최종 추시 시에는 평균 88.9점 (범위: 67-100점)으로 우수가 17예(56.7%) 양호가 10예(33.3%), 보통이 3예(10%)였으며 불량을 나타낸 예는 없었다. 결론: 주관절 변연 관절 성형술은 숙련된 수술 수기와 수술 후 효과적인 재활운동을 시행한다면 주관절 강직 환자에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수술 방법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analyze the clinical results and functional assessments after debridement arthroplasty for a stiff elbow. Materials and Methods: 30 elbows from 30 patients, who underwent debridement arthroplasty for a stiff elbow caused by primary osteoarthritis and secondary causes such as post-traumatic osteoarthritis and synovial chondromatosis from December 1995 to April 2003, were analyze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52 months (range: 24 months-8 years 5 months). Among the stiff elbows, primary osteoarthritis was the cause in 11 cases, secondary osteoarthritis due to an old trauma was the cause in 18 cases, and synovial chondromatosis was the cause in 1 case. There were 20 males and 10 females with a mean age of 36 years (range: 14-61 years) at operation. They all had pain during elbow motion. Debridement arthroplasty was performed using the posterior approach. The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differences in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ROM of the elbow and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MEPS). Results: Postoperatively, the elbow ROM improved to an average 122° (range: 90-130°) in flexion, 11°(range: 0-30°) in extension, 68°(range: 20-90°) in internal rotation and 74°(range: 20-90°) in external rotation. The improvement in flexion and extens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On the final follow-up, only moderate pain was reported in one case and none or mild pain was reported in 29 cases. MEPS improved from an average of 57.3 points (range: 33-75) to 88.9 points (range: 67-100). And there were 17 excellent cases (56.7%),10 good cases (33.3%), 3 fair cases (10%) and no poor case. Conclusion: The stiff elbows were successfully treated with debridement arthroplasty. Therefore, debridement arthroplasty can preserve a good clinical outcomes using skillful surgical procedures and postoperative rehabilitation.

      • KCI등재

        주관절 구축의 관혈적 치료

        이지호(Ji-Ho Lee),라인후(In-Hoo Ra),전인호(In-Ho Jeon)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0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3 No.2

        목적: 주관절은 굴곡 구축 40도 이상 굴곡 제한 105도 이하일 경우 일상 생활에 상당한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관절로 그 치료의 정도 및 시기를 결정하기가 상당히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이 종설에서는 현재까지 인정된 주관절 구축의 수술적 접근법에 대하여 고찰하여 보도록 하겠다. 대상 및 방법: 환자의 병력을 포함하여 충분한 임상적 조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방사선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환자의 주관절 구축에 대한 원인 및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적합한 수술법을 선택한다. 수술법으로는 관절경적 유리술 (arthroscopic release) 및 관혈적 유리술 (Open release), 견인 관절 성형술 (Distraction Arthroplasty), 인공관절 치환술 (Total elbow replacement)이 있으며 관혈적 유리술은 4가지 기본 도달법 -전방 도달법 (anterior approach), 내측 도달법 (medial “over the top”approach), 제한된 외측 도달법 (limited lateral approach: column procedure) 광범위 후방 도달법 (posterior extensile approach)-으로 분류될 수 있다. 결과 및 결론: 현재 주관절 구축의 수술은 관절경의 발달로 인한 최소 침습적인 방법이 대두되고 있으나 그 경과의 판정은 아직 미미하며 그에 대한 문헌 보고가 많지 않은 상태로 고식적인 개방성 접근법을 이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접근법에 따른 분류를 사용하고 있다. Purpose: Since an injured elbow joint can disturb the activity of daily life by limiting motion, especially if the motion is restricted over 40 degree of flexion contracture and under 105 degree of further flexion, it is imperative to select the best method and the timing of treatment of the elbow stiffness. Therefore this review will discuss open surgical techniques for stiff elbows based on the literature. Materials and Methods: It is important to take sufficient clinical examination of the patient, including history taking. And, a surgeon should select appropriate procedure after accurately understanding about the status and cause of the stiff elbow with radiographic methods. Surgical methods include arthroscopic release open release, distraction arthroplasty, total elbow replacement and there are four approachs in the open release - anterior approach, medial “over the top” approach, limited lateral approach: column procedure, posterior extensile approach -. Results and Conclusion: Although at present the arthroscopic technique is emphasized for the treatment of elbow stiffness, a surgeon should know conventional open techniques.

