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세기 연행록에 나타난 아편, 아편전쟁

        임영길 ( Yim¸ Young-gil ) 근역한문학회 2021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60 No.-

        아편은 본래 설사와 복통의 치료제로 알려졌으나 그 환각 작용과 중독성으로 인해 기호품으로서 전 세계에 퍼져나갔다. 조선에서 아편이라는 물질은 19세기 이전까지만 해도 병증을 치료하는 약재 정도로 인식되었을 뿐, 상품으로서의 아편은 유통된 적이 없었으며, 그에 대한 지식도 갖추지 못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19세기 이후 조선의 연행 사절단이 아편으로 인해 내우외환을 겪는 중국의 상황을 접하게 되면서 아편의 유래, 아편 흡연도구와 방식, 아편의 효용과 중독에 따른 폐해, 아편전쟁의 경위와 내막 등에 관한 정보들을 입수하기 시작하였다. 1848년에는 역관 박희영이 아편 흡연 도구를 국내로 들여오다 적발되는가 하면, 이 일을 계기로 조정에서 아편연에 대한 금령을 내렸으나 결국 조선 내부에도 아편이 침투하여 심각한 위해 물질로 자리하게 된다. 아편(연)에 관한 기록은 19세기에 저술된 시화나 필기 등 일부 자료에 산재해 있는데, 특히 연행록에서 조선 사절단이 중국 현지에서 직접 견문한 아편 중독의 실태, 당보나 전언 등을 통해 입수한 영국과의 분쟁 상황, 아편 정책을 둘러싼 만주족과 한족 관원의 정치적 대립 등의 실상을 적극적으로 포착하고 있어 주목된다. 李圭景의 鴉片煙辨證說 에는 1820년대부터 연행을 통해 수집된 아편 관련 정보들이 조선 사회에 공유된 정황이 드러나 있다. 또한 尹程의 『西行錄』(1844), 權時亨의 『石湍燕記』(1850)에 수록된 한족 지식인들과의 필담에는 아편의 해독성 및 조선에의 유입을 경계하는 수준에 그치지 않고, 영국의 강한 군사력, 청 관료 사회의 부패, 은 유출로 인한 재정 고갈, 아편 금지책의 혼선 등의 내밀한 사정까지 생생하게 보고되어 있다. 아편에 대한 조선 지식인들의 관심이 서양 세력의 위협에 대비해야 한다는 위기의식으로 전환된 배경에 연행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Opium was originally known as a remedy for diarrhea and abdominal pain, but its hallucinogenic and addictive properties have spread it around the world as an item of personal preference. Until the 19th century in Joseon, the substance called opium was only recognized as a medicine to treat diseases, and opium as a commodity had never been circulated and it is understood that they did not have any knowledge about it. However, after the 19th century, the Joseon delegation came into contact with the situation of China that suffers internal and external troubles by opium, then they started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origin of opium, tools and methods of smoking opium, the effects of opium and the effects of addiction, and the history of the opium war. In 1848, station officer Park Hee-young was caught bringing in opium smoking tools and the court imposed a ban on opium smoking, however, eventually, opium penetrated into Joseon and became a serious hazardous substance. Records about opium are scattered in some materials such as poems and writings written in the 19th century. In particular, it is noteworthy because Yeonhaengnok actively captures the realities of the opium addiction, the conflict with the UK obtained through Tang-Bao(塘報) or messages, and the conflict and the political confrontation between Manchu and Han Chinese officials over opium policy which were experienced in China by Joseon delegation. In ApyeonyeonByeonJeungseol of I Gyu-gyeong, the situation in which opiumrelated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1820s was shared in Joseon society is revealed. In addition, the handwritten conversations with Han Chinese intellectuals published in Yun Jeong’s Seohaengnok(1844) and Gwon Si-Hyeong’s Seokdan Yeongi(1850) do not stop at the level of being wary of opium's hazard and influx into Joseon, vividly reports the confidential circumstances such as the UK's strong military power, corruption in the Qing bureaucracy, financial exhaustion due to silver leakage, and confusion of opium bans. It can be seen that Yeonhaeng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background in which Joseon intellectuals' curiosity about opium developed into a crisis awareness that they had to prepare for threats from Western powers.

