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진술거부권과 진술거부권 불고지의 효과

        안성수(An seong-su)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08 法學論叢 Vol.19 No.-

        피의자나 피고인의 진술거부권은 헌법과 형사소송법이 보장하고 있는 기본적 권리이다. 피의자ㆍ피고인의 진술거부권을 적정하게 보장해 주기 위해서 진술거부권의 내용을 고지해주는 것은 중요하다. 피의자나 피고인이 행사할 수 있는 진술거부권의 범위와 진술거부권 고지의 시기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 진술거부권 고지의 시기는 피의자나 피고인이 진술을 거부할 수 있는 진술거부권의 범위를 신문하기 직전에 해야 한다. 국내 다수설은 피의자나 피고인은 자신의 인적사항에 대해서까지 진술을 거부할 수 있다고 한다. 피의자나 피고인에 대해서 인적사항을 진술하도록 직접 강제할 수는 없다. 그러나 간접강제가 허용된다는 점에서 살펴보면 타당하지 않다. 피의자나 피고인이 수사나 재판절차상 신원에 대하여 진술을 거부하는 경우 진술거부권이 인정된다고 보아 간접강제까지 할 수 없다고 하면 수사나 재판절차가 원만히 진행되기 어려울 것이다. 헌법재판소도 간접강제를 허용하고 있다. 우리 헌법상 진술거부권은 불이익한 사항에 대하여 인정되도록 되어 있다. 인적사항을 밝히지 않는 피의자에 대해서는 형사처벌 등의 간접강제 수단을 마련하여 두고 있는 것이 각국의 입법례이기도 하다. 진술거부권 불고지라는 위법만으로 무조건 의무적으로 진술전체에 대하여 증거능력이 없다고 하는 것은 극단적인 것이므로, 당사자적격, 탄핵증거로의 사용 등 예외적 사유에 대해서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개정 형사소송법은 피의자를 신문하기 전에 진술거부권을 고지하면 되도록 되어 있고 그 신문에는 조사가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피의자의 자발적 진술에 대해서까지 진술거부권 고지가 필요하다고 할 수는 없다고 본다. 즉 인적사항 확인 및 단순히 피의자에게 진술 또는 자백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진술거부권의 고지가 필요 없다고 할 것이다. The right to remain silent is a basic right of the defendant or suspect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and criminal procedure law. It is important to notify the right to the defendant or suspect so that he can excercise the right properly and effectively. The timing of notification and the content of the right to remain silent are closely related. The investigator should notify the suspect or defendant of this right before conducting any Questioning that could incriminate the suspect or defendant. Considering the Punishment of Minor Offenses Act which punishes the defendants and suspects who do not cooperate in identification process, they may not exert their right to remain silent during that procedure as legally guaranteed rights. Identification itself isn't a disadvantageous thing to the suspect or defendant. There are many countries which impose a penalty on the suspect or defendant who doesn't state his or her identification. In addition to that, even if there is a breach of notification, the statement should be admissible by the standing theory or for impeachment purpose. According to newly revised Korean Criminal Procedure code, notification is not required until the identification process has finished during the investigation process. And if the suspect or defendant initiates a voluntary statement, the statement should be admissible without the "Miranda" warning.

      • KCI등재

        진술거부권 행사 피고인의 양형 가중 문제 고찰 -마약, 강력범죄 등 중한 범죄 유형을 중심으로-

        조인현 ( In Hyun Cho ) 한국형사정책학회 2014 刑事政策 Vol.26 No.2

        The right to remain silent follows from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the role of defense system. The Miranda warning acknowledged the common-law right to remain silent. The right to remain silent was regulated in the Fifth Amend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But it is open to the court to draw appropriate inferences from the Criminal Justice and Public Order Act 1994(CJPOA) in England. It might be stressed that the CJPOA has not abolished the right to remain silent in the commom-law. It would be better to think about the guidance of estimating sentencing factor for the defendant who has the right to remain silent Nowadays the court has a dilemma for the defendants who have exercised the right to remain silent. At this situation for the most important thing, it needs criteria of sentencing guidelines in the korean jury trial. We have to pay close attention to allow the visual record to be introduced as evidence in trial, even in the case that we ask the prosecution or police to record the investigation procedure to guarantee the transparency of that procedure. However, in sentencing stage, the court could draw adverse inferences from the defendant who is apparently guilty in retrospective of the objective evidence. Labeling and Criminal Careers plays an important role in persistent criminal behaviours. Thus it must be appropriate criminal policy for the application of sentencing factors to resolve labeling against the defendants at the transient period of the korean criminal justice system.