      • KCI등재후보

        주관절 강직의 관절경적 치료

        남기영,문영래 대한견주관절학회 2010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3 No.2

        Purpose: Management of the stiff elbow by arthroscopic procedure is an effective but technically demanding. Our purpose was to review the specific arthroscopic maneuver which can be useful for the stiff elbow. Materials and Methods: A stiff elbow that is refractory to conservative treatment can be treated surgically to remove soft tissue or bony blocks to motion. The olecranon or coronoid osteophyte and loose bodies have been removed arthroscopically with good results and rare complications. Results and Conclusion: For the successful arthroscopic management of elbow stiffness, it need to knowledge and skills for debride contracted tissue and preserve vital anatomic structure. 목적: 주관절 강직의 관절경적 처치는 효과적이지만 술자의 능력이 요구되는 것이 사실이다. 이 종설의 목적은 주관절 강직에 대한 관절경적 처치 방식을 기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비수술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주관절 강직의 경우 운동 제한을 유발하는 연부 조직 및 골성 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주두, 구상 돌기의 골극과 유리체의 제거는 합병증의 빈도는 낮고 좋은 결과를 보장한다. 결과 및 결론: 관절경을 이용한 주관절 강직의 치료에서는 구축된 조직을 절제하고 중요한 해부학적 구조물들을 보호하기 위한 지식과 숙련된 기술이 필수적이다.

      • KCI등재

        탄성 줄을 이용한 팔꿈치 관절 재활 분석

        김병호(Byoung-Ho Kim)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6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26 No.3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팔꿈치 관절의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강성 기반 재활 메커니즘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여기서, 팔굼치 관절의 재활을 위한 도구는 탄성 줄을 사용하고, 사용된 줄은 선형 스프링으로 모델링하여 강성값으로 나타낸다. 이러한 메커니즘을 이용한 팔꿈치 관절 재활 훈련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줄의 강성값에 따라 팔꿈치 관절에 가용할 수 있는 토오크 특성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탄성 줄의 강성값 설정에 따른 팔꿈치 관절의 토오크 패턴 및 범위를 사전에 정의된 팔꿈치 관절의 운동 경로에 대하여 확인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기반 재활 메커니즘이 팔꿈치 관절의 효과적인 재활을 수행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보인다. This paper analyses the characteristics of a stiffness-based rehabilitation mechanism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elbow joint of a human. We consider an elastic string as a tool for the elbow joint rehabilitation, where the string has been modeled as a linear spring with a stiffness. For effective rehabilitation training by using such a mechanism, we need to analyse the available torque characteristics of the elbow joint according to the stiffness of the string. Through various simulations, the torque pattern and its range of the elbow joint by assigning the stiffness of the string have been identified for a pre-defined trajectory of motion of the elbow joint. Finally, we show that the specified stiffness-based rehabilitation scheme can be used for effective rehabilitation of the elbow joint.

      • KCI등재

        주관절 강직의 관절경적 치료

        문영래(Young Lae Moon),남기영(Ki Young Nam)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0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3 No.2

        목적: 주관절 강직의 관절경적 처치는 효과적이지만 술자의 능력이 요구되는 것이 사실이다. 이종설의 목적은 주관절 강직에 대한 관절경적 처치 방식을 기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비수술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주관절 강직의 경우 운동 제한을 유발하는 연부 조직 및 골성 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주두, 구상 돌기의 골극과 유리체의 제거는 합병증의 빈도는 낮고 좋은 결과를 보장한다. 결과 및 결론: 관절경을 이용한 주관절 강직의 치료에서는 구축된 조직을 절제하고 중요한 해부학적 구조물들을 보호하기 위한 지식과 숙련된 기술이 필수적이다. Purpose: Management of the stiff elbow by arthroscopic procedure is an effective but technically demanding. Our purpose was to review the specific arthroscopic maneuver which can be useful for the stiff elbow. Materials and Methods: A stiff elbow that is refractory to conservative treatment can be treated surgically to remove soft tissue or bony blocks to motion. The olecranon or coronoid osteophyte and loose bodies have been removed arthroscopically with good results and rare complications. Results and Conclusion: For the successful arthroscopic management of elbow stiffness, it need to knowledge and skills for debride contracted tissue and preserve vital anatomic structure.

      • KCI등재

        주관절 강직의 병태 생리

        송현석(Hyun Seok Song),윤형문(Hyung Moon Yoon)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0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3 No.2

