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연경관 경관도의 국외사례 및 국내 적용가능성 연구 -거시적 경관관리도를 중심으로-

        주신하 ( Shin Ha Joo ),이송희 ( Song Hee Lee ) 한국농촌계획학회 2011 농촌계획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foreign scenic inventory map for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natural scenic resources. Several foreign cases were surveyed and analyzed to apply the scenery inventory map in domestic, such as Visual Resource Management(VRM) from United States Bureau of Land Management, Scenery Management System(SMS) from USDA Forest Service and Visual Landscape Inventory(VLI) from British Columbia Ministry of Forest`s, that were already established scenery inventory map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landscape is quite a different from those of north american`s, which is much smaller and more complex in topography and land use. So, it would be difficult to apply foreign system directly and we need more researches to our own system. The multi-stepped landscape unit system is highly recommended. Second, scenic quality could be estimated by the pre-built database, such as land forms, vegetation, hydrology and land uses. Historical and cultural attributes should be complemented. Third, existing scenic integrity could be grasped by scenic damage, landscape alteration caused by human activities and land exfoliation. Also, subjective evaluation method should be supplemented by objective criteria through further detailed studies. Finally, about landscape view conditions, landscape control points should be surveyed and established in advance, and viewing distance, viewing frequency, amount of observers and public interests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조선후기 지도와 기록화를 통해 본 제주

        정은주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20 한국학 Vol.43 No.3

        This paper tried to understand the change in perception of Jeju Island at that time by analyzing the map, geographical literature, and landscape paintings of Jeju Island during the Joseon Dynasty. First, the maps exclusively drawing Jeju Island, such as a woodblock‒printed copy of “Tamna Map and Writing” produced in 1709 and “Jeju Samhyeon‒do” of “Haedong Jido” made in the early 1750s can be identified by reflecting key information like government offices, military facilities, pastoral pastures, and orchards for economic purposes. In addition, the special map, “Ranch Map”, provides an important basis for identifying the distribution and location conditions of Jeju ranches in the 17th century. Among the works that depict the landscapes of Jeju Island, there are the book produced by the Jeju magistrate Yi Ik‒tae in 1694 and “Tamna Sullyeok‒do” by another Jeju governor Yi Hyeong‒sang in 1703. “Tamna Shipgyeong‒do” is about Jeju’s scenic views. As interest in landscape sightseeing and scenic spots increased in the late 17th century, Yi Ik‒tae, the governor of Jeju Island, chose the 10 scenic views. Yi Hyeong‒sang, who was appointed to the post since then, describes not only a scenic spot, but also the official activities as a Jeju Island governor, such as the Jeju’s major events and autumn provincial tour, and thus provides diverse information beyond records. Most of the records of the events in the “Tamna Sullryeok‒do” show the military facilities and locations for defense and the customs of the Jeju people as the goal of inspection tour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In addition, horses counting in the ranch is an important event by the Jeju governor including the dedication of tangerines, hunting, military training, the preliminary examination of Seonggyun‒gwan Academy, and banquet for the senior citizens over 80. This paper will be possible to supplement blind spots that are difficult to understand by literature data through actively utilizing visual data such as maps, documentary, and landscape paintings. 본문에서는 제주 지도와 기록화 및 실경도를 문헌 사료와 비교 검토하여 역사적, 문화사적 관점에서 조선후기 제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려 하였다. 먼저 조선시대 제주도 지도와 그 정보, 실경도를 분석하여 시기별 특성과 사적의 변화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당시 제주의 시대상을 파악하였다. 관찬 제주지도는 조선시대 제주에 대한 통치와 관방, 경제적 측면의 인문정보를 반영하고 있어 제주에 대한 당시 인식을 엿볼 수 있고, 제주목사가 주관하여 제작한 기록화는 제주의 관아 터와 주요 명승 및 사적을 복원하는데 유용한 자료이다. 1702년 이전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목판본 「탐라도」를 비롯하여 1706년과 1709년에 각각 제작된 목판본 「탐라지도」는 제주지도의 보급과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탐라십경도 「탐라도총」과 탐라순력도의 「한라장촉」과 같이 기록화 속에 현존하는 제주지도와 18세기 중반 해동지도의 「제주삼현도」와 같이 군현 지도 속의 제주지도는 지형과 하천 수로의 흐름 등을 비교하여 목판본 「탐라도」의 계보와 이후 제작된 1709년 「탐라지도」의 계보로 구분할 수 있다. 그밖에 특수 지도인 목장지도는 17세기 제주목장의 분포와 정황을 파악할 수 있는 주요 근거가 된다. 제주도의 실경을 그린 작품 중 대표적인 것은 1694년 제주목사 이익태(李益泰, 1668‒1704)가 제주 명승 10곳을 정하여 제작한 탐라십경도의 모사본 3점이 전하며, 1702년 제주 일대의 순력을 마치고 1703년 제주목사 이형상(李衡祥, 1653‒1733)이 제작한 탐라순력도가 현존한다. 탐라십경도는 조천관, 별방소, 성산, 서귀포, 백록담, 영곡, 천지연, 산방, 명월소, 취병담 등 제주의 절경을 그린 것으로, 17세기 말 산수 유람과 명승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제주목사 이익태가 순력의 결과로 십경을 직접 선택한 점에서 주목할 수 있다. 이후 부임한 이형상은 명승에 그치지 않고 제주목의 주요 행사나 가을 순력 등 제주목사의 공적인 활동과 제주의 특산물, 풍속 등을 묘사하여 기록 이상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본문은 지도, 기록화 및 실경도 등과 같은 시각적 사료를 활용함으로써 문헌 자료를 중심으로 진행되어 온 조선시대 제주의 풍속과 문화를 연구하는데 그 외연을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간송미술관 소장 <골굴 석굴도>의 작가와 회화적 재현 방식 고찰