      • KCI등재

        1910년대 조선총독부 아편정책의 실상

        박강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5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84

        After Japan occupied Joseon, how did opium problem changed? In the Residency-General, Japan already mentioned that opium problem was one of three evils in Korea and it must be eradicated. Japan had ruled Taiwan and the Kwantung Leased Territory in which opiun was rampant. So Japan had a lot of experience and perception about opium problem. Then how did Japan handle opium problem of Joseon? In this paper, the actual conditions of opium policy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the Joseon will be apprehended in the 1910s, the early years of Japan's occupation. So it will be deeply understanded that what was the direction Japan's opium policy in Joseon aimed to and What is the fact that Japan intended through opium policy. In the 1910s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the Joseon was poorly prepared for opium policy and the direction of policy was clesrly not set. In outrageous situation Japan pushed opium policy for making profit. As a result Japan underwent trial and error. The policy brought about repeated failure. Originall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the Joseon planed to crack dawn on opium. Because Japan worried that opium problem unsettled would result in a socially and economically disadvantaged. But Japan already made a huge profit from opium monopoly in Taiwan. That was attractive. So Japan Was forcedly willing to enforce opium policy in Joseon. Because Japan didn't understand the situation of Joseon's opium, The opium policy fell apart. After the First World War Japan also was willing to make the Colonial Joseon opium production base for opium demand of East Asia. This policy also ended in failure. At that time Japan and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the Joseon needed the policy for creating income through opium. So Japan and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the Joseon manipulated or interpreted the situation arbitrarily. These had no choice but to lead to successive failure and side effects. Finally in the 1910s outrageous policy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the Joseon made the public lose confidence in opium policy. Furthermore that caused a serious social problem of morphine poisoning in the Colonial Joseon in the 1920s. 일본이 조선을 강점한 이후 조선의 아편문제는 어떻게 되었을까? 통감부 시기에 이미 일본은 조선에서 근절해야할 세 가지 폐단 가운데 하나로 아편문제를 지목하였다. 아편이 만연된 대만과 관동주의 지배를 통해 아편문제에 관한 경험과 인식을 갖고 있던 일본은 조선의 아편문제에 대해 어떻게 대처하였을까? 본 논문에서는 일본의 조선 강점 초기인 1910년대 조선총독부의 아편정책 시행의 실상을 파악하여 일본의 조선 아편정책이 지향했던 방향과 그 의도를 이해해 보고자 하였다. 일제의 조선 강점 초기인 1910년대 조선총독부의 아편정책을 보면 공간된 자료와 내부자료 사이에 차이점들이 보이고 있었다. 1912년 아편의 폐습을 근절해야 한다는 대외적 표방과는 달리 내부자료에서는 식민지 조선에서 아편을 단속하는 목적은 식민지 개발에 있어 장해가 될 것을 염려하였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또한 1차 대전 발발 직후 식민지 조선을 ‘아국’의 약품 자급정책을 목적으로 의료용 아편의 생산지로 지정했다고 대외적으로 공개하였지만 내부적으로 범위는 국내가 아니었다. 내부자료를 통해 보면 아편을 통한 일본의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 당초 주장한 범위를 넘어 조선을 동아시아와 남양의 마약 생산 공급지로 삼고자 하였다. 또한 1910년대 조선총독부의 아편정책에 대해 이 시기 언론과 일부 극비문서를 통해 그 실태를 살펴보면 공간된 아편자료의 내용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공간된 아편자료에는 언급되어 있지 않지만 『매일신보』에 게재된 기사를 통해 1914년 1월에 조선총독부는 대만과 같이 收入을 목적으로 아편전매를 추진하고자 하였으나 내부의 반대 의견과 기타 사정 등에 의해 무산되었던 사실이 있었다. 또한 1차 대전 발발 이후 일본 세력권에 필요한 의료용 약품의 자급정책을 명분으로 식민지 조선에서 아편을 대대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1919년 6월에 조선아편취체령이 발포하였다. 그러나 당국의 정책 실패는 물론 안일한 대처와 단속의지 부족 등으로 인해 오히려 모르핀 중독환자만 양산시키는 심각한 사회문제를 초래하였다. 요컨대 1910년대 조선총독부의 아편정책은 정책에 대한 준비나 방향이 명확히 설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무리하게 수익문제와 연계시켜 추진함으로써 시행착오와 정책 실패를 거듭하였다고 하겠다. 당초 총독부는 식민지 조선의 아편문제를 방치할 경우 통치하는데 있어 사회경제적으로 불이익을 초래할 것을 우려하여 단속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대만의 높은 아편 전매수입에 매력을 느껴 조선의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한 채 무리하게 아편전매제를 추진하려다가 무산되었다. 또한 1차 대전 발발 이후 식민지 조선을 동아시아 지역에 필요한 마약의 공급지로 주목하여 아편증산 정책을 추진하였으나 이 역시 실패로 끝났다. 당시 일본과 조선총독부는 아편을 통한 수익 창출을 위한 정책의 필요에 따라 상황을 조작 내지 자의적으로 해석하였다. 이로써 연이은 실패와 부작용을 초래할 수밖에 없었다. 결국 1910년대 조선총독부의 무리한 정책 추진은 일본과 조선총독부의 아편정책에 대한 신뢰 상실은 물론 1920년대 식민지 조선에 모르핀 중독문제라는 심각한 사회문제를 야기 시켰다.