      • KCI우수등재

        피고인의 진술거부권

        백강진 ( Kang Jin Baik ) 법조협회 2011 法曹 Vol.60 No.2

        In recent criminal cases, there is controversy over whether interrogation of prosecutor is permitted when a defendant exercises the right to remain silent and refuses to answer all questions in advance during trial, and whether in that case, the defendant can answer only to the question of his/her lawyer. Policy foundation for the right to remain silence can be divided into individual ones based on the role of prohibiting compelled self-incrimination to protect the right of criminal defendant and systemic ones resting on the values of accusatorial system and fair trial ideology. In the adversary criminal systems of England and USA, when the right to remain silent is exercised, defendants cannot be used as evidence and prosecutors should not examine the defendants. On the contrary, in the continental criminal systems of Germany and Japan, where ex officio examination is pervasive, it is predominant view that prosecutors can interrogate the defendant even when the defendant exercises the right to remain silent. The exact reason for recent revision of Korean criminal procedure law regarding defendant interrogation is still controversial. The revision cannot be a persuasive reason for assuring prosecutor`s right to interrogate defendants when the defendant refuses to answer all questions in advance. Considering the spirit of accusatorial system, the recent revision of criminal procedure law which adds the right to refuse to answer all questions and power of the presiding judge that restrict the prosecutor`s right through balancing interests of both parties, the presiding judge may restrict the prosecutor`s right of interrogation when the defendant exercise the right to remain silent, and in that case, even if the defendant choose to answer the question of his/her lawyer, we could not find proper ground for the removal of the privilege and cross-examination of the prosecutor would not be admissible.

