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획논문 : 진주와 남명학의 세계 ; 남명(南冥)의 위기지학(爲己之學) 이념

        임헌규 ( Heon Gyu Lim ) 온지학회 2011 溫知論叢 Vol.0 No.29

        그 동안 남명학 연구는 그 성격과 연관하여 주로 1) 원시유학에 가까운 것, 2) 성리학적인 것, 3) 양명학적인 것, 4) 노장 사상이 깃들어 있는 것, 5) 성리학적 사유를 근간으로 하되 그 속에만 매몰되지 않고 원시유학의 정신을 폭넓게 수용한 것 등으로 규정하여 왔다. 그리고 남명의 성리학적 이론들은 「學記圖」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하여 1) 主理論적, 2) 主氣論적, 3) 一物渾론적, 4) 主心論적 등이라고 해석되어 왔다. 그런데 필자는 남명의 학문에 대한 이러한 분석과 해석들이 나름으로 의미가 있지만, ``선결문제 요구의 오류``라고 하는 중대한 문제에 봉착하지 않을 수 없다는 인식하에 이러한 논의를 止揚하면서, 그의 학문은 어떤 한 시대적 사조(관점)에 의해 규정하기 보다는 ``보편적인 유학`` 혹은 ``영구철학``의 이념과 패러다임에 의해 재구성할 때에 보다 선명하게 드러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여기서 그 일단의 근거를 제시하고자 했다. 여기서 필자는 남명의 자전적인 글은 「書圭庵所贈大學冊衣下」를 주 텍스트로 하여, 그의 爲己之學의 이념을 재구성하여 제시하였다. 즉 남명은 남명이 자기존재에 대한 철저한 不安의식을 갖고 궁극적인 태도변화를 통해 聖人에 이르는 학문을 하기를 확고하게 發心하여, 점차 근본적인 곳으로 나아가 本地風光을 觀照하고, 마침내 聖人이 되기에 부지런히 힘썼다는 것이다. 그리고 남명의 대표적인 철학시인 「원천부」는 이 본지풍광에 대한 깨달음이 잘 드러나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결론으로 필자는 남명의 爲己之學의 이념은 유가철학의 정통을 계승하고 체득한 데에서 나온 유가철학의 전형이라고 주장하였다. This paper`s aim is to articulate ideas and methodology of Nammyoung`s ideas of confucian philosophy in contrast with plato`` western classical philosophy. The ideas and methodology of classical philosophy is manifested on "the similes of cave" in The Republic of Plato. We reconstruct Nammyoung`s ideas of confucian philosophy on the based upon "the similes of cave" in The Republic of Plato. Nammyoung`s ideas of confucian philosophy begins with criticism of everyday`s reality contrary to the Tao. 2) Nammyoung`s ideas of confucian philosophy is based upon reverse of everyday`s consciousness. 3) Nammyoung`s ideas of confucian philosophy request absolute knowledge & practice of the ultimate Tao & Te. 4) Nammyoung`s ideas of confucian philosophy enlightenments the people with absolute knowledge of the ultimate Tao. Nammyoung`s ideas of confucian philosophy is a typical of classical philosophy. Nammyoung believe in reality of the human good mind and good nature(the human good mind and good nature is comprised of benevolence, righteousness, propriety and wisdom.) Benevolence, righteousness, propriety and wisdom(四德) is the origin of morality.

