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대 이스라엘의 신비주의와 이단

        강성열(Sung-Yul Kang)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3 신학논단 Vol.73 No.-

        This article intends to present a theological answer to the crisis of Korean churches in the face of many heretic movements and their wrong mysticism. As we know, every religion has a mysticism as its basic principle. Without that mysticism aimed at the communion with gods, no religion could exist. Indeed, mysticism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xpressions of religious life. It arises from the universal thirst of almost every human being to communicate with divine beings and to know their will. We can find the evidence of that among the religions of the Ancient Near East(=ANE). Numerous mentions about divination, dream, vision, ecstasy etc. in the ANE literature and Old Testament support this fact. Almost all the peoples of ANE had many kinds of mysticism. But Old Testament assumed all along a critical attitude towards the mysticism of ANE religions. From the standpoint of the normative Yahwism, it was full of heretic inclination. It was totally opposed to Yahwism regarding Yahweh Elohim as the only creator of the universe, for it belonged to the nature religions that served all things in the creation as divine beings. Nevertheless, Yahwism also had various elements of mysticism in itself. Among them were dream, vision, lottery, and various mystic experiences of the prophets. The mysticism of Yahwism was based on the confession acknowledging Yahweh Elohim as the only creator and manager of human history, and it played a decisive role in making Israelite people to believe in and trust Him. But the mysticism itself is not the core and essence of Old Testament faith. The most important thing in Old Testament faith is the communion with God through mystic experiences and his sacred will and word derived from those experiences. Likewise, in these days, mysticism is a means to help Christians believe in God properly. Mysticism is not in itself the ultimate goal of Christian faith. To the Korean Christians, it is very important to know the will of God correctly through various mystic experiences and to do that will in their lives and history. We must guard against those many heretic movements in Korea and their unwholesome mysticism which emphasizes mystic experiences more than the revealed word of God. This article intends to present a theological answer to the crisis of Korean churches in the face of many heretic movements and their wrong mysticism. As we know, every religion has a mysticism as its basic principle. Without that mysticism aimed at the communion with gods, no religion could exist. Indeed, mysticism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xpressions of religious life. It arises from the universal thirst of almost every human being to communicate with divine beings and to know their will. We can find the evidence of that among the religions of the Ancient Near East(=ANE). Numerous mentions about divination, dream, vision, ecstasy etc. in the ANE literature and Old Testament support this fact. Almost all the peoples of ANE had many kinds of mysticism. But Old Testament assumed all along a critical attitude towards the mysticism of ANE religions. From the standpoint of the normative Yahwism, it was full of heretic inclination. It was totally opposed to Yahwism regarding Yahweh Elohim as the only creator of the universe, for it belonged to the nature religions that served all things in the creation as divine beings. Nevertheless, Yahwism also had various elements of mysticism in itself. Among them were dream, vision, lottery, and various mystic experiences of the prophets. The mysticism of Yahwism was based on the confession acknowledging Yahweh Elohim as the only creator and manager of human history, and it played a decisive role in making Israelite people to believe in and trust Him. But the mysticism itself is not the core and essence of Old Testament faith. The most important thing in Old Testament faith is the communion with God through mystic experiences and his sacred will and word derived from those experiences. Likewise, in these days, mysticism is a means to help Christians believe in God properly. Mysticism is not in itself the ultimate goal of Christian faith. To the Korean Christians, it is very important to know the will of God correctly through various mystic experiences and to do that will in their lives and history. We must guard against those many heretic movements in Korea and their unwholesome mysticism which emphasizes mystic experiences more than the revealed word of God.

