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安德文의 三山書院 位相鼎立과 그 의미

        최석기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3 남명학연구 Vol.40 No.-

        This paper focuses on Ahn Deok-mun establishing the title and status of Samsan Seowon in Uiryeong, Gyeongsangwoodo in the 18th century and his combining the science of Yeongnam Jwado and Woodo by worshiping three masters, that is, Hoijae, Toigye, and Nammyeong. Ahn placed importance of body and mind cultivation and maintained his academic tendency of practicing it in daily life, which was based on Nammyeong’s practice-centric academic style. Instead of learning under certain master, Ahn tried to emulate three masters representing Yeongnam and combine their science and virtuous acts. In an attempt to practice what he sought after, he commissioned a painter to paint Oksan, Dosan, and Deoksan Seowon that held a religious service for the three masters, respectively. He would turn the painting titled Samsanseowondo into a folding screen, set it up at Jungdang, and admire the learning and virtue of the three masters all the time. He also tried to experience the learning and virtue of the three masters first-hand by visiting their respective Seowons. He would carry Samsanseowondo and Samsandomyeong on his way to Oksan and Dosan Seowon and stop by renowned scholars during his journey to show them Samsanseowondo and ask for their comments. The scholars of Toigye School in Gyeongsang Jwado mostly agreed on the title and status of Samsan Seowon thanks to his efforts. In the process, he put Deokcheon Seowon, which held a religious service for Nammyeong in Gyeongsang Woodo where study was in stagnation, on the equal status as Dosan and Oksan Seowon, which were the headquarters of Yeongnam School. He also made people reconsider Nammyeong as a moralist on the same level as Hoijae and Toigye. Those efforts made by him led to the commendation of the learning and virtue of the three masters as well as Samsan Seowon and the increased recognition that the three masters should be admired and respected together who turned Yeongnam into Churojihyang. The old academic style of observing the editorials only written by the disciples that studied under certain masters was replaced with a new study of integration to inherit the sciences of the three masters as one. The scholars of Gyeongsang Woodo especially sought after the study of integration, engaged in active academic exchanges in the following years regardless of partisan and academic parties, and built a foundation for the revival of study. It is the significance of Ahn admiring and respecting the three masters together as well as Samsan Seowon. 이 글은 18세기 경상우도 의령에 살던 安德文이 三山書院이라는 명칭과 위상을 정립하고, 이를 통해 晦齋ㆍ退溪ㆍ南冥 세 선생을 나란히 追崇하고 表章한 것에 초점을 두고 살펴본 것이다. 안덕문은 심성수양을 중시하며 일상에서 이를 실천하는 학문성향을 견지하였는데, 이는 그가 살던 지역에 전승된 남명의 실천적 학풍을 기반으로 한 것이었다. 그는 어느 특정 스승에게 나아가 수학하지 않고 영남을 대표하는 세 선생의 학문과 덕행을 사숙하여 융합하려 하였다. 그는 이를 실천하기 위해 畵工에게 명하여 세 선생을 제향하는 玉山書院ㆍ陶山書院ㆍ德山書院을 그려 오게 해서 三山書院圖를 병풍으로 만들어 中堂에 펼쳐놓고 늘 세 선생의 학덕을 흠모하였다. 그는 또 삼산서원을 직접 찾아가 세 선생의 학덕을 몸소 체험하려 하였는데, 그가 살던 지역의 덕산서원은 전에 찾아간 적이 있었으므로 가보지 못한 경상좌도의 옥산서원과 도산서원을 찾아가 배알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그는 삼산서원도ㆍ三山圖銘 등을 준비해 가지고 옥산서원ㆍ도산서원을 찾아가 배알하였으며, 도중에 저명한 학자들을 방문하여 삼산서원도 등을 보여주며 논평을 요청하였다. 이러한 그의 노력에 의해 경상좌도 퇴계학파 학자들도 삼산서원이라는 명칭과 위상에 대해 동의하였다. 그럼으로써 그가 살고 있던 경상우도의 덕산서원을 조선후기 영남학파의 본산으로 인식된 경상좌도의 도산서원ㆍ옥산서원과 동등한 지위에 올려놓는 성과를 이룩했으며, 덕산서원에 제향된 남명을 회재ㆍ퇴계와 같은 반열의 도학자로 재인식하게 했다. 안덕문의 이러한 노력을 통해 三山書院 및 세 선생의 학덕이 나란히 表章되었으며, 영남을 鄒魯之鄕으로 만든 이 세 선생을 함께 존모해야 한다는 인식을 제고했다. 그리고 이를 통해 특정 문하의 師說만을 준수하는 학풍에서 벗어나 세 선생의 학문을 하나로 아울러 계승하고자 하는 새로운 융합의 학문을 제시하게 되었다. 특히 경상우도 학자들은 이런 융합의 학문을 지향해 그 다음 시대 당색과 학파에 구애되지 않고 활발히 학술교류를 하여 학문이 울흥하는 터전을 만들었다. 여기에서 안덕문이 삼산서원의 위상을 정립하고 세 선생을 나란히 추숭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德山九曲 設定의 필요성과 의의

