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석전의 상징성과 향교 석전의 식민지적 변용

        장순순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0 泰東古典硏究 Vol.45 No.-

        본 연구는 유교제례인 문묘 석전이 조선총독부의 유림정책 속에서 어떻게 변용되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조선왕조는 건국 초기부터 석전을 국가에서 주관했다. 우리나라 문묘에는 우리나라 18현이 중국의 유현들과 함께 석전의 대상이 되었다는 점과 문묘 종사에 주자학의 도통이 강조되었다는 점이 중국과 다르다. 그리고 성균관과 전국 향교에 문묘를 설치하여 국가 차원에서 석전으로 거행한 것은 조선 왕조의 이념적 성격을 드러내는 것으로, 조선왕조의 정체성을 내외에 선언한 것이었다고 볼 수 있다. 일제는 통감부 시기부터 유림들의 활동 공간인 향교를 통제했다. 강점 직후, 향교가 총독부와 일본인 관리들의 통제 속에 들어가게 되면서 향교의 기능과 역할에 큰 변화가 있었으며, 더불어 석전에도 큰 변화가 있었다. 첫째, 문묘 석전의 주관자인 제관 및 참여자의 변화를 들 수 있으며, 둘째, 석전 제문의 날짜 표기⋅독축(讀祝)방식⋅날짜 변경, 셋째, 양무 및 계성사 향사의 일시적인 폐지, 넷째, 석전의례 중 서고식(誓告式) 추가, 마지막으로 경학원과 향교의 문묘 개방과 일반인 출입의 허용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총독부가 ‘원활한’ 식민통치를 위해 유학을 중요하게 여기는 모습을 보여줌과 동시에 석전의례 속에서 오랫동안 지속해 온 조선의 유교적 전통을 의도적으로 배제하고 자신들의 통치 권력의 현재성을 강조하기 위함이었다. 심지어 석전행사를 일반인에게 개방하고, 경학원 명륜당과 전국 향교를 혼례식장으로까지 개방한 조치는 문묘로 상징되는 조선의 전근대적 사회 질서를 파괴함으로써 신민지 통치를 ‘근대화’로 미화한 것이었다. 1937년 중일전쟁 발발에 앞서 총독부는 전국 유림의 동향 파악에 더욱 적극적이었다. 석전을 강연회 등 각종 행사와 연계시킴으로서, 식민지 조선인에게 식민통치의 당위성을 선전하여 일제의 식민통치에 순종하도록 유도하고, 나아가 일제의 침략 전쟁과 식민통치에 철저하게 이용하였다. 이로서 석전은 기존의 제사로서의 기능이나 신성함을 완전히 상실하게 되었고, 일제가 일으킨 침략전쟁의 적극적인 선전의 장이 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how Munmyo (Confucian shrine) Seokjeon was transform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s part of Confucian policies. Findings of this study include the following: Right from the its beginning, the Joseon Dynasty supervised and operated Seokjeon directly. Two major differences between Confucian shrines in Korea and those in China were that 18 major Confucianists in Korea along with those in China were enshrined at Seokjeon and that ideas of Orthodox Neo-Confucianism were emphasized in Confucian shrine affairs. Confucian shrines were built up in various hyanggyos nationwide as well as Seonggyungwan so that rituals were held with Seokjeon on a national level, which represents the ideological nature of the Joseon Dynasty and proclaims the identity of the Joseon Dynasty in and out of the country. Japanese imperialism controlled hyanggyos which were a space of activity for Confucian scholars since the period of the Residency General. Right after the Colonial Period began, hyanggyos were put under the control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and Japanese officials.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their functions and roles as well as those of Seokjeon. First, there were changes in rite officiants and participants at Confucian shrines of Seokjeon. Second, indication of dates in memorial addresses of Seokjeon, ways of reading addresses, and dates were changed. Third, Yangmu and Gyeseongsa shrines were abolished temporarily. Fourth, an agreement ceremony was added as part of Seokjeon rites. Finally, Gyeonghagwon and hyanggyo shrines were opened to the public. Such changes were intended to imply that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valued Confucianism for ‘smooth’ colonial ruling and to emphasize Japan’s present governance while excluding Confucian traditions of Joseon that had long been preserved in Seokjeon rituals. Furthermore, Seokjeon events were opened to the general public, and hyanggyos around the country as well as Gyeonghagwon Pyeongryundang became available as a wedding hall, which was to destroy the premodern social order of Joseon symbolized by Confucian shrines and to beautify the colonial rule as ‘modernization’. Before 1937 when the Chinese-Japanese War broke out,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put forth more efforts to grasp movements of Confucian scholars around the country. Seokjeon was connected to various events such as lecture meeting with the intention of justifying the colonial rule among Koreans and induce them to obey Japan’s rulership, and further, to make full use of Korea for their aggressive wars and colonial rule in other territories. As such, Seokjeon lost its original functions for rituals as well as its divineness completely and rather became a space used by Japan to propagate their war of aggression actively.