      • Mysticism and Prophecy

        Ezhaparampil Manuel(인만희)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7 누리와 말씀 Vol.- No.41

        본 논문을 통해서 저자는 오늘날의 예수 제자직과 관련하여 “신비주의”와“예언”이라고 불리는 그리스도교 영성의 두 가지 근본 요소의 관련성을 보려고 한다. 그리스도의 제자됨의 이 두 가지 중요한 차원을 오늘날 대부분의 그리스도인들, 사제들과 수도자들까지도 별로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것이 사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교회와 사회 안에서 여러 가지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서 그 문제들에 대한 해결점을 찾고자 한다. 이 작업의 첫 번째 장은 “신비주의”가 무엇인지, 예수님의 제자됨과 관련하여“예언”이 무엇인지 이해하려는 것이다. 사실 이러한 측면은 그리스도인 정체성의 일부이며 근본적으로 성경적 개념이다. 신비적인 깊은 체험과 하느님과의 심오한 영적 결합이 없다면 진정한 그리스도인이 될 수 없고, 참된 예언자 또는 진정한 신비주의자가 될 수 없다. 예언과 신비주의 사상은 교회의 역사 속에서 보는 그리스도교 영성의 중요한 요소들이다. 덜 중요한 많은 일에 신경을 쓰고 가장 중요한 것을 편안하게 잊어가고 있는 교회의 모습에 많은 신앙인이 마음 아파하고 있다. 그래서 첫 장에서는 신비적이고 예언적인 차원에서의 그리스도인의 삶을 다루게 된다. 두 번째 장에서는 예수님의 삶에서 보여 지는 신비주의와 예언의 요소들을 알아보려고 노력할 것이다. 모든 그리스도인이 예수님을 따르고 있다. 예수님의 삶에서 예언자와 신비가의 모습을 볼 수 있을까? 그분의 예언직의 특성은 무엇일까? 어떠한 신비가였을까? 오늘날 예수를 가까이서 따르려 애쓰는 사람들에게 이 질문들은 중요하다. 따라서 이 장에서는 예수님의 영성을 분석하고 그 분의 하느님과의 신비한 결합과 궁극적인 예언적 역할을 강조한다. 세 번째 장에서는 결국 처음 두 장에서 설명한 신학적 현실에 근거하여, 오늘 날 예수의 제자들이 스승의 삶에서 드러난 이 두 가지 필수적인 측면을 받아들여 많은 사람들에게 복음의 증거가 될 수 있는 도전적인 삶을 살아가도록 초대하는 장이다. 이것이 이 논문의 결론이 되며 오늘날의 예수의 많은 제자들은 좀 더 예수를 입은 사람답게 제2의 그리스도가 되기 위한 부르심을 받았다는 것을 다시 일깨워준다. 그리스도인의 기본적인 영성에는 신비주의와 깊이 있게 하느님을 관상하는 자세가 있다. 신비주의와 예언을 교회 안의 사제직과 축성된 봉헌생활에서 분리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이 두 요소가 예수의 삶의 필수적인 부분이고, 제자직의 무시할 수 없는 요소이기 때문이다. 사제직과 수도생활에서 신비주의와 예언을 통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 있다. 그것은 하느님과 깊은 관계 속에 머무르는 사제와 수도자의 깨어있는 삶에서 드러나게 된다. 물론 사제들이나 수도자들은 하느님의 은총을 힘입을 때 자신에게 주어진 예언적이고 신비적인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오늘날 교회의 영적인 쇄신을 이루기 위해 이 점을 고려해야할 것으로 본다. In this short work the author tries to see the relevance of two fundamental elements in Christian spirituality called mysticism and prophecy with regard to today’s Christian discipleship. These two important dimensions of Christian Discipleship are generally ignored by most of the Christians especially priests and religious of today. Hence the first Chapter is an attempt to understand what mysticism is and what prophecy is with regard to becoming a disciple of Jesus. In fact these aspects are part of Christian identity and they are fundamentally Biblically based concepts. In its root we see Faith Hope and Charity which are fundamental to Christian Discipleship. Without this experience of transcendence and an in-depth spiritual union with God one cannot be a true Christian, a true prophet or a true mystic. In the second chapter we will try to trace elements of mysticism and prophecy in Jesus’ life. All Christian disciples are followers of Jesus. Being disciples they cannot ignore these two essential elements – mysticism and prophecy- visible in Jesus’ teachings and ministry. So in this Chapter, Jesus’ spirituality is analyzed and highlighted his mystical union with God and eventual exercise of prophetic role. And finally, based on the theological realities explained in the first two chapters, in the third chapter the author challenges the present day disciples of Jesus to embrace these two essential aspects in Jesus’ life to be credible witnesses of the Gospel as a solution to many fundamental problems the disciples of Jesus face today. The author concludes by saying, Christian discipleship is meaningless if it ignores these two fundamentals of Christian identity. The basic Christian attitude of a Christian Disciple is an attitude of mysticism and contemplation. One cannot separate these two dimensions -mysticism and prophecy- from priesthood and religious life. Because they are disciples of Jesus to whom these two elements are integral part of his life. There are concrete and specific ways by which we can integrate mysticism and prophecy in priestly and religious life. One need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practice of mysticism and prophecy in the context where one lives and work as an apostle. Being these two dimensions of discipleship are gifts of God’s reign, one can not become a mystic and a prophet without the power of God’s saving love and grace.