      • KCI우수등재

        헌법적 형사소송론 관점에서의 진술거부권의 함의

        김혜경(Hyekyung KIM) 한국형사법학회 2023 刑事法硏究 Vol.35 No.2

        국가기관은 도덕적 존재도 아니고, 인간인 개인에게 진실의무를 강제할 수 있는 주체도 아니다. 개인이 인간으로서 진실을 말해야 하는 도덕적인 의무를 가진다고 하더라도, 그것으로부터 국가기관에게 진술을 강요할 권한이 부여되는 것도 아니다. 국가기관의 강제의 허용범위는 능동적 의무부과의 영역이 아니라 수동적인 수인의무만이강제가 가능한 것이다. 그렇다면 진술을 할 것인지 여부에 관하여 국가가 진술을 할것에 관한 능동적 의무를 부과할 수 없으며, 진술강요는 형사절차에 있어서 국가형벌권행사를 위한 인간의 수단화, 정보수집의 도구화로 전락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뿐이다. 또한 신문절차의 주된 목적은 진실발견에 있는 것이 아니다. 진실발견은 증거수집을 통한 국가의 의무일 뿐이고, 형사절차의 일부로서 신문은 당사자에게 이익되는 주장을 할 기회의 부여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당사자인 진술자가 스스로에게 이익되는 주장을 함은 물론 반대로 스스로에게 불이익 되는 주장에 대하여 함묵할 권리도 가지는 것이다. 인간의 고유의 속성, 인간본성에 해당하는 부분은 인간으로서의가장 본질적인 구성이자 가장 취약한 영역이기도 하다. 헌법적 형사소송론을 추구하고 헌법이 형사상 불리한 진술의 강요금지를 명문화하고 기본권의 본질적 내용침해 금지를 규정하는 이유는, 그 어떠한 경우에도 인간의본질을 구성하는 부분이자 인간본성의 영역은 절대적으로 존중받아야 함을 의미하는것이다. 그리고 자기부죄거부의 권리가 진술거부권의 형태로 표현될 때에는 법률로서도 이를 제한하거나 강제할 수 없다고 보아야 한다. 다만 그와 같은 권리를 헌법상 원리로 천명하고 법률로써 보장한다고 하더라도 실질에 있어서는 진술거부권자의 권리행사가 권리자에게 불이익을 초래한다면 권리의 형해화가 이루어짐은 명약관화하다. 여기에서는 헌법적 형사소송론의 의미로부터 출발하여 진술거부권이 구체적으로어떠한 모습을 가져야 하는지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는 헌법적 형사소송론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nemo tenetur 원칙으로부터 자기부죄거부 특권과 그로부터 파생된 진술거부권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nemo tenetur 원칙이 형법과 형사소송법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진술거부권의 실질적 보장방법으로서 침묵권과 묵비권 및 진술거부권의 개념을 살펴보고, 진술거부권의 속성을 살펴보았다. 진술거부권이 신문을 받지 않을 권리인지 아니면신문에 대하여 답변을 거부할 권리인지를 분석하고 전자에 해당하므로 진술거부권을행사하면 국가기관은 신문권을 상실한다고 보았다. 또한 선택적 진술거부와 포괄적또는 전체적 진술거부가 권리의 내용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입건 전 피혐의자의 진술거부권 보장문제, 참고인이나 증인의 진술거부 가능성, 진술거부권 고지의 상대방, 자신 이외의 자를 위한 진술거부권의 행사가능성 등의 문제를 살펴보았고, 반대로 신체의 일부가 증거가 되어서 영장주의의 적용을 받는 범위는 진술거부권과 관련이 없다고 보았다. State institutions are neither moral beings nor subjects that can enforce truth obligations on human individuals. Even if an individual has a moral obligation to tell the truth as a human being, it does not give the authority to force state agencies to make statements. The scope of compulsion of state institutions is not the area of active obligations, but only passive obligations can be enforced. If so, the state cannot impose an active obligation to make a statement as to whether to make a statement, and the compulsion to make a statement will only lead to the reduction of human means for the exercise of national punishment rights in criminal procedures and the instrument of information collection. Also, the main purpose of the interrogation procedure is not to discover the truth. The discovery of truth is only the state's duty through the collection of evidence, and as part of criminal proceedings, examination or interrog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giving the parties an opportunity to make arguments that benefit them. Therefore, the person who is a party has the right not only to make claims that are beneficial to himself, but also to remain silent on claims that are disadvantageous to him. The part corresponding to human's unique attributes and human nature is the most essential composition as a human being and the most vulnerable area. The reason for pursuing constitutional criminal procedure theory, stipulating the prohibition of coercion of criminally unfavorable statements, and the prohibition of infringement of the essential contents of basic rights means that in any case, the area of human nature must be absolutely respected. In addition, when the right to refuse self-incrimination is expressed in the form of the right to refuse to state,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law cannot limit or enforce it. However, even if such rights are declared as constitutional principles and guaranteed by law, it is clear that if the exercise of the right to refuse to state causes disadvantages to the right holder, the right will be criminalized. Here, starting with the meaning of the constitutional criminal procedure theory, is examined what the right to refuse to state should look like in detail. Specifically this paper is examined what the theory of constitutional criminal proceedings is and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vilege of self-incrimination from the nemo tenetur principle and the right to refuse to state derived therefrom. It also confirmed how the nemo tenetur principle is reflected in the criminal law and the criminal procedure law. In addition, the concept of the right to silence, the right to remain silent, and the right to say nothing as a practical method of guaranteeing the right to refuse to state, and the properties of the right to refuse to state were examined. It analyzed whether the right to refuse to answer or the right to refuse to answer for questioning or interrogation, and argued that the state agency would lose the right to refuse to testify because it corresponds to the former. It was also confirmed that selective denial of statement and comprehensive or total denial of statement were the contents of the right. In addition, issues such as guaranteeing the accused's right to refuse to state before being booked, the possibility of a witness or witness's refusal to state, the other party to the notification of the right to refuse to state, and so on. However, it was considered that the extent to which part of the body becomes evidence and is subject to warrantism was not related to the right to refuse to state. In a 1964 U.S. Murphy ruling, Justice Goldberg called it reflections man of our fundamental values and most no-obligation, saying that one of the great landmarks in man's strict to make him self-civilized. The right to refuse to state is an essential human right and must be absolutely guaranteed.

      • KCI등재

        형사사법절차에서의 진술거부권에 대한 연구 : 증인으로서의 피해자와 신문의 대상으로서의 피의자·피고인을 중심으로

        오경식 한국피해자학회 2011 被害者學硏究 Vol.19 No.1

        There has been a long history of trying to protect and increase the rights of the accused and the defendant. During this long history, the criminal victims were kept at a distance from the judicial system. To the present, the crime victims are more important than the accused and defendant in judicial system. The amendment of the criminal procedure law elevates the victim's right in the judicial system. But the most important thing in criminal proceeding is a fair trial. A fair trial is when there is a balance between the prosecutor and the defendant. According to the criminal procedure law, the right of the prosecution to question the defendant can exclude the right of the defendant to remain silent, because current law recognizes the right of the prosecution and defence attorney to question independently from the right of the defendant to remain silent. The prosecuting attorney can question the defendant only if they tell that he does not have to answer all the questions. But the decision is up to the defendant whether to refuses all questions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r to partly reply and partly refuses. Therefore this article attempts to analyze 'the right to take part in trial' of the victims' and 'the right to remain silent' of the defendants in criminal proceeding.

