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록관리법의 개정과 관련한 제문제 연구

        김성수(Sung-Soo Kim) 한국기록관리학회 2004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4 No.2

        이 논문은 기록관리법의 개정과 관련하여, 우리나라 기록관리의 현황에서 개선되어야 할 방안을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하여 논술하였다. 그 세 가지 사항은 바로 1)중앙기록물관리기관으로서의 <국가기록원(National Archives & Records Service of Korea)>의 위상 문제, 2)기록관리 전문인력의 제도 및 양성 문제, 3)기록박물전시관의 설치 문제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의 <국가기록원>은 국가 중앙기록물관리기관으로서, 행정자치부 내에서 최소한 차관급 이상의 청(廳) 단위인 <국가기록청>으로 그 위상이 반드시 승격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둘째, 기록관리법에서 현재 ‘기록관리학 석사학위 이상 등’으로 규정된 학력제한 사항을 ‘기록관리학 학사 학위 이상 등’으로 하향조정하여, 기록관리 전문인력의 저변확대를 꾀하여야 한다. 그리고 기록관리 전문인력의 공무원 채용을 위하여 ‘연구직종 / 기록관리직군’을 신설하거나, 현재의 ‘학예직’ 및 ‘사서직’ 및 ‘기록관리직’을 통합하여 새로운 ‘기록문화직군’을 독립직군으로 신설하는 방안도 검토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셋째, 각 지방자치단체 기록관 사업에서는 각 지방자치단체 특유의 전통문화와 기록유산을 계승·발전시키는 것이 최우선 과제로 선정되어야 가장 중요한 사명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개정될 기록관리법에는, 현행 기록관리법에 명시되지 못한 각 지방자치단체에 <기록관>의 설립을 의무화함과 동시에, 이 기록관 내에 이른바 <기록박물전시관>의 설치를 의무화하도록 제안하였다. 또한 해당 지방자치단체에서만 독특하게 형성된 유구한 문화와 역사를 그 지방자치단체의 기록관에서 특성화시킴으로써, 여타 지자체의 기록관과는 차별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각 지자체별로 특성화된 기록관의 명칭을 부여하는 방안도 아울러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discusses how to improve the current environment for record management in relation to the Revision of the Law of Record Management in South Korea. Three major issues are: 1) Legal status of the National Archives & Records Service of Korea as the government institution in charge of managing centrally records, 2) System for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professionals who specialize in record management, and 3) Foundation of the national museum and archives of record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existing ‘National Office of Records’ as the government institution in charge of managing records, should be promoted to the ‘National Archives & Records Service of Korea’ in order to be administered by the class of a vice-minister in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Second, the qualification criteria which currently requires the Master s degree of Record Management, should be modified to include the Bachelor s degree in the field in order to expand the pool of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Also, to hire the public officials for record management, either the positions of ‘researcher/record manager group’ should be created, or the existing positions of librarian, archivist, and record manager should be integrated into the new position of ‘record culture group’. Third, the most significant task for the office of record management of local governments is to inherit and further develop the traditional culture and documentary legacy which are unique to those local communities and governments at various levels, and a priority should be given to those tasks. Therefore, when the Law of Record Management will be later revised, the establishment of the office of record management for local governments at every level should be required, and the museum and archives of records should be also established as a significant part of the institution. Unique local culture and history of particular communities should be collected and preserved in systematically specialized and differentiated ways in those institutions of record management, and the names should be uniquely given to the institutio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governments.

      • KCI등재

        기록 콘텐츠 개발 모형에 관한 연구 - 건축 문화재 기록을 중심으로 -

        류한조,김익한 한국기록관리학회 2009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9 No.1

        All records have attribute of representing the object, so archives should develop digital record exhibition to facilitate attribute that representing the object. If building cultural properties are chose as the represented object, it should be followed by analysis of nature values and record contents and applied to the suitable framework.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organized process of designing the framework which develops digital representing contents based on records. 이 글은 기록을 이용한 재현 콘텐츠를 개발하는 절차모형을 제시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모든 기록은 본질적으로 대상을 재현할 수 있는 속성을 지니므로, 이러한 속성을 활용하여 재현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다. 재현대상을 건축문화재로 선정한다면 건축문화재 가치와 기록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일정한 틀을 적용하여야 한다. 이 글은 이러한 과정을 하나의 프로세스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인권 의식과 민주주의의 진전을 위한 5·18광주민주화운동 기록의 수집전략