      • KCI등재후보

        공인된 전쟁놀이 석전(石戰)과 관련된 세시풍속 연구

        남도희,조성균 한국무예학회 2017 무예연구 Vol.11 No.1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correlation and the probability that the Seokjeon which was established as a regular military base by King Taejo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popularized as the folk game, is transformed into various Seasonal Rituals after the political abolishment of the state.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rough literature study,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l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Seokjeon was a military system for wars. While establishing the Joseon Dynasty, King Taejo established the Chukseok army, Seokjeon base, as a warrior for the wars and also equipped the amusing elements as a folk play. The Chukseok army was organized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government. In the 9th year of King Sejong regime, the Seokjeon had a systematic form. Secondly, the form of Seokjeon, the battle play, was spread and changed into the Seasonal Rituals of the people. The form and supplies of the Uiseong sedan chair play imitated the form and the supplies of the Seokjeon, which demonstrates it. The existence of the form of Seokjeon in the Uiseong sedan chair play and the Gunwi baksi play shows that they are the Seasonal Rituals developed from the Seokjeon. Thirdly, in the Joseon Dynasty, the Seokjeon was likely to Soobak(Korean traditional martial art), the martial arts. The form of the game of Seokjeon can be found in the Uiseong sedan chair play and the Gunwi baksi, the other Seasonal Rituals, and the shape, the name and the terminology of their physical fights are likely to be associated with the Soobak in the Early Joseon Dynasty. 석전은 고대부터 근대까지 전국 각지에서 행하여졌던 한국의 세시풍속이었다. 이 연구는 석전이 조선 초기 태조에 의해 정규 군부대로 창설되었고, 민속경기로 대중화된 석전이 국가의 정책적인 폐지 이후에 다양한 세시풍속들로 변용된 연관성과 개연성을 찾고자 한다. 이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조사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조선 초기 석전은 전쟁을 하기 위한 군사제도였다. 조선을 건국하면서 태조는 전쟁을 위한 무재(武才)로써 석전부대인 척석군(擲石軍)을 창설하였으며, 더불어 민속놀이로서 유희(遊戱)적 요소를 갖추어갔다. 척석군(擲石軍)은 중추(中樞) 관리 하에 편성하였다. 세종 9년에 이르러 석전은 체계화된 형태를 갖추었다. 둘째, 전투놀이 석전의 형식이 민중의 세시풍속으로 퍼져갔으며 변용되었다. 의성 가마놀이의 형식과 용품들이 석전의 경기형식과 용품을 모방한 것은 이를 증명한다. 의성 가마놀이 및 군위 박시놀이 속에 석전의 형태가 존재하는 것은 석전에서 파생하여 발전한 세시풍속 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셋째, 조선시대의 석전은 무예인 수박(手搏)과 개연성이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석전의 경기형태는 다른 세시풍속인 의성 가마놀이 및 군위 박시놀이 등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여기에서 보이는 몸싸움의 형태와 명칭, 용어 등은 조선 초기 수박(手搏)과의 개연성을 보인다.

      • KCI등재

        일반논문 : 石顚(석전) 鼎鎬(정호)의 국토 기행시

        김석태 ( Seok Tae Kim ) 한국고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015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6