      • KCI등재

        慶尙右道 蘆沙學派의 南冥學尊崇 樣相과 그 本質에 대한 考察 -趙性家, 崔琡民을 중심으로-

        김익재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0 남명학연구 Vol.30 No.-

        趙性家와 崔琡民은 경상우도 蘆沙學派의 핵심 인물이라 할 수 있다. 그들은 南冥學派의 본거지인 경상우도에서 태어나 蘆沙 奇正鎭의 문인이 되었고, 기정진의 학문을 전파하고 확장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던 사람들이다. 그래서인지는 몰라도 이들의 행적을 돌이켜보면 그들에게서 남명학적 사상과 언행을 적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이들의 이러한 언행을 순수하게 보지 않고 있다는 점도 부인할 수 없다. 그 이유는 그들의 이러한 행위가 진정으로 남명학을 존숭해서가 아니라, 남명학적 사상이 뿌리 깊게 자리 잡은 경상우도에서 자신들의 학파세력을 확산하기 위해서는 의도적으로 그렇게 행동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었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기록에 남아있는 여러 가지 증거와 정황으로 볼 때, 경상우도 노사학파를 대표한다 할 수 있는 조성가와 최숙민은 실제로 남명 조식을 존숭하였고 그의 사상을 자신의 내면에 깊이 간직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그의 사상을 더욱 더 발전․확산시키기 위해 다방면에 걸쳐 노력했던 인물들이었다는 것도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다는 점에서 남명학 존숭과 관련된 그들의 언행은 진정성에 바탕을 둔 것으로 인식해야 한다. Cho sung-ga and Choi sook-min is the most remarkable persons of the Nosa-school in East Kyoung-sang district. They were born in the East Kyoung-sang district, the stronghold of Nammyoung-school, and became the students of Nosa Ki jung-jin. They put in a great deal of effort to spread and expand the academic theory of Ki jung-jin. But the second thought of their whereabouts, we can find out the considerable evidence that they have a lot of Nammyoung-school's ideas and behavior. And we can't deny that some of us partly agree that. Because the behavior of Cho sung-ga and Choi sook-min is taken as not purely efforts for the Nammyoung-school's ideas but as a pretentious actions to spread and expand the academic theory of Ki jung-jin. It may be so, but Cho sung-ga and Choi sook-min the representative of Nosa-school in East Kyoung-sang district, actually speaking they really respected Nammyoung Cho-sik and really kept his academical ideas in their mind. Furthermore we have to realize that Cho sung-ga and Choi sook-min did their many-sided efforts to develop and spread the Nammyoung-school's ideas and behavior.

      • KCI등재

        기획논문 : 경상우도 노사학단(蘆沙學團) 조성가(趙性家),최숙민(崔琡民)을 중심으로 ; 경상우도(慶尙右道) 노사학파(蘆沙學派)의 남명학존숭(南冥學尊崇) 양상(樣相)과 그 본질(本質)에 대한 고찰(考察) -조성가(趙性家), 최숙민(崔琡民)을 중심으로-

        김익재 ( Ik Jae Kim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0 남명학연구 Vol.30 No.-

        趙性家와 崔琡民은 경상우도 蘆沙學派의 핵심 인물이라 할 수 있다. 그들은 南冥學派의 본거지인 경상우도에서 태어나 蘆沙 奇正鎭의 문인이 되었고, 기정진의 학문을 전파하고 확장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던 사람들이다. 그래서인지는 몰라도 이들의 행적을 돌이켜보면 그들에게서 남명학적 사상과 언행을 적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이들의 이러한 언행을 순수하게 보지 않고 있다는 점도 부인할 수 없다. 그 이유는 그들의 이러한 행위가 진정으로 남명학을 존숭해서가 아니라, 남명학적 사상이 뿌리 깊게 자리 잡은 경상우도에서 자신들의 학파세력을 확산하기 위해서는 의도적으로 그렇게 행동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었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기록에 남아있는 여러 가지 증거와 정황으로 볼 때, 경상우도 노사학파를 대표한다 할 수 있는 조성가와 최숙민은 실제로 남명 조식을 존숭하였고 그의 사상을 자신의 내면에 깊이 간직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그의 사상을 더욱 더 발전·확산시키기 위해 다방면에 걸쳐 노력했던 인물들이었다는 것도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다는 점에서 남명학 존숭과 관련된 그들의 언행은 진정성에 바탕을 둔 것으로 인식해야 한다. Cho sung-ga and Choi sook-min is the most remarkable persons of the Nosa-school in East Kyoung-sang district. They were born in the East Kyoung-sang district, the stronghold of Nammyoung-school, and became the students of Nosa Ki jung-un. They put in a great deal of effort to spread and expand the academic theory of Ki jung-jin. But the second thought of their whereabouts, we can find out the considerable evidence that they have a lot of Nammyoung-school`s ideas and behavior. And we can`t deny that some of us partly agree that. Because the behavior of Cho sung-ga and Choi sook-min is taken as not purely efforts for the Nammyoung-school`s ideas but as a pretentious actions to spread and expand the academic theory of Ki jung-min. It may be so, but Cho sung-ga and Choi sook-min the representative of Nosa-school in East Kyoung-sang district, actually speaking they really respected Nammyoung Cho-sik and really kept his academical ideas in their mind. Furthermore we have to realize that Cho sung-ga and Choi sook-min did their many-sided efforts to develop and spread the Nammyoung-school`s ideas and behavior.

