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국가목표규정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명재진 ( Jae Jin Myung ) 국제헌법학회,한국학회 2011 世界憲法硏究 Vol.17 No.2

        국가목표조항은 국가의 미래 활동에 대한 윤곽을 그려주는 역할을 하는데, 이를 실현하기 위한구체적인 방법과 시기는 입법자의 재량에 속하게 된다. 무엇보다도 시민들은 국가목표조항으로부터 구체적인 청구권은 도출하지 못하지만, 국가기관은 국가목표조항이 갖는 공권력 기속력에 의해 그 행위의 재량도 통제받게 된다. 바이마르 공화국의 전통을 이어받은 독일연방은 광범위한 국가목표조항을 가지고 있다. 환경과 동물보호, 남녀평등의 실질적 구현, 유럽통합, 평화유지, 재정운영의 책임 등이 그것이다. 유럽연합의 헌법(안)도 특히 별도의 장을 두어 유럽연합이 추구해야 하는 국민적 통합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여기에는 평화유지, 국민들의 복리, 자유롭고 왜곡 없는 연합의 내부 시장, 사회적 정의, 연대, 연합의 가치와 이익의 증대 등이 규정되어 있다. 구동독지역의 독일 신생 지방국들의 헌법은 현대적 의미의 헌법체계에 맞게, 기본권과 국가목표조항을 함께 같은 조문에 규정하는 모습을 평균적으로 동일하게 보여주고 있다. 이는 헌법체계의 새로운 경향에 해당되며, 이에대한 헌법학적 분석과 검토가 요구된다고 생각된다. 1999년 스위스 헌법도 별도의 국가목표규정을 두어 스위스 연방이 취하여야 할 국가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사회안전, 필요한 사회보장, 적합한 조건하의 근로, 능력에 따른 교육과 실습, 아동과 청소년의 보호 등의 가치들이 열거되어 있다. 한국헌법의 경우 많은 국가목표조항을 두고 있지만, 선진국의 그것과는 달리 명확한 정의와 집중적인 별도의 장을 통한 보호가 부족하고, 비교법적으로 볼 때 흠결된 현대적 국가목표조항들이 존재하는 등 문제점이 발견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보다 상세한 비교법적 검토와 아울러 체계적이고, 현대적 헌법이론에 적합한 국가목표조항의 섬세한 설계가 요구된다고 본다. State objectives outline the content of future state activity. However, the decision of whether to take action, when to act, and what means to employ to implement the goal set forth in the state objective remains at the discretion of the legislature. Most importantly, state objectives do not provide individual rights. Thus, no actionable rights for citizens arise from the state objective. State objectives do, however, have an obligatory character in the sense that they command to the state adherence and realization of certain goals. Germany`s constitution, the Basic Law, contains several provisions designed as state objectives covering a broad range of topic areas: environmental protection, the social state principle, European integration, maintenance of peace, and fiscal responsibility. The State objectives are even more frequently found in state constitutions of Germany. Following reunification, the question of including state objectives instate constitutions was raised, especially in connection with the drafting of new constitutions for the eastern German states. Eventually, such provisions were included in all newly drafted constitution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environmental protection, employment, housing, art, and sports. Constitution for Europe of 2004 has a special chapter for state objectives. That contains european integrating factors: peace, the well-being of its peoples, internal market where competition is free and undistorted, sustainable development, social justice, solidarity, promoting its values and interests. The Switzerland Constitution of 1999 has also independent chapter for social goals. It has concrete state goals, which the swiss federation must further: social security, the necessary care, work under adequate conditions, education and training according to their abilities, protection children and youths. State objectives in Korean Constitution have diverse forms, which range from abstract purposes to concrete goals. Regarding to the state objectives, Korean Constitution has some problems. It lacks of state binding power clause, and it has no important state goals such as "actual implementation of equal rights for women and men" and "social state clause".

      • KCI등재

        국가목표규정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명재진 국제헌법학회 한국학회 2011 世界憲法硏究 Vol.17 No.2