        이 논문은 근대의 불교사상가이자, 교육가, 문학가인 石顚 鼎鎬의 기행시 에 대한 고찰이다. 석전은 우리나라 거의 모든 지방을 두루 여행 하였다. 그여행의 견문과 감회를 다수의 시문으로 남겨 인간의 삶과 여행, 그리고 문학이 한데 어우러진 다양한 기행시문학을 조성하였다. 그의 시작품의 대부분이 기행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인데, 여기에서는 제주도, 금강산, 백두산 기행시를 중심으로 석전의 국토 기행시의 내용과 의의를 살펴보았다. 제주 기행시는 선경의 이미지를, 금강산은 불교적 분위기를, 백두산은 웅혼한 기상을 느끼게 한다. 각 지역의 산수자연과 지나온 역사의 감회에 따라 시의 양상도 다른 것이다. 석전의 기행시는 여행 목적지에서의 감상 뿐만아니라 출발에서 돌아오기 까지 여행의 과정을 시로 표현하고 날짜, 동행한 사람 등 시작의 배경이 되는 상황을 적절하게 기록하여 여정을 알게 하였다. 이렇게 시문 자체가 맥락이 있는 여행기로 느껴지게 한 것은 석전의 기행시의 한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석전은 우리 땅 곳곳의 역사와 사람들의 삶, 자연을 애정 어린 시선으로 바라 보았으며 그 감회를 시인이자 수행승의 감성과 시각을 통하여 시로 형상화 하였다. This research is a consideration on the travel poetry of Seokjeon Jeongho(石顚 鼎鎬), a modern Buddhism thinker, educator, and writer. Travel poetry is to write experience of travel in poem. In literature, travel was an important deed to broaden deep insight and discernment through growing spirit and various experience by touring the broad world. Also, it was a road of pilgrimage to trace the history of the land and human life by being absorbed in beautiful nature. Seokjeon prepared a wide view of Buddhism as well as Confucianism, veteran science, and literature. He left high-level criticism on the literature, and created lots of poems and proses. Seokjeon, who prepared wide knowledge and literary competence widely traveled almost all regions of Korea. He composed various travel poetry literature combined with human life, travel, and literature by leaving the experience and inspiration on the travel with several poems. Most of his poem works were travel poetry,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content and significance of travel poetry of Seokjeon mainly with Jeju island, Geumgang mountain, and Baekdusan travel poetry. Jeju, Geumgang mountain, and Baekdusan are very beautiful and historically significant places, located in the south, east, and north of Korea respectively. Jeju travel poetry implies the image of Seonkyung, Geumgang mountain implies Buddhistic atmosphere, and Baekdusan implies grand spirit. Poetic aspect differs along with landscape of each region and the historical emotion. Travel poetry of Seokjeon expressed the process of travel from start to return including impression in the travel destination with poem and properly recorded the situation of the background of poem creation such as date, fellow traveler, etc. This way, the point that poetic phrase itself is felt like a travel site with context is a characteristic of travel poetry of Seokjeon. Seokjeon viewed the history of each place of our land, people``s life, and the nature with an affectionate sight, and embodied that impression in poem through the sensitivity and sight of a poet as well as a Buddhist monk.

      • KCI등재

        석전 박한영에 미친 보조선의 영향

        김방룡 보조사상연구원 2020 보조사상 Vol.56 No.-

        In this paper, the writer tries to investigate the cognition of Seokjeon Park Han-young, a representative Buddhist monk of modern Korea, on Bojo Jinul and to reveal the common ground of the two thinkers. While ostensibly there is much difference within the life of Bojo and Seokjeon, who lived in different times, they have common ground that they reached an extreme level in Seon school and Dontrine school and that they devoted themselves to association and training junior scholars based on their thorough practice. Although it is a small amount, Bojo’s effect can be seen in Seokjeon’s work, including the fact that he cites the content of Jinsimjikseol, as Bojo’s work. The common ground between Bojo and Seokjeon are to give a positive evaluation to Hataek Sinhoe and to emphasize gradual practice after sudden enlightenment. Seokjeon also emphasized continuous practice because he criticized the negative effect of sudden enlightenment like Bojo’s opinion. Also, the two thinkers shared common ground that they are wary of the self-subservience disease of Doctrine school and self-arrogance disease of Seon school. In this paper, in addition to enhancing the status of the Seokjeon in modern Korean Buddhism, the writer wanted to expand the horizon of the influence of the Bojo Jinul on modern Korean Buddhism by making clear the common ground between the ideas of the two thinkers, as well as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between Bojo and Seokjeon. 본 논문에서는 근대 한국불교의 대표적 고승이라 할 수 있는 석전 박한영이 보조 지눌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을 지녔으며, 두 사상가 사이에 공통점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서로 다른 시대를 살았던 보조와 석전의 삶은 표면적으로 많은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선・교 양 방면에 있어서 지극한 경지에 이르렀다는 점과 철저한 수행을 바탕으로 한 결사와 후학양성의 삶으로 매진하였던 점에 있어서 공통점이 있다. 비록 적은 분량이지만 석전의 글 속에서 그가 보조의 저서로 인식한 진심직설의 내용을 인용하고 있는 것을 비롯하여 보조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보조와 석전의 사상 간의 공통점으로는 하택 신회에 대한 긍정적 평가와 더불어 보조가 돈오점수를 주장하였는데 석전 또한 증오의 폐단을 비판하고 있어서 돈오 후의 지속적인 수행을 공통적으로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교가의 자굴병(自屈病)과 선가의 자고병(自高病)을 경계하고 선교일치와 계율을 중시하고 있는 점도 두 사상가 간의 공통점이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근대 한국불교에서 차지하는 석전의 위상을 제고하고, 아울러 보조와 석전 간의 영향 관계와 더불어 두 사상가의 사상 간에 공통점을 밝힘으로서 보조 지눌이 근대 한국불교에 끼친 영향의 지평을 확대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석전(石顚) 박한영(朴漢永)의 한시에 나타난 국토 주류와 그 의미