      • KCI등재후보

        신비체험가, 바오로사도

        전영준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08 가톨릭신학 Vol.0 No.13

        Many scholars confronted with some difficulties, while they attempted to study a concept of Paul’s mysticism in the past. Accordingly, some people insists that Paul may be considered as a mystic, but he did not have an own mystical theology. Another people says that those who consider Paul as a mystic in the later classic concept of mysticism are anachronical. Naturally, we have some questions in this situation. Firstly, did Paul experience mystical things in his religious life? Can we say that Paul was a mystic? Next, did Paul indicate a mystical union? Can we study state and effect of Paul's mystical union? Lastly, did Paul mention some mystical theory in his letters? Can we develop a mystical theology in Paul’s thought? Some scholar considered St. Paul's speaking of vision and revelation of the Lord and hearing the unutterable words in the highest possible intimacy with God in 2 Cor 12,1-6. It seems that St. Paul’s rapture into paradise, the third heaven is a mystical experience in auditory sense. On the other hand, St Paul explained own experience on the Lord through a vision in other places of his epistles (Cf. 1 Cor 9,1). It means that the Risen Christ appears in front of him. Probably, an appearance of Christ is reminded of the Paul's conversion experience on the road to Damascus (Cf. At 9,1-9; 22,6-21; 26,12-18). Another scholars research mysticism in a viewpoint of background of Paul’s thought namely in Hellenism or in Judaism. It was regarded as a mystical notion the formula “in Christ” which occurs 164 times in St. Paul’s Epistles. This formula was mysticism centered in Christ. Also, “being-in-Christ” is a expression for union with Christ. Christ is the term of union in Paul’s mysticism. In the traditional Christian mysticism, “love” and “knowledge” are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terms along with “vision” and “contemplation.” At present, our knowledge is only partial or incomplete. It appears merelyas a dim reflection in a mirror (1 Cor 13:12), as we ourselves are slowly moving through a process of transformation from one level of glory to another (2 Cor 3:18) by means of the Holy Spirit. This process of transformation, which also in some way involves a form of divine revelation, will not be complete until the consummation(1 Cor 13:12; 2 Cor 3:18). At that time a full knowledge will come. The most important limitation that Paul views as governing knowledge is the limitation placed on it by love. Insofar as we are free, we are possible