        국가목표조항은 국가의 미래 활동에 대한 윤곽을 그려주는 역할을 하는데,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과 시기는 입법자의 재량에 속하게 된다. 무엇보다도 시민들은 국가목표조항으로부터 구체적인 청구권은 도출하지 못하지만, 국가기관은 국가목표조항이 갖는 공권력 기속력에 의해 그 행위의 재량도 통제받게 된다. 바이마르 공화국의 전통을 이어받은 독일연방은 광범위한 국가목표조항을 가지고 있다. 환경과 동물보호, 남녀평등의 실질적 구현, 유럽통합, 평화유지, 재정운영의 책임 등이 그것이다. 유럽연합의 헌법(안)도 특히 별도의 장을 두어 유럽연합이 추구해야 하는 국민적 통합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여기에는 평화유지, 국민들의 복리, 자유롭고 왜곡 없는 연합의 내부 시장, 사회적 정의, 연대, 연합의 가치와 이익의 증대 등이 규정되어 있다. 구동독지역의 독일 신생 지방국들의 헌법은 현대적 의미의 헌법체계에 맞게, 기본권과 국가목표조항을 함께 같은 조문에 규정하는 모습을 평균적으로 동일하게 보여주고 있다. 이는 헌법체계의 새로운 경향에 해당되며, 이에 대한 헌법학적 분석과 검토가 요구된다고 생각된다. 1999년 스위스 헌법도 별도의 국가목표규정을 두어 스위스 연방이 취하여야 할 국가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사회안전, 필요한 사회보장, 적합한 조건하의 근로, 능력에 따른 교육과 실습, 아동과 청소년의 보호 등의 가치들이 열거되어 있다. 한국헌법의 경우 많은 국가목표조항을 두고 있지만, 선진국의 그것과는 달리 명확한 정의와 집중적인 별도의 장을 통한 보호가 부족하고, 비교법적으로 볼 때 흠결된 현대적 국가목표조항들이 존재하는 등 문제점이 발견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보다 상세한 비교법적 검토와 아울러 체계적이고, 현대적 헌법이론에 적합한 국가목표조항의 섬세한 설계가 요구된다고 본다. State objectives outline the content of future state activity. However, the decision of whether to take action, when to act, and what means to employ to implement the goal set forth in the state objective remains at the discretion of the legislature. Most importantly, state objectives do not provide individual rights. Thus, no actionable rights for citizens arise from the state objective. State objectives do, however, have an obligatory character in the sense that they command to the state adherence and realization of certain goals. Germany’s constitution, the Basic Law, contains several provisions designed as state objectives covering a broad range of topic areas: environmental protection, the social state principle, European integration, maintenance of peace, and fiscal responsibility. The State objectives are even more frequently found in state constitutions of Germany. Following reunification, the question of including state objectives instate constitutions was raised, especially in connection with the drafting of new constitutions for the eastern German states. Eventually, such provisions were included in all newly drafted constitution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environmental protection, employment, housing, art, and sports. Constitution for Europe of 2004 has a special chapter for state objectives. That contains european integrating factors: peace, the well-being of its peoples, internal market where competition is free and undistorted, sustainable development, social justice, solidarity, promoting its values and interests. The Switzerland Constitution of 1999 has also independent chapter for social goals. It has concrete state goals, which the swiss federation must further: social security, the necessary care, work under adequate conditions, education and training according to their abilities, protection children and youths. State objectives in Korean Constitution have diverse forms, which range from abstract purposes to concrete goals. Regarding to the state objectives, Korean Constitution has some problems. It lacks of state binding power clause, and it has no important state goals such as “actual implementation of equal rights for women and men” and “social state clause”.

      • KCI등재

        국유재산과 공물의 비교고찰

        강호칠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22 고려법학 Vol.- No.107

        In Korea, the theory of Public Objects law has developed relatively abundantly and stably with the French concept of Le domaine public, centering on Germany's Öffentliche Sache concept. while in Germany Public Objects and State property have been treated separately, while in France have been treated the same in the same legal system. Germany's Öffentliche Sache and France's Le domaine public are both translated as Public Objects, but since the latter includes the concept of administrative property, it has somewhat affected the tendency of theories and precedents to view administrative property and Public Objects as the same. In addition, the Korean State Property Act divides administrative property into official use, public use, and preservation use under the influence of the Japanese State Property Act. and as a result of not distinguishing between Administrative Property and Public Objects, Public Objects is divided into official goods, public goods, and preservation goods. This classification of Public Objects is not seen in Germany and France, where Korea's Public Objects law theory has been affected. In Korea, Public Objects law has developed as a part of the special discussion of administrative law, theoretically and academically, while the state property act developed in practice and positive law. because of low academic interest the latter’s development is limited. The State Property Act was enacted in April 1950 as the Financial Administration Act and was repeal enacted in November 1956. and after 22 revisions, it has introduced unique systems for the management and disposal of state property. and With the Commodity Management Act, Act on the Management of Military Supplies, State Credit Management Act, Management of the National Funds Act, and 「State Forest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Act」, and 「Public Property and Commodity Management Act」, an independent financial administration law system different from Public Objects has established. State-owned land accounts for about 25% of the total land area, and the monetary value of state property is about 4,500 trillion won, accounting for about 27% of the total national assets. By understanding the state property act as a part of the Public Objects law, which is a benefit administrative corporation, confusion was caused not only in the state property act but also in the understanding of the Public Objects law. Public Objects Act is a public service provided to the people by administrative entities such as the state, and belongs to the realm of benefit administration and has many external provisions, while State Property Act belongs to the area of financial administration law, has many internal provisions, and has strong administrative organizational aspects. On the premise that State Property and Public Objects are different in concept and nature from each other and belong to an independent regulatory system, we hope that realistic and positive legal study on them will develop.