        김승호 ( Kim Seung - Ho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6 禪文化硏究 Vol.21 No.-

        한말에서 근대기를 관통하는 시기에 창작된 석전(石顚) 박한영(朴漢永)의 한시는 선리통찰, 교류관계, 내면의식 등 작자의 삶과 의식세계를 엿보게 하는 매개체가 된다고 하겠다. 석전의 시대까지는 한시 창작이 일반적이었는데 한말에 태어나고 서당에서 공부한 그에게 내면과 사유를 드러내는 데는 현대시보다 전통적인 한시가 수월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출가와 함께 석전의 시적 인식에 변화가 따르게 된다. 그는 시와 선은 결코 다른 것이 아님을 강조했다. 유가적 문인들의 시들과 달리 석전의 한시들에서는 선리, 묘오의 시적 형상화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 지적들이 대세를 이루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는 석전을 승려로 고정시킨 나머지 내린 선입관적 시평이라는 우려를 낳기도 한다. 적어도 그의 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기행시들은 선방을 벗어난 시인이 산하대지를 유유자적하며 포착한 인물, 유적, 풍속, 상념에 대해 소회를 전하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선방을 벗어나 산하대지를 떠도는 나그네에게 외물들은 시흥을 발화시키는 촉매가 되어준다. 국토주류(國土周流)는 석전에게 국토, 역사, 불교 등에 걸친 인식의 범위를 확장하거나 새롭게 보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대상에 대한 성찰과 함께 해방감을 만끽하게 해주는 무대가 바로 국토라는 점을 그는 시를 통해 충분히 드러낸다. 일제에 의해 강점된 땅 위를 걷고 있으면서도 적어도 시에서는 비분강개한 어조가 발견되지 않는다. 때문에 시대성의 부족을 탓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는 초시간 속에 위치한 것이 국토라는 인식을 보이며 그것이 지닌 영속성을 믿는다. 민족이 처한 암울한 현실을 직설적으로 증언하기보다 그는 망각된 역사, 인물, 설화, 불심 등을 찬찬히 환기시키는 방식으로 민족적 성찰과 불교적 자각이란 명제를 이끌어내고 있다. Seokjeon(石顚) cannot be said to have left a lot of Chinese poems. But his poetry, which was created in the period of going through the modern period from the end of Joseon period, has no deficiency even if being said to become a precious channel that watches for social activity, an insight into Seonri, and inner consciousness. Writing Chinese poetry had been general until the period of Seokjeon. As for him as a person who was born at the end of Joseon dynasty and then studied at Seodang(書堂, a village school), the traditional Chinese poetry seems to have been easier than the modern poetry in unveiling the inner side and the reason. However, Seokjeon`s poetic awareness comes to be followed by a change along with entering the Buddhist priesthood. He emphasized that poetry and Zen meditation are not different at all. Unlike the poems by Confucian literary persons, the indications were formed the mainstream as saying that Seokjeon`s Chinese poems are possessed a big weight by the poetic embodiment on the reason of Zen and on the delicate enlightenment. Still, this fixed Seokjeon to a Buddhist monk, thereby needing to be examined whether or not being the preconceived evaluation of having been made. That is because the travel poems of holding a large part in his poetry at least mostly include a thought about figure, ruins, custom, and Buddhism of having been captured with hanging loose in mountains and streams escaping from a Buddhist monk`s dwelling. As for a traveler who wanders everywhere with coming out of a Buddhist temple in the mountains, the views outside change into a catalyst of drawing poetic excitement. The land pilgrimage allows Seokjeon to open a sight available for expanding or newly seeing a range of recognition across national land, history and Buddhism. His poetry leads to fully revealing that the national land is just a stage of making it enjoy the sense of freedom along with the introspection into an object. Even while proceeding with walking on the territory that was occupied by the Japanese Empire, a heavy heart is not found at least in poetry. Thus, the lack of the contemporary character may be criticized. But he believes perpetuality that it has with showing the perception as saying that the national land is what is situated in eternity. Rather than flatly testifying to the grim reality that the nation faced, he is eliciting a proposition called national introspection and Buddhist awareness with a method of carefully stirring up the forgotten history, figure, tale and Buddha`s mercy.