      • KCI등재

        행정조사와 진술거부권 고지의무-대법원 2014.01.16. 선고 2013도5441 판결-

        정한중 ( Han Joong Jung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외법논집 Vol.38 No.2

        오늘날에는 행정권의 비대화와 권력적 행정의 증가로 권력적인 행정조사에 의한 인권침해의 가능성이 더욱 커지고 있고 우리 헌법이 반드시 ‘형사절차’나 실질적 형사절차에서 진술거부권을 보장한다고 규정하지 않고 ‘형사상’ 자기에게 불리한 진술이라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행정절차, 민사절차 등에서도 피조사자가 자기의 진술로 인하여 앞으로 형사절차에서 형사상 책임을 질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면 진술거부권을 인정하여야 한다. 진술거부권 고지의무 여부는 진술거부권의 진술과 달리 조사자를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즉 조사대상자는 행정조사가 고발 등을 통해 형사절차로 이행될지 여부, 결과적으로 이행되었더라도 진술 당시는 언제 이행될지 등을 알 수 없는 위치에 있으므로 권력적 행정조사를 포함한 일반적인 행정조사에서도 조사자가 피조사자에 대하여 구체적 진술이나 보고를 하게 하는 경우에, 조사자가 그 행정조사 시에 피조사자의 진술 등이 형사절차에서 증거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거나 인식할 수 있었을 때에는 그 조사 개시 전 피조사자에게 진술을 거부할 수 있음을 고지하여야 한다고 본다. 조사자의 인식 여부는 객관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조세범 처벌 등 관계기관이 고발이 있어야 처벌을 할 수 있는 전속고발권을 가진 기관의 조사자는 물론 그 조사자가 소속된 기관에서 자주 고발이나 수사의뢰를 하였는지 등 여러 사정을 종합하여 조사 당시를 기준으로 사후적으로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선거관리위원회의 직원이 하는 선거범죄의 피조사자에 대한 조사 절차는 형사절차나 준형사절차는 아니라고 하더라도 형사책임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많은 행정조사절차이고, 선거관리위원회에서는 수사기관에 대한 수사의뢰나 고발권이 있고, 이를 상시적으로 행사하는 기관이라는 점에서 조사자는 조사개시 당시에 조사자의 진술결과가 형사절차에서 증거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충분히 인식하였다고 할 수 있으므로 조사자의 진술거부권 고지의무도 인정되어야 하므로 대상판결은 타당하지 않다. As administrative authority is increasing in power and power-related administration is rising these days, there are more chances that the power-related administrative investigation causes violation of human rights. Moreover, the Korean Constitution does not rule that the right to refuse to make statement is assured only in the ‘criminal procedure’ or de facto criminal proceedings. The Constitution rather regulates the right is guaranteed to all the statements which could be against the person under a criminal charge. Therefore, the right to remain silent has to be granted in the administrative or civil procedures if the examinee’s statements can be used to take penal responsibilities in the following criminal procedures. When to notify the right to remain silent has to be decided by the standard of the examinee. In other words, the right has to be notified to the examinee in his detailed statements or reports before beginning official investigation. The right should be reported if the examinee recognizes or is likely to recognize that his statements in the general administrative procedures (including the power-related investigation) could be used as evidence in the criminal procedures. This is because the examinee at the time of making statements generally does not know whether the administrative examination continues to the criminal procedure through accusations or charges. Neither he knows when to convert to criminal proceedings. Whether the examinee ‘recognizes’ or not has to be objectively judged. It should be decided afterwards, by the standard of the investigation launch, with taking the whole circumstances into consideration. These circumstances illustrate whether the examiner has the exclusive power to accuse such as the punishment of tax evaders and whether the examiner or the institution he belongs to frequently do accusation or request for investigation. The finding in this research suggest that the judgement in discussion is not valid because the right to remain silent has to be notified at the beginning of the official examination to the examinee related to election offense. At the time of the beginning of the investigation, he already fully recognizes that his statements could be used as criminal evidence. Since the investigation procedure by the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often continues to criminal procedures, the Commission has the power to request prosecution investigation or accuse, and the Commission regularly exercises these rights, it is highly significant to notify the examinee of the right before starting the examination.