      • KCI등재

        우주물체 발사국의 우주활동에 대한 책임과 우리나라 우주정책의 개선방향

        이강빈 ( Kang Bin Lee )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구 한국항공우주법학회) 2013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28 No.2

        우리나라는 2009년 8월 및 2010년 10월에 전남 고흥군 외나로도의 나로우주센터에서 우리나라 최초 우주발사체인 나로호(KSLV-1)에 의해 과학위성이 우리의 자력으로 발사되었으나 두 차례 발사가 모두 실패로 돌아갔다. 마침내 2013년 1월 30일 나로우주센터에서 우주발사체 나로호가 3차로 발사되어 나로과학위성을 우주궤도에 진입시키는데 성공하였다. 금번 나로호 발사의 성공으로 우리나라는 미국, 러시아, 일본, 중국등에 이어 11번째로 스페이스 클럽(Space Club)반열에 합류하게 되었다.우주공간의 평화적 이용과 우주질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유엔 결의에 따라 1967년 우주조약, 1968년 구조협정, 1972년 책임협약, 1976년 등록협약, 1979년 달 협정 등 우주관련 조약이 채택되었으며 우리나라는 달 협정을 제외한 4개 우주관련 조약에가입되어 있다. 위와 같은 우주관련 조약에는 우주물체 발사국의 우주활동에 대한국제책임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다.특히 우주조약에는 우주활동에 대한 국가의 책임원칙을 규정하고 있는바, 동 조약에 의하면 본 조약의 당사국은 달과 천체를 포함한 외기권에 있어서 그 활동을 정부기관 이 행한 경우나 비정부기관이 행한 경우를 막론하고 국가 활동에 관하여 그리고 본 조약에서 규정한 조항에 따라서 국가 활동을 보증함에 관하여 국제적 책임을 져야한다.또한 달과 기타 천체를 포함한 외기권에 물체를 발사하거나 또는 그 물체를 발사하여 궤도에 진입케 한 본 조약의 각 당사국과 그 영역 또는 시설로부터 물체를 발사한각 당사국은 지상, 공간 또는 달과 기타 천체를 포함한 외기권에 있는 이러한 물체 또는 동 물체의 구성부분에 의하여 본 조약의 다른 당사국 또는 그 자연인 또는 법인에게 가한 손해에 대하여 책임을 진다.책임협약에 의하면 발사국은 자국 우주물체가 지구표면에 또는 비행중의 항공기에 끼친 손해에 대하여 배상을 지불할 절대적인 책임을 진다. 또한 발사국의 과실 책임,연대책임, 손해배상액을 규정하고 있다.세계 주요국은 상기 우주관련 조약의 준수 및 자국의 우주개발을 진흥하고 우주활동을 규제하기 위하여 국내 우주법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미국,러시아, 일본 등 주요국의 우주관련 국내법에는 우주물체 발사국 정부의 책임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다.우리나라 우주개발진흥법에서 정부의 책무로서 정부는 다른 국가 및 국제기구와 대한민국이 맺은 우주관련 조약을 지키며 우주공간의 평화적 이용을 도모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또한 우주물체의 국내등록 및 국제등록, 우주사고에 따른 손해배상책임등을 규정하고 있다.우리나라 우주손해배상법에서 정부는 우주손해가 발생한 경우에 피해자의 구조 및 피해의 확대 방지에 필요한 조치를 시행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또한 무과실책임및 책임의 집중, 손해배상책임 한도액, 권리행사의 기간 등을 규정하고 있다.주요국의 우주관련 국내입법으로는 미국의 국가항공우주법 및 상업우주발사법, 러시아의 우주활동법, 일본의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법 및 우주기본법 등이 있다.우리나라가 우주물체 발사국으로서 우주관련 조약상 및 국내법상 우주물체 발사국정부의 책임을 이행하고 우주강국의 위상을 정립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우주정책 및법.제도는 다음과 같이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첫째, 우주개발 및 우주활동 관련 법제의 정비이다. 이를 위해 우주개발 및 우주활동에 관한 정부정책 및 규제를 실사하기 위한 법제상의 조치 및 정비를 하고, 또한 유엔 COPUOS에서 채택된 우주의 평화적 탐사와 이용에 관한 국내입법시 고려 사항에 따라 법제 정비를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우주손해배상책임제도의 개선이다. 이를 위해 우주물체의 공동발사 및 위탁발사의 경우 손해배상책임 및 구상권에 관한 규정을 신설하고, 또한 우주물체 발사자의 책임보험 가입의무를 보다 상세히 규정해야 할 것이다.셋째, 우주환경 보전정책의 수립이다. 이를 위해 우주개발에 있어서 환경의 배려 및보전정책을 강구하고, 또한 우주쓰레기 경감을 위한 규범을 채택해야 할 것이다. 넷째,우주활동 관련 국제협력의 증진이다. 이를 위해 우주의 탐사와 이용에 있어 국가의 국제협력 의무를 준수해야하고, 또한 우주 국제협력을 통해 우주개발 역량을 확보하여 우주 선진국으로 진입해야 할 것이다. Korea launched the science satellite by the first launch vehicle Naro-ho(KSLV-1)at the Naro Space Center located at Oinarodo, Cohenggun Jellanamdo in August,2009 and October, 2010. However, the first and second launch failed. At last, on January 30, 2013 the third launch of the launch vehicle Naro-ho has successfully launched and the Naro science satellite penetrated into the space orbit. Owing to the succeed of the launch of Naro-ho, Korea joined the space club by the eleventh turn following the United States, Russia, Japan and China.The United Nations adopted the Outer Space Treaty of 1967, the Rescue Agreement of 1968, the Liability Convention of 1972, the Regislation Convention of 1976, and Moon Agreement of 1979. Korea ratified the above space-related treaties except the Moon Agreement. Such space-related treaties regulate the international liability for the space activity by the launching state of the space object.Especially the Outer Space Treaty regulates the principle concerning the state’s liability for the space activity. Each State Party to the Treaty that launches or procures the launching of an object into outer space is internationally liable for damage to another State Party or to its natural or judicial persons by such object or its component parts on the earth, in air space or in outer space.Under the Liability Convention, a launching state shall be absolutely liable to pay compensation for damage caused by its space object on the surface of the earth or to aircraft in flightThe major nations of the world made national legislations to observe the above space-related treaties, and to promote the space development, and to regulate the space activity. In Korea, the United States, Russia and Japan, the national space-related legislation regulates the government’s liability of the launching state of the space object.The national space-related legislations of the major nations are as follows : the Outer Space Development Promotion Act and Outer Space Damage Compensation Act of Korea, the National Aeronautic and Space Act and Commercial Space Launch Act of the United States, the Law on Space Activity of Russia, and the Law concerning Japan Aerospace Exploration Agency and Space Basic Act of Japan.In order to implement the government’s liability of the launching state of space object under space-related treaties and national legislations, and to establish the standing as a strong space nation, Korea shall improve the space-related policy, laws and system as follows : Firstly, the legal system relating to the space development and the space activity shall be maintained. For this matter, the legal arrangement and maintenance shall be made to implement the government’s policy and regulation relating to the space development and space activity. Also the legal system shall be maintained in accordance with the elements for consideration when enacting the national legislation relevant to the peaceful exploration and use of outer space adopted by UN COPUOS.Secondly, the liability system for the space damage shall be improved. For this matter, the articles relating to the liability for the damage and the right of claiming compensation for the expense already paid for the damage in case of the joint launch and consigned launch shall be regulated newly.Thirdly, the preservation policy for the space environment shall be established.For this matter, the consideration and preservation policy of the environment in the space development and use shall be established. Also the rule to mitigate the space debris shall be adopted.Fourthly,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relating to the space activity shall be promoted. For this matter,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obligation of the nation in the exploration and use of outer space shall be observed. Also through the international space-related cooperation, Korea shall secure the capacity of the space development and enter into the space advanced nation.