        이상민 한국기록학회 2016 기록학연구 Vol.0 No.48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y 18th (5·18)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archives to suggest a collection development strategy for the May 18th archives collection network. Individual public and civilian archives collecting the May 18th archives separately should form a cooperative collection network based on documentation strategy. Most of all, May 18th archives are human rights records and should be understood and collected as human rights records. International principles support the collection of the May 18th archives as human rights archives by prohibiting destruction of relevant temporary records and encouraging the victims’ right to access to their records. As the May 18th archives were mostly produced by many multiple agencies, this multi-provenance and diversity of the records necessitate the building of an archives portal for the records registries and online search. To document the undocumented past and the victims, the collection network should focus on oral history project as a major part of its collection development strategy. Finally, the May 18th archives collection network should build a cooperative relations with the unwilling public agencies which have the archives holdings. Therefore, the collection development strategy should include advocacy and awareness 이 글은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5·18광주민주화운동기록의 일반적인 특성과 유형적 특성을 분석하여 그것을 기초로 한 5·18기록 수집전략의 작성 방향과 구성요소를 제시한다. 5·18기록을 개별적으로 수집하고 있는 몇 개의 중추적인 기관은 5·18기록 수집네트워크를 구성하여 5·18기록을 기록화 전략을 통해 협력적으로 수집해야 한다. 5·18기록은 인권기록이며 여러 출처기관에서 생산된 다양한 기록의 집합체다. 5·18기록의 수집은 기본적으로 인권기록 수집전략으로서 추진되어야 하며 인권기록으로서 활용을 도모해야 한다. 국제기구의 기록원칙은 인권기록의 수집을 옹호하고 중요시하고 있다. 다출처 수집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5·18기록 목록을 수집하여 제공하는 종합목록 포털을 구축하는 방식으로 수집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기록화되지 않은 과거를 기록화하기 위한 구술사 수집이 5·18기록 수집의 주요한 활동이 되어야 하며, 이 구술사 수집이 5·18기록 수집전략의 중요한 요소가 되어야 한다. 5·18기록 수집네트워크가 효과적으로 5·18기록을 수집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문제는 공공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체제 구축이다. 5·18기록 수집전략에는 공공기관에서의 인권기록 의식을 증진시키는 5·18기록 수집네트워크의 옹호활동이 포함되어야 한다.

      • KCI등재

        손글씨 쓰기 자동화 기록을 활용한 작문 연구 방법의 확장

        강동훈 ( Kang Dong Hoon ) 한국작문학회 2018 작문연구 Vol.0 No.38

        이 연구는 손글씨 쓰기 자동화 기록을 활용한 작문 연구의 영역 및 연구 방법의 확장 가능성을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필자의 발달 과정에서 손글씨 쓰기가 지니는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디바이스에 적용된 기술을 응용하여 손글씨 쓰기 과정에 대한 자동화 기록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한 작문 연구의 장을 탐구하였다. 첫째, 표기 지식과 철자 지식 평가를 위한 연구이다. 둘째, 쓰기 발달 단계 평가를 위한 연구이다. 셋째, 손글씨 쓰기와 전자 작문 과정의 비교를 위한 연구이다. 이외에도 다양한 연구가 가능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extending the area and method of writing research using automated handwriting record. Despite the importance of handwriting in writing development,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In this paper, I propose an automated recording method for handwriting by applying the technology applied to smart device. And explored the field of writing research based on this. First, it is a study for notation knowledge and spelling knowledge evaluation. Second, it is a study for evaluation of writing development stage. Third, it is a study to compare handwriting writing and computer writing process. In addition, various studies will be possible.