      • KCI등재후보

        海州鄭氏 家門의 晉州 定着과 學問 性向 : 南冥學派와의 관련을 중심으로

        李相弼 慶尙大學校 南冥學硏究所 2004 남명학연구 Vol.17 No.-

        진주의 해주정씨는 17세기 이후 진주 지역의 대표적 가문 가운데 하나로 일컬어져 왔다. 이 논문에서 말하는 晉州의 海州鄭氏는 農圃 鄭文孚(1565-1624)의 후손 및 농포의 아우 鄭文益(1568-1639)의 후손을 말한다. 농포의 두 아들 鄭大榮(1586-1658)과 鄭大隆(1599-1661) 및 농포의 아우 鄭文益 등 三叔姪이 어떻게 해서 진주에 정착하여 진주 지역의 대표적 가문이 되었으며, 남명학파의 본거지라 할 수 있는 진주 지역에서 이들이 가진 학문의 성향은 어떠한가 하는 점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진주의 해주정씨는 농포의 아우와두 아들로부터 비롯되었다. 이들이 처음 진주로 온 것은 避兵이 그 주된 목적이었는데, 그렇다 하더라도 전대의 혼인관계로 인해 상속받았던 田莊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었음도 또한 분명하다. 인조반정 이후에는 다시 서울 생활을 하려고 했었던 것 또한 확인되는 바였다. 그러나 농포가 李适의 난 이후 昌原府使 시절에 지은 詠史詩로 인해 逆謀로 처형당하고, 遺言에 의해 그 아우와 아들들이 진주에 정착하게 되었다는 부분은 좀더 생각하게 하는 점이 없지 않다. 광해군 시대 창원부사 시절의 詠史詩로 인해 반정 이후 인조 시대에 역모로 처형당할 수 있겠는가 하는 점이다. 지금으로서는 자료가 부족하여 증빙하기 곤란하지만, 이는 당시의 집권층이 농포가 광해군 시적 북인으로서 내암 정인홍과의 관련이 적지 않았다고 보았기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는 것이다. 물론 농포로서는 이러한 정치적 상황과 관련하여 환멸을 느끼고 자손들에게 정치적 은둔을 유언한 것이 아닌가 판단되는 것이다. 해주정씨가 진주에 정착한 초기에는 南冥學派를 영도하는 위치에 있던 謙齋 河弘度의 지우를 입어 남인으로 입지를 굳히는 듯하였으나, 1665년을 전후하여 농포의 신원에 앞 섰던 澤堂 李植의 아들 畏齋 李端夏에게 집지하는 인물이 나타나면서 서서히 노론화한 것이다. 그러나 노론으로서 확고하게 자리를 잡은 것은 경종 때 남인으로부터 심각한 핍박을 받은 뒤 영조가 즉위한 이후 이에 대한 보복성 핍박을 남인에게 가함으로부터였다. 이 일이 일어난 지 20여 년 후에 일어난 宗川書院 禍變의 주동자가 이 가문에서 나옴으로써 남명학파를 주도하던 남인과의 관계가 극히 악화되었고, 근기 지역의 노론 학자들로부터 학업을 전수함으로써 이 지역의 남명학파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멀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진주의 해주정씨는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남인과의 관계도 대체로 나빴다고 할 수 있고, 남명학파에 대한 관심의 정도 또한 보잘것없다고 할 수 있지만, 문집이나 유고 등을 남겼다는 이가 58인이나 있다는 것은 학문에 대한 관심만큼 여타 가문에 뒤지지 않으려 하였던 결과로 보인다. 남명학파라는 범위를 벗어나서 생각해 보면, 이와 같은 사실로 인해 해주정씨가 진주를 중심으로 하는 서부 경남 지역의 학문 발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Haeju Jeongs is called representative family tree in Jinju since 17th century. This report is about the decendant of Haeju Jeong of Jeong Mun-bu and the younger brother Jeong Mun-ik. Jeong Dae-young, Jeong Dae-ryoung are the sons of Jeong Mun-bu. This