      • KCI등재

        영유아보육프로그램 활동목표의 내용요소 및 진술방법 분석

        강경란,이완정 한국아동권리학회 2016 아동과 권리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crutinize the content elements and stating methods of Activities Objectives stated in the Infants and Toddlers Curriculum of Standard Child Care program.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26 books developed and supplied from 2012 to 2013 from the "Infants and Toddlers Curriculum Based on the Standard Child Care program (0~2years)" and "the Nuri Curriculum(3~5years)." The Activities Objectives described in activities which are analysis unit consisted of 8,559 of 1,649 Activities Objectives of the Infants Program and 8,559 Activities Objectives of Toddlers Curriculu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ub-items and the distribution of sub-items in content elements of the Activities Objectives, content elements of each Infants and Toddlers Curriculum, and the content elements of each of the standard care process. Second, the expressive objectives are most commonly used as the stating method of the Activities Objectives. Thir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ethods according to the content elements of the Activities Objectives and Infants and Toddlers Curriculum specific content elements. In conclusion, when stating the objectives of the activities, it is important to be flexible and write them focusing on the content elements proper for the developmental stages of infants and toddlers. In addition, recognition is required to plan, execute and assess lessons according to the stating method. 본 연구는 어린이집표준보육과정의 영유아보육프로그램에 진술된 활동목표의 내용요소와 진술방법을 살펴보고 그 분포와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자료는 2012년부터 2013년까지 개발 보급된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아보육프로그램(0~2세)’ 과 ‘누리과정에 기초한 어린이집 프로그램(3~5세)’ 총 26권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단위인 활동에 기술된 목표 진술문은 영아프로그램의 활동목표 1,649개와 유아프로그램의 활동목표 6,990개로 전체 8,559개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활동목표의 내용요소 하위항목별 분포와 영아 및 유아 프로그램별 내용요소, 표준보육과정의 영역별 내용요소에서 하위항목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영유아프로그램에서는 ‘기술’ 내용요소의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이 결과를 통해 영유아프로그램의 교수학습 지도 방식이 목표 진술문을 통해 자연스럽게 표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활동목표의 진술 방법으로 표현목표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영유아의 보육과정에 있어서 영유아의 탐색과정과 다양한 표현을 중시하는 교육적 태도가 활동목표를 통해 진술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아의 경우 행동목표의 진술이 그 다음으로 많이 나타났고, 표준보육과정의 신체운동 영역에서 그 빈도가 가장 높았다. 행동목표가 영유아의 확산적 사고와 놀이방법, 교사의 수업지원을 제한한다는 한계점이 있는 만큼 목표 진술시 이 부분을 인식하고 기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활동목표의 내용요소에 따른 진술방법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영유아프로그램의 활동목표는 보육과정의 내용요소와 목표의 진술방법에서 전체적으로 편향되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활동의 목표를 진술할 때에는 영아와 유아의 발달에 맞는 내용요소에 중점을 두어 융통성 있게 기술해야 할 것이며, 진술방법에 맞게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 평가할 수 있는 인식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매장문화재 국유에 관한 UNESCO-UNIDROIT 모델법률조항 - 국제사법적 함의와 우리 법제에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

