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전소설 속 여․당 참전 중국인의 형상화 방식과 시대적 의미

        서혜은(Seo Hye eun) 한국고전연구학회 2017 한국고전연구 Vol.0 No.36

        <설인귀전>․<당태종전>․<울지경덕전>은 중국 장편소설 <설인귀정동>․<서유기>․<당진연의>의 일부 서사를 개작한 작품이다. 조선 후기 강성했던 고구려 국력에 대한 갈망과 설인귀 서사가 유입되어 대중성을 확보하고 당태종․설인귀․울지경덕이 신격화된 고사가 전승되면서 <설인귀전>․<당태종전>․<울지경덕전>이 간행된다. <설인귀전>․<당태종전>․<울지경덕전>에서 설인귀는 귀족적 영웅에서 민족적 영웅으로 역행하는 모습으로, 당태종은 정복욕에 충실한 군주의 표상으로, 울지경덕은 충절의 화신으로 형상화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당태종과 울지경덕의 형상은 <설인귀전>과 <울지경덕전>의 이본에 따른 차이가 있다. <설인귀전>․<당태종전>․<울지경덕전>에 형상화된 당태종의 모습에는 비판적 시각이 부각되어 있지만 설인귀와 울지경덕의 경우에는 우호적인 시각이 형성되어 있다. 세 작품에 형상화된 설인귀․당태종․울지경덕의 모습에는 조선 시대 요동 회복에 대한 염원과 한민족의 역량에 대한 자긍심 그리고 용맹과 충절을 갖춘 이상적 통치자가 부재하는 조선의 현실과 이상적 통치자의 출현을 염원하는 대중의 요구가 반영되어 있다. This paper is a study on imagery method and meaning of that times about Chinese participated in war between the Goguryo and Dang in <Seol-In-Gui-Jeon>, <Dang-Tae-Jong-Jeon>, <Ul-Ji-Gyeong-Deg-Jeon>. These three novels are adaptation of <Seol-In-Gui-Jeog-Dong>․<Seo-Yu-Gi>․<Dang-Jin- Yeon-Ui>. These are Chinese long novel and flowed in Jo-Seon Dynasty. And Seol-In-Gui, Dang-Tae-Jong, Ul-Ji-Gyeong-Deg were participated in war between the Goguryo and Dang. A Manchu war repeatly broke out in Jo-Seon Dynasty. Therefore national power was weaken. So people of Jo-Seon Dynasty longed for national power of Goguryo. And narrative of Seol-In-Gui was flowed from China. Besides Seol-In-Gui, Dang-Tae-Jong, Ul-Ji-Gyeong-Dege were deified and the story was transmitted. Therefore <Seol-In-Gui-Jeon>․<Dang-Tae-Jong-Jeon>․<Ul-Ji-Gyeong-Deg-Jeon> were able to published. Seol-In-Gui only come on stage in <Seol-In-Gui-Jeon>. Seol-In-Gui was embodied aristocratic hero in Seoul block novels and national hero in printed books. Seoul block novels earlier were published than printed books. And Seol-In-Gui was embodied national hero in Chinese Seol-In-Gui narrative. Accordingly Seol-In-Gui was changed from aristocratic hero to national hero in Jo-Seon Dynasty. Dang-Tae-Jong come on stage <Seol-In-Gui-Jeon>․<Dang-Tae-Jong- Jeon>․<Ul-Ji-Gyeong-Deg-Jeon>. Dang-Tae-Jong was jointly embodied that he had thirst for conquest. His behavior was justified in <Ul-Ji- Gyeong-Deg-Jeon>. But his war of conquest was criticized in <Seol- In-Gui-Jeon>․<Dang-Tae-Jong-Jeon>. Ul-Ji-Gyeong-Deg also come on stage <Seol-In-Gui-Jeon>․<Dang- Tae-Jong-Jeon>․<Ul-Ji-Gyeong-Deg-Jeon>. His loyalty about Dang-Tae- Jong jointly was stood out in three novels. Besides loyalty about Yu-Mu-Ju was stood out in <Ul-Ji-Gyeong-Deg-Jeon>. But Ul-Ji-Gyeong-Deg was lacked of problem solving and judgement in <Seol-In-Gui-Jeon>. And he is effeminate and narrow-minded. Seol- In-Gui, Dang-Tae-Jong, Ul-Ji-Gyeong-Deg s shape is revealed desire getting back of Yodong and the Han race s capability. Seol-In-Gui and Ul-Ji-Gyeong-Deg are generals of the enemy. But their dauntlessness and loyalty was exemplified public of Jo-Seon Dynasty. Therefore amicable perspective about Seol-In-Gui and Ul-Ji-Gyeong-Deg is revealed that ideal rulers are not in Jo-Seon Dynasty and public want ideal rulers.