shows how they reached in Jinju, how they became the representative family tree in Jinju and how is their scholarship character. Haeju Jeong in Jinju is orginated from two sons of Jeong Mun-bu. The fist purpose that they came in Jinju is for avoid dodging. But they had some fields inherited for their wife's ancestors because of marriage in Jinju. After In-jo(The one of Chosun kings) war happened, they tried to live in Seoul life. But Jeong Mun-bu was sentenced to death because of his poems included conspiracy during Gwang-hae's generation. At that time his position is the chief Changwon near Jinju. His will included many parts of the reason why they fixed in Jinju. Owing to lack of materials, we can't prove why he is sentenced to death. He is North part person(1t is the party in power), that is continuous with Jeong In-hong. He felt disillusion concerning of political situation. So he began to retire of the world. In the beginning of political changing, they fixed their willing as a South part person(the party in Chosun) because of Ha Hong-do, the leader of Nammyoung School. Before and after 1665, his party was changing slowly. Noron(the party in Chosun) concerning the son of Yi Sik. After he occupied a position as a Noron person, he was got stringent since Yong-jo(one of Chosun Kings) hold a coronation ceremony. Twenty had passed since this event happened, the leader in Jongcheon auditorium was born in this family tree. So this party became worse with South part person, it took the initiation of Nammyoung School. Lately they were handed down a Noron scholar. Their concerning was alienated from Nammyoung School. Like this, except a few person in Haeju Jeong family tree, most people were bad with South Part Person's relationship and they had little concerning. However 58 people in Haeju family tree left many collection of works and manuscripts. On the point of this fact, they played an important role fo scholarship development with a center of Jinju in west kyoungnam.

      • KCI등재

        담장 문화를 통해 본 한(韓) 민족의 다문화 감수성 연구(Ⅰ)