      • KCI등재

        개항기(1876~1910) 조선의 아편소비와 확산

        박강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3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76

        The opium raised a serious social problem and cast a dark shadow over modern China nearly one hundred years. Opium smoking began in the Ming dynasty. Under the Qing dynasty the regulation on opium prohibition was imposed in 1729. But in 1840 Opium War, First happened. Strict prohibition of opium was impossible. Besides China was defeated in Opium War, Second. By request of England, importing opium in china was legalized. After that opium was widespread in China. Then what circumstance of opium was happened in Korea that neighbored China? The Korean government(Joseon or Daehan Empire) had wariness of opium from around Opium War period. Korea was not immensely shocked by defeat of China. But the Korean government tightened guard against opium problem. Since 1876 opening a port to each nation, Korea made a greater effort to block import of opium. Since Opium War the Korean government having wariness of opium had dealed with opium problem. Nevertheless opium was spreading into country. How was that possible? After opening a port opium was brought into country and became more widespread. Especially after 1882, the regulation for maritime and overland trade between Chinese and Korean subjects, there was brisk exchange between Qing dynasty and Korea. The influence of Chinese living in Korea and Koreans’ lack of understanding opium, government’s inexperienced manage and so on played each role to make opium spread. In Korea there were many opium addicts in the special zones. But though it was a few, opium addicts spreaded all over the nation. Also because opium had effect of pain relief opium was widely used for a suicide method. On this account the seriousness of opium spread to society was noted. Around 1920 the seriousness of the consumption and spread of opium in Korea required harsh measures to government. 근대 중국에 심각한 사회문제를 야기했던 아편은 100여 년 가까이 중국사회에 암울한 그림자를 드리웠다. 명대부터 시작되었던 아편의 흡연은 청대에도 이어지면서 雍正 7년인 1729년에 세계 최초의 아편 금지령이 내려지기도 하였다. 그러나 1840년 아편전쟁이 발생하였고 중국의 아편엄금 정책은 실효를 거두기 어려웠다. 더욱이 제2차 아편전쟁에서 또 다시 패하면서 중국은 영국의 요구에 의해 아편의 수입을 합법적으로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 이로 인해 중국에서 아편의 확산은 걷잡을 수 없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과 이웃한 조선에서의 아편상황은 어떠하였을까? 아편전쟁 전후 이래 조선정부는 중국의 아편 소식을 접하면서 강한 경계심을 드러냈다. 1,2차 아편전쟁에서의 청조의 패배는 조선정부에 커다란 충격을 줄만큼 위협적으로 다가오지는 않았으나 오히려 아편문제에 대해서는 커다란 경계심을 갖게 하였다. 이로 인해 조선정부에서는 1876년 이래 각국과의 개항 과정에서 아편의 수입만은 차단하고자 각별한 노력을 기울였다. 그러나 개항 이후 조선정부의 아편수입 금지 노력에도 불구하고 본국에서 아편문제가 심각한 청국과의 무역왕래가 본격화되면서 아편의 유입을 차단하기란 쉽지 않았다. 즉 1882년 조선정부와 청정부 간에 맺은 조청무역장정이 체결되면서 청국 상인들의 상업활동이 확대되었으며, 아울러 영사재판권을 향유할 수 있었다. 여기에 제2차 아편전쟁 이후 중국 국내에서 아편의 수입은 물론 생산과 유통 및 판매가 사실상 합법화되면서 청국 상인들의 아편금지에 대한 의식이 약화되었다는 점도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이와 같이 개항 이후 유입되어 확산되기 시작한 아편은 흡연 동기가 다양하였지만 질병치료와의 관련성이 가장 컸다. 조선에서의 아편흡연 동기와 관련하여 『황성신문』에 게재된 기사들을 통해 보면 크게 중국인과 교류하면서 중국인의 권유로 흡연하는 경우, 쾌락을 위해 흡연하는 경우, 질병치료와 관련하여 흡연하는 경우 등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또한 『각사등록 근대편』에 수록된 아편범죄 관련 재판문서를 통해 살펴보아도 대체로 질병치료와의 관련성이 매우 높았다. 사실 아편흡연과 질병치료와의 관련성은 비단 조선만의 문제는 아니었다. 대만과 중국에서도 아편흡연의 주된 동기는 질병치료였다. 이러한 사실을 감안해 보면 조선의 경우가 예외가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조선정부가 아편전쟁 전후 시기부터 아편문제에 대해 경계심을 갖고 대처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아편이 확산되었던 것은 무엇 때문일까? 아편이 사실상 합법화된 중국과의 통상 교류 증대를 통한 청국상인들의 상세 확대와 아편에 대한 잘못된 정보의 전달, 청국인들의 아편흡연에 대한 유인, 조선 백성들의 대국문화에 대한 동경 등이 아편이 확산되는데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아울러 아편범죄 위반에 대한 정부의 처벌과 법집행이 엄격하지 못했던 점, 외국인 거주지역에 대한 아편단속이 어려웠던 점 등도 한 몫을 했다고 하겠다. 이들 요인에 의해 확산되기 시작한 아편이 조선사회에서 어느 정도 심각했던 것일까? 조선정부의 아편 단속법에서 1905년 이전의 경우 아편흡연 위반자에 대해 2년 이상 3년 이하의 감금에 처하였고 아편 범죄자에 대한 처벌 역시 1898년 이전까지는 고시를 통해 시행되었다. 이에 비해 1905년 형법대전 반포 이후 징역 15 ...