      • KCI등재

        조선시대 설인귀 서사의 대중화 양상과 그 시대의식

        서혜은 동양고전학회 2017 東洋古典硏究 Vol.0 No.67

        이 논문은 <설인귀전>의 여러 이본과 <당태종전> <울지경덕전> <천개소문전> <서정기> <설정산실기> <번리화정서전>을 대상으로 조선시대 설인귀 서사의 대중화 양상과 시대의식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설인귀는 여⋅당 전쟁 당시 활약했던 당나라 장수이다. 적국의 장수였던 설인귀에 대한 서사가 조선시대 대중성을 확보할 수 있었던 것은 임병양란 이후 강성한 국력을 지녔던 고구려사를 재인식하고 고토 회복 담론의 부각으로 인해 가능했다. 또한 설인귀 서사와 유사하게 전개되는 <소대성전>이 인기를 확보하고 있었고 설인귀와 함께 여⋅당 전쟁에서 활약했던 당태종과 울지경덕에 대한 고사가 성행하고 있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시대적 배경 속에서 설인귀의 요동 정벌 서사와 영웅성이 점진적으로 부각되고 <설인귀전>에 등장한 당태종⋅울지경덕⋅합소문에 대한 독립 서사가 형성되며 여성 영웅들이 서번을 정벌하는 서사로 확장된 설인귀의 후속 서사가 수용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대중성을 확보했다. 이러한 설인귀 서사의 대중화 양상에는 민중과 여성의 등용과 이민족 세력 통합의 필요성과 국력이 약화된 조선의 현실과 함께 중국을 견제할 국력을 강화할 필요성을 제시하는 시대의식이 반영되어 있다. This paper is a study on popularise aspects and consciousness of times about Seol-In-Gui's narrative in the Joseon Dynasty. Seol-In-Gui is general of Dang(唐) and he entered the war between Goguryeo(高句麗)and Dang. The war between Goguryeo and Dang is ended victory of Goguryeo. And Joseon peoples was long for power of Goguryeo and recognized again history of Goguryeo. So discourse of regaining native land was formed in the Joseon Dynasty. Besides <So-Dae-Seong-Jeon> was very popular in the Joseon Dynasty. Seol-In-Gui's narrative and <So-Dae-Seong-Jeon> are quite similar. And Dang-Tae-Jong, Ul-Ji-Gyeong-Deg's old story was prevalence. Dang-Tae-Jong and Ul-Ji-Gyeong-Deg entered war between Goguryo and Dang. Therefore Seol-In-Gui's narrative was popular in the Joseon Dynasty. Popularise aspects of Seol-In-Gui's narrative as follows. First, Seol-In-Gui's conquest of Yodong(遼東) narrative and heroism was gradually emerged in Seoul block printed of 40, 30 sheets version and printed book of <Seol-In-Gui-Jeon>. Second, Dang-Tae-Jong, Ul-Ji-Gyeong-Deg, Hab-So-Mun's individual narrative was formed. Third, Seol-In-Gui's narrative was expended to female hero's conquest of West-Beon(西蕃) narrative. Because <Seo-Jeon-San-Gi> <Seol-Jeon-San-Sil-Gi> <Ben-Li-Hwa-Jeong-Seo-Jeon> are adaptations of <Seol-Jeong-San-Jeong-Seo>. And <Seol-Jeong-San-Jeong-Seo> is succession of Seol-In-Gui's narrative. Seol-In-Gui is people, Ben-Li-Hwa is female, Ben-Li-Hwa and Ul-Ji- Gyeong-Deg are ethnic. It is revealed that people, female, ethnic are real ability of Chinese nation. Furthermore it is revealed that people and female must are appointed and ethnic must is combined. Besides it is revealed that it is necessary built up national strength of Joseon Dynasty like Goguryeo and Goryeo. After the Manchu Invasion of Korea in 1636 national strength of Joseon Dynasty was weaken. So the Joseon Dynasty People long to be intensifed national strength keep in check China.