      • KCI등재

        한국형 미란다 원칙의 재정립과 수사 실무와의 관계에 관한 고찰

        김두원 중앙법학회 2019 中央法學 Vol.21 No.2

        현재 진행 중인 수사권 조정 문제로 말미암아 수사 주체로서 거듭나려는 경찰과 기존 수사 권한의 전부를 가졌던 검찰의 권한 수호가 충돌이 계속되고 있는데, 그에 앞서 우리는 다른 국가들의 형사절차에 영향을 미친 미국의 미란다 판결을 근거로 받아들인 한국형 미란다 원칙을 수사기관이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지 다시 한 번 돌아볼 필요가 있다. 2007년 6월 1일부로 형사소송법이 개정되면서 ‘체포와 피의사실 등의 고지’라는 명칭으로 미란다 원칙 고지의 원칙인 제200조의5가 신설되었다. 사실 미란다 원칙을 고지하라는 실무상 관행은 이미 1990년대 초에 정립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미란다 원칙을 고지하게 된 배경에는 진술거부권을 고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수집한 증거의 증거능력을 배제한 판례(대법원 1992. 6. 23, 92도682 판결)도 한국형 미란다 원칙의 탄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변호인 참여권을 인정한 대법원과 헌법재판소의 결정은 한국형 미란다 원칙의 완성으로 볼 수도 있겠다. 하지만 한국형 미란다 원칙의 의미와 영향력이 미국법 역사에 있어 가장 놀랍고도 참신한 판결로 꼽히는 미란다 판결 취지에 비견할 수 있는지는 의문이 있다. 물론 한국형이라는 말을 붙인 만큼 우리의 수사 환경에 맞추어 정립된 미란다 원칙이라는 입장도 있을 수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현실적으로 체포와 동시에 피의사실요지를 고지 받고 변호인을 선임할 수 있다는 미란다 원칙 고지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미란다 원칙이 실제 수사현실에 변화를 주었는지에 대해서는 그 변화가 미미하다는 비판도 있다. 또한, 변호인의 역할은 수사기관에 의해 제약을 받는 취약한 권리라는 인식이 있다. 이러한 간극을 해결하기 위해 학계와 변호사 업계에서는 변호인 참여권을 강화하기 위하여 노력을 하고 있지만, 최근의 변호인 참여권 관련 논의는 지나치게 권리 그 자체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모양새다. 변호인 참여권을 모든 수사단계로 확대하겠다는 권리 그 자체의 확장을 위한 노력들이 의미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문제는 정작 변호인 참여권으로 인해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게 되는 피의자를 중심으로 한 논의는 부족하다는 생각이 있다. 따라서 미국의 미란다 판결 전후의 과정을 이해함으로써 현재의 한국형 미란다 원칙을 새롭게 정립할 필요가 있겠다. 이익 측면에서만 바라보는 변호인 참여권에 대한 소모적인 논쟁에서 벗어나 피의자를 진정 고려하는 논의로 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하다. 피의자가 헌법상 보장된 진술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미란다 원칙 고지방법부터 피의자 신문단계에까지 세심하게 고려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우리의 수사 현실상 변호인 참여가 제한될 경우 피의자에게는 진술거부권이 있음을 다시 고지하는 절차도 필요하다는 생각이다. 헌법에서도 보장되는 권리가 그동안 보장되어왔던 다른 미란다 원칙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여겨졌음을 생각해보면 이를 다시 보장하려는 방향으로 바꾸는 것은 충분히 가능한 일이다. 이는 앞으로의 수사기관이 행하는 수사 실무상 부담을 줄이는 데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이다. 결국 수사를 전담하는 수사경찰과 기소를 전담하는 검찰의 단계를 확립하고 수사에 들어서는 시점에서의 한국형 미란다 원칙을 정립하여 체포 순간부터 수사 종결 후 기소에 이르기까지 국민이 납 ... The conflict between the police which is reborn to establish independence of investigation and the prosecution which had all the established authority to investigate, is continuing because of the ongoing investigation adjustment issue. Before that, it is necessary to look again at whether the investigative institution is properly performing the Korean Miranda Principles based on Miranda Verdict of United States of America, which affected the criminal procedure of other countries. As the Criminal Procedure Act was revised on June 1, 2007, the Article 200 by 5, the principle of the Miranda principle notice, was established newly named as "Notice of Arrest and a Suspected Matter". But, in practice, the customary practice of noticing the Miranda principle has already been established in the early 1990s. In the background of this notion of Miranda principle, it is connected with the case (the Supreme Court of June 23, 1992, 682 ruling), stated excluding the evidence capacity of the evidence collected without notice of the right to remain silent is also closely related to the birth of the Korean Miranda Principle. The decision of the Supreme Court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which recognized the right to participate in the defense, can be seen as the completion of the Korean Miranda Principle.   However, it is doubtful whether the meaning and influence of the Korean Miranda principle is comparable to Miranda Verdict,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surprising and novel judicial decision in U.S. legal history. Of course, as attached ourselves Korean type to Miranda Principle, it is a Miranda principle that has been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our investigative circumstances, but, in Korea, there is no way to check whether to notice well the fact that Miranda Principle and a Suspected matter with Arrest. There is criticism whether Miranda Principle has changed the reality of the investigation. Also, the attorney's role is perceived as a vulnerable right that is restricted by investigative institution. In order to resolve this gap, academics and lawyers are making efforts to strengthen their right to participate in the defense by attorney, but recent discussions on attorneys' right to participate in the defense have seemed to focus too much on rights itself. The extension of the right to participate in the defense to all stages of investigation is not meaningless, but the problem is that there is a lack of discussion centered on the Suspect who are directly affected by the right to participate in the counse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newly establish currently Korean Miranda principle by understanding the before and after process of Miranda Verdict. And it is necessary to converse the paradigm as carefully considering the Suspect instead of the exhaustive debate on the right to participate in the defense by attorney. It should be considered prudently from a method of warning the Miranda Principle to the stage of interrogation of the Suspect for using the right to remain silent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In particular, if the participation in investigation of the Suspect’s attorney is limited, it is necessary to re-notify the Suspect about their right to remain silent. The rights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have been relatively neglected in the past, compared to other states(Article 200 by 5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of Miranda principles, it is quite possible to change to the direction to guarantee again. This will also have a positive effect in reducing the burden of investigation work done by future investigators.   In the end, if the investigative Police that take exclusive responsibility of investigation and the Prosecution that take complete charge of indictment are settled, and if the value chain in which the human rights and the public power are harmonized, at the same time, as establishing the warning obligation to consistently Miranda Principle and the right to participate in the defe...

