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협상의 창 관점에서 바라본 정부간 갈등 연구

        고경훈(Kyung-Hun Ko),정인화(In-hwa Chung) 한국공공관리학회 2008 한국공공관리학보 Vol.22 No.4

        본 연구는 정부간 갈등을 주제로 이를 원만히 해결하기 위한 협상조건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즉, 서울시와 서초구가 주된 갈등 및 협상대상자로 등장하게 되는 서울시 추모공원 사례를 중심으로 협상의 창(Negotiation Window)의 관점에서 협상이 전개될 수 있는 조건을 모색하였다. 정책결정의 조건과 마찬가지로 불확실한 환경하에서 전개되는 협상은 갈등의 흐름, 대안의 흐름, 정치적 사건의 흐름이 교차하는 역동적 과정이었으며, 이러한 조건이 갖춰졌을 때 협상이 전개될 수 있는 협상의 창(Negotiation Window)이 열리게 되고 이러한 상태가 유지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negotiation condition which solves intergovernmental conflict. That is, groped condition that negotiation can be opened in Negotiation Window of negotiation laying stress on Seoul memorial park case that Seoul city and Seocho-gu are appeared by main dispute and negotiation actor. Negotiation that is spread under uncertain environment as condition of decision-making is dynamic process which stream of conflict, alternative, political event cross.

      • KCI등재

        독일법체계상 민간투자사업과 행정계약법의 관계에 관한 연구

        오준근 한국공법학회 2008 公法硏究 Vol.37 No.1

        이 논문은 민간투자사업과 행정계약법의 관계를 학문적으로 규명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비교법적 고찰, 특히 독일의 사례에 대한 집중적인 고찰을 통하여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 및 범위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독일에 있어 “민간투자사업”의 법적 근거와 개념 및 유형을 정리한다. 다음으로 행정계약법의 체계와 내용을 구체화한다. 이를 토대로 하여 민간투자사업이 행정계약법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가를 논리적으로 추론한다. 특히 민간투자사업의 구체적인 유형에 대한 개별적인 검토를 통하여 실천적인 해답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분석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교과서, 학술논문, 법령집과 각종 학술 데이터베이스 및 민간투자사업과 관련한 독일 연방정부(특히 재무부)와 각 주의 인터넷사이트를 포괄적으로 검색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독일의 경우 민간투자사업은 “Öffentlich-Privaten Partnerschaft” (ÖPP)라는 명칭으로 매우 활성화되어 있다. 독일의 행정계약은 「경쟁제한방지법」 (GWB : Gesetz gegen Wettbewerbsbeschränkungen)의 장중의 하나에 편입되어 규정되어 있다. 행정계약법의 적용을 받는 계약의 주체에 관하여는 경쟁제한방지법 제98조에 “행정계약 부여 기관” (Auftraggeber)이라는 명칭으로 구체적으로 열거되어 있다. 민간투자사업의 계약부여기관은 이들 중의 하나 또는 다수에 해당된다. 독일의 경쟁제한방지법은 공공계약기관에 대하여 특정한 유형의 계약을 체결할 것을 요구한다. 그러나 민간투자사업의 경우에는 그 복잡한 계약상황의 특성상 계약을 위와 같이 유형화할 수 없다. 독일의 판례는 민간투자사업과 관련하여 위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국가계약법이 적용되지 아니한다는 결론을 내리기 보다는, 어떠한 시행규칙의 적용이 보다 합리적인가를 결정하는 방향으로 그 이론을 정립하고 있다. 경쟁제한방지법이 요구하는 원칙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먼저, 가능한 모든 경우에 공개절차가 채용되어야 한다. 다만, 특정 범주의 기업 사이에서만 경쟁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한절차를 채용할 수 있다. 예외적인 복잡한 계약상황 아래에서는 경쟁적 대화절차를 고려할 수 있다. 이들 모두의 채용이 불가능한 아주 예외적인 상황에서 비로소 협상절차가 고려되어야 한다. 이 원칙은 민간투자사업의 경우에도 해당된다. 이 논문은 절차의 선택에 관한 체크리스트를 정한 후, 민간투자사업의 개별적인 유형 하나하나에 이를 구체적으로 적용하는 방식의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 KCI우수등재