      • KCI등재

        박도유(朴都儒)모반사건으로 본 웅진도독부와 신라의 갈등

        김수미 ( Su Mi Kim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1 백제문화 Vol.1 No.44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gjin Commandery and Shilla was examined through the Mt. Chuiri Covenant in 665, which contained the bond the commandery and the kingdom forged through marriage. However, Park Do-yu, the governor of Hansan-ju who was supposed to get married to form a bond with the kingdom broke the covenant, which destroyed the budding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andery and the kingdom. Park Do-yu`s betrayal was significant in history. The fact that Park Do-yu, who was supposed to get married to a woman from Shilla or Tang based on the Mt. Chuiri Covenant, was coaxed by the Ungjin Commandery to betray the kingdom meant the end of the covenant. The event is recorded only in "answer for the writing of Seol In-gui." Furthermore, the annals of Shilla in 『Samguksagi』 contains Su-se`s betrayal in 670 not Park Do-yu`s betrayal. The two events, however, turned out to be identical.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Park Do-yu`s or Su-se`s betrayal occurred around 670. It seems that the operation Seol Oh-yu from Shilla and Go Yeon-mu from Goguryeo carried out together between March and April 670 caused Park Do-yu to break the covenant. As a result of the operation, Park Do-yu, who was close to Tang and married to a Baekje woman from the Ungjin Commandery, was forced to choose between Tang and Shilla, It is presumed that having witnessed Baekje and Gorguryeo being defeated by Shilla, Park Do-yu was coaxed by the Ungjin Commandery to choose Tang. Ungjin Commandery and Silla exchanged Yegun, a person of Ungjin Commandery, and Kim Yu-don, one of Silla, as hostages in July, 670 in order to solve the Park Do-yu betrayal.

      • KCI등재

        고⋅당 전쟁문학 「설인귀전」과 설인귀 전설의 내용적 상관관계에 관한 비교 고찰

        권도경 동양고전학회 2007 東洋古典硏究 Vol.26 No.-

        본 연구에서는 국립도서관본 계열 「설인귀전」과 설인귀 전설에 나타난 모티프 상의 유사성과 그 내용적 상관관계에 관해 중점적으로 고찰을 시도해보았다. 첫째, 파주 일대에서 전승되는 설인귀 전설은 설인귀라는 하나의 자아가 현실 세계와의 사이에서 겪는 갈등의 본질을 이 대식 화소를 통해 상징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국립도서관본 계열 「설인귀전」과 동일한 양상을 보여준다. 대식 화소의 공유와 미의식적 유사성은 국립도서관본 계열 「설인귀전」의 성립 및 형성 과정에 설인귀 전설이 미친 영향을, 즉 둘사이의 교섭양상의 맥을 짚어볼 수 있게 한다. 둘째, 국립도서관본 계열 「설인귀전」의 외삼촌 박대담은 거의 유사한 형태 그대로 설인귀 전설 속에서 등장하며, 서사구조 내부의 기능도 동일하다. 외삼촌 박대담은 설인귀 전설의 향유층이 특별히 흥미를 가지고 향유한 모티프로, 국립도서관본 계열 「설인귀전」의 외삼촌 박대담이 이 설인귀 전설의 그것과 상관관계를 맺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소를 위협하는 짐승을 퇴치하고 농경을 원활하게 만드는 설인귀의 무용은 무속신앙의 관습에서 봤을 때 풍요를 기원하는 농경제의의 한 장면을 연상시키는 측면이 있는 것으로, 파주 일대에서 전승되고 있는 설인귀 풍속신앙 전설의 제향 구조와 거의 유사한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국립도서관본 계열 「설인귀전」의 병기 획득 모티프가 소 몰아 밭 갈기와 큰 짐승퇴치하기 화소와 전후의 맥락 속에서 인과성을 가지고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설인귀전」의 이 계열본 형성 과정에 있어서 설인귀 전설이 중요한 한 원천으로 작용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설인귀정동」 42회본에는 용마 획득 장면이 등장하지 않는데다, 특별한 서사적인 의미를 차지하지 않지만, 국립도서관본 계열 「설인귀전」과 설인귀 전설에서는 이 모티프가 영웅적인 장수란 모름지기 용마를 얻어서 타고 다녀야 한다는 관념은 한국의 전통적인 아기장수 전설에 나오는 용마 모티프와 관련되어 중요한 서사적인 의미를 차지하고 있다. 국립도서관본 계열 「설인귀전」의 형성과정에서 아기장수 전설의 미의식을 흡수한 설인귀 전설의 용마 획득 모티프가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studied on the sameness of motive and distinctions of contents that appears equally in between the series of「Seol-in-gui-chon」 that make 「Seol-in-gui-chon」 as the representatives being in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the Seolingui legend. The motives, that appears equally in between the series of 「Seol-in-gui-chon」 that make 「Seol-in-gui-chon」 as the representatives being in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the Seolingui legend, is arranged as three aspects. The first is big-eating motive The second is the ill-treatment motive of maternal uncle The third is the arms-getting motive and the swift horse-getting notive.

