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동북아 안보정세의 변화와 한국의 국방정책의 과제

        김강녕 ( Kang Nyeong Kim ) 조선대학교 동북아연구소(구 통일문제연구소) 2011 동북아연구 Vol.26 No.1

        본 논문은 동북아 안보정세의 변화와 한국의 국방정책의 과제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동북아 안보정세의 변화와 미래전의 양상, 한국의 국방목표와 국방정책의 기조, 한국의 국방정책의 과제 등의 순서로 살펴본 후 결론을 도출해보았다. 동북아에서는 역내 국가들 간의 상호교류와 다자협력이 중대되고 있다. 그러나 북핵문제, 양안문제, 역사문제, 영토문제, 해양경계선 확정문제와 같은 갈등요인과 함께 이를 둘러싼 주변국들의 경쟁적인 군사력 증강은 여전히 역내안보 불안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북한은 국제제재와 경제난에도 불구하고 2012년 강성대국 건설을 위해 총역량을 결집하고 있다. 수적 규모에서 세계 4위 재래식 전력과 핵을 비롯한 대량살상무기의 개발은 우리를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 국방부는 2l세기 전략환경과 미래전 양상에 부합하는 ``정예화된 선진강군``을 육성하기 위해 국방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개혁의 기본방향은 국내외 다양한 안보위협에 대처할 수 있도록 군구조를 개편하고 실용적 선진국방운영체제틀 발전시키는 것이다. 우리군은 가용 국방재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북한의 침투·국지도발 위협에 우선 대비하면서 전면전과 잠재적 위협에도 대비하여 전쟁을 억제하고 전승을 보장할 수 있는 최적의 선진군사역량을 건설해 나가는 일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조기경보능력과 실시간 감시능력을 구비하고, 네트워크 중심전(NCW) 수행이 가능한 C4I체계를 구축하며, 기동·타격전력체계의 질적 개선을 도모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ed to analyse the changes of security situation in Northeast Asia and the tasks of national defence policy of the Republic of Korea. For the purpose of that, this paper searched for the changes of security situation in Northeast Asia and future warfare in general, the objectives and tenets of the national defence policy, the ROK`s national defence policy tasks, and concluded. Within Northeast Asia, mutual exchanges and multilateral cooperation have been increasing. Yet the causes for disputes and the maritime demarcation issue, still exist leading concerned nations to compete against one another in bolstering their military power, which destabilizes the region. Despite the sanctions levi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its economic hardships, North Korea has put its utmost effort into constructing a strong and prosperous nation by the year 2012. The fact that North Korea has the world`s fourth largest conventional military force and that it has developed WMDs. including nuclear weapons, poses a serious threat to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MND) strives to reform national defense by building slim but strong advanced ROK military forces capable of meeting the challenges posed by the changing strategic environment of the 21st century and future warfare in general. The basic policy direction for national military reform is to change the military structure and develop a pragmatic, advanced defense operational system to counter various security threats posed at home and abroad. Our military should do its best to build advanced military capabilities capable of ensuring deterrence and victory incases of an all-out war as well as coping with the threat of local provocations by North Korea by making systems. the C4I system, which enables network-centric warfare, and a mobile strike capability will be obtained.