      • KCI우수등재

        재판과정에서 피고인의 인권 보호 –피고인의 증거동의를 중심으로-

        이주원 법조협회 2020 法曹 Vol.69 No.1

        The system regarding the Agreement to Evidence, together with the Protocol in Question and Answer Form are the two major elements of the Trial based on Protocol. Recently, there have been amendments to the Criminal Procedure Act, which restrict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in terms of a protocol containing a statement of a suspect in which a prosecutor recorded to the equal level of the same in which a senior judicial police officer recorded. Criminal defendant's Agreement to Evidence submitted by the prosecutor is a disadvantageous procedural act allowing it to be used against him as evidence of guilt. Agreement to Evidence should be made by way of actively declaring one's intention regarding specific evidence submitted by a prosecutor, rather than a way that is implicit or simply without objections. To this end, the presiding judge must sufficiently explain the effect of the Agreement to Evidence beforehand. However, the current practice of trial is far from it. It is not in line with the ideology of achieving equality of opportunity in procedures and constitutional fair trial right to allow a criminal defendant to undertake a disadvantageous procedural act against himself without sufficient prior explanation and full understanding of the evidence presented by the prosecutor. In order to attach importance to the actual meaning of criminal defendant's Agreement to Evidence and rectifying the practice of trial based on protocol,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nstitutionalizing sufficient prior explanation regarding the effect of Agreement to Evidence by a presiding judge. Criminal defendant's statement giving an opinion on whether or not to agree to evidence is subject to the right to remain silent, and statement on whether or not to approve the authenticity in the formation of the protocol regarding a documental evidence, according to the judicial precedent, is also subject to the right to remain silent. Therefore, the most effective way is considered to enact the system of notifying the right to refuse Agreement of Evidence, taking into account the section 244-3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stipulating the system of investigative agency giving notice of Right to Remain Silent. It is expected that substantially guaranteeing Agreement to Evidence through sufficient prior explanation will be an effective method to implement the ideology of achieving equality of opportunity in procedures and constitutional fair trial right, preventing the harmful effect of the trial based on protocol. 증거동의제도는 문답식 조서와 함께 조서재판을 지탱하는 양대 요소이다. 최근에는 검사 작성의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을 사법경찰관 작성의 피의자신문조서와 동일하게 제한하는 내용의 형사소송법 개정이 있었다. 피고인의 검사 제출 증거에 대한 증거동의는 자신에게 불리하기만 한 증거를 자신에 대한 유죄의 증거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불이익한 소송행위이다. 증거동의는 묵시적이거나 이의가 단순히 없다든가 하는 방식이 아니라 검사 제출의 특정 증거에 대하여 증거능력을 부여한다는 적극적 의사 표명의 방식으로 행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그 전제로써 증거동의의 효과 등에 대한 재판장의 충분한 사전 설명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의 재판실무는 전혀 그렇지 않다. 피고인이 검사 제출의 증거에 대하여 충분한 사전설명과 완전한 이해 없이 자신에게 불이익한 소송행위를 하도록 방치하는 것은 무기평등과 헌법상 공정한 재판의 이념에 부합하지 않는다. 피고인의 증거동의가 갖는 실질적 의미를 중시하고 조서재판의 관행을 시정하기 위해서라도, 증거동의의 효과에 대한 재판장의 충분한 사전설명을 제도화하는 방안을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증거동의 여부에 대한 피고인의 의견진술도 진술거부권의 대상이 되며, 판례에 의하더라도 증거서류에 대한 진정 성립의 인정 여부의 진술은 진술거부권의 대상이 된다. 따라서 무엇보다 형사소송법 제244의3 제1항에 규정된 수사기관의 진술거부권 고지제도를 참작하여, 피고인의 진술거부권의 한 내용이 되는 증거동의거부권에 대한 고지제도를 형사소송법에 명문으로 입법화하는 것이야말로 가장 효과적인 방안이 될 것으로 본다. 충분한 사전설명을 통한 증거동의권의 실질적 보장은, 조서재판의 폐해로부터 벗어나 무기평등과 헌법상 공정한 재판의 이념을 구현하고 재판과정에서 피고인의 인권 및 방어권을 보장하는 유효적절한 방안이 될 것으로 기대해 본다.