      • KCI등재

        아편전쟁 이전 罌粟과 鴉片의 이해 ― 약재에서 금지품으로 ―

        정혜중 ( Chung Hyejung ) 이화사학연구소 2022 梨花史學硏究 Vol.- No.64

        This study analyzes Chinese understanding of opium by examining the inflow, distribution of opium, and its prohibition in China before the Opium War.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selected materials from the Song Dynasty to the Qing Dynasty, this paper focuses on how opium was perceived by the Chinese society and how the perception changed throughout the time. During the Song Dynasty and the Ming Dynasty, opium-poppy(罌粟) had been used as a medicinal ingredient and its utilization with medicinal purposes had expanded. However, during this time, Chinese had not recognized its danger or the possibility of addic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Zhenglei Bencao(證類本草) and Bencao Gangmu/Compendium of Materia Medica(本草綱目). However, in Qing Dynasty, even before the Opium War, Su Mingliang(蘇明良), a military officer of Guangzhou, already sensed the harmful effects of opium. Through the analysis of Su’s Memorial to the Yougzheng Emperor(1727), this paper traces his observation of the route of opium into China, inhalation methods, the fate of smokers, and the social consequences caused by opium. Also, with the Opium Prohibition Act in Jiaqing-Daoguang period(嘉慶道光年間), opium was no longer a medicinal product. During this period, the Qing government discussed countermeasures against the silver leakage invoked by the opium trade. Although public welfare and health issue was not a main focus, the scope of punishment imposed on opium smokers expanded in Jiaquing period and, even in Daoguang period, the limit of punishment furthered to death. Also, the imperial commissioner, Lin Zexu(林則徐), and the famous doctor, He Qiwei(何其偉), initiated the treatment for opium poisoning during this time.