        이종혁(Lee, Jong Hyeok) 한국국제사법학회 2019 國際私法硏究 Vol.25 No.1

        유네스코와 유니드로와는 문화재 기원국의 매장문화재 국유조항의 효력이 외국법원에서 인정되지 않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매장문화재 국유에 관한 모델법률조항」을 성안하였다. 모델법률조항은 각국이 국내입법에 참고할 수 있는 모델법률조항으로서, 단순하고 간결한 문언을 통하여 매장문화재가 불법반출 전에 소재하고 있던 국가의 법률조항이 외국법원에서도 명확히 적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모델법률조항 제3조는 매장문화재는 국가의 소유로 하되, 이전에 기성의 소유권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예외를 인정하고, 모델법률조항 제4조는 불법적으로 발굴된 문화재 또는 합법적으로 발굴되었으나 불법적으로 보유되고 있는 문화재는 도품으로 간주한다고 규정하며, 모델법률조항 제5조는 제4조에 따라 도품으로 간주되는 문화재의 소유권의 양도는 무효로 하되, 양도인이 양도시에 유효한 권원이 있었다고 소명할 수 있는 경우에는 양도가 유효하다고 규정한다. 모델법률조항의 이들 규정은 우리「매장문화재 보호 및 조사에 관한 법률」의 태도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이고, 동 법률을 개정하여야만 채택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각국의 매장문화재 보호법제와 국제사법이 상이하므로, 문화재 기원국과 그로부터 불법반출된 문화재가 소재하고 있어서 반환소송이 계속한 법정지국이 모두 모델법률조항을 채택하지 않는 이상 모델법률조항의 실효성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UNESCO and UNIDROIT drafted Model Provisions on State Ownership of Undiscovered Cultural Heritage in 2011 for the purpose of resolving foreign courts’ reluctance to recognize origin state’s legal provisions on the state ownership of undiscovered cultural objects. The legal nature of the Model Provisions is model legislative provisions and their simple and clear wordings can help the foreign courts apply origin state’s legal provisions on undiscovered cultural objects’ state ownership without the ambiguity that often arises before foreign courts. Provision 3 of the Model Provisions provides that undiscovered cultural objects are owned by the origin state, provided that there is no prior existing ownership; Provision 4 provides that cultural objects excavated contrary to the law or licitly excavated but illicitly retained are deemed to be stolen objects; and Provision 5 provides that the transfer of ownership of a cultural object deemed to be stolen under Provision 4 is null and void, unless it can be established that the transferor had a valid title to the object at the time of the transfer. As these provisions share different perspectives that are not in line with the relevant Korean law, the amendment is required in order for these provisions to be adopted. As each state’s legal system on undiscovered cultural heritage and private international law varies from state to state, the effectiveness of the Model Provision is limited unless both an origin state and a forum state adopt the Model Provisions.