      • KCI등재

        조선조 <석전음복연악장(釋奠飮福宴樂章)> 연구

        조규익 ( Kyu Ick Cho ) 한국고전문학회 2011 古典文學硏究 Vol.40 No.-

        본고의 대상인 <석전음복연악장>은 『조선왕조실록』에 ``新撰登歌樂章``으로 기록되어 있다. 음복은 제사의 한 절차이면서도 잔치의 성격을 겸한 행위이다. 공자의 가르침에 바탕을 둔 왕조의 문명성이나 임금에 대한 찬양 혹은 축수가 이 악장 전편의 주제의식으로 되어 있다. 당시 연주되고 있던 향악이나 당악의 곡조에 塡詞하는 방법으로 제작한 것이 이 악장들이다. 즉 당악으로 연주되던 제1작 <여민락>과 제2작 <보허자>, 향악이었는지 당악이었는지 불확실한 <천권곡> 등 세 작품을 제외한 <봉황음>·<만전춘>·<융화>·<한림가>·<오륜가>·<납씨가> 모두 향악으로 연주되던 노래들인데, <문선왕악장>과 달리 <석전음복연악장>에서는 조선의 독자성이나 개성을 추구한 것으로 보인다. 9장의 <석전음복연악장>은 내용 상 제5작을 경계로 전반부와 후반부가 대응된다. 제1작~제4작에서는 공자와 임금을 등장시켜 임금이나 조선왕조에 대한 찬양으로 마무리했고, 제5작에서는 문치가 융성해져 나라가 억만년 동안 복록과 태평을 누릴 것이라는 신념을 표출했다. 후반부인 제6작~제9작에서는 전반부와 달리 임금이나 조선왕조만을 주된 찬양의 대상으로 등장시켰다. 뿐만 아니라 이 악장에 속한 대부분의 작품들은 기존의 악곡에 전사하는 방식으로 제작되었는데, 그런 제작방식은 고전시가의 통시적 흐름을 밝혀줄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 사직·종묘·영녕전 등 국가적 大祀들이라 할지라도 각각의 음복연 악장이 있었는지 현재 확인할 수 없고, 이런 범주 밖의 제례들에도 이와 필적할만한 규모의 악장들은 흔치 않았다. 더구나 <문선왕악장>은 중국 역대 왕조에서 연주되던 것을 도입한 것이기 때문에, 그것만으로 조선왕조의 治者그룹이 갖고 있던 자부심을 드러낼 수 있다거나 ``공자의 가르침을 수용하여 이룩한 왕조의 文明性이나 제왕의 治功``을 찬양할 수는 없었다. 이처럼 <석전음복연악장>은 왕조의 이념적 근원과 그것이 꽃 피어난 현실적 양태를 복합적으로 표출했다는 점에서 악장사적으로 큰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Deung-ga akjang newly made, this paper`s object is Seokjeon-eumbokyeon-akjang. The ceremony of Eumbok[partake of sacrificial food and drink] is a process of memorial services as well as feasts. Dynasty`s inclination of civilized level or praise and wishing a long life for their King is thematic consciousness of the whole akjang works. The works made with a method stuffing the existing Hyang-ak and Dang-ak tunes with a new lyrics are these akjangs. <Bonghwang`eum>, <Manjeonchun>, <Yoonghwa>, <Hanrimga>, <Oryun`ga>, <Napssiga>, exept for the 1st Jak <Yeominrak>, 2nd Jak <Boheoja> and <Cheon`gweon`gok> unconfirmed it is Hyang-ak or Dang-ak tunes, are all the songs played with Hyang-ak. It seems that individuality was pursued in Seokjeon-eumbokyeon- akjang, different from Munseonwang akjang. The nine stanzas of Seokjeon-eumbokyeon-akjang are divided into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with the 5th Jak as the boundary. From the 1st Jak to 4th Jak, writer finished with praise for the King and Joseon Dynasty after showing Confucian and King. In the 5th Jak, he expressed a sort of conviction that they can enjoy good fortune and happiness during countless years. From 6th Jak to 9th Jak, the second half, he showed only the King or Joseon Dynasty as the main object of praise. Although in the national memorial services like Sajik, Jongmyo, Yeongnyeongjeon, we cannot ascertain the existence of each Eumbokyeon-akjang. As a matter of fact, nearly no akjang works matching for size of Seokjeon-eumbokyeon- akjang even in the memorial services out of this category. In addition, for the reason that Munseonwang akjang was imported from successive Chinese dynasties, only with it they could not show their pride or praise dynasty`s inclination of civilized level or Kings` administrative achievements realized with accepting Confucious teachings. Therefore, we can say Seokjeon-eumbokyeon -akjang has an important meaning in the point that it showed in both ideological origin and realistic aspect of Joseon Dynasty.