      • KCI등재

        개항기(1876~1910) 조선의 아편확산과 청국 상인

        박강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4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80

        During more than a century after Opium War the opium raised a serious problem in chinese society. Over chinese border opium had an evil influence on neighboring Joseon. In Joseon the inflow and spread of opium began as soon as ports were opened. Especially chinese merchants related to the inflow and spread of opium from 1882 upward, when economic relations and trade between the two countries were active. Throughout the nineteenth century China was having a serious social problem caused by opium. The two country, Joseon and Qing, maintained the close exchange each other and were border countries. So there was hige probability of opium's inflow into Joseon by China. After opening port the opium problem of Joseon reached a serious standard by interchange between two countries, Joseon and Qing, though the government of Joseon took warning. At first glance, it was expected that the serious situation of opium spread occurred by illegal activities of chinese merchants taking advantage of consular jurisdiction when they gained through regulations for maritime and overland trade between Chinese and Korean subjects in 1882. Actually the curse of opium occurred after the Sino­Japanese War. Especially after treaty for commerce between Korea and Qing in 1899 as bilateral consular jurisdiction was maintained and a lot of chinese people such as small merchants and coolies moved to Joseon, most of them engaged in illegal activities referring to opium. As a result around 1910 opium spreaded across the nation. the main culprit of opium diffusion was chinese merchants. With this negative recognition on chinese people was stamped on korean. That affected the exclusion of overseas chinese in japanese colonial era. 아편전쟁 전후 이래 100여 년 동안 중국사회에 심각한 사회문제를 야기했던 아편문제는 비단 중국만의 문제에 그치지 않고 이웃한 조선에도 영향을 미쳤다. 조선의 아편유입과 확산은 조선이 개항되면서 시작되었으며, 특히 1882년 이후 활발해진 청국과의 경제교류 속에서 청국 상인과 관련이 깊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조선의 아편유입 및 확산과 청국 상인과의 관련성을 심도 있게 다룬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조선의 아편유입 및 확산과 청국 상인과의 관계에 대해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동아시아 최대 강국인 청조가 영국과의 아편전쟁에서 패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조선정부는 외세의 침략보다는 아편의 유입을 더 경계하였다. 조선정부는 연행사절을 통해 아편전쟁 전후 이래 중국의 아편문제와 아편전쟁에 관한 소식을 전해 듣고 있었다. 청조가 1,2차 아편전쟁에서 패한 사실에 대해 조선정부는 당초 위기감을 가지기도 하였으나 정보를 자의적으로 해석하고 위기의식을 가급적 축소하여 감추고자 하면서 위기의식은 점차 완화되었다. 그러나 아편문제에 대해서는 경계심을 늦추지 않았다. 청조와 국경을 접한 조선에 영향을 미칠 것에 대해 크게 우려하였다. 이에 따라 아편전쟁 이후는 물론 1876년 이래 조선정부는 각국과의 개항 과정에서도 아편의 유입 및 판매를 차단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러나 1882년 조선정부와 청정부 간에 조청무역장정이 체결되고, 이어서 1899년 대한제국과 청정부 간에 한청통상조약이 체결되면서 아편의 유입 및 판매가 우려되었다. 조청무역장정 체결 당시 이미 중국에서는 아편이 합법화되어 사회적으로 심각한 상황에 놓여 있었다. 뿐만 아니라 당시 일반 중국인들은 아편의 해독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결여되어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조청무역장정을 통해 청국 상인들이 개항장은 물론 한성에서 거주하게 되었고 내지에서의 상업활동이 이루어졌으며, 조선의 북부 국경지대인 의주와 회령에서도 수시로 교역이 가능해졌다. 이로써 아편의 유입 및 판매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었다. 더욱이 중국인과 관련된 사건에서 원피고 여부를 불문하고 단독 혹은 공동으로 영사재판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되어 아편범죄가 더욱 우려되었다. 아울러 청일전쟁 이후 1899년에 대한제국과 청정부 사이에 체결된 한청통상조약이 비록 불평등성이 완화된 조약이었지만 쌍무적인 영사재판권이 그대로 존속되면서 청국 상인들의 불법을 차단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조청무역장정의 우려와는 달리 청일전쟁 이전 청국 상인들을 통한 조선으로의 아편유입 및 판매는 의외로 심각하게 드러나지 않았다. 조청무역장정 체결 이후 한성과 개항장에 들어온 청국 상인들은 청정부나 조선정부로부터 공식적인 허가를 받고 들어온 사람들로 대체로 정상적인 상업활동에 종사하던 유력 상인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청일전쟁 이전까지 조선의 언론 등에서도 청국 상인에 의한 아편유입 및 판매와 관련된 기사 역시 찾아보기 힘들다. 그렇지만 당시 조선에서의 청국의 위세 등을 감안해 볼 때 청일전쟁 이전 조선의 언론 등에서 청국 상인들의 아편 관련 기사가 없다고 해서 조선에서 청국인의 아편문제가 없었다고 볼 수는 없다. 청일전쟁 직후 여러 언론과 재판문서 등에 청국 상인들의 아편판매 폐단에 관한 내용들이 제기되는 것을 보면 더욱이 그렇다. 청일전쟁에서 청조가 ...

