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瞻慕堂 林芸과 南冥 曺植과의 關係

        이상필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7 남명학연구 Vol.54 No.-

        Chem-mo-dang Lim Un(1517-1572) is a Confucian scholar who lived in Joseon Dynasty period An-eum Woojung together with his brother Kalchun Lim Hoon(1500-1584). Chem-mo-dang was renowned as a symbol of Practical Confucianism by receiving Hyo-ja Jeong-nyeo and was canonized into Yong-mun Seo-won(龍門書院) which was holding memorial rites for Il-du Jeong Yeo-chang(1450-1504). As 『San-hae saw-oo yeon-on-rok(山海師友淵源錄)』 contains that he and his brother Kal-chun lived together with Nam-myong Jo Sik (1501-1572) who was intimately close with them, when considering the difference in age or inferring the accomplishments of the studies, there is nothing intrinsically wrong with being a literator of Nam-myong. Nevertheless, 『Chem-mo-dang Collections(瞻慕堂集)』 not only included the writings expressing the teacher and student relationship with Toe-gye Yi Hwang(1501-1570), Chem-mo-dang epitaph edited by the posterity clearly revealed that he was a literator of Toe-gye.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the writings of Chem-mo-dang himself which could conjecture the relationship with Nam-myong . The fact that Nam-myong met Chem-mo-dang in the age of 66 was recorded by several Nam-myong School scholars, but there's no saling that they have met each other before. As Chem-mo-dang was 50 in 1566, it seems difficult that the advice of Nam-myong impressed Chem-mo-dang deeply to change the direction of his studies. Even so, 『Chem-mo-dang Collections』 cannot reply to 『Nam-myong Chronology』 contending that it is normal to contain the meeting of Nam-myong and Chem-mo-dang. What is it for? There is a critical reason that the grandchild of Chem-mo-dang Lim-gok Lim Jin-bu was the husband of great-granddaughter of Gu-am Yi-jung whom Nam-myong has renounced their friendships. Among the records of Gu-am Yi-jung of 『San-hae sa-woo yeon-on-rok(山海師友淵源錄)』 edited by Mu-min-dang Park In who was close to Lim-gok, there was a request to directly erase the record related to an unchaste woman treason. After that, Lim Yeo-baek, the son of Lim-gok, made a desperate and firm request to Park Man, the son of Mu-min-dang, by letter. Lim Yeo-baek served as a director of Gugye Seowon holding a memorial rites for Guam, requested and negotiated the plaque of Gugye Seowon for Guam, and addressed a memorial to ask for the posthumous title to Guam. Jeong In-hong was the person who kept the records of Guam in 『Nam-myong Collections(南冥集)』, and he is a teacher of Mu-min-dang and is also related to Lim-gok. Moreover, as two sons of Lim-gok all became Literator of Mu-min-dang, it would have been difficult for Nae-am to criticize Lim-gok's sons as he was the teacher of teacher. However, after Jeong In-hong was executed as a rebel from Injo coup, he was not identified, and the country as well as Gang-woo Confucian society also accepted and criticized Jeong In-hong as a rebel after 1650s. Therefore, Lim-gok family tried not to relate with Nam-myong all they can when publishing 『Chem-mo-dang Collections(瞻慕堂集)』. 瞻慕堂 林芸(1517-1572)은 조선 시대 安陰 葛溪에 살았던 儒學者로, 그 형 葛川 林薰(1500-1584)과 함께, 살아서 孝子 旌閭를 받아 당대에 實踐儒學의 表象으로 알려져 사후에 一蠹 鄭汝昌(1450-1504)을 제향 하던 龍門書院에 배향된 인물이다. 그는 자신의 형 갈천과 친밀하게 교제하였던 南冥 曺植(1501-1572)을 從遊하였던 것으로 『山海師友淵源錄』에 收錄되어 있는바, 학문의 성취와 관련지어 유추해 보거나 연령의 차이를 감안한다면, 남명의 문인이라 하더라도 조금도 이상할 것이 없을 것이다. 그런데도 『瞻慕堂集』을 살펴보면, 退溪 李滉(1501-1570)과의 師承 관계를 표현하고 있는 글들이 곳곳에 보일 뿐만 아니라 후인이 찬술한 瞻慕堂 墓道文字에서도 退溪의 門人임은 분명히 밝히고 있으나, 南冥과의 관련성을 짐작할 만한 첨모당 본인의 글은 쉽게 찾아내기가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남명이 66세 때 첨모당을 만난 사실이 남명학파의 여러 기록에 남아 전하고 그 이전에 만나서 담화를 나눈 기록은 전하지 않는다. 1566년이라면 첨모당이 50세 때이니, 첨모당의 학문에 대한 남명의 충고가 첨모당에게 깊은 감명을 주어 첨모당의 학문의 방향이 크게 바뀌었다고 보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그렇다 하더라도 『남명연보』에 전하는 남명과 첨모당의 만남 정도는 싣는 것이 정상이 아닌가 하는 데 대해서는 지금 전하는 『첨모당집』이 아무런 답변을 하지 못하고 있다. 이것은 무엇 때문인가? 이는 첨모당의 손자 임곡 임진부가 남명이 절교했던 귀암 이정의 曾孫壻라는 데 결정적인 이유가 있었다. 林谷이 자신과 친하게 지내던 无悶堂 朴絪이 편찬한 『山海師友淵源錄』의 龜巖 李楨 부분의 기록 가운데 淫婦獄事와 관련된 기록을, 일찍이 직접 刪削해 주기를 요청한 적이 있었고, 뒤에는 林谷의 아들 林汝栢이 无悶堂의 아들 朴曼에게 편지로 간곡하고 단호하게 요청하고 있다. 임여백은 귀암을 향사하고 있는 龜溪書院의 院長을 지냈고, 귀암을 위해 귀계서원의 賜額을 요청하여 성사시켰으며 귀암의 시호를 요청하는 상소도 작성하여 올린 적이 있었다. 『남명집』에 귀암 관련 기록을 남긴 인물은 내암 정인홍인데, 정인홍이 무민당의 스승일 뿐만 아니라 임곡과도 관련이 없다고 할 수 없다. 그런데다 임곡의 두 아들이 모두 무민당의 문인이 되었으니, 내암은 임곡의 아들들로서는 스승의 스승인 셈이어서 비판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정인홍이 마침 인조반정으로 인해 적신으로 처형당한 뒤 신원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1650년대 이후에는 나라에서뿐만 아니라 강우 유림 사회에서도 정인홍을 적신으로 인정하고 비난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니 임곡 집안의 처지에서는 『첨모당집』을 간행할 때에 될 수 있는 한 남명과 관련을 짓지 않으려 했던 것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