      • KCI등재

        석전 박한영의 禪理 및 禪語에 대한 고찰 - 선사상적인 배경과 관련하여 -

        김호귀 대각사상연구원 2020 大覺思想 Vol.33 No.-

        Seokjeon Bakhanyoung(1870-1948) is a reformer in modern time's Korean Buddhism. Seokjeon showed interest in the irrational practice of Buddhist thought, faith and ritual. Seokjeon regarded the root cause as corruption within Buddhism itself. It was no exception to errors in the form of faith and ideological understanding as well as denominations. This study examined the misunderstanding of Zen Buddhism concept based on Seokjeon's ideological background. The reform were shown as the development of the right recognition of the establishment of the independent Buddhist denomination and the educational method for the edification of the times. In particular, the right understanding of zen thoughts awards and the act of correcting the harm to zen thoughts awards were outstanding. First of all, the zen Thoughts basic position was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the Patriarch zen and the Tathagata zen based on the survey line idea. This is well represented in the Seokrimsuphil. It was also to eliminate misunderstandings about the concept of have everything[皆具] and realize everything[皆證]. Furthermore, through Seonhakyoryung, the right understanding of The four kinds of outlook expounded[四料揀] and the check of the performance process of Jugongbusipmoon[做工夫十門] and Chamseonsammoon[參禪三要] were the subjects. Through this, Seokjeon emphasized the necessity of having the right eye for the concept of the Theorys of zen and the terms of zen. 석전 박한영(1870∼1948)은 최근세의 한국불교사에서 개혁가이다. 석전은 불교의 개혁운동의 측면에서는 사상과 신앙과 의례 등에 대하여 기존의 불교에 나타난 불합리한 인습의 척결에 관심을 보였다. 석전은 불교의 이러한 양상의 근본적인 원인으로는 불교 자체 내의 부패로 간주하였다. 이러한 입장에서 교단뿐만 아니라 신앙의 형태와 사상적인 이해에 대한 오류도 예외는 아니었다. 본고는 석전의 사상적인 배경을 중심으로 선종 개념의 오해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석전의 개혁은 암울했던 시대에 주체적인 불교 교단의 확립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시대적인 교화를 위한 교육방식의 전개로 나타났다. 특히 선사상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당시의 선사상에 대한 폐해를 바로잡으려는 왕시선(枉矢禪)의 행동이 돋보인다. 우선 선사상의 기본적인 입각점은 조사선 사상을 바탕으로 하여 조사선과 여래선의 개념에 대한 올바른 이해였는데 石林隨筆에 잘 드러나 있다. 또한 皆具와 皆證의 개념에 대한 오해를 불식시키려는 것이었다. 나아가서 [禪學要領]을 통해서 四料揀에 대한 올바른 이해 및 做工夫十門과 參禪三要에 대한 수행과정의 점검이 그 대상이었다. 이를 통해서 석전은 선법의 개념에 대한 올바른 안목을 구비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만해·석전 한시에 대한 미당 번역의 비교와 문학 교육적 의미

        조성윤(Cho, Seong Yoon),김승호(Kim, Seung Hho) 동악어문학회 2018 동악어문학 Vol.75 No.-

        본고는 만해 한용운과 석전 박한영의 한시에 대한 미당 서정주의 한시 번역을 비교해 보고, 문학사 안에서 이들의 한시와 한시 번역 텍스트가 함께 상관성 속에서 교육된다면 문학 교육적으로 어떠한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 탐색한 것이다. 먼저, 만해와 석전의 한시에 대한 미당 한시 번역의 특징은 의역 부분에서 대비적 양상을 보인다. 첫째, 만해의 한시에 대해서는 ‘문장(구절) 단위의 의역’을 하였으나, 석전의 한시에 대해서는 ‘어휘 단위의 부분적 의역’을 하였다. 둘째, 만해의 한시에 대해서는 ‘대립적인 어휘나 서술’로 치환하는 의역을 하였으나, 석전의 한시에 대해서는 ‘유사한 어휘나 서술’로 치환하는 의역을 하였다. 셋째, 만해의 한시 번역에 대해서는 ‘생략’의 지점이 있으나, 석전의 한시에 대해서는 그런 부분이 없다. 이러한 번역의 차이가 보이는 이유는 그들 사이의 관계성과 퇴고의 유무 때문이다. 또한 석전의 한시 번역에 비해 만해의 한시 번역이 더 창의적 의역이라고 판단되는 것은 미당이 펼친 시론에 만해의 한시 번역 텍스트가 더 부합된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이들의 텍스트를 문학 교육으로 옮겨오면, 첫째, 미당의 번역 초고와 완성 원고 특징의 차이를 통해 문학 텍스트를 이해, 감상, 창작하는 단계를 학습자가 객관화하여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할 수 있다. 둘째, 작자와 번역자의 관계성에 입각하여, 작자와 독자의 실제 교유와 경험이 없어도 그의 문학에 공감하고 체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 셋째, 시대 안에서의 텍스트로 주목해 보면, 근대 속 고전(古典)이라는 점에서 그간 문학 교육에서 다루지 않았던 부분들을 문(文), 사(史)의 입장에서 새롭게 접근한 교육을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Midang Seo Jeong-ju"s translation of Hansi (Chinese poems) written by Manhae Han Yongun and Seokjeon Pak Han-young and explore what meanings we can have in terms of literature education if within the history of literature, their Hansi and translated text of it are educated in connection. Above all, Midang"s translation of Hansi written by Manhae and Seokjeon shows contrastive aspects in terms of liberal translation. First, for Manhae"s Hansi, he did ‘liberal translation in the units of sentences (or phrases)’, but for Seokjeon"s Hansi, he employed ‘partial liberal translation in the units of vocabulary’. Second, for Manhae"s Hansi, he did liberal translation through substitution with ‘contrastive words or descriptions’; however, for Seokjeon"s Hansi, he used liberal translation through substitution with ‘similar words or descriptions’. Third, in Manhae"s Hansi translation, there are some points of ‘omission’ found, but in Seokjeon"s Hansi translation, no such part can be observed. The reason why the translations differ is becaus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whether they were proofread or not. In addition, Manhae"s translation of Chinese poem is considered to be more creative than Seokjeon"s translation as the former accords better with Midang"s poetics. If we use the text for literature education, first, we can allow students to understand-appreciate -write literary text grounded on differences between Midang"s translation draft and complete manuscript and also provide learners with opportunities to objectify and recognize the steps of appreciation. Second, based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writer and translator, we can prove it is possible to empathize with and also embody his literature even without any actual association between the writer and readers or experience. Third, examining the text within the time, we can provide education approaching it newly in the positions of literature, history that have hardly been dealt with in literature education up until now as it is the classics in modernity.