      • KCI등재

        淸末民初 上海의 煙館

        박강 한중인문학회 2006 한중인문학연구 Vol.17 No.-

        본 논문은 아편무역이 합법화되었던 청말 민초시기에 煙館이 가장 번성했던 상해라는 지역을 중심으로 煙館의 성행 배경과 그 실태 및 변화 모습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당시 사람들이 연관을 어떻게 생각했으며 아편의 확산 및 보급과 어떤 관련성이 있었는지 고찰해 보려는 것이다. 아편의 흡연장소인 煙館은 아편이 확산하는데 일조를 하였다는 점에서 매우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그리고 근대 중국사회의 병폐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아편 금지정책을 시행하는데 있어서도 연관에 대한 단속은 정책 시행의 중요한 부분이었다. 그러나 연관은 단순히 아편을 흡연하는 장소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었다.청말의 연관은 수적으로나 질적으로 상해에 집중되어 있었다. 이러한 상황은 청말 상해지역의 독특한 사회배경 속에서 출현했던 것이다. 연관은 단순한 흡연장소의 기능을 뛰어넘어 누구나 가서 즐기고 싶어하는 공공의 휴식 오락공간으로 발전하였다. 특히 휘황찬란한 고급 연관의 출현은 ‘아편문화’ 형성에도 기여하였다. 상층이건 하층이건 아편을 문화 향유의 수단으로 여겼고 또한 동경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로써 아편의 해독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어려웠다. This is a study on the opium dens of Shanghai in the late Qing Dynasty and the early Republic. Opium dens were most popular in Shanghai in that period. So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what was the background of the widespread use of opium dens and how this phenomenon was related to opium proliferation. Opium dens, where people smoke opium, obviously promoted the spread of opium. Naturally, they have been regarded as the malady of the modern Chinese society. But opium dens were not simply the places where people smoked opium. Opium dens in that period were heavily located in Shanghai. It means that the city has a unique social background. Eventually, opium dens grew into the public places for relaxation and entertainment. The emergence of luxurious opium dens contributes to the forming of 'opium culture'. People of any classes thought opium consumption to be a culture and something to long for. The poisonous influence of opium, therefore, were easily ignored.

      • Unacceptable but Indispensable: Opium Law and Regulations in Guangdong, 1912-1936

        Xavier Paulès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3 Cross-Currents Vol.- No.7

        During most of the period from 1912 to 1936, Guangdong Province was independent from the central government. The local authorities there were facing a dilemma regarding opium, as others were elsewhere in China. On the one hand, opium was considered the symbol of China’s weakness, and its suppression was a top priority; on the other hand, opium taxes represented an indispensable source of fiscal income. Some Guangdong power holders were truly committed to a suppression agenda, especially from 1913 to 1924. During this period, with the exception of a brief interlude from 1915 to 1916, opium laws were prohibition laws. Even if these laws were not always enforced with full vigor, the drug remained illegal in Guangdong. After 1924, opium was legalized, and the authorities openly ruled an opium monopoly. They came out with increasingly comprehensive regulations, which proved successful in increasing opium revenues. Yet, as this article makes clear, there was nothing like direct government control: traditional tax-farming arrangements with local opium merchants (though under stricter supervision) remained the backbone of the monopoly. The article also pays attention to the influence of the Six-Year Plan (1935–1940) launched by the Nanking government. As a credible set of suppression laws, it appealed to the Guangdong progressive elites who were hostile to opium. They urged the local autocrat Chen Jitang to take similar action. Chen made attempts to launch his own plans for suppressing opium, but they were unconvincing and nothing concrete came out of them. This article suggests that, in order to obt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how easily Chen Jitang was driven out of power in the summer of 1936,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account the significant contribution of the Six-Year Plan in undermining his legitimacy.

