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 비교연구

        이혜정,모선희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 차이를 비교하고 노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한국 대학생 240명과 중국 대학생 21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SPSS 24.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주요연구 결과로는 중국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가 한국 대학생보다 긍정적이며 노인에 대한 지식은 한국 대학생이 중국 대학생 보다 높았다. 회귀분석 결과, 노인에 대한 심리적 지식과 노인을 존경대상으로 인정하는 정도가 한국과 중국 대학생 모두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경로의 전통사상은 지속적으로 계승되어야 할 것이다.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이해와 올바른 지식을 가질 수 있는 교육과 노인과의 교류 프로그램도 개발, 보급되어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wards the elderly between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and to identify influencing factors on the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240 Korean and 218 Chinese university students and data were analyzed by SPSS 24.0 program. Those are main results. The attitudes towards the elderly for Chinese students were more positive than Korean students. The knowledge level of the elderly for Korean stud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ir Chinese counterparts.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the psychological knowledge of the elderly and respects towards the elderly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attitudes towards the elderly among both in Korean and Chinese studen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traditional way of respecting our elders should be passed on continuously. In order for university students to properly understand the elderly and obtain proper knowledg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distribute programs to allow students to interact with senior citizens as well as actively carrying out education concerning the elderly.

      • KCI등재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한 고등학생의 경로행동 예측

        정민숙,고은교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1 학교사회복지 Vol.- No.20

        본 연구는 현대 사회문제 중 하나인 노인소외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경로행동 방안을 제시하고자 고등학생의 경로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였다.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한 연구 설계에 의하여 나타난 제 요인에 관한 관계성 및 영향을 검증하였다. 경로행동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은 행동의도에, 지각된 행동통제는 행동의도와 행동에, 행동의도는 행동에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연구모형 검증결과 구조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수용할 만한 것으로 나타났고, 가설 검증 결과 계획된 행동이론에 근거한 모든 가설이 지지되었다. 계획된 행동이론의 모형이 경로행동에 대한 영향요인을 측정․분석함으로써 사회복지 분야의 다양한 행동관련 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 유용성을 재확인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ed highschool students' respective behavior towards the elders to mitigate the alienation of elders which has been one of Korea's major social problem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was applied in designing this study to discover relationships between the facto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First, students' attitude toward their respective behavior related to elders, and subject norms was related to purpose of action; seco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was related to purpose of action or the action itself; thirdly, purpose of action was related to action. The fit indices of structural model were acceptable and all hypotheses were supported as a result of hypothesis testing through regression analysis. The possibility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 being used as an advantageous tool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research was rediscovered for it could effectively measure and analyze effect factors associated with behaviors toward the el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