      • KCI등재

        국어 결과 구성과 동사의 사건 구조

        김윤신(Kim, Yoon-shin) 중앙어문학회 2014 語文論集 Vol.57 No.-

        이 논문은 국어 결과 구성의 유형을 나누고 생성 어휘부 이론에서 제시하는 사건 구조를 이용하여 각 유형별로 동사의 사건 구조에 따라 나타나는 결과 구성의 특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결과 구성이 주어나 목적어 중 어느 것과 관련된 것이냐를 기준으로 주어 결과 구성과 목적어 결과 구성으로 나누었다. 주어 결과 구성은 기본적으로 동사가 달성 동사로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며 주어는 그 상태 변화의 대상이 된다. 목적어 결과 구성에는 동사가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방향성 동작 동사, 상태 변화 완성 동사, 산출 동사 등이 각각 나타난다. 방향성 동작 동사는 결과 상태를 함의하는 정도가 약한데 이는 동사의 사건 구조에 결과 상태가 당연 사건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상태 변화 완성동사는 비대격 동사인 달성 동사와 마찬가지로 결과 상태가 포함되어 있는 사건구조를 가지며 산출 동사도 마찬가지로 완성 동사이어서 결과 상태를 포함한다. 다만 상태 변화 완성 동사는 목적어가 변화의 대상이 되는 반면 산출 동사는 목적어가 변화의 대상이 아니라 변화의 결과이다. 이러한 달성 동사, 방향성 동작동사, 완성 동사, 산출 동사는 모두 상태의 변화를 함의하며 그 상태 변화의 결과인 하위 사건과 결과 구성의 관련성을 통해서 의미 합성이 일어나게 되며 의미 합성 이후에는 결과 사건이 두드러지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ssify the type of the Korean resultative constructions and to examine the properties of the resulative constructions according to their verbs and types, by using the event structure of the Generative Lexicon Theory. Above all, the resultative constructions can be classified to the subject resultative construction and the object construction according to whether the subject or the object is related to the resultatives. As for the subject resultative construction, its verb denotes the change of state and its subject is the theme of the change. On the other hand, the object resultative construction appears with various types of verb: the directional activity, the accomplishment of change of state, the creation verb. The directional activity has a weak entailment of the result state because the result state event of its event structure is the default event. The accomplishment of the change of state has the event structure with the result state like achievement. The creation verb is also accomplishment and has the result state in its event structure. The only difference between them is that the object of the accomplishment of the change of state is the theme of the change, while the object of the creation verb is the result of the change. The achievement, the directional activity, the accomplishment of the change of state, and the creation verb entail the change of state. Because the result state which is the subevent of the event structure, is related to the resultative construction, the meaning composition is possible. Also the result state is outstanding in the event structure after the meaning composition.

      • KCI등재

        행정절차 참여권의 침해와 국가배상책임 -대법원 2021. 7. 29. 선고 2015다221668 판결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박설아 사법발전재단 2023 사법 Vol.1 No.65