      • KCI등재

        Relationship between Opium Abuse and Severity of Depression in Type 2 Diabetic Patients

        Sepehrmanesh Zahra,Sarmast Hossein,Kord Valeshabad Ali 대한당뇨병학회 2012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36 No.2

        Background: Opium use in diabetic populations is associated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pium use and severity of depression in Iranian diabetic patients. Methods: In this case-control study, 642 type 2 diabetic patients were recruited from those presenting at two outpatient clinics at the Akhavan Hospital in Kashan, Iran; of them, 600 diabetic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and divided into two groups: opium-abusers (150 patients) and non-opium-abusers (450 patients). Clinical and demographic information was obtained through a detailed questionnaire. Depression symptomalogy and severity were assessed with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and a corresponding diagnosis was made based on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IV, Text Revision, 2000 (DSM-IV TR) criteria. Results: The mean depression score was higher in the opium abuse group than in the non-abuser group (29.27±1.44 vs. 18.29±1.31, P<0.001). In general, a significant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opium abuse and depression among patients (odds ratio [OR], 4.54; 95% confidence interval [CI], 2.87 to 7.44; P=0.001).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dysthymia and opium abuse (OR, 0.68; 95% CI, 0.18 to 1.192; P=0.155), while MD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pium abuser group (OR, 7.32; 95% CI, 5.20 to 12.01; P<0.001). Conclusion: Depression is more frequent in opium-dependent diabetic patients, and its severity is also greater. Given these findings,opium-dependent diabetic patients should be advised about the increased risks of depression and related comorbidities.

      • 아편(마약)과 종교: 아편의 비유, 그 이면을 찾아서

        심형준 ( Hyoung June Shim ) 서울대학교 종교학연구회 2013 宗敎學硏究 Vol.31 No.-

        Marx`s critique on religion through the opium metaphor has a dialectical character. Religion makes people have false consciousness and provides them a shelter from their suffering in life. We can find this character in today`s symbolic meanings of opium. It is also same in the sacred. This article is an analogy. Religion and opium is not the same thing. They always are only like.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is not great. The gap between religion and opium may be narrowed. They could be connected to each other. Because they have some joint parts. First, we can find one in social level of religion. Second. the internal experience for transcendence is another discoverable one. It is not only in symbolic meanings. but also in realistic meanings. On these things in this article. I try to think about another aspect of the Marx`s metaphor which has a different implication on the secularization discourse. I have paid attention to the situation that some people prefer saying themselves spiritual to saying religious. We need some special conditions to hold true Marx`s opium metaphor. The pressure made by irregularities in religion and society is the driving force to substantiate this analogy between religion and opium. Those who desire to escape from the absurd of religion and society. those who would not gladly to be deceived by past fantasies. could make ``opium`` their travel companion to leave from this side to that side. It is difficult to imagine that there is nobody who has to leave from here to there.

      • KCI등재

        1920년대 마적과 한인, 그리고 아편

        박강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6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88