      • KCI우수등재

        재판과정에서 피고인의 인권 보호 -피고인의 증거동의를 중심으로 -

        李柱元 ( Rhee Joo-won ) 법조협회 2020 法曹 Vol.69 No.1

        증거동의제도는 문답식 조서와 함께 조서재판을 지탱하는 양대 요소이다. 최근에는 검사 작성의 피의자 신문조서의 증거능력을 사법경찰관 작성의 피의자신문조서와 동일하게 제한하는 내용의 형사소송법 개정이 있었다. 피고인의 검사 제출 증거에 대한 증거동의는 자신에게 불리하기만 한 증거를 자신에 대한 유죄의 증거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불이익한 소송행위이다. 증거동의는 묵시적이거나 이의가 단순히 없다든가 하는 방식이 아니라 검사 제출의 특정 증거에 대하여 증거능력을 부여한다는 적극적 의사 표명의 방식으로 행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그 전제로써 증거동의의 효과 등에 대한 재판장의 충분한 사전 설명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의 재판실무는 전혀 그렇지 않다. 피고인이 검사 제출의 증거에 대하여 충분한 사전설명과 완전한 이해 없이 자신에게 불이익한 소송행위를 하도록 방치하는 것은 무기평등과 헌법상 공정한 재판의 이념에 부합하지 않는다. 피고인의 증거동의가 갖는 실질적 의미를 중시하고 조서재판의 관행을 시정하기 위해서라도, 증거동의의 효과에 대한 재판장의 충분한 사전설명을 제도화하는 방안을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증거동의 여부에 대한 피고인의 의견진술도 진술거부권의 대상이 되며, 판례에 의하더라도 증거서류에 대한 진정 성립의 인정 여부의 진술은 진술거부권의 대상이 된다. 따라서 무엇보다 형사소송법 제244의3 제1항에 규정된 수사기관의 진술거부권 고지제도를 참작하여, 피고인의 진술거부권의 한 내용이 되는 증거동의거부권에 대한 고지제도를 형사소송법에 명문으로 입법화하는 것이야말로 가장 효과적인 방안이 될 것으로 본다. 충분한 사전설명을 통한 증거동의권의 실질적 보장은, 조서재판의 폐해로부터 벗어나 무기평등과 헌법상 공정한 재판의 이념을 구현하고 재판과정에서 피고인의 인권 및 방어권을 보장하는 유효적절한 방안이 될 것으로 기대해 본다. The system regarding the Agreement to Evidence, together with the Protocol in Question and Answer Form are the two major elements of the Trial based on Protocol. Recently, there have been amendments to the Criminal Procedure Act, which restrict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in terms of a protocol containing a statement of a suspect in which a prosecutor recorded to the equal level of the same in which a senior judicial police officer recorded. Criminal defendant's Agreement to Evidence submitted by the prosecutor is a disadvantageous procedural act allowing it to be used against him as evidence of guilt. Agreement to Evidence should be made by way of actively declaring one's intention regarding specific evidence submitted by a prosecutor, rather than a way that is implicit or simply without objections. To this end, the presiding judge must sufficiently explain the effect of the Agreement to Evidence beforehand. However, the current practice of trial is far from it. It is not in line with the ideology of achieving equality of opportunity in procedures and constitutional fair trial right to allow a criminal defendant to undertake a disadvantageous procedural act against himself without sufficient prior explanation and full understanding of the evidence presented by the prosecutor. In order to attach importance to the actual meaning of criminal defendant's Agreement to Evidence and rectifying the practice of trial based on protocol,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nstitutionalizing sufficient prior explanation regarding the effect of Agreement to Evidence by a presiding judge. Criminal defendant's statement giving an opinion on whether or not to agree to evidence is subject to the right to remain silent, and statement on whether or not to approve the authenticity in the formation of the protocol regarding a documental evidence, according to the judicial precedent, is also subject to the right to remain silent. Therefore, the most effective way is considered to enact the system of notifying the right to refuse Agreement of Evidence, taking into account the section 244-3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stipulating the system of investigative agency giving notice of Right to Remain Silent. It is expected that substantially guaranteeing Agreement to Evidence through sufficient prior explanation will be an effective method to implement the ideology of achieving equality of opportunity in procedures and constitutional fair trial right, preventing the harmful effect of the trial based on protocol.