        독일법체계상 민간투자사업과 행정계약법의 관계에 관한 연구

        오준근(Jun-Gen Oh) 한국공법학회 2008 공법연구 Vol.37 No.1-2

        이 논문은 민간투자사업과 행정계약법의 관계를 학문적으로 규명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비교법적 고찰, 특히 독일의 사례에 대한 집중적인 고찰을 통하여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시도하였다.본 연구의 내용 및 범위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독일에 있어 “민간투자사업”의 법적 근거와 개념 및 유형을 정리한다. 다음으로 행정계약법의 체계와 내용을 구체화한다. 이를 토대로 하여 민간투자사업이 행정계약법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가를 논리적으로 추론한다. 특히 민간투자사업의 구체적인 유형에 대한 개별적인 검토를 통하여 실천적인 해답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분석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교과서, 학술논문, 법령집과 각종 학술 데이터베이스 및 민간투자사업과 관련한 독일 연방정부(특히 재무부)와 각 주의 인터넷사이트를 포괄적으로 검색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독일의 경우 민간투자사업은 “Öffentlich-Privaten Partnerschaft” (ÖPP)라는 명칭으로 매우 활성화되어 있다. 독일의 행정계약은 「경쟁제한방지법」(GWB : Gesetz gegen Wettbewerbsbeschränkungen) 의 장중의 하나에 편입되어 규정되어 있다. 행정계약법의 적용을 받는 계약의 주체에 관하여는 경쟁제한방지법 제98조에 “행정계약 부여기관” (Auftraggeber)이라는 명칭으로 구체적으로 열거되어 있다. 민간투자사업의 계약부여기관은 이들 중의 하나 또는 다수에 해당된다. 독일의 경쟁제한방지법은 공공계약기관에 대하여 특정한 유형의 계약을 체결할 것을 요구한다.그러나 민간투자사업의 경우에는 그 복잡한 계약상황의 특성상 계약을 위와 같이 유형화할 수 없다. 독일의 판례는 민간투자사업과 관련하여 위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국가계약법이 적용되지 아니한다는 결론을 내리기 보다는, 어떠한 시행규칙의 적용이 보다 합리적인가를 결정하는 방향으로 그 이론을 정립하고 있다.경쟁제한방지법이 요구하는 원칙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먼저, 가능한 모든 경우에 공개절차가 채용되어야 한다. 다만, 특정 범주의 기업 사이에서만 경쟁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한절차를 채용할 수 있다. 예외적인 복잡한 계약상황 아래에서는 경쟁적 대화절차를 고려할 수 있다. 이들 모두의 채용이 불가능한 아주 예외적인 상황에서 비로소 협상절차가 고려되어야 한다. 이 원칙은 민간투자사업의 경우에도 해당된다. 이 논문은 절차의 선택에 관한 체크리스트를 정한 후, 민간투자사업의 개별적인 유형 하나하나에 이를 구체적으로 적용하는 방식의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 KCI등재

        영국법상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민간투자사업과 공공계약규정의 관계에 관한 연구

        오준근(Jun, Gen Oh) 한국토지공법학회 2008 土地公法硏究 Vol.42 No.-

        This article aims a scientific analysi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blic-Private-Partnership and the Public Contract Regulations in the United Kingdom. First, the meaning, the legal foundation and the model of Public-Private- Partnership (PPP) in Great Britain were put in order. Second, the structure and main contents of the Public Contract Regulations(PCR) were adjus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PP and the PCR in the United Kingdom was analysed on this basis.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PPP is widely used in the United Kingdom, but there is no special regulation only for the PPP. The PCR specify the procedures to be followed in relation to the award of public works contract, public supply contracts and public services contract. The contracting authorities are listed in regulation 3 of the PCR. The contracting authorities for the PPP contracts have to be one of the authorities in regulation 3 of the PCR. The PCR apply whenever a contracting authority seeks offers in relation to proposed public works contract, public supply contracts, public services contract, framework agreement or dynamic purchasing system according to the regulation 5 of the PCR. But the PPP contracts are such a complex situation as to choose one of the contract type regulated in the PCR. For the purpose of seeking offers in relation to a proposed public contracts, a contracting authority shall use the open procedure or the restricted procedure in all circumstances, except where it may use the negotiated procedure or the competitive dialogue procedure. This principle of contracting procedures have to be applied in PPP contracts. A checklist about how to select a contract award procedure in PPP contracts was formed in this artic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