receivers of God's self-disclosure that occurs concretely through knowledge and love. Catholic Church has had an ascetical theology and a mystical theology, today called spiritual theology, and has developed them for a long time. The Church Fathers and scholars researched a status of a mystical union, and many Saints experienced such a status through infused grace. We can compare Paul's life and thought with Catholic tradition. The goal of the mysticism is to meet our Lord. We can recognize that Paul absolutely met Jesus Christ, while considered Paul’s whole life. Certainly, it seems that Paul's theology is centered in Christ. The figure of Paul is in accord with the tradition of the mystical union. Therefore, we can say that Paul, the Apostle is a mystic. 본 논문에서 저자는 오늘날 ‘신비체험’에 대해 여러 학문 분야에서 사용하는 개념이나 이해하는 현상 중에서 바오로 사도를 평가하기에 적합한 기준을 찾아 바오로 사도에게 소급해서 적용해 그의 신비체험을 탐구해 보고자 했다. 왜냐하면 많은 사람들에게 유사하게 나타는 체험 안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을 연구해서 정의를 내리고, 또 다시 그 정의를 기준으로 다른 사람들의 체험을 평가하는 순환 구조가 가능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많은 학자들은 신비체험을 언급할 때 모두 수동적인 체험을 이야기 한다. 그리고 그 신비체험을 통해 우리는 하느님과의 일치의 상태를 경험하게 된다. 물론 그 체험이 수동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고 하더라도 인간 자아가 완전히 없어져서 하느님께 흡수되어 버리는 상태는 아니다. 한편, 신비체험이라는 용어가 경험적인 측면을 더 부각시키는 것 같아 잘못된 이해를 줄 수도 있다는 염려와 함께 신비체험을 인식과 사랑의 차원에서도 고찰되어야 한다고 지적한다. 우리는 바오로 사도의 자기 고백인 그의 서간들과 신약성경의 다른 부분들을 통해서 그가 분명히 부활하신 예수 그리스도를 만나는 체험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마스커스 도상의 체험(사도 9,1-9; 22,6-21; 26,12-18)이나 셋째 낙원 체험(2코린 12,1-6) 뿐만 아니라, 바오로 사도는 자신이 어미 태중에 있을 때 이미 주님께 선택되었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고백하는 것을 통해(갈라 1,15) 그의 전 생애가 결국 주님과의 만남의 시간이었다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바오로 사도는 분명 본인 자신이 주님에 의해 신비체험을 경험한 신비체험가 (Mystic)라고 말 할 수 있다. 훌륭한 신비체험가는 자신의 체험을 바탕으로 다른 사람들도 이런 신비체험에 참여할 수 있도록 가르치고 이끌려고 하는 것을 보게 된다. 바오로 사도의 전 생애를 살펴 볼 때, 그는 언제나 부활하신 그리스도를 언급하며 그리스도 중심으로 살려 했던 것을 알 수 있다(참고. 갈라 2,20). 그가 우리에게 가르쳐준 방법은 바로 그리스도 안에 머무는 삶이다. 바오로 사도는 ‘그리스도 안에(in Christ)’라는 정식을 통해 다양한 상황 속에서도 우리가 쉽게 주님을 만나고 일치 할 수 있게 해 주었다. 그러므로 바오로 사도도 우리들에게 자신이 경험한 신비체험을 우리들도 참여할 수 있게 무엇인가 열심히 가르쳐 주고자 하는 신비체험 전수자 (Mystagogue)라고 말 할 수 있다. 바오로 사도는 자신의 신비체험만을 단순히 전하려고 하지 않고, 신비체험에 대한 이론적인 정리도 시도했다고 보인다. 그 중 한 측면이 인식과 사랑에 대한 관점이다. 바오로 사도가 의식적으로 시도했던 자신의 체험이 배경이 되어 무의식적으로 언급했던, 우리는 바오로 사도의 신비신학 (Mystical Theology)을 이론적이고 체계적으로 정립할 수 있다고 본다. 그러므로 적극적으로 반대하거나 소극적으로 중립적인 입장을 취하는 신학자들이 다소 있다고 하더라도, 바오로 사도는 신비체험가 이었다고 말 할 수 있겠다.

      • KCI등재

        신비주의란 무엇인가? -개념에 대한 오해와 유용성을 중심으로-

        성해영 ( Hae Young Seong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人文論叢 Vol.71 No.1