        김영필(Kim Young-phil) 새한철학회 2016 哲學論叢 Vol.85 No.3

        본 연구는 한국 전통 건축의 담장문화를 중심으로 한민족의 정체성을 연구한다. 한국전통 담장은 경계 짓기를 싫어하는 자연을 닮아 있다. 한국 담장에는 습관적으로 만들어 놓은 인위적 경계를 허물고 자연과 소통하려는 지향성이 재현되어 있다. 필자는 조선시대 건축 담장 공간에 육화된 다문화적 감수성을 재구성한다. 특히 퇴계와 남명 그리고 한강으로 이어지는 영남의 문화적 벨트에서 그 단초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민족의 정체성을 한국 전통 건축의 담장 문화 속에서 재구성하는 것이다. 필자는 ‘16세기 조선’이라는 현실공간을 동시대인으로 살았던 퇴계와 남명의 문화적 감수성을 재현할 것이다. 특히 그들의 장수(藏修)와 유식(遊息) 공간이었던 도산서당과 산천재를 중심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그리고 도동서원을 중건 한 한강의 문화적 감수성을 다룰 것이다. 그런데 왜 하필 이들이 대상인가? 과연 그들이 한민족의 문화적 정체성을 담보해 줄 수 있는가? 그들은 가장 척박했던 시공간 현실에서 그 나름의 특이한(singular) 문화적 정체성을 형성했다. 주자학이라는 주류문화에 동화(同化)되지 않으면서, “주자보다 훨씬 세련되고 발전된 모습으로” 한국적 성리학의 특이한(singular) 문화적 정체성을 능동적으로 구성한 문화적 감수성을 공유하고 있다. This essay aims to study the identity of Han-nation focusing on the Fence-culture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 The korean traditional fence resembles the Nature disliking the constructing the wall(障壁). The intentionality that tears down the artificial boundary and communicates with the Nature embodied in korean fence-culture. I will reconstitute the multicultural sensitivity embodied in the fence space in Chosun Dynasty. Especially, I will identify the clue at the cultural belt in the Yeongnam region, Toegye(Yi Hwang), Nammyuon(Cho sik) and Hangang (Jeong Gu). The chief concern of this essay is to reconstitute the identity of Han(韓)-nation in Korean traditional Fence-culture. I will reproduce the cultural sensitivity of Toegye(李滉) and Nammyoung(曺植) that were lived in "the 16th century Chosun Dynasty" as contemporaries. Especially, this work is produced by study on Dosanseodang(島山書堂) and Sanchenjae(山天齋) that were space of their Jangsu(藏修) and Yusik(遊息). And continue to deal with the cultural sensitivity of Hangang (鄭逑) who reconstructs the Dodong Seowon(道東書院). So why dose it have to be them? Indeed they can represent the cultural identity of Han-nation? They formed the own singular culture-identity in the harshest time and space. They don"t assimilate to the major culture and furthermore share the cultural identity that construct the singular cultural identity of Korean Neo-Confucianism "more refined and advanced appearance than Zhu Xi"s" actively.