      • KCI등재

        石顚의 戒律觀과 『戒學約詮』

        정광균 한국불교학회 2014 韓國佛敎學 Vol.70 No.-

        Seokjeon features of the precepts tube can be summarized in twoways. The first, three studies one source through 『Gyehaksummarized』is the overall idea was devoted to education in terms of the Sangha. Second, 『beommanggyeong』 and 『remained the most popular of thescriptures』, the teachings of man rally confirmation socialized to seekenlightenment through the practice of the public were rehabilitated. The『scriptures also a big one comment』 and 『muoesamjangseonyoe』, suchas 『neungeomgyeong』 through the secret teachings of the scriptures andmeditation secrets meditation performed precepts served pursuing thethree studies with the rows evenly that result in an ever masteredgyeomhak investigated. Then the characteristics of 『Gyehaksummarized』 the precepts ofTheravada scriptures and meditation techniques shows the identity of theadenoma. It was just the observance of the precepts of the Order and forthe social highlight of clean and then immediately realized the mercy ofthe church and society to make an honest intention was to acknowledge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Gyehaksummarized』 is a collection ofall the traffic passing through the absorption in the pursuit of completeunderstanding, and at the same time to ensure the identity of the smoothand harmonious teaching gyehak of a monastic education and raisingcommunity awareness to realize the reality for be trying to implement thePure Land were investigated. Finally, the significance of 『Gyehaksummarized』 people aretraining in China and resulted in acid yuljong traditions and preceptsof ancient Korea and the magnetic field yulsa Nishiyama from jinpyoyulsa handed adjourned and resulted in cheers seosang Jian preceptswhile inheriting the traditional based one Buddhism was orientedcommunicate together no jams one. Moreover, in modern languageseokjeon on the 『Gyehaksummarized』 revealed a brief Buddhistcommunicate together one won the significance of the three studiesperformed with the three-door clean Sangha talented and enlightenedspirit of the move to put a focus on socialization. Through which anindividual's morality helping others clean place with a core ofMahayana Dharma for the realization of social awareness that wasinvestigated. Discussion as above, we are a modern way to go and the future ofBuddhism in Korea three overlapping crane must learn morality throughpersonal enlightenment causal body with whom to form a goodunderstanding of society to realize even further that morality is undeniablethat over the can not. So we precepts seokjeon example of a smooth andflexible teaching meditation, meditation precepts, meditation Secret SchoolKorea through a secret talented performing individuals, while maintainingthe traditional Buddhist view and the nature of enlightenment with theBuddha to achieve the required strength of the socialization shall beconsidered.