        신비주의는 종교사에서 많은 논란을 야기했고, 우리나라에서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나 이런 논란의 대부분은 개념 형성 과정의 특정한 역사적 경험이 과도하게 부각된 탓에 비롯되었다. 그 논란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째, 신비주의는 비합리주의 혹은 반이 성주의다. 둘째, 신비주의는 초자연주의이다. 셋째, 신비주의는 이단 혹은 나쁜 종교다. 넷째, 신비주의 개념은 편견을 숨기고 있다. 다섯째, 신비주의는 비밀주의이다. 이 논문은 신비주의를 둘러싼 오해와 유용성에 초점을 맞춘다. 신비 주의가 구체적으로 어떤 논란과 오해를 야기했으며, 그러한 오해를 만들어낸 개념 형성의 역사를 검토한다. 이 글은 그 방식으로 구성 요소에 초점을 맞출 것을 제안한다. 구성 요소에 주목하는 방법은 개념에 수반되는 불확실성을 피하게 만들어 주어 신비주의의 유용성을 제고할 수 있다고 본다. 신비주의의 구성요소에 초점을 맞춘 개념 정의는 다음과 같다. 신비주의란 “인간이 궁극적 실재와 합일되는 체험을 할 수 있으며, 의식을 변화시키는 수행을 통해 체험을 의도적으로 추구하고, 체험을 통해 얻어진 통찰에 기초해 궁극적 실재와 우주, 그리고 인간의 통합적 관계를 설명하는 사상으로 구성된 종교 전통”이다. 신비주의는 여전히 유효하다. 그리고 신비주의를 둘러싼 논란은 역설적으로 신비주의의 역동성을 반영한 것이며, 이러한 역동성은 ‘체험,수행, 사상’이라는 차원에서 제기되는 여러 물음들을 통해 거듭 확인된다. 특히 다종교 사회인 우리나라에서 신비주의는 종교간 공존에 돌파구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통합과 합일을 지향하는 신비주의는 모든 것이 극단적으로 분리된 현대에 다시금 주목을 끌지만, 신비주의를 둘러싼 오해는 우리에게 신중함을 요구한다. 어지러울 정도로 많은 오해가 있는 우리나라에서 그러한 신중함은 신비주의의 유용성을 발견하는 첫 출발점이 될 수밖에 없다. Mysticism is a concept which has provoked much controversy in the history of religion. Since the beginning of the full-scale meeting of the East and the West, the term was been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tool for understanding human religiosity. At the same time, mysticism has been criticized as ‘devil worship’ or ‘heresy.’ Mysticism is composed of ‘mystical experience’, ‘mystical practice’ and ‘mystical thought.’ In Korea, this concept raised many misunderstandings, which is in fact not a unique situation. More specifically, the misunderstandings are as follows. First, Mysticism is a form of non-rationalism or anti-rationalism. Second, Mysticism is merely supernaturalism. Third, mysticism means heresy or bad religion. Fourth, the term mysticism hides certain biases contained within. Fifth, mysticism has same meaning as secrecy. These misconceptions have been derived from the Western historical context. Nevertheless, mysticism can function as a mirror that reflects our identity as it contains multi-dimensional aspects of religion. Furthermore, the mystical features of various religions can act as a bridge in a multi-religious society such as Korea. Hence it can be said that the term motivates inter-faith dialogue.

      • KCI등재

        13세기 베긴 여성 신비가들과 젠더 신비주의: 여성주의 시각으로 조명하는 베긴 여성운동과 제3의 신학자로서의 베긴 여성 신비가

        김정숙(Kim Jeong Sook)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7 신학사상 Vol.0 No.179