      • KCI등재

        싱가포르 예비군제도 사례를 통해 본 예비전력 발전 연구

        구원근,박현호 육군군사연구소 2019 군사연구 Vol.- No.148

        과거 전쟁은 제한된 전장에서 전투가 벌어지면서 전선이 형성되는 국지전의 형태를 띄어왔다. 그러나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무기체계의 고도화로 인해 현대전은 전쟁이 발발하면 전ㆍ후방 구분 없이 우리 영토 곳곳이 전장이 되는 것은 물론, 전 국민이 전투원이 되는 등 기존 전쟁의 시공개념이 사라져가고 있다. 이렇듯 언제 어떠한 형태로 개시될지 모르는 전쟁에 대비하여 모든 소요전력을 과거처럼 전방 등 특정지역에 보유 할 수는 없는 일이다. 때문에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현존전력을 최소한으로 유지하고, 다수의 예비전력을 보유하여 유사시를 대비하는 추세이다. 군사 선진국인 미국, 이스라엘, 싱가포르 등에서는 예비군들이 현역과 대등한 전투능력을 보유하도록 평소부터 관리 및 훈련시키고 있다. 그러나 한국군 경우 예비군이 유사시 전투임무 수행이라는 역할을 제대로 수행 할 수 있을지 많은 우려의 목소리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즉, 국방 전체예산의 0.3%에 불과한 예비전력 예산, 장비와 물자의 노후화, 짧은 예비군 훈련기간, 전투력 약화라는 악순환의 고리가 오랜 기간 되풀이되고 있다. 한편, 문재인 정부 출범 후 군은 전쟁패러다임의 변화에 부합하는 새로운 강군을 건설하기 위해 “국방개혁 2.0”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국가의 잠재역량인 예비전력의 정예화를 위해 정부는 2018년 4. 6일 부로 육군 동원전력사령부를 창설하여 예비전력 정예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배경은 필자가 예비전력 정예화 추진을 위해 2017년 6차 한ㆍ미 육군회의 시 협소한 국토환경, 징병제 이면서 전원 예비군으로 편성 하는 등 한국과 유사성을 가진 싱가포르의 예비군제도 분석을 제안하였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올해 5월, 싱가포르의 병무청(CMB), 전투근무지원사령부(CSSCOM), 예비군훈련장(MMRC), 난양공대(RSIS) 등 군 관련 기관을 방문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싱가포르 육군의 군사혁신 사례를 분석하고 함의를 도출하여 우리 육군을 중심으로 한 예비군제도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제 1장 서론에서는 미래 안보환경 변화에 따라 예비전력 정예화의 필요성,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방법, 선행연구의 검토결과를 제시하였다. 제 2장에서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국가 동원의 개념, 상비전력과 예비전력의 관계, 동원의 영향요인, 동원전력사령부 창설 배경 및 경과를 제시하였다. 제 3장에서는 싱가포르 동원 및 예비군 제도를 소개하고 사례분석을 통한 함의를 도출하였으며, 제 4장에서는 한국군의 동원 및 예비군 제도 발전방안으로 예비군 임무와 역할 확대, 정예 예비군 확보 및 육성, 최적의 동원시설 구축, 실전적인 훈련방법 개선 및 과학화훈련장 구축, 예비군 보상 및 인센티브, 예비군 인식 개선 및 예산확대 부분에 대해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동안 미국, 독일, 이스라엘, 스위스 등의 국한된 외국의 동원제도 연구에서 확장하여 안보 및 지리적 환경, 여건 등이 한국과 유사한 싱가포르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는데 그 의미가 있으며, 향후 예비전력 정예화의 추진에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 Wars in the past were localized warfares with fronts being established through combat in a limited fashion. However with the recent advancements in science and technology, wars are no longer limited to a specific time and place, with wars raging in every part of the country and every civilian becoming a soldier to take part in the war. Therefore, since we cannot predict when and where a war will begin, we cannot concentrate the majority of our forces on the frontline like we did in the past. In light of this problem, most countries are minimizing current forces and are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them to reserve forces in case of emergency. Militarily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S, Israel, and singapore keep training their reserve forces even in peacetime to maintain a combat power similar to their active duty counterparts. However, in the case of the South Korean reserve forces it is undeniable that many have raised questions about its ability to carry out operations in time of war. In other words, the reserve sector, which is allocated only 0.3% of the military's total budget, due to outworn equipments and facilities is forced into insufficient training routines thus repeating a vicious cycle that has troubled this sector for quite some time. On the other hand, since the beginning of the Moon Jae In administration, the military is determined on carrying out a military reform to confront the imminent threats and coming changes in the paradigm of war. In particular, to highly specialize the reserve forces, which is a potential asset of the nation, the government established The Mobilization Forces Command on April 1st, 2018.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writer's suggestion, a year after the activation of the Mobilization Forces Command, of an analysis of the reserve forces system of Singapore, which has similarities with South Korea in terms of improving their reserve forces and the employment of their reserves to defend their small national territories during the 6th ROK-US army discussions in 2017. For this research, the writer visited military related agencies such as the Singapore CMB, CSSCOM, MMRC, RSIS, etc.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reform of the Singapore Army and induce implications in order to provide development paths for the reserve forces system of South Korea. Chapter 1 of this paper deals with the necessity of improving the reserve forces with changes in the future security environment, the backgrounds and purpose of this research, and a review of advanced researches. Chapter 2 gives the concept of national mobiliz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erve forces and standing forces, and the progress of the Mobilization Force Command activation. Chapter 3 introduces the reserve forces system in Singapore and induces implications through examples, and chapter 4 provides development paths for the South Korean reserve forces in expanding misisons and roles, securing elite reserve forces, establishing infrastructure, improving training, rewards and incentives, and improving the perception of reserve forces. In conclusion,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expands upon past researches that were limited in studying just the mobilization systems such as the US, Grrmany, Israel, Swiss, etc. and focused its study on Singapore, which has similarities to South Korea, and the writer strongly believes this research will become a foundation for pursuing the advancement of reserve force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