      • KCI등재

        문화현상으로서 부산 국제영화제에 대한 철학적 성찰

        이왕주(Lee Wang-joo) 대한철학회 2006 哲學硏究 Vol.97 No.-

        부산 국제 영화제는 십년이라는 짧은 연륜에도 불구하고 이제 명실상부한 아시아의 대표 영화제로 자리잡았다. 이 소론은 이 영화제의 성공을 특별한 문화현상으로 간주하고 이 현상을 철학적으로 성찰하고자 하는것이다. 공시적 맥락으로만 접근하면 부산 국제영화제의 성공 원인은 통상적 탐론 수준을 넘어서지 못한다. 통시성의 맥락을 짚어내야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 맥락에서 성찰할 때 주목하게되는 것은 이 도시만이 갖고있는 고유한 역사적 정체성 즉 부산성이다. 부산성은 특이한 문화 에피스테메에 의해 침윤되어있다. 부산성 혹은 그 문화 에피스테메의 본질은 틈이다. 변방성, 타자성, 차이성은 이 틈의 역사적 현실태다. 요컨대 부산 국제영화제의 경이로운 성취의 핵심에는 변방성, 타자성, 차이성을 천년이나 버텨온 이도시의 문화 에피스테메가 위치하고 있다. 이 소론은 또한 남명의 의이(義異) 철학이 어떻게 틈의 사상을 구현하면서 부산성과 연계되는가 밝히고 있다. 남명 사상은 틈의 인문학적 지정학적 위치가 어떻게 주체의 자리로 승화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헤겔식 주인과 노예의 변증법의 탁월한 범례에 속한다. 부산 국제영화제의 성공을 견인하는 힘은 남명의 의이 철학에 구현된 변방성, 타자성, 차이성의 승화라 할 수 있다. 부산 국제영화제가 표방하는 차별화 전략인 비경쟁 영화제, 아시아적 가치 등은 그 심원한 맥락에서 이런 남명 철학에 결부된다. 결국 부산 국제영화제의 성공은 행운스러운 우연이 아니라 역사적 필연의 결과다. In spite of short history (10years in 2005), P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PIFF) has been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Film Festival in Asia. It is something special for PIFF to succeed brilliantly in such a relatively short term. We fix our eye on this interesting cultural phenomenon which, we think, need to be explained in a persuading logic. Above all, to meet such a need, we should access to the phenomenon not in synchronic but in diachronic context. Firstly,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identity of Pusan City. This has some special historical geographical political situations. I would pinpoint the essence of these as <Between> in the context of Hegelian terminology. Hegel had drawn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the dialectic turn of Master-Slave relation in the process of the live-death fighting for the freedom. Secondly, I suggest some disputable issue on the reason of PIPP"s success in this short paper. That is, the pivotal key of success of PIFF be the subtle sublimation of this Between-Situation which would be the matrix of the Episteme of Pusan culture. I behold that the Episteme of Pusan be realized in PIFF phenomena which is the dramatic evidence of dialectic turn in the historical geographic situations of <Between>. In order to legitimate this point, I draw the philosophy of Nammyong, the philosopher of middle Chosun Dynasty. I name his philosophical practice of <Between> as the Philosophy of Justice-Difference which could be linked with Episteme of Pusan culture easily,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which are the Border, the Other, the Difference. In conclusion, the success of PIFF is not the lucky accident but the inevitable historical necessity.

      • KCI등재

        기획논문 : 남명 조식 철학 사상 연구에 대한 회고와 전망

        김낙진 ( Nak Jin Kim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2 남명학연구 Vol.35 No.-

        본고는 2012년 7월까지 남명 조식의 철학사상을 연구한 업적들을 회고한 글이다. 다섯 분야로 나누어 논의의 흐름을 살펴보았는데, 실천유학성에 대한 논의, 남명 성리학의 속성에 대한 논의, 탈유학성의 논의, 공부론의 특징에 관한 논의, 이기론적 성향에 대한 논의가 그것이다. 대부분의 논문들은 남명의 유학이 실천유학이자 脫이론적이라는 데 동의하고, 남명학의 특징을 비교라는 방법에 의하여 탐구한다. 비교 대상으로 삼아진 이들은 이황과 주희였다. 비교를 통해 남명만이 가지는 특성이 많이 드러났으나, 지나치게 차이성을 강조하고자 한 경우 상식에서 벗어난 무리한 주장들을 내놓아 남명학 이해를 오히려 저해한다. 이에 필자는 저술이 많이 남아 있지 않은 남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차별화와 함께 동일성을 찾는 작업이 중요함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남명학이 동아시아 유학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찾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기존의 주장을 받아들이고, 생활 속에서의 체험을 통해 공부해야 한다는 남명의 교훈은 여전히 유효함을 주장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look back on the results of studies on Cho Sik`s philosophy and thought. I divided into five themes and saw the trends of studies. Those were the discussion on his propensity of practical morality, the discussion on his tendency of Neo-Confucianism, the discussion on Post-Confucianism, the discussion on cultivation of the mind, and the discussion on his view about Li and Chi. The majority of researchers approved of the fact that his Confucianism is a kind of activism. They wanted to investigate the distinctive characters of Nammyeongism by comparative method, and they compared Cho Sik with Yi Hwang or Chou Shi. Among them were unreasonable opinions originated in attachment to divergence. So I urged the importance of the subject to search for the same aspects with the comparative objects. And I made a proposal to investigate his position in the East Asian academic history, it was already submitted by some scholars. In addition I emphasized the need of awakening his doctrine that students must learn truth from experience.