        이 논문은 13세기를 중심으로 일어났던 베긴 여성운동을 페미니스트 시각으로 분석하여 최초의 여성해방운동, 최조의 여성개혁운동으로 정의하며, 베긴여성 신비가들의 신비사상을 젠더 신비주의로 규명하고 있다. 젠더 신비주의는 여성주의적 시각과 상황적 신비주의 (contextual mysticism)를 연결하여 독특한 여성 신학적 신비주의 사상을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황신비주의는 신인합일의 초월적 신비체험이 발생하는 구체적 역사적 배경에 중점을 두는 신비주의 연구다. 상황신비주의와 연계한 젠더신비주의는 신비체험이 일어나기 전의 역사적 배경과 여성으로서 신비가들의 구체적 삶의 정황에 관심하며 그들의 신비체험과 저술을 분석한다. 또한 이 논문은 브라반트의 하데비치, 마그데부르크의 메칠드, 마그리트 포레테 등 위대한 3명의 베긴 신비가들의 저술에서 보이는 언어적 특성, 이미지와 상징, 개념들을 분석하고 공통점을 설명했다. 3명의 베긴 여성 신비가들의 신비 사상에서 발견할 수 있는 공통적인 신학적 특성을 통해 이들을 제3의 여성신학자로 명명하고 그들의 신학적 특성을 ‘신학적 인간학’의 범주로 분석하여 하나님 형상의 신학이라는 주체신학으로 분석하고 설명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Beguine women’s movement from a feminist perspective. This lay women movement began and developed from the end of the twelfth century through the thirteenth century, and was the first women’s movement of liberation, as well as the first women’s movement of reformation. This paper defines the mysticism of the Beguine community as a “gender mysticism” which expresses distinct female characteristics of this religious community. An independent women s religious life, with the goal of emulating the life of the Apostles, developed and flourished only in the Beguine communities. The Beguine women communities, unlike nuns of the convents, had been unique communities which did not belong to a religious order and functioned independently of the Church. Gender mysticism connects feminist perspectives to some aspects of contextual mysticism which focuses on the context of mystical experiences of mystics. The existing research on mysticism has concentrated on the phenomena following a mystical experience and the mystical experiences of union with God itself. In contrast, gender mysticism is more concerned with the historical context in which the women mystics were situated before the mystical experiences happened. Hence, gender mysticism analogizes the linguistic uniqueness, images, symbols, and concepts with which the Beguine women mystics used for their own writings and tries to bring out their unique theological thoughts. This kind of theological research, which explores the mystical thoughts of the three great women mystics, Mechthild of Magdebrug, Hadewijch of Brabant, Maguerite Porete, has resulted in designating these three women mystics as the “third women theologians” and calling their theological anthropology a “theology of image of God.”

      • 유태교의 신비주의 하씨디즘

        최성식(Sung-Sik Choi)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06 종교문화학보 Vol.2 No.-