      • KCI등재

        지역에서의 ‘동네의 기록문화’를 중심으로 한 공연콘텐츠 개발 사례 연구 - 공연 <안덕벌 삶 이야기> (2022)를 중심으로 -

        한정수 한국연기예술학회 2024 연기예술연구 Vol.34 No.2

        문화기본법 제5조에 따르면, 국가는 국민의 문화권을 보장하기 위하여 문화진흥에 관한 정책을 수립·실행하 고, 지역 간 문화 격차의 해소를 통하여 균형 잡힌 문화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며, 문화적 가치가 사회적 확산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하다고 제정 되어있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문화예술정책을 수립하여 모든 국민이 혜택을 받고, 문화예술을 향유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지역 문화 콘텐츠 개발은 문화·예술적 측면만이 아니라, 지역의 경제 활성화 및 지역의 특수성과 차별성에 대한 기반을 다질 수 있는 콘텐츠로, 각 지자체에서는 지역 문화 콘텐츠의 대표 콘텐츠의 구성을 통해 하나의 브랜드를 만들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청주는 기록문화 창의 도시로, 문화예술 콘텐츠 개발뿐만 아니라 동네를 중심으로 한 기록관의 운영 등을 운영하며 기록 문화도시로의 초석을 다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주의 안덕벌의 설화와 역사적 사실, 그리고 이를 이겨낸 사람들의 동네의 기록을 중심으로 문화예술 콘텐츠로 서의 실제적 공연제작사례를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중심이 되고 있는 공연 <안덕벌 삶 이야기>는 지난 2018년 초연되어 2022년까지 매년 작품에 대한 다양한 예술적 요소를 접목하여 관객들에게 다가가고자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지는 동네기록을 기반으로 한 공연콘텐츠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기기반연구를 통해 지역 브랜드의 가장 작은 단위인 동네를 중심으로 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이를 통한 동네 주민들의 삶을 공유하고, 향유함으로서 새로운 지역의 문화예술 콘텐츠로 자리 잡을 수 있으며, 급변하는 사회에 있어 디지털 콘텐츠로서도 부상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되는 바, 동네 기록을 통한 문화 콘텐츠의 개발을 통해 다양한 문화예술 콘텐츠로서의 확장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rticle 5 of the Framework Act on Culture, the state must establish and implement policies on cultural promotion to guarantee the cultural rights of its citizens, strive to achieve balanced cultural development by resolving cultural gaps between regions, and ensure that cultural values are promoted to social and social communities. It is enacted that it must be allowed to spread. Accordingly, the government is making continuous efforts to establish culture and arts policies so that all citizens can benefit and enjoy culture and arts. And also, the development of local cultural content is not only about cultural and artistic aspects, but also content that can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and lay the foundation for regional specificity and differentiation. Each local government creates a brand through the composition of representative local cultural content. It can be said that it is being created. Cheongju is a creative city of documentary culture, and it can be said that it is laying the foundation for becoming a city of recording culture by not only developing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s but also operating a local archive center.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study actual cases of performance production as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 focusing on the tales and historical facts of Andeokbeol in Cheongju, and the records of the neighborhoods of those who overcame it. The performance <Andeokbeol Life Story>, which is the center of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the first time in 2018 and is a performance content based on neighborhood records that is continuously developed to reach audiences by incorporating various artistic elements into the work every year until 2022. It can be said. Through such practice-based research, content centered on the neighborhood, the smallest unit of a local brand, can be developed, and through this, the lives of neighborhood residents can be shared and enjoyed, thereby establishing itself as a new regional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 and responding to rapidly changing situations. It is believed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it can emerge as digital content in society, and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great potential for expansion into various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 through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 through neighborhood records.

      • KCI등재

        고등학교 학교생활기록부 운영 실제 연구 : 일반고 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김정미 ( Kim Jung-mi ),조흥순 ( Cho Heung-soon ) 안암교육학회 2020 한국교육학연구 Vol.26 No.4

