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15년 조선총독부의 고려대장경 인출 사업

        양혜원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3 규장각 Vol.62 No.-

        본고에서는 1915년 조선총독부에서 인출한 고려대장경 관련 자료를 두 가지 범주로 분류하여 그간 불분명하던 자료들의 성격과 특징을 다음과 같이 규명하였다. 자료의 첫 번째 분류는 규장각에 소장된 3종 자료로 ‘1915년 조선총독부 인출 고려대장경 관련 자료군’인 ‘『高麗板大藏經印刷顚末』(海士일10, 한은40) - 『大藏經綴本目錄』(奎26757) - 규장각 소장 고려대장경 인경본(奎15036)’이다. 두 번째는 ‘1915년 조선총독부 인출 고려대장경 3부’로, 규장각 소장 고려대장경과 그 동일 판본인 일본 東京 宮内庁 書陵部 소장본 및 일본 京都 泉涌寺 소장본이다. 『高麗板大藏經印刷顚末』은 1915년 고려대장경의 인쇄 경위와 인쇄 과정을 소상히 밝히고 있다. 이에 의하면 당시 일본 천황가에 바치기 위해 조선 총독이던 寺内正毅가 해인사 대장경을 절본 1부, 철본 2부로 총 3부 인출하였다. 현재 규장각 소장 고려대장경은 그 중 ‘철본’ 대장경으로, 철본이란 선장본을 뜻한다. 『大藏經綴本目錄』은 규장각 소장 철본 고려대장경의 經名, 卷數, 張數, 冊次 등을 정리한 것으로, 그 내용은 규장각 소장 고려대장경의 현황과 정확히 일치한다. 또 여기 수록된 대장경의 경전 종수와 권수를 헤아리면 1,511종 6,805권이 되는데, 이는 『高麗板大藏經印刷顚末』 수록 小田幹治朗의 「大藏經印刷終了報告」에서 전체 경전이 1,511종 6,805권이라 언급한 것과 일치한다. 즉, 『大藏經綴本目錄』의 정리 결과를 근거로 『高麗板大藏經印刷顚末』이 작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규장각 소장 고려대장경은 위 두 자료의 기록을 충실히 구현하고 있으며, 『高麗板大藏經印刷顚末』에서 서술한 조선 전통의 대장경 제작 기술의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결국 조선총독부에서 제작한 이 세 자료는 서로가 서로를 설명해 주는 자료인 셈이다. 한편, 『大藏經綴本目錄』에서 고려대장경의 경전 종수와 권수를 각각 1,511종 6,805권으로 정리한 것은 현재 학계에서 통용되는 1,514종, 6,808권과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는 『大藏經綴本目錄』에서 「補遺目錄」, 『金剛頂瑜伽念珠經』, 『蓮華眼陀羅尼經』의 3종 3권을 별건으로 헤아리지 않았기 때문임을 밝혔다. 『高麗板大藏經印刷顚末』에서 언급한 1915년 조선총독부 인출 고려대장경 절본 1부, 철본 2부는 그 소장처가 불분명하였는데, 실물 조사를 통해 각각 일본 교토 泉涌寺, 서울대학교 규장각, 일본 도쿄 궁내청 書陵部 소장 고려대장경을 가리킨다는 것을 명확히 하였다. 또한 書陵部 소장 대장경 사이에서 나온 카드를 통해, 『高麗板大藏經印刷顚末』에서 말하는 갑본이 泉涌寺 대장경, 을본이 규장각 대장경, 병본이 書陵部 대장경임도 밝혔다.

      • KCI등재

        일제시기 고려대장경 조사 및 인경 사업: 1910년대 보고서를 중심으로

        양혜원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0 한국문화 Vol.0 No.91

        This paper examines the interest in Goryeo Jaejo-Daejanggyeong and the progress of its printing work through the analysis of reports related Goryeo Jaejo-Daejanggyeong printed in the 1910s. There are two types of reports related to the printing of Goryeo Jaejo-Daejanggyeong in the 1910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vestigation Report on Haeinsa Daejanggyeong Woodblocks(海印寺大藏經版調査報告書)” published in 1910 and “Printing Report of Goryeo Jaejo-Daejanggyeong(高麗板大藏經印刷顚末)” published in 1915. It is worth noting that the investigation and printing of Goryeo Jaejo-Daejanggyeong in the 1910s completely solidified the trend of publication of Goryeo Jaejo- Daejanggyeong, including the subjoinder edition since 1865. In the end, the printing range including the subjoinder edition became the modern research scope of Goryeo Jaejo-Daejanggyeong. Investigation Report on Haeinsa Daejanggyeong Woodblocks is a 203-page report posted on May 12, 1910, after Murakami Yukichi(村上龍佶), the official of Gungnebu(宮內府), was ordered to investigate the condition of the woodblocks of Goryeo Jaejo-Daejanggyeong in Haeinsa in Hapcheon. This report summarizes the structure of the Janggyeonggak, the storage of Goryeo Jaejo-Daejanggyeong, and the condition of Goryeo Jaejo-Daejanggyeong woodblocks, survey opinions, and a list of Goryeo Jaejo- Daejanggyeong. This report was written just before Terauchi Masatake(寺內正毅) became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At that time, the Japanese showed great interest in the fact that woodblocks of Goryeo Jaejo-Daejanggyeong remained in Haeinsa. Printing Report of Goryeo Jaejo-Daejanggyeong is a report produced by the administration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in 1915 detailing the printing process and results of the Haeinsa Goryeo Jaejo-Daejanggyeong printing project. At the order of Terauchi, who was then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6,566 volumes of Goryeo Jaejo-Daejanggyeong and 236 volumes of the subjoinder edition were printed for 80 days from March 15 to June 2, 1915. This report, which had been printed in a small amount as a copy print, was later re-produced as a Shinyeon-Whaljabon(new-lead printed), so it remained in various domestic institutions, and was known to academia early. However,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and system of this report, and the incomprehension of the background of the report, there is no unified opinion on the exact author or publication year of this report. Therefore, in this paper, for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Goryeo Jaejo-Daejanggyeong from Kyujanggak, in particular, the publisher and background of publication of Printing Report of Goryeo Jaejo-Daejanggyeong, and the cause of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kinds and volumes of Goryeo Jaejo-Daejanggyeong in the report were investigated.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