        유태민족의 오천 년 역사는 억압과 박해, 추방과 방랑으로 얼룩진 역사이다. 이러한 험난한 역사 속에서도 유태민족들이 오늘에 이르기까지 자신들의 동질성과 정체성을 고스란히 간직할 수 있었던 것은 종교의 힘이 결정적이었던 것 같다. 이 종교의 힘은 토라와 탈무드를 경전으로 삼는 유태교로부터 나온 것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유태인들의 역사와 함께 면면히 그리고 은밀하게 입에서 귀로 또 다시 입에서 귀로 단절 없이 이어져 후세에 전해 내려온 유태교의 신비주의로부터 나온 힘 또한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유태교의 신비주의는 유태인들의 역사와 함께 시작되어 고난으로 얼룩진 오천 년의 세월 동안 유태인들에게 역동적인 힘과 미래에 대한 희망으로 고난을 극복할 수 있게 해주었던 정신적 지주였다. 이 신비주의는 없는 듯하면서도 있고, 보이지 않는 듯하면서 보이는, 끊일 듯하면서 이어지고, 은은하면서도 때로는 강렬하고 열정적인 힘으로 끊임없이 그들의 삶과 역사에 영향을 미쳐왔다. 이 신비주의는 고난과 역경 속에 처한 유태민족에게 더욱 빛을 발하여 어둠을 밝혀 주었고 북극성처럼 희망의 길을 안내해 주었다. 그러나 이 신비주의의 광채는 고난과 역경이 사라지면 함께 사라져 없는 듯이 보인다. 그러다가도 다시 고난과 역경이 다가오면 또 다시 빛을 발한다. 유태교의 신비주의는 오랜 세월의 흐름 속에서 여러 갈래로 나누어지기도 하고 또 다시 하나로 통합되기도 하는 과정을 통해 여러 가지의 신비주의 운동을 낳았다. 그 대표적인 신비주의로는 중세에 등장한 ‘카발라(Kabbalah)’를 들 수 있다. 18세기에 들어서는 이전의 신비주의와는 전혀 다른 성격의 새로운 신비주의 운동이 싹트게 된다. 이는 신비주의의 마지막 운동이자 신비주의 최정상이라 할 수 있는 하씨디즘(Chassidism)의 등장을 말한다. 동유럽 폴란드를 중심으로 시작된 이 신비주의 운동은 19세기 중엽에 이르기까지 동유럽 전역과 오스트리아까지 확산되어 그 최고의 부흥시기에 이르게 된다. 그러나 유럽에서 새로이 싹트기 시작한 자유주의의 물결과 함께 세속화의 물결이 유태인 사회까지 밀려오면서 곧 쇠퇴기를 맞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유태교 신비주의의 역사 속에서 등장하는 여러 갈래의 신비주의 운동을 살펴보고 유태교 신비주의의 최고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하씨디즘의 탄생배경과 그 가르침 또한 부흥과 쇠퇴 그리고 재부흥에 이르는 전 과정을 연구하여 정리하였다. The five thousand years of Jewish history is a history of oppression and persecution, exile and wandering. No matter how difficult things were, Jewish people never lost their identity because of their faith, Judaism. This religious power, Judaism, may have been derived from or based upon the Torah and the Talmud. Yet, the most important influence may be Jewish mysticism which is succeeded unceasingly throughout Jewish history. Jewish mysticism has been the spiritual prop and stay of the Jewish people to live dynamic and hopeful lives during long and difficult situations, even today. Jewish mysticism is paradoxical because it has influenced the lives and history of Jewish people directly and indirectly, leaving behind a soft or strong impression. This mysticism has led the Jewish people through hard times like the North Star. Jewish mysticism has a long history, but over time it has evolved from one to another. The most well known form of Jewish mysticism is Kabbalah which evolved during medieval times. Jewish mysticism is sometimes equated with Kabbalah. However, during the eighteenth century yet another form of mysticism emerged. The eighteenth century was a great age for Jewish mysticism. Throughout history, Hasidism has held the greatest appeal and reached the highest development during times of disappointment. It became the antidote to despair. Hasidism arose in response to a terrible hopelessness. The Jewish people of the eighteenth century tasted a moment of redemption in the midst of their toil and the spirit of salvation in the midst of persecution. This movement spread quickly and was a powerful influence over all of Eastern Europe and Austria until the mid-nineteenth century. Eclipsed by the strong European secular liberalism, Hasidism eventually decayed. Other forms remained, but the spirit had fled. Yet, Hasidism had a profound impact upon Jewish life and religion. Even today, modern Israel reflects some of its ideals. Accordingly, this paper will show the various kinds of mysticism in Jewish History. It will especially focus on Hasidism, the flower of Jewish mysticism: the background of birth, main teachings, prosperity and decline, revival etc.