        최석기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6 남명학연구 Vol.51 No.-

        Raising a question about why Deoksangugok was not set in Deoksandongcheon below the Cheonwang Peak of Mt. Jiri, which was Nammyeong Jo Shik(1501-1572)'s shelter in his later years, this study focused on discussing why Deoksangugok should be set, what grounds should be met to set Deoksangugok, what kind of place Deoksangugok was, what historical and cultural facts it had, and what significance and expected effects its setting had. Those discussions would not be enough to fully understand the cultural background of Deoksangugok setting, which was why the study provided a general description about the tradition of perceptions of nature and Gugok culture from Confucius and Mencius to Zhu Xi in East Asia and also the perceptions of nature and Gugok culture among the classical scholars of Joseon. The study then looked into the efforts made by the scholars of Gyeongsangwudo to inherit Nammyeong studies in the second half of Joseon, when the scholarship of the region was in serious depression, including the efforts to worship Nammyeong along with Hoijae and Toigye by establishing the status of Samsan Seowon and promote Deoksangugok along with Dosangugok and Oksangugok by writing and sending out Samsangugok poems in order to figure out what to do today to preserve and inherit the heritage of Nammyeong studies. Inheriting the spirit of old sages in the region, the significant figures today should make it a top priority to set and manage Deoksangugok and turn Deoksan into a sacred place of moral philosophy true to its name. It will be critical to secure the field and content to inherit and experience Nammyeong studies. If a new academic tradition is created of worshipping the three sages of Yeongnam sought after by Ahn Deok-mun and Ha Beom-woon based on them, Yeongnam will be reborn as the home of Confucius and Mencius. When the day comes, Yeongnam will attract global attention as the cradle of Confucianism comparable to Qufu and Mt. Mui of China. 이 글은 南冥 曺植(1501-1572)의 만년 은거지인 지리산 천왕봉 아래 德山洞天에 德山九曲이 설정되지 못한 점에 문제의식을 갖고, 덕산구곡의 설정이 왜 필요한지, 덕산구곡을 설정하는 근거는 무엇이어야 하는지, 덕산구곡의 실체는 구체적으로 어떤 장소이며 그 역사적·문화적 사실은 무엇인지, 덕산구곡 설정의 의의와 기대효과는 무엇인지를 논의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그러나 이것만을 논의하면 덕산구곡을 설정하는 문화적 배경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에 앞에 孔孟과 朱子로 이어진 동아시아 山水認識의 傳統과 九曲文化, 조선시대 선비들의 산수인식과 구곡문화 등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慶尙右道 지역의 학술이 극도로 침체된 조선후기 이 지역의 학자들이 南冥學을 계승하기 위해 노력한 것 중에 三山書院의 位相을 鼎立하여 晦齋·退溪와 함께 南冥을 추숭하고자 한 노력, 三山九曲詩를 지어 보내 陶山九曲·玉山九曲과 함께 德山九曲을 드러내기 위한 노력 등을 통해, 오늘날 우리는 무엇을 어떻게 하는 것이 남명학을 보전하고 계승하는 길인지를 찾아보려 하였다. 이러한 이 지역 선현들의 정신을 계승하여 오늘날 뜻 있는 인사들이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이 德山九曲을 設定하고 경영하여 德山을 명실상부한 道學의 聖地로 만들어나가는 것이다. 이는 남명학을 계승하고 체험할 수 있는 현장과 콘텐츠를 확보하는 중요한 일이다. 이를 통해 安德文과 河範運이 추구한 영남의 세 先賢을 함께 존모하는 새로운 학풍을 만들어나간다면 嶺南을 鄒魯之鄕으로 거듭나게 할 것이다. 그렇게 되면 영남이 중국의 曲阜나 武夷山 못지않은 儒學의 産室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