        이 연구는 일반고 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고등학교 학교생활기록부 운영의 실제와 문제점 및 개선과제를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문헌분석과 심층면담을 활용한 질적연구이다. 심층면담 대상은 경기도내 학교생활기록부 관련 업무 3년 이상인 교사 12명과 서울 소재 대학의 입학사정관 1명이었다. 연구결과, 현행 학교생활기록부의 기재 항목은 불필요하거나 중복되고, 학교 교육활동을 왜곡시키거나 사교육을 유발하고, 교사들의 업무부담을 가중시키거나 역할갈등을 초래하는 사항이 적지 않다. 따라서 핵심적인 항목인 인적·학적사항, 출결상황, 교과학습 발달상황,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등 4개 항목을 중심으로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인적·학적사항 항목의 주소 삭제, 출결인정 결석 악용 방지를 위한 인정결석 횟수 기재, 실효성 없는 대입 제공 수상경력 1개 제한 폐지, 학교밖 활동인 독서활동상황과 자격증 및 인증 취득상황, 봉사활동 항목 폐지와 개인별 혹은 국가기관 시스템 활용, 객관적 기술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항목 졸업시까지 비공개 등을 개선과제로 제시하였다. 학교생활기록부는 대입자료로서보다 학교교육활동을 효과적으로 뒷받침하는 자료로 더 활용될 수 있게 정책의 개선 노력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actical applications and problems of high school records, based on the awareness of teachers in general high schools, and to explore the desirable ways for improving school record items. Qualitative case studies were carried out to analyze and explore the on-site operation of high school records as well as literature analysis.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s were conducted with 12 teachers of general high school in Gyeonggi-do, who have taught for more than three years, as well as with one university admission officer whose university is located in Seoul.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the current high school record items are redundant and some of them are unnecessary; they distort the curricular activities in high school and induce private education; and they cause work burden and role conflict of high school teach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high school record system, based on the 4 essential items: personal and academic information, attendance status, curricular learning development,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comprehensive comments. Specifically,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number of attendance-acknowledged absence to prevent abuse of the system as well as to delete the student address in the personal and academic item, uneffective limit of listing only 1 award for university entrance,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such as reading, license and certificate. It is recommended to use the individual or government systems instead of listing volunteer activities in high school record. In order to guarantee objective description and reliability, it is also suggested to keep confidential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comprehensive comments until graduation. Much effort is required to improve high school record system in order to use them not as data for university entrance but as data for supporting learning in school effectively.

      • KCI등재SCOPUS

        Enhancing Business Continuity in the Oil and Gas Industry through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 Usage to Improve Off-Site Working: A Narrative Review

        Hawash, Burkan,Mokhtar, Umi Asma',Yusof, Zawiyah M.,Mukred, Muaadh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 2022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Vol.10 No.2

        The primary function of an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 (ERMS) is to support organisations in providing effective records management services by enabling efficient remote access to the organisations' records. This helps the organisation to continue running during emergency events, such as the COVID-19 pandemic. The need to study ERMS for accessing records remotely has increased dramatically, due to the increase in daily use. The situation arising from the COVID-19 pandemic has increased the need for implementing proper digital systems, such as ERMS, to enable efficient work processes and enhance business continuity. An ERMS has the potential to allow organisations to create records and workflows off-site. During a pandemic, the ability to structure processes digitally helps in maintaining operations remotely.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narrative review of the ERMS literature with an emphasis on explaining the primary components of ERMS that act as enabler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in the oil and gas sector of developing countries. The current study proposes ERMS roles and responsibilities that could enhance business continuity. The authors use a qualitative narrative review and analyse the literature related to this study and its findings. The results show that, in cases of risk or crises, staff members need to have easy access to their records and documents to remain productive. An ERMS allows professionals to remain active and work off-site. Thus, ERMS play a significant role in protecting an organisation's content through the monitoring and control over who has authorisation to access its records.