      • KCI등재후보

        폴 틸리히의 신비주의 이론에 관한 소고

        백상훈 평택대학교 피어선기념성경연구원 2017 피어선 신학 논단 Vol.6 No.2

        Abstract A Brief Study of Paul Tillich’s Theory of Mysticism Sang Hoon Baek, Ph. D.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Theology Hanil University & Theological Seminary This essay is a constructive study of Paul Tillich’s Theory ofM ysticism and considers its possibility of providing a theological ground for the reception within Protestant churches of spirituality as an academic discipline and the construction of a model of Protestant spirituality. In the first place, we will elaborate on Tillich’s life experiences of the mystical, which occurred in the contemplations of the Baltic Sea and Sandro Botticelli’s painting and the ecstatic reading of Nietzsche’s proses. Reflection of these experiences provided him, I argue, a fundamental framework in which he understood and evaluated mysticism. What follows is the construction of the threefold focus in reviewing Tillich’s understanding of mysticism. First, there is in the later Tillich the distinction between mysticism as a category and mysticism as a type of religion. The mystical type of religion, in which the mysticalp redominates over the ethical, need the corrective of the ethical in order not to fall on the traps of its demonization. Second, Tillich’s unique term for the dialectical union of the mystical and the ethical, “baptized mysticism” finds its primary example in the Origen-Bernardian mysticism of love, which addresses the mystical participation in the being of Jesus the Christ ast he concrete embodiment of the divine. Third, the Tillichian baptized mystic, being grasped by the power of being-itself, confronts the threats of nonbeing and lives a life of being increasingly aware of the ambiguities of life on the basis of the mystical desire of the Unconditional. 한국어 요약문본 연구는 개신교 신학자 폴 틸리히의 신비주의 이론에 대한 연구로서 틸리히의 신비주의 이론이 현대 개신교 영성의 신학적 모델을 구상하는 데 도움을 줄수 있음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틸리히의 신비주의 이론의 배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우선 그의 신비적 경험을 일별한다. 바다(발트 해), 보티첼리의 그림, 그리고 니체의 잠언을 매개로 이루어진 그의 신비적 경험은 그의 신비주의 이해의 단초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신비주의와 연관된 틸리히의 산발적 언술들에 대한 종합적 이해를 위하여 삼중적초점을 구성한다. 첫째, 틸리히에게 신비주의는 종교적 체험의 한 범주이기도 하고 종교적 유형의 하나이기도 한데 종교적 유형으로서의 신비주의는 마성적 탈아의 덫에 빠지지 않기 위하여 윤리성과의 변증법적 통일이 필요하다. 둘째, “세례받은 신비주의”는 이를 설명하기 위한 그의 고유 용어로써 오리겐-버나드의사랑의 신비주의에 상응하는바 신성의 체현된 실재로서의 예수 그리스도의 존재에 참여하는 것이다. 셋째, 틸리히식 신비가는 무한한 존재의 힘에 사로잡힌 채실존적 위협과 대면하는 가운데 무한한 존재를 향한 신비적 갈망을 바탕으로 삶의 다차원적 모호성을 점증적으로 인식하며 살아간다.

      • KCI등재

        하인리히 수소의 신비주의 사상 연구

        김요섭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20 ACTS 신학저널 Vol.44 No.-

        Heinrich Suso(c.1295-1366), a representative of the medieval mysticism, presented a well-balanced mystical ideas which was distinct from the speculative medieval scholasticism but avoided falling into the typical errors of mysticism. As Christian mysticism, he illustrated the importance of the inner dimension of Christian faith and suggested some concrete methods to achieve spiritual progress in Christian life. However, different from his mentor Meister Eckhart’s mysticism, Suso did not forget to point out the inevitable dependency of human beings as creatures in contrast with the absoluteness of God’s existence. He also underlined the practical significance of Christ’s passion, and Christ’s role as the model of the spiritual life. Whenever he explains the nature of spiritual realities and teaches the way of spiritual exercises, Suso consistently stressed the mysterious aspects of spiritual truth and perfect happiness beyond any physical-intellectual dimension. Suso’s use of vernacular German in explaining spiritual progress and its application in daily life enabled his mysticism to influence a wide range of audience in his times. Futhermore, his idea can be considered as a link between the late mysticism and devotio moderna, one of the key renaissance movements. The relatively orthodox theological position and the popular style of Suso’s mysticism were two main reasons for the popularity of his mystical teachings throughout Europe afterwards. However, it is certain that Suso’s mysticism is different from the sixteenth-century protestant theology in soteriological, Christological, and practical points. Most of all, the late medieval german mysticism took spiritual experiences as the foundation of Christian faith, while protestant theologians maintained the word of God as the sole ground of Christian faith and theology. 하인리히 수소(Heinrich Suso, 1295-1366)는 중세 후기 독일의 신비주의를 대표하는 사상가로서 자신의 설교와 저술을 통해 신비주의의 신학적 이탈을 경계하면서도 스콜라 신학의 이성적이며 사변적 접근과는 구별되는 내면적 영성 계발의 필요성과 그 구체적 방법을 제시했다. 무엇보다 수소는 스승 에크하르트와 달리 하나님의 절대성과 차별되는 인간의 불가변적 피조성을 분명히 지적했으며 그리스도의 수난의 실천적 의의와 금욕적 삶의 모범으로서의 그리스도의 역할을 강조했다. 그는 자신의 저술에서 영적 실체적