      • KCI등재

        문묘일무(文廟佾舞)에 내재된 절도(節度)와 교육적 기능

        정향숙 ( Choung Hyang Sook ) 무용역사기록학회 2016 무용역사기록학 Vol.41 No.-

        본 연구는 석전(釋奠)에서 추어지는 문묘일무에 내재된 교육적 기능을 찾아봄으로써 현대인들을 위한 교육수단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엿보고자한다. 문묘일무는 현재까지 공자를 모시는 성균관의 석전의례에서 추어지고 있는 춤으로서 몸에서 몸으로 전승되는 무용과는 그 의미나 가치적인 면에서 차별화된다. 유가(儒家)의 윤리도덕(倫理道德)과 철학사상을 내포하는 의식적 춤동작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형식과 구조는 매우 절도 있고 규범적이며, 추모와 경배라고 하는 의례적·종교적(儀禮的·宗敎的) 성격이 조밀하게 융합되어 있다. 즉, 유희나 감정의 표현, 새로운 시도를 통한 변화·변형과 같은 일반적인 무용의 목적과는 달리, 우주와 인간 그리고 인간과 인간 사이를 관통하는 질서(秩序)와 조화(造化)라는 보다 교육적인 근원(根源)을 지향하는 춤이라 할 수 있다. 문무는 마음자세를 위한 정신수양의 춤이며, 무무는 신체 단련을 위한 춤으로서 형상화되었다. 문묘 일무는 하늘과 땅과 인간을 이어주는 춤이며 공자와 앞서 가신 성현들에 대한 감사의 표현이며 인간의 삶에서 우러난 경험 즉 서로간의 예의와 존경심을 미적으로 승화시킨다. `성균(成均)`은 고대 주대(周代)의 5개 대학 중 하나로서 `악교(樂敎)`를 통하여 덕(德)을 키우는 교육을 하던 곳이었다. 제사를 지내는 존현(尊賢)과 교육을 통한 양현(養賢)의 기능을 수행하는 이러한 학궁의 석전에서 추어지는 문묘일무의 기능을 윤리적, 사회적, 예술 교육적 기능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문묘일무는 윤리적으로 인격교육의 가장 근본이 되는 수신서인 소학(小學)의 핵심내용인 삼절(三節)과 사도(四道)를 형상화한 춤으로서 `절도(節度)의 춤`이라 할 수 있다. 둘째로 문묘일무는 제사의 의식무를 넘어서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신과 인간, 사회와 인간, 인간과 인간간의 관계를 조성한다. 예를 갖추는 행위로서 문묘일무는 언어를 초월한 의사소통의 춤으로 서로간의 마음과 마음을 나누는 `수수지례(授受之禮)`의 춤이며 `평화(平和)`를 상징하는 춤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일무는 고대로부터 문헌에 지속적으로 기록되어온 역사의 춤이며 예악을 기반으로 전통예술을 계승하는 교육적 의미 속에 자신을 발견하는 `위기지학`의 춤인 것이다. 문묘일무는 예를 춤으로 실현한 것이며 이는 결국 `몸공부`이다. 문묘일무를 `몸공부`로 활용하여 춤을 교육하고 결국엔 자신의 수양과 더불어 덕(德)을 쌓고 소통의 예의 즉 `마음의 공부`가 되는 춤으로 발전하도록 하는 것이 이상적 문묘일무의 교육이 될 것이다. Munmyo-Ilmu (文廟佾舞) is a dance that has been performed in Seokjeon-Uirye (釋奠: the rite for laying out offerings) at Sungkyunkwan (成均館) deifying Confucius. It is distinguished in its meaning and value from other dances that have been passed down physically through the human body to body. Since the Munmyo-Ilmu consists of ritual dancing steps that portray the ethics and philosophical ideology of Confucius, its formality and structure are very modest and normative, and merge with the rituals and religious characters of cherish, memory, and worship. In other words, unlike common dances that express amusement and emotions, and the transformation through a new attempt, Munmyo-Ilmu may be considered a dance that has an educational and philosophical origin in which order and harmony g exist between human beings or between the universe and human beings. The scholarship dance resulted from the combination of the dance of the spiritual culture for the mindset and the martial arts dance for physical training. Munmyo-Ilmu is a dance that connects heaven, earth, and human beings, expresses gratitude to Confucius and the old sages, and sublimates the experiences, such as courtesy and respect, infused from human life into an aesthetic. Sungkyun was the school that was in charge of music for the five colleges of the Ancient Zhou Dynasty, in which educating virtues harmonized with human characters through `Akgyo (樂敎: music education)`. The Munmyo-Ilmu, which has been danced in Munmyo-Seokjeon-Uirye at Sungkyunkwan, can be considered as `the dance of modesty` that was based on three passages and four doctrines that form the core contents of Sohak (小學: Confucian disciplinary textbook) and are at the base of Confucian character education. Furthermore, Munmyo-Ilmu, as a means of communication beyond a ritual dance, creates a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god and human being, and society and human being. Munmyo-Ilmu, as the exchange of courtesies, can be considered to be a communicational dance that transcends language; it is a dance of `Susujirye (授受之禮: the exchange of courtesies)` in which dancers share one mind in a dance symbolizing peace and harmon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