        최근에, 국가배상청구소송과 행정소송 간의 관계를 돌아보게 하는 대법원판결이 선고되었는바, 이를 소개하고 분석하려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해당 판결의 사안에서는 폐기물 매립장 설치와 같은 공익사업을 시행하는 지방자치단체가 사업 시행과정에서 법령상 요구되는 주민의견 수렴절차를 누락하고(심지어 주민의견 수렴절차를 진행한 것처럼 관련 서류를 위조하여) 해당 시설을 설치·운영한 것에 대하여 해당 시설 인근지역의 주민들에게 그 지방자치단체가 정신적 손해배상책임을 부담하는지가 쟁점이 되었다. 대법원은 이 판결에서 그동안 국가배상책임의 제한 법리로 사용되었던 ‘객관적 정당성 상실 여부’를 판단 기준으로 적용하는 대신, 지역 주민들의 행정절차 참여권과 같은 행정법상 소위 ‘절차상 권리’의 침해에 대해서는 곧바로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주민들에게 정신적 손해에 대한 배상의무를 부담한다고 단정할 수는 없고, 주민들의 절차적 권리 침해로 인한 정신적 고통이 남아있다고 볼만한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만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위자료 배상책임을 부담한다는 취지에서 ‘원칙적 부정, 예외적 인정’의 입장을 개진하였다. 이러한 대법원판결의 입장은 그동안 국가배상책임 성부와 관련하여 학계에서 집중적인 논의의 대상이 되었던 여러 쟁점들 외에 새로운 논점을 추가로 제시한 것이라는 점에서 흥미롭다. 특히 그 판시 법리 중에서 ‘행정소송을 통하여 처분이 취소되거나 처분의 무효를 확인하는 판결이 확정된 경우 등’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절차적 권리 침해로 인한 정신적 고통에 대한 배상은 인정되지 않는다.’고 하여 행정청의 위법행위로 인한 국민들의 권리구제방법으로 행정소송을 통한 권리구제와 국가배상청구소송을 통한 권리구제의 관계를 생각해 보게 하는 내용이 포함되었다는 점에서 관심을 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관점은 행정소송을 통한 권리구제를 원칙으로 하는 독일법체제와 비교해 보더라도 훨씬 더 엄격한 관점에서 관련 주민들의 국가배상청구 가능성을 제한하는 법리이다. 오히려, 독일 법제와 달리 비재산적 손해배상을 일반적으로 인정하는 우리 법제에 따르면 국가배상법 제2조에서 규정하는 국가배상책임의 요건, 즉 공무원의 고의 또는 과실에 따른 위법행위 그리고 이로 인한 손해의 발생이라는 요건이 갖추어졌다면 국가배상책임을 인정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 배상되어야 하는 손해의 관점에서 볼 때, 절차적 권리의 침해가 문제 되는 모든 사건에서 해당 절차의 누락을 이유로 비재산적 손해배상을 인정할 수 있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관련 법령에서 절차적 권리를 보장한 것에 사익보호성이 인정되고, 당사자들이 행정결정에 참여하여 의견을 개진할 ‘기회의 상실’ 그 자체만으로도 손해의 발생을 인정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주민들의 자기결정권의 침해라고 볼 여지도 크고, 행정행위의 위법성이 중대명백한 경우라면 위법한 행정행위로 발생한 정신적 고통에 대한 손해배상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적 부담을 우려한다면 책임의 성립 자체를 부정할 것이 아니라 배상범위를 제한하는 등의 방식으로 해결하는 것이 더 적절한 방법이다. 항고소송을 통한 권리의 구제와 국가배상제도는 그 취지를 달리 하며 항고소송을 통하여 관련 행정처분이 취소되거... This article intends to introduce and discuss a recent Supreme Court decision that has us reflecting on the history of the interaction between administrative litigation and state compensation claims. The following serves as the foundation for the decision. A local authority that carried out a public project neglected to follow the legal process for getting locals' opinions while carrying out the project. The local government was responsible for the facility's installation and operation, and it also caused non-monetary damages to the nearby inhabitants. The main question was whether the government was accountable for the losses. Rather than relying on the decision regarding “whether objective legitimacy has been lost”, which has been utilized as a legal precept to restrict state liability, the Supreme Court made a declaration regarding the violation of administrative law's “procedural rights”, which include the right of local residents to engage in administrative processes. The Supreme Court expressed a position of “denial in principle” to the effect that the organization bears the responsibility for compensation. In light of this, it is not immediately possible to conclude that the state or local government bears the obligation to compensate the residents for mental damages. Rather, this obligation can only be made in exceptional circumstances where it is evident that the residents' mental suffering is still a result of the infringement of their procedural rights. The stance of this Supreme Court decision is intriguing because, in addition to addressing a number of topics that have been the focus of intense scholarly debate over the state's obligation to provide compensation, it also offers a fresh perspective. In particular, liability for mental suffering resulting from the violation of procedural rights is not recognized unless there are exceptional circumstances, according to the judgment's jurisprudence, “in cases where a disposition is revoked through administrative litigation or a judgment confirming the invalidity of a disposition is finalized.” As a result, it catches our attention because it contains content that makes us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medy of rights through administrative litigation and the remedy of rights through lawsuits for state liability as a method of redressing the rights of the people due to illegal acts of administrative agencies. However, this point of view severely restricts the possibilities of asserting state accountability, even when compared to the German legal system, which is built on the notion of remedies through administrative litigation. Rather, the requirement for state liability stipulated in Article 2 of the State Compensation Act, that is, a public official's intentional or negligent illegal act and the resulting damage, is based on our legal system, which generally recognizes non-pecuniary damages rather than the German legal system. There is no reason not to recognize the State's liability if this is in place. In terms of compensable losses,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that non-pecuniary damages can be recognized for failure to follow the necessary procedure in all circumstances when procedural rights are violated. However, where the protection of the parties' private interests is recognized in the relevant statutes and the parties are denied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administrative decisions and express their opinions, the occurrence of damage can be recognized only by the ‘loss of opportunity’ itself. Furthermore, if the illegality of the administrative conduct is significant and obvious, compensation for mental distress induced by the illegal act should be recognized. Limiting the establishment of state culpability because of concerns about the financial burden on state or local governments is undesirable in terms of practical rule of law and the demand for adequate remedies for people's rights.