        Looking at the historical records about bandits and immigration Koreans of Manchuria and the maritime province of Siveria in the 1920's, we can see that they were partly related to each other. Bandits worked in the border area or the surrounding area. So did immigration Koreans. For bandits opium money from the main income could not be ignored. The recordings about immigration Koreans in the border commented on the opium. In the 1920's immigration Koreans of Manchuria and the maritime province of Siveria or the border were able to avoid exploitation of Japanese that they had suffered in the country. But on the ground, another type of difficulties were waiting. In the 1920s, China was in an era of warlord rule. At that time mounted bandits were rampant in Manchuria and the maritime province of Siveria. The border region many Koreans moved to and activitis area of bandits were the same area. The main income of bandits was opium money. Some poverty-stricken of immigration Koreans was involved in opium cultivation. So through opium, bandits and immigration Koreans were linked regardless of their will. Avoiding suppression by the army, the bandits were after Opium money that can be gained easily. Some of the immigration Koreans grew opium for a living because they were destitute situation. This was the situations they shared. 1920년대 만주 및 연해주지역의 마적과 이 지역 이주 한인 관련 사료들을 살펴보면 일부 연관되는 부분들이 눈에 들어온다. 마적이나 이주 한인들 가운데는 대체로 국경지역 또는 그 인근지역에서 마적활동을 행하거나 이주하여 생활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국경지역 마적의 주요 수입으로 아편수입을 무시할 수 없었는데 이 지역 한인 관련 사료에서도 아편 관련 언급들이 눈에 띤다. 1920년대 마적과 한인, 그리고 아편은 상호 어떤 연관성이 있었던 것일까? 본 논문은 위와 같은 의문점에서 출발하여 1920년대 국경지역 또는 변경지역에서 활동한 마적과 이주 한인과의 관계, 그 속에서 아편은 어떠한 관련성이 있었는지 등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중국 근대사에 있어서 만주하면 빼놓을 수 없는 문제 가운데 하나가 마적이다. 마적의 활동은 군벌통치시기의 잦은 전란과 변경지구의 불안정한 생활조건과 관련이 있었다. 1920년대 만주지역은 장쭤린 동북군벌이 북경으로 입성함에 따라 군벌 간의 전쟁에 얽히게 되었고 이로 인한 재정적 곤란도 야기되었다. 이러한 만주의 정치적 공백은 마적이 창궐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였다. 아울러 만주에는 식민지 조선과 러시아간 국경을 이루는 변경지역이 있었고 이에 인접한 산맥 등이 있었다. 이러한 지리조건은 마적이 활동하거나 은거하기에 유리한 장소를 제공하였다. 특히 길림성은 이러한 조건에 가장 부합되는 곳이었고 마적의 활동도 가장 왕성하였다. 마적의 횡행과 증가에 대해 동북군벌정권은 여러 가지 대책을 강구하였지만 해결이 쉽지 않았다. 만주에서 횡행했던 마적들이 그 집단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일정 수입원이 확보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정치적 기타 특별한 목적이 없는 마적에게 있어 주요 수입 활동의 하나는 인질 납치를 통한 금품 강탈이었다. 또 다른 수입원은 촌락이나 현성, 대도시의 습격을 통한 재물 강탈이었다. 특히 현성이나 대도시에 대한 습격은 위험성이 매우 높았기 때문에 다양한 전술이 요구되었다. 마적의 수입원과 관련해서 불가분에 관계에 있는 또 다른 것으로 아편수입을 들 수 있다. 아편수입은 길림, 흑룡강 일대에 발호하는 마적과 그 관계가 매우 긴밀하였다. 언론이나 사료에서는 만주 변경지역에 이주한 한인과의 관련성도 시사하였다. 사실 식민지 조선이나 러시아 연해주와 인접한 만주 일대의 변경지역은 마적의 활동이 활발한 지역이었을 뿐 아니라 아편의 재배와 한인의 이주도 활발한 지역이었다. 국내 언론기사와 일본 외무성의 사료를 통해 볼 때, 마적과 한인 그리고 아편 재배의 관련성은 무시하기 어렵다. 1924년의 통계를 보면 한인의 만주 이주 인구는 길림성이 약 38만 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두만강 대안인 간도에 집중해 있었다. 그 다음이 봉천성으로, 약 17만 명이 압록강 대안에 많이 거주하였다. 길림성 동부지역과 접한 연해주에도 약 15만 명의 한인이 이주하여 거주하고 있었다. 언론 보도를 통해 볼 때 마적들은 두만강과 압록강 대안의 변경지역을 중심으로 약탈을 일삼았다. 압록강 대안에서는 집안, 두만강 대안에서는 간도, 그리고 연해주에 대한 피해가 컸다. 변경 일대에 대한 마적의 피해는 중국인과 함께 이들 지역에 이주한 한인들의 피해 역시 적지 않았다. 언론 보도를 통해 볼 때 이들 변경지역 일대에서 활동한 마적들은 대체로 아편수입과 관련이 깊었으며 한인들의 아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