        목적: 관절의 적절한 기능을 위해서는 관절의 안정성과 운동 범위의 유지가 필요하다. 주관절과 연관된 환자의 주소의 대부분이 주관절의 강직이다. 최근 보고들에서 주관적의 강직에 대한 치료에서 우수한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어떠한 술식을 선택하여야 하는 것은 결정하기 어렵다. 대상 및 방법: Morrey 등은 기능적인 운동 범위를 30-130도의 굴곡-신전 범위, 50도 회내전 및 50도 회외전이라고 하였다. 이 범위에서 일상 생활의 약 90%가 이루어 진다. 주관절 강직은 원인이 되는 외상과 주 병변의 위치에 따라서 분류할 수 있다. 관절 내 원인으로는 심각한 관절 내 불일치, 관절 내 유착 또는 관절 내 연골의 소실, 골극 형성에 의한 기계적 제한, 관절 내 유리체, 활액막의 과다 증식이 해당된다. 관절 외 원인으로는 외상 또는 탈구에 의한 심한 관절막의 유착, 측부 인대 또는 근육의 구축이 해당된다. 결과 및 결론: 신전 제한의 주 원인은 전방 관절막의 섬유화에 의한 구축이다. 이러한 병변은 전방 관절막 절제술이 도움이 된다. 굴곡 제한의 주 원인은 내측부 인대의 후방대의 구축이다. Purpose: Stability of joints and maintenance of range of motion are needed for optimum function. The most common complaint about the elbow joint is joint stiffness. Recent articles have reported good outcomes in the treatment of stiff elbow joints. However, deciding which procedure to use is always difficult. Materials and Methods: Morrey et al. reported that the functional range of motion of the elbow joint is 30-130° of flexion-extension and 50° of supination and pronation. About 90% of daily activities are done using this range of motion. Stiff elbow joints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raumatic events that caused the problem or the location of the main pathology. Intraarticular pathology includes severe articular mismatch, intraarticular adhesions, loss of articular cartilage, mechanical blockade by osteophytes, loose bodies, and hypertrophied synovium. Extraarticular pathology includes severe capsular adhesion due to the trauma or to dislocation, contracture of the collateral ligaments or muscles, bony bridge. Results and Conclusions: The main pathology underlying the loss of extension is the fibrous contracture of the anterior capsule. In this pathology, an anterior capsulectomy would be helpful. The main pathology underlying the loss of flexion is the contracture of the posterior band of medial collateral ligament.

      • SCIESCOPUSKCI등재

        Assistance of the elbow flexion motion on the active elbow orthosis using muscular stiffness force feedback

        Kim, Kyung,Hong, Kyung-Ju,Kim, Nam-Gyun,Kwon, Tae-Kyu 대한기계학회 2011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25 No.12

        An elbow orthosis with pneumatic artificial muscles has been developed to assist and enhance upper limbs movements and has been examined for effectiveness. The effectiveness of the elbow orthosis was examined by comparing muscular activities during alternate dumbbell curl motion wearing and without wearing the orthosis. The subjects participating in the experiment were young adults in their twenties. The subjects were instructed to perform a dumbbell curl motion in a sitting position with and without wearing an orthosis in turn, and a dynamometer was used to measure elbow joint torque in isokinetic mode. The measurements were done with four various dumbbell loads: 0, 1, 3, and 5 kg. We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the elbow orthosis in two control methods. First, the orthosis was pneumatically actuated and controlled in the passive control mode. Then, it was controlled in the active control mode using the muscular stiffness force of the muscle that is measured from a force sensor through a cDAQ-9172 board. For the analysis of muscular power, the muscular activities of the subject were measured during alternate dumbbell curl motion using MP150 (BIOPAC Systems, Inc.). The muscles of interest were biceps brachii muscle, triceps brachii muscle, brachioradialis muscle, and flexor carpi ulnaris muscle in the upper limbs of the right side. The elbow joint torque was measured during elbow flexion motion using a dynamometer at $60^{\circ}$ per second for isokinetic strength. The experimental result showed that the muscular activities wearing the elbow orthosis were reduced and elbow joint torque wearing the elbow orthosis was higher because of the assist of the orthosis. As a result of this experiment,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elbow orthosis was confirmed and the level of assistance was quantified. With this, we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elbow orthosis.

      • KCI등재

        The elbow is the load-bearing joint during arm swing

        Bokku Kang,Gu-Hee Jung,Erica Kholinne,In-Ho Jeon,Jae-Man Kwak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23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26 No.2

        Background: Arm swing plays a role in gait by accommodating forward movement through trunk balance. This study evaluates the bio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arm swing during gait. Methods: The study performed computational musculoskeletal modeling based on motion tracking in 15 participants without musculoskeletal or gait disorder. A three-dimensional (3D) motion tracking system using three Azure Kinect (Microsoft) modules was used to obtain information in the 3D location of shoulder and elbow joints. Computational modeling using AnyBody Modeling System was performed to calculate the joint moment and range of motion (ROM) during arm swing. Results: Mean ROM of the dominant elbow was 29.7°±10.2° and 14.2°±3.2° in flexion–extension and pronation–supination, respectively. Mean joint moment of the dominant elbow was 56.4±12.7 Nm, 25.6±5.2 Nm, and 19.8±4.6 Nm in flexion–extension, rotation, and abduction–adduction,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elbow bears the load created by gravity and muscle contracture in dynamic arm swing m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