      • KCI등재

        국가배상법의 기능변화와 전망

        박재윤 한국행정판례연구회 2023 행정판례연구 Vol.28 No.2

        The Supreme Court's decision of August 30, 2018, 2018Da212619, addresses the question of whether state compensation is available to those who were arrested, prosecuted and convicted of violating Emergency Measure No. 9, which was issued under the 7th amendment Constitution(‘Yushin Constitution’). The Supreme Court changed its precedent and ruled that "a series of state actions from the issuance of Emergency Measure No. 9 to its application and enforcement, taken as a whole, can be evaluated as unlawful because the officials neglected their objective duty of care in executing their duties and their actions lost their objective legitimacy, and state compensation liability can be recognized for damages suffered by individual citizens as a result of being forcibly investigated, convicted and sentenced as a result of the application and enforcement of Emergency Measure No. 9." Against the majority opinion, two separate opinions were presented: the state liability for the issuance of emergency measures by the president and the state liability for the trial by a judge could be acknowledged. It can be evaluated that the target decision presented the standard of ‘objective justification’, which was previously used as a logic for limiting liability, as a general standard for recognizing liability, including a kind of expansion of liability. After reviewing the existing discussions on the basis of the decision, this study examines the legal theory underlying the case comparatively in French, German, and English law.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s the scope of the case law and whether the liability of the president and judges raised in the separate opinions can be recognized independently. This decision is significant in that it demonstr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law liability system, which provides a basis for understanding state compensation by shifting from the existing subjective subrogation responsibility to the state's own responsibility. Due to this precedent, the element of subjective liability in establishing state compensation will be significantly relaxed in the future. The task for the future will be to ensure that the amount of compensation is determined at an appropriate level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axpayers of the country as a whole, who fund the system, i.e., from the perspective of an insurer. The level of administrative compensation, which is deter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legal equity, may be a guide. The decision adopts a somewhat controversial approach to the issue, which has made it more controversial, but I think it reaches a compromise but correct conclusion. It would be politically unreasonable to ask judges to retroactively implement the Radbruch’s formula, which states that "The positive law, secured by pronouncement and power, takes precedence even when its content is unjust (ungerecht) and fails in its purpose of benefiting the people, unless the conflict between positive statute and justice reaches such an intolerable degree that the statute, as 'flawed law (unrichtiges Recht)’ must yield to justice" This is a choice that would be a major blow to the neutrality of the courts. 대상판결인 대법원 2022. 8. 30. 선고 2018다212619 판결은 유신헌법하에서 발령된 긴급조치 제9호의 위반으로 구속기소되어 유죄판결을 받았던 사람들에 대한 국가배상의 인정 여부를 다루고 있다. 대법원은 기존의 판례를변경하여, “긴급조치 제9호의 발령부터 적용 · 집행에 이르는 일련의 국가작용은, 전체적으로 보아 공무원이 직무를 집행하면서 객관적 주의의무를 소홀히하여 그 직무행위가 객관적 정당성을 상실한 것으로서 위법하다고 평가되고, 긴급조치 제9호의 적용 · 집행으로 강제수사를 받거나 유죄판결을 선고받고복역함으로써 개별 국민이 입은 손해에 대해서는 국가배상책임이 인정될 수있다”고 판결하였다. 다수의견에 대하여 대통령의 긴급조치 발령으로 인한국가배상책임이나 법관의 재판으로 인한 국가배상책임이 독자적으로 인정된다는 별개의견들이 제시되었다. 대상판결은 기존에 책임의 제한논리로 사용되었던 ‘객관적 정당성’이라는 기준을, 일종의 책임확대를 포함한 일반적인 책임인정기준으로서 제시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 연구는 대상판결의 기초가 되는 기존 논의를 검토한 후 대상판결의 기초가 되는 법리를 프랑스법, 독일법, 영국법의 논의를 비교법적으로 검토하였다. 더 나아가 대상판결의 법리의 적용범위와 별개의견에서 제기한 대통령과 법관에 대한 책임이 독자적으로 인정될 지에 관하여도검토하였다. 대상판결은 국가배상을 기존의 주관적인 대위책임에서 국가의 자기책임으로 전환하여 이해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는 공법적 책임제도의 특질을보여준 사례란 점에서 의미가 있다, 대상판결의 법리로 인하여 국가배상의성립에 있어서 주관적인 책임의 요소는 향후 상당히 완화되어 판단될 것이다. 향후의 과제는 오히려 국가배상제도를 운영하는 재원을 마련하는 국민전체의 납세자의 입장에서 즉, 일종의 보험자의 입장에서 적절한 수준에서배상액이 결정되는 것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그 수준은 일응 법률상 형평의 관점에서 결정되는 행정적인 보상의 수준이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으로본다. 대상판결은 다소 논쟁적인 사안을 채택하여 논란이 심화된 측면이 있으나, 타협적이지만 올바른 결론을 택했다고 생각한다. 사후적으로 소급하여 법관에게 “실정법률의 정에 대한 위반이 참을 수없는 정도에 이르렀다면, ‘부정당한 법’인 그 법률은 정의에 자리를 물려주어야 할 것이다.”는 라드브루흐 공식을 실현하도록 요구하는 것은 정치적으로무리한 요구이며, 법원의 중립성에도 큰 타격이 되는 선택이라고 할 것이다.

      • 수업목표 진술 방식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

        박형섭 ( Hyoung Sup Park ),최성욱 ( Sung Wook Choi )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5 초등교과교육연구 Vol.2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nk about the statement of instructional objectives. The methods in this study are observation of class instruction and interview with teacher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something directive, passive, authoritative, obligate, and mythical. Seco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 complicated attitudes to the alternative instructional objectives according to the situations in school. With the problem solving objectives, they acknowledge enthusiastic student`s participation is anticipated. But they also feel some burden because it is not easy to design proper lessons for it. With the expressive outcomes objectives, they think students` interest with the topic is very important. It also requires a brawling mood and a lot of time to prepare a lesson for the expressive outcomes objec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