      • KCI등재

        연극기록물의 수집방안 연구

        정은진 한국기록학회 2011 기록학연구 Vol.0 No.29

        This study is intended to recommend for acquisition methods of the theatre collection. Theatre activities is representative of the performing arts, and the Korea theatre history start from the modern history of Korea. In the meantime, theatre collections has already been lost by a lack of effort and management, and scattered most of the collections. In particular, a one-off nature and volatility of theatrical performances make future generations to enjoy the performances and to study should consult the relevant records. Therefore, collecting records can be very serious mission. In this study, theatre collections of the country which aims to collect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type of theatre collections. Based on this information, collection scope, targets, priorities, acquisition level, method of collecting are proposed the following. First, collection scope is defined for the theatre related collections which was performed nationwide in the 1900s, the times that modern theatre was begun. The object includes related information of planning, administration, drama (script), directing, stage design, public relations, production, evaluation, personal records, biographical data, group data and space data. Second, the theatre collections are divided into records and historical records. Priority of collections object is determined by the historical value and the theatre performed by the support of public organization. Third, the acquisition level is divided into archived, mirrored, web linked and database, which is proposed by the determined levels of mandatory, recommend and discre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performance. Fourth, acquisition methods are suggested by the general acquisition methods of transfer, donation and purchase as well as the methods of copy, production, legal deposit, entry and web link etc. The acquisition of theatre collections is executed on digital-based environment, and a centralized authority control should be establishmented. And through the development of network with theatre’s stakeholders and the cooperation of related organizations, theatre collections acquisition is feasible. 연극은 공연예술을 대표하는 분야로 우리나라의 근대의 시작과 역사를 함께하고 있다. 그러나 그 동안 연극기록물을 관리하고자 했던 노력이 부족해 이미 유실되고 흩어져버린 기록물이 대부분이다. 특히 연극이라는 공연예술의 특성에 따라 작품 자체는 일회로 공연되고 사라져버리는 것이므로, 후대가 공연을 향유하고 연구하기 위해서는 관련 기록을 통해 흔적을 찾아볼 수밖에 없는 현실에서 연극 기록물을 수집하는 것은 매우 중대한 과제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당대에 행해지는 연극행위에 따른 기록물을 수집하는 것을 목적으로 기록물의 종류와 특성을 분석하고, 이 분석한 내용을 기반으로 수집범위, 대상, 우선순위, 수집 수준, 수집 방법을 제안하였다. 수집의 범위는 우리나라의 근대극이 시작된 1900년대 이후에 전국적으로 행해진 연극 관련 기록물로, 기획행정·희곡(대본)·연출·무대디자인·홍보·공연·평가·개인 기록물 외에 개인정보와 단체정보, 공간정보의 관련정보 기록물을 그 대상에 포함한다. 기록물은 일반기록물과 역사기록물로 구분하여 역사적 가치가 있고 공공기관의 지원에 의해 공연된 연극을 우선적인 수집 대상으로 정한다. 다양한 기록물의 수집 수준을 결정하기 위해 ‘원본수집’, ‘사본수집’, ‘웹 링크’, ‘데이터베이스’로 구분하고 공연의 성격에 따라 ‘필수’, ‘권장’, 재량‘의 정도를 정해 수준을 제안하고 이관, 기증, 기탁, 구입의 일반적인 수집 방법과 복사, 제작, 납본, 입력, 웹 링크 연결 등의 방법으로 기록물을 수집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집 방안의 실행을 위해서는 수집의 수행과 기록물의 활용은 디지털 기반 환경에서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통합 관리를 위한 중앙 집중형 기관 설립을 전제로 해야 하며, 연극의 이해관계자와 유관기관 간의 협력을 필요로 할 것이다.

      • KCI등재

        기록물의 검색 향상을 위한 패싯 개발에 관한 연구 - 대통령기록물을 중심으로 -

        성효주,이해영 한국기록관리학회 2017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17 No.2

        As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user-oriented services is increasing, there has been a heightened attention for finding aids that could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searching. This study tried to draw various facet elements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esidential records retrieval system using presidential records as cases in analyzing various resources,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facets in finding aids for the improvement of effectiveness in searching in the future and the importance of presidential records in Korea. In drawing facet element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presidential records, the websites of the National Archives (NARA) and Presidential (Prime Ministers’) Archives as well as their search options were examined as cases. In addition, the morpheme of each title of presidential records were analyzed, as well as the terms entered by the users of the Presidential Archives Portal of Korea, the terms used in the request for information disclosure toward the Presidential Archives in Korea, the search options of the Presidential Archives Portal, and the elements of the description and metadata standard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on suggesting the methodology of developing various facets as main elements in finding aids using the presidential records as cases. 최근 이용자 중심 서비스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증가함에 따라 검색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검색도구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검색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차세대 검색도구에서 패싯의 중요성을 감안하고, 특히 대통령중심제인 우리나라에서 대통령 기록의 중요성 측면에서 검색도구의 고도화가 필수 불가결하다는 판단 하에, 대통령기록을 사례로 다양한 정보원을 분석하여, 대통령기록의 검색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패싯 요소들을 도출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 영국, 호주의 국가 기록관(National Archives)과 국가별 개별 대통령(수상) 기록관의 웹사이트를 살펴보고, 그 검색 옵션을 분석하였으며, 대통령기록 건명의 형태소 분석 결과와, 대통령기록관 이용자의 검색용어 및 정보공개청구 용어, 대통령기록관 포털의 검색 옵션 및 기록 기술과 메타데이터 등의 요소를 종합 분석하고 매핑하여 대통령기록의 특성에 기반한 패싯 요소를 도출하였다. 특히 본 연구의 의의는 대통령기록을 사례로 검색도구의 주요 요소로서의 다양한 패싯의 개발에 관한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 KCI등재