        유미나 ( Yu Mina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8 강좌미술사 Vol.50 No.-

        간송미술관 소장 《교남명승첩》 중의 <골굴석굴도>는 골굴사와 석굴암의 모습을 담은 조선시대 진경산수화이다. 이 작품은 석굴 사원의 복원을 위한 史料가 될 뿐 아니라 겸재 정선의 작품이라는 위창 오세창의 발문이 있어 학계의 큰 관심을 끌었다. 그러나 양식상 정선의 작품으로 보기 힘들다는 여러 학자들의 견해가 나온바 있고, 골굴사와 석굴암이 같은 산에 배치된 화면 구성은 관람자에게 혼란을 안겨주는 측면이 있다. 본 논문은 그 동안 논란이 있었던 이 작품의 작가 문제를 짚어보고, 골굴사와 석굴암을 함께 배치한 <골굴석굴도>의 회화적 재현 방식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골굴석굴도>에 대한 양식적 고찰을 통해 작가는 겸재 정선도 아니고 그 손자 정황도 아닌 18 세기 후반에 활동한 겸재 정선을 추종한 이름 없는 화가로 보았다. 기계적이고 도식적인 묘법을 속필로 구사하였으며, 작품의 수준이 다소 떨어지는 점을 지적하였다. <골굴석굴도>는 조선후기 영남지방의 명승명소를 담은 영남 명승도첩 제작의 유행과 관련된 점을 살필 수 있었다. 겸재 정선이 제작했던 《영남첩》이 화제를 불러일으키면서 이 같은 유행을 가져왔고, 겸재를 추종했던 김윤겸, 김희성과 같은 화가들이 영남 지방에서 관직을 역임하거나 유람을 하면서 영남의 명승도를 적극적으로 제작한 점을 볼 수 있었다. 이는 관동팔경도·사군도·한양명승도 등의 유행과 더불어 유·무명의 많은 화가들의 작품 제작으로 이어졌는데, 이에 따라 실경을 접하지 못한 채 앞선 작품을 베낀 영남명승도도 다수 제작되었다. 《교남명승첩》의 <골굴석굴도>의 경우도 이 같은 사례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골굴석굴도>의 재현방식을 조선후기 회화식 지도의 골굴사와 석굴암의 표현 양식과 비교하여 고찰하였다. 지도의 제작에 있어서 기존의 지도를 베껴 제작한 경우 지역이나 장소 간의 거리나 방향이 왜곡되어 정확도가 떨어진 경우를 볼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토함산 자락에 위치한 석굴암과 함월산 끝에 위치한 골굴사가 하나의 산록에 그려지는 왜곡이 이루어졌다고 보았다. <골굴석굴도>는 첫 공개 때부터 석굴암과 골굴사 석굴사원에 대한 뜨거운 관심 속에 18 세기 조선후기의 석굴사원의 상황을 보여주는 시각자료로 중요하게 다루어져 왔으나, 이 그림이 현장을 보지 못한 채 기존에 전해지던 그림을 보고 베낀 작품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었다. 그러나 골굴사가 18세기 영남 지역의 명승명소에 대한 높은 관심 속에 그 독특하고 신비로운 석굴 양식으로 인하여 조선 사람들의 뇌리에 인상 깊게 각인되었음이 확실하다. 《교남명승첩》의 <골굴석굴도>는 이러한 관심과 이해의 시각적 표현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The painting < Golgul and Seokgul Cave Temples > part of the 《Album of Scenic Spots in Gyonam》 in the collection of Kansong Museum is a true-view landscape painting from Joseon Period representing the Buddhist temples, Golgulsa and Seokguram. This painting gathered a keen interest among the academic world because it served as a historic material for the restoration of the original shape of Seokguram and because it was identified as a work of Jeong Seon(鄭敾), one of the greatest true-view landscape painters of Joseon with the colophon written by O Se-chang(吳世昌). However, there have since been a number of scholars doubting the authenticity due to the stylistic features. Also, the composition of the painting which placed the two cave temples on the side of a same mountain has puzzled the viewers because it was not the actual geography. This paper, thus, deals with the problem of the painter, whether it was done by Jeong Seon or another artist, and the way of the pictorialisation of the scenery comprising the two temples.