      • KCI등재

        '영해동학혁명'과 해월의 삶에 나타난 사인여천 사상

        김영철 동학학회 2014 동학학보 Vol.0 No.30

        Diese Abhandlung wird ausgeforscht, wie sich Haewol den Gedanken des Si-cheon-ju Suun's annimmt und entwickelt. Dies eroertert den Gedanken des Sa-in-yeo-cheon Haewol's. In conkreto steht das Denken, beispielsweise der Si-Cheong-Ju und der Soo-sim-jeong-gi(training of Keeping mind and right spirit) als der Basis des Sa-in-yeo-cheon und Yang-cheon-joo und Da-in-jeob-mul als die Praxis des Gedankens auf den Sa-in-yeo-cheon zur Diskussion. Die Haewol denkende Utopie ist, dass alle Menschen wie Han-ul-nim bedient werden koennen. Dies ist die Welt, dass alle Menschen wesentlich die gleiche Existenz erkannt werden koennen. Hierfuer fasst Haewol Si-cheong-ju Suun's praktisch auf. Er zeigt Yang-cheon-joo, Drei-gyung, Hyang-a-seol-we und Da-in-jeob-mul als praktische Methode vor. Dieser Gedanke Haewol's enhaelt nicht nur der Mensch, sondern auch die Gleichkeit der ganzen Natur, mit einem Wort das Bewusstsein der Hochachtung der Natur. Endlich betont er den Gedanken als Dong-gui-il-che, dass die ganze Natur aus Han-ul-nim kommen und den Han-ul-nim enthalten. 본 연구는 해월이 수운의 시천주(侍天主)사상을 어떤 식으로 수용하고 발전시켜 나가는 지를 탐색한다. 이는 해월의 사인여천사상이 지닌 성격에 대한 논의이다. 구체적으로는 사인여천 사상의 토대로서의 시천주(侍天主)와 수심정기(守心正氣)에 대한 논의이다. 그리고 사인여천 사상의 실천으로서의 양천주와 대인접물에 대한 논의이다. 해월이 생각하는 이상사회는 모든 사람이 한울님처럼 대접받을 수 있는 사인여천의 사회이다. 이는 모든 인간을 본질적으로 동등한 존재로 인식하는 세계이다. 이를 위해 해월은 수운의 시천주(侍天主)사상을 실천적으로 해석한다. 그리고 시천주를 실천하는 방법으로 양천주(養天主)와 대인접물(待人接物), 삼경사상(三敬思想)과 향아설위(向我設位)사상을 제시한다. 이에는 인간뿐만 아니라 만물 평등주의, 즉 자연 존중 의식도 포함되어 있다. 결론적으로 해월은 모두가 한울님으로부터 나왔고, 한울님을 내포하고 있는 동귀일체(同歸一體)의 사상을 강조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