        조선시대 善惡籍 연구

        박현준(Park, hyun jun) 교육사학회 2012 교육사학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조선시대 학교에서 기록된 善惡籍이 무엇이고, 어떤 이유로 사용되었으며, 어떻게 활용되었는지 조사·분석하였다. 학교에서 선악적이 어떻게 활용되었는지 살펴보면, 1437년『학관개정안』에서 전국 각 학교에 善罰簿를 두고 활용하였다. 1582년『학교모범』 에서 학교의 善籍에 기록되기 위해서는 도덕적 모범이 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학문성취가 뛰어나야 했었다. 惡籍을 기록하는 것은 惡籍者를 고발하기 보다는 죄를 뉘우치고 개과천선시키기 위함이었다. 심지어 제적당한 경우에도 재입학의 기회를 주었다. 과거응시생을 선발할 때 선악적을 참고하여 행동에 오점이 없는 자를 천거하였다. 1731년 『치양적법』에서 선악적 기록을 참고로 하여 營學에 입학할 학생을 천거하였으며, 선악적에 기록된 학생을 각 단위 학교에서 관에 보고하였다. 18세기『덕곡서재월삭강회약』에서 ‘月朝約會儀’를 통해 학교의 공식행사에서 선악적을 활용하였다. 1881년『의학재규약』 에서 악적이 2권으로 세분화되어 관리되었다. 1899년 자암서당에서 학생들의 선행과 악행을 매우 상세하게 기록하였고 선악적의 기록이 학생대표선발에 활용되었다. 조선시대에 학교에서 선악적을 기록·활용함으로써 학습자에게 필요한 도덕성을 기를 수 있도록 하였다. This study has made investigation and analysis for these three items below: 1. What was Seonakjeok? 2. How was Seonakjeok used by school? 3. How was Seonakjeok enacted by school rules? Seonakjeok was used by school in Choseon Dynasty, it was spread in school across the country following by Hakgwan(學館) Amendments in 1437. Not only a kind manner but also a excellent grade was written as Seonakjeok following by school rules(學校模範) in 1582. Seonakjeok system recorded student"s‘attendance, grade, moral behavior" following by Chiyangjeokbeop(置兩籍法) in 1731. Seonakjeok was used by school events and was reported to education office. Seonakjeok was divided by three following by Uihakjae"s(義學齋) rules in 1881. Seonakjeok was used by a student representative selection at Jaam school in 1889. Choseon Dynasty"s school recorded and utilized Seonakjeok for student"s moral development. Seonakjeok was used by Administrative Selection System. In 1582, the man was written as a bad behavior on Seonakjeok was prohibit by law from enrolling Administrative Selection(科擧). Principal, head teacher, class president consulted Seonakjeok"s data and took counsel together. Then, the man was written as a moral hazard on Seonakjeok couldn"t enroll Administrative Test by law. During the last 500 years in Choseon Dynasty, community and school recorded Seonakjeok, utilized Seonakjeok for Administrative Selection System. A voluntary agreement of Choseon people is why Seonakjeok system keep going during 500 years in Choseon Dynasty. Seonakjeok recoding procedures and moral law of Seonakjeok and utilizing Seonakjeok for several events and verifying Seonakjeok for Administrative Selection and all about Seonakjeok were made by Choseon people. Those facts tell us how Seonakjeok is deeply rooted in our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