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 The Golgul and Seokgul > was painted not by Jeong Seon, nor was it done by his grandson, Jeong Hwang(鄭榥). It was painted by an anonymous painter who followed the landscape style of Jeong Seon in late 18th century. It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flourishing production of the true-view landscape paintings containing the scenic spots in Yeongnam province. Second, the mislocation of the two cave temples could have been affected by the pictorial maps from late Joseon period. Similar mislocation can be detected in some pictorial maps that copied the existing versions, thus lacking in accuracy in distance and direction of the spots. It is for sure the painter who worked the < Golgul and Seokgul Cave Temples > has not been to the actual sites. He could have referred to the inaccurate copied versions of the pictorial maps or then existing paintings of the same scene. In any case, the painting < Golgul and Seokgul Cave Temples > carries the significance in that it reflects the interest of the people in the unique and mysterious cave temples amidst the popularity of the albums of scenic spots in Yeongnam region in the 18th century.

      • KCI등재
      • KCI등재

        도시의 토지이용 형태별 경관특성과 유형 - 대전광역시를 사례로 -

        김대현,김대수,주신하,오세래,Kim Dae-Hyun,Kim Dae-Soo,Joo Shin-Ha,Oh Se-Rae 한국조경학회 2005 韓國造景學會誌 Vol.33 No.4

        Recently, as urban landscape is growing in importance, urban landscape planning is being actively performed. for this purpose, classification of the urban landscape is definitely required. Therefore, this research focuses on classifying urban landscape in Daejeon metropolis by dividing the urban land use pattern. This results are as follows. 1. Urban land use pattern is divided into 20 classes. The residential, commercial and industrial areas, the old market and the bus terminal are evaluated negatively, whereas the areas of school, water reservoir, neighborhood park and train station are appreciated as being positive in landscape characters. 2. As a result of a cluster analysis, urban landscape has five different landscape types. These are: landscapes of medium diversity lacking green area, landscapes of high diversity lacking green area, landscapes rich in green area and with medium diversity, landscapes rich in green area and with high diversity, and landscapes rich in green area and with low diversity. 3. In landscape characters of beauty and harmony, landscapes rich in green area and with medium diversity are more positively evaluated than those rich in green area and with low diversity. This poin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for planning the urban landsca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