      • KCI등재

        남명 조식 철학 사상 연구에 대한 회고와 전망

        김낙진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2 남명학연구 Vol.35 No.-

        This article aims to look back on the results of studies on Cho Sik’s philosophy and thought. I divided into five themes and saw the trends of studies. Those were the discussion on his propensity of practical morality, the discussion on his tendency of Neo-Confucianism, the discussion on Post-Confucianism, the discussion on cultivation of the mind, and the discussion on his view about Li and Chi. The majority of researchers approved of the fact that his Confucianism is a kind of activism. They wanted to investigate the distinctive characters of Nammyeongism by comparative method, and they compared Cho Sik with Yi Hwang or Chou Shi. Among them were unreasonable opinions originated in attachment to divergence. So I urged the importance of the subject to search for the same aspects with the comparative objects. And I made a proposal to investigate his position in the East Asian academic history, it was already submitted by some scholars. In addition I emphasized the need of awakening his doctrine that students must learn truth from experience. 본고는 2012년 7월까지 남명 조식의 철학사상을 연구한 업적들을 회고한 글이다. 다섯 분야로 나누어 논의의 흐름을 살펴보았는데, 실천유학성에 대한 논의, 남명 성리학의 속성에 대한 논의, 탈유학성의 논의, 공부론의 특징에 관한 논의, 이기론적 성향에 대한 논의가 그것이다. 대부분의 논문들은 남명의 유학이 실천유학이자 脫이론적이라는 데 동의하고, 남명학의 특징을 비교라는 방법에 의하여 탐구한다. 비교 대상으로 삼아진 이들은 이황과 주희였다. 비교를 통해 남명만이 가지는 특성이 많이 드러났으나, 지나치게 차이성을 강조하고자 한 경우 상식에서 벗어난 무리한 주장들을 내놓아 남명학 이해를 오히려 저해한다. 이에 필자는 저술이 많이 남아 있지 않은 남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차별화와 함께 동일성을 찾는 작업이 중요함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남명학이 동아시아 유학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찾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기존의 주장을 받아들이고, 생활 속에서의 체험을 통해 공부해야 한다는 남명의 교훈은 여전히 유효함을 주장하였다.

      • 경남학 : 감수재(感樹齋) 박여량(朴汝樑)의 지리산 유람과 그 인식 - 「두류산일록(頭流山日錄)」의 분석을 중심으로-

        전병철 ( Byeol Cheol Jeon )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소 2010 慶南文化硏究 Vol.31 No.-

        감수재 박여량의 「두류산일록」은 1610년 9월 2일부터 8일까지 7일 동안의 지리산 유람을 날짜별로 기록한 일기체 형식의 유산기이다. 형식의 구성은 지리산 유람을 하게 된 배경을 서술한 도입부, 날짜별로 이동한 장소와 견문 및 감상을 서술한 여정부, 여정을 마친 후 유람의 전체적인 감회를 서술한 마무리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의 특성은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는데, 첫째는 사물에 대한 통찰과 그것을 통한 자신의 성찰이다. 둘째는 령남(嶺南) 사림(士林)의 산수 유람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성을 계승한 점이다. 또한 감수재는 지리산을 우리나라 국토의 중심이 되는 곳으로 여겼으며, 구도적 강학처로 인식하였다. Gamsujae Park Yeo-rang`s Duryusan Illog(daily record) was a diary style travel account by date about travel to Mt. Jiri for seven days from September 2, 1610 to 8. It was divided into introduction describing the background of the travel to Mt. Jiri, the itinerary part showing places by date and experience and thoughts, and the conclusion expressing overall emotion after the travel.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 can be summarized as two. First, it was insight about things and self-examination based on the insight. Second, it succeeded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Yeongnam Sarim`s sightseeing tour. In addition, Gamsujae considered Mt. Jiri as the center of Korean territory and structural Ganghakcheo(the education pl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