      • KCI등재

        방어권 남용론 비판

        김인회(Kim In-hoe)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法學硏究 Vol.18 No.1

        방어권은 형사절차의 공정성을 담보하고 피의자?피고인의 존엄성과 주체성을 보장하는 최후의 수단이다. 방어권의 보장 없는 형사절차는 상상할 수 없다. 하지만 현재 실무와 많은 이론은 피의자?피고인의 방어권을 제약하고 경시한다. 방어권에 대한 경시는 방어권 남용론의 형태로 나타난다. 방어권 남용론은 방어권이 피의자?피고인의 태도에 따라 남용될 수 있으며 그 남용에 따른 불이익은 피의자?피고인이 져야 한다고 본다. 방어권 남용론은 변호권 남용론으로 확장된다. 방어권 남용론은 첫째, 진술거부권 행사 제약, 둘째, 피고인의 출석권 제약, 셋째, 증거동의권 남용, 넷째, 반대신문권과 증인대면권 제약, 다섯째, 변호권 제약 등의 형태로 나타난다. 방어권은 다른 보통의 권리와 성격이 다르다. 피의자?피고인의 방어권은 소극적, 수동적인 권리이므로 논리적으로 남용이 불가능한 권리이다. 방어권은 인간의 존엄성과 주체성을 지키기 위한 시민의 최후의 권리이자, 형사소송의 근본적인 권리이므로 성격상 제한되지 않는다. 방어권은 형사소송의 근본 목표인 공정한 재판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므로 제한되어서도 안된다. 방어권 남용론의 근거인 신속한 재판의 원칙은 원래 피고인을 보호하기 위한 원칙이었으나 소송경제를 더 강조하고 피고인의 이익을 희생시키는 것으로 변질되었다. 이것은 신속재판 원칙을 적법절차 원칙과 무관한 독립된 형사절차의 근본원칙으로 보기 때문이다. 방어권 남용론은 권리남용론에 이론적 근거를 두고 있고 공소권 남용론과도 비교된다. 권리남용론의 객관적 요건 혹은 고려사항은 방어권에 적용되지 않는다. 방어권은 일반 권리와 달리 국가에 대한 시민의 공권이고 사회공동체가 가장 중요하다고 헌법적 차원에서 결단한 권리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공소권과 방어권은 법적인 성격이 다르다. 공소권은 국가공권력의 권한이므로 통제되어야 하지만 방어권은 시민의 최후의 권리이므로 통제의 대상이 아니다. 방어권 남용론은 국가중심의 권위주의적 사고방식, 직권주의적 소송구조에서 비롯된다. 방어권 남용론은 방어권의 성격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방어권이 남용되는 사례로 보는 폭행, 협박, 공무집행방해, 범인은닉, 증거인멸 등의 행위는 이미 방어권에 속하지 않는다. The Defence Right is the last method to guarantee the fairness of the criminal proceedings and to protect the human dignity and identity. However, the Defence Right is neglected in the theory and practice of the criminal proceedings. The Abuse of the Defence Right sees that the Defence Right can be abused and that the defendant should be penalized according to the abuse. The types of the Abuse of the Defence Right are (1) the restrict of the right to remain silent, (2) the restrict of the right to attend the court, (3) the abuse of the right to consent the evidence, (4) the restrict of the right of cross-examination and the right to face the witness, (5) the restrict of the Counsel’s right. The Defence Right is different from the other normal rights. The Defence Right logically can not be abused because it is passive. The Defence Right should not be restricted because it is the last right to protect the human dignity and identity and the fundamental right of the criminal proceedings. Further, the Defence Right is the key component for the fair trial. The Abuse of the Defence Right is resort to the Speedy Trial Principle, which is created originally for the interest of the Defendant but changed for the interest of the court. The Abuse of the Defence Right is based on the Abuse of the Right. However, the requirement of the Abuse of the Right can not be applied to the Abuse of the Defence Right. The Defence Right is the citizen"s right against the State and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The Abuse of The Defence Right comes from the authoritarian mentality and the inquisitorial system. Violence, Threat, Obstruction of Performance of Official Duties, Harboring Criminal, and Destruction of Evidence which are introduced as the abuse of the Defence Right are no more the Defence Right, just cri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