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默齋 金墪의 南冥學 繼承 樣相

        구경아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1 남명학연구 Vol.72 No.-

        Sangsan Kim Family'(商山金氏)ve lived Sancheong(山淸) for 630 years. And They led ideas, academics, and literature. Nammyong(南冥) Cho Sik(曺植) had a great influence on their academic and social status. Kim Haeng(金行) is the son-in-law and disciple of Nammyong. Not only that, Daehajae(大瑕齋) Kim Kyung-geun(金景謹, 1559-1597), Jonyangjae(存養齋) Kim Eung-gyu(金應奎, 1581-1648), Dunjae(遁齋) Kim Bok-mun(金復文, 1590-1629), Yucheong(幼淸) Kim Hwak(金確, 1615-1690), Goejeong(槐亭) Kim Sang-geup(金尙, 1621-1686), Sosan(小山) Kim Seok(金碩, 1627- 1680), and Mukjae(黙齋) Kim Don(金墪, 1702-1770) are all disciples of Nammyong. In the 17th century, Nammyung Studies was suppressed by regime change, and they were even more persecuted by the riots that took place in the 18th century. In this situation, the disciples of the Nammyong School revised 『Nam-Myongjip(南冥集)』 and organized list of students for the sake of mental solidarity. At this time, Kim Don received family tradition. And He was inherited Nammyong's School vein. His performance can be seen from the participation in correcting Sisal(廝殺) way of training was maintained through Irilsin(日日新) and Gubangsim(求放心) And 『Sanhaesauyeunwonrok(山海師友淵源錄)』 and writing the epilogue of the book. Kim Don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characters of the 19th and 20th centuries, including Sangudang(尙友堂) Kim I-pyo(金履杓, 1812-1881), Dangye(端磎) Kim In-seop(金麟燮, 1827-1903), and Mulcheon(勿川) Kim Jin-ho(金鎭祜, 1845-1908). 산청지역 법물리의 상산김씨는 630년을 한 지역에서 세거해오면서 이 지역의 사상·학문·문학을 주도하는 위상을 갖추며 오늘날까지 이어가고 있다. 특히 상산김씨 가문의 위상에 지대한 영향력을 끼친 인물로는 南冥 曺植을 빼 놓을 수 없다. 남명의 문인으로는 남명의 사위였던 金行을 비롯하여 大瑕齋 金景謹(1559-1597), 存養齋 金應奎(1581-1648), 遁齋 金復文(1590-1629), 幼淸 金確(1615-1690), 槐亭 金尙 (1621-1686), 小山 金碩(1627-1680), 默齋 金墪(1702-1770) 등이 있다. 남명학파는 17세기 癸亥政變을 겪고 18세기 戊申亂을 치르는 동안 100여 년이 넘도록 정치적 탄압을 받아 滅失되는 위기에 처해졌다. 이런 상황에서 남명학파의 문인들은 남명학파의 결집을 다지기 위해 『남명집』을 개정하고 門人錄을 정리하였고, 남명의 문묘종사에 대한 청원을 이어나가 남명학의 명맥을 유지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였다. 이러한 시대 상황에서 金墪은 가학을 통해 남명학파의 학맥을 계승하였다. 김돈의 남명학 계승 양상을 살펴보면, 먼저 日日新과 求放心을 통해 남명의 廝殺的 수양 자세를 견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남명의 문집 부록의 문인록인 『山海師友淵源錄』을 교정하고 그 발문을 지어, 남명을 程朱學의 정통을 계승한 인물로 그의 학통을 정립하고 潰散된 남명학파의 명맥을 밝혀 남명학파를 결집시키고자 노력하였다. 김돈의 이와 같은 행적은 후손 尙友堂 金履杓(1812-1881)·端磎 金麟燮(1827- 1903)·勿川 金鎭祜(1845-1908) 등 19세기~20세기의 법물리 상산김씨를 주도하는 인물들에게도 큰 영향을 끼쳤다.

      • KCI등재

        기획논문 : 월연(月淵) 이도추(李道樞)의 남명학(南冥學) 계승양상(繼乘樣相)과 방외시(方外詩)

        윤호진 ( Ho Jin Yun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1 남명학연구 Vol.32 No.-

        한말의 학자 이도추(李道樞: 1948-1921)는 牲齋 許傳의 문하에 적을 두었고, 남명의 학행을 사모하였다. 면우 곽종석과는 같은 고을에 태어나 매우 절친 하였지만, 전혀 다른 삶을 살았다. 郭鐘錫이 고향을 떠나 퇴계의 학맥인 寒洲 李震相 문하에 들어갔던 것과는 대조적으로 이도추는 고향을 지키며 고향에서 강학하던 허전에게 배웠고, 자신의 고장의 학장인 남명을 존숭하였다. 곽종석이 큰 학자로서 세상에 이름을 떨친 반면에, 이도추는 세상을 피해 시골에 은거하며 시를 짓는 낙으로 살았다. 그래서 그의 삶은 화려하지 않고 그의 학문은 드러나지 않았지만, 그가 어떠한 삶을 살며 무엇을 시로 읊었던가 하는 것은 흥미 있는 연구거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이 글은 이도추의 생애와 한시를 살펴본 것이다. 그의 생애를 정리한 전기자료가 전하는 것이 없으나, 몇몇 문헌을 참고하여 간략한 생평을 구성하자면, 그는 당시의 진주 남사에서 태어나 평생을 그 인근에서 살았다. 일찍 과거를 포기하고 주변의 산수를 음상하고, 때로는 벗들과 멀리 유람을 나서기도 하였다. 곽종석, 하용제, 박규호 등과 함께 금강산을 유람하였던 것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그가 학문적인 저술이나 논쟁 자료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학자로서 학문에 몰두하기 보다는 문사에 많은 힘을 기울였고, 특히 시를 짓는 데에 특장이 있었다. 그래서 그는 주변의 사물과 인사에 대해 시를 읊기도 하고, 여행을 다닐 때의 여정과 감회를 시로 짓기도 하였다. 하지만, 그의 학문 성향 가운데 가장 두드러진 것은 남명학을 계승한 측면이며, 이러한 성향은 그가 남긴 시문 가운데 많이 드러나 보인다. 그의 시 가운데에는 특히 자연에 묻혀 세상과 떨어져 지내는 즐거움과 그 양 상을 읊은 시 들이 많이 있는데, 이러한 것은 크게 두 가지로 드러난다. 하나는 물외, 세외, 상외로 나타나 보이는 물외시이며, 다른 하나는 유선, 방호로 나타나 보이는 신선시이다. 이들은 모두 자신이 몸담고 있는 세상과는 다른 세상을 읊은 방외적인 것이다. 하지만, 이들 시의 내용을 들여다 보면 진짜 세상과는 다른 별세계를 다룬 것이 아니고, 그가 사는 공간을 그저 방외로 인식한 것이며, 신선세계로 인식한 것도 인간세계와는 다른 가상의 세계에서 관념적 유희를 즐기는 여느 유선시와는 다른 것이라 하겠다. In this writing, 1 looked through the life Lee Do-chu(李道樞) and his poetry. A biography arranging his life has not been inherited, but I constructed his life through several documents, and examined the meaning of his life. He was born in Chinju Namsa and lived there for his entire life. He gave up gwageo(科學) early and appreciated scenery nearby. Sometimes he made a journey with his friends. The most well-known trip was to Kumkang mountian(金剛山) with Kuck Zhong-seck(郭鐘錫), Ha Yong-jae(河龍濟), Park Kue-ho(朴圭浩). Although he left some academic writings and disputing documents, he mainly concentrated on creative writings and he was exceptionally gifted in writing poetry. Subjects of his poems were about surrounding things and people, and about his feelings through his journeys. The most eminent point through his academical tendency was that he succeeded Nammyung study(南冥學) and this tendency was well represented in his poetry. In his poetry, especially, there were a lot of themes about the living far away from secular world to nature. These poems can be categorized in two ways, One is to look these poems as Mulwue(物外) poems which describe Mulwue, Saewue(世外), Sangwue(象外), and the other is to look these poems as Sinseon Poems which describe Yuseon(遊仙), Bangho(方壺). These were all kinds of Bangwue which sung the different world from himself. However, when we specifically inquire his poems, we could find that he just discerned his world as Bangwue, so it is different from existing Yuseon poems having a conceptional play other than poets world.

      • KCI등재

        白雲精舍에 투영된 공간인식 변모양상

        주강수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3 남명학연구 Vol.77 No.-

        This study tracked the history and records of Baegunjungsa(白雲精舍) located in Baegun-dong(白雲洞) in Danseong-myeon, Sancheong -gun, South Gyeongsang Province, and investigated the perception projected onto that space and the significance in the aspects of changes. Baegun-dong(白雲洞) is known as the area Nammyung Josik (南冥 曺植, 1501-1572) visited three times seeking solitude. In the late 19th century, seemingly as a trend, Confucian scholars nearby would seek the place to pay respect to Nammyung(南冥)’s spirit. Known as the three lords of Baegun-dong(白雲洞), Usan Hanyu (愚山 韓愉, 1868-1911), Damsan Ha Woosik (澹山 河祐植, 1875-1943), and Gyeje Jeong Jaeyoung (溪齋 鄭濟鎔, 1865-1907) visited Baegun-dong(白雲洞) with the intention of building the Baegunjungsa(白雲精舍). This was an expressed intention to not only continue the legacy of Nammyung(南冥)’s spirit by finding its ruins, a sacred area, and construct the academies, but also to raise the methods of Confucianism through lectures in an era filled with such confusion. Despite their will, the intentions were not fulfilled in their era, but the academies was completed by Hanyu(韓愉)’s descendants and the students of the school of Ganjae(艮齋). The motive behind building Baegunjungsa(白雲精舍) was to mourn and remember Hanyu(韓愉). For such purpose, the students had to connect with Hanyu(韓愉)’s last teacher, and be acknowledged by a writer of Jeonwu(田愚), a widely recognized scholar of the old doctrine. Specifically, they received “The Record of Baegunjungsa(白雲精舍)” from Jeonwu(田愚), and an article on the Academies from Suknog Oh Jingyoung (石農 吳震泳, 1868-1944) and Gimjae Choi Byungsim (欽齋 崔秉心, 1874-1957), the main writers of Jeonwu(田愚). These steps allowed Baegunjungsa(白雲精舍) Acad- emies to be validated by the Ganjae(艮齋) school of studies, leading to it becoming the representative base of their scholars of the Gangwu(江右) area. The scholars of Confucianism from Baegun- jungsa(白雲精舍) Academies carved wooden blocks to print the “Nammueongsindo Epitaph(南冥神道碑銘),” authored by Jeonwu (田愚) and written by Song Siyeol(宋時烈), and also created a space of remembrance by displaying portraits of Jeonwu and Hanyu(韓愉). This is how the Ganjae school(艮齋學派), which had minimum contact history with Nammyung(南冥), came to occupy the Academies; scholars of the Namin stopped showing interest in the historical sites of Nammyung(南冥) after 1926. Unlike its initial purpose to serve as a place to succeed Nammyung’s studies(南冥學), Baegunjungsa(白雲精舍) academies has become a place for Ganjae’s studies(艮齋學) to maintain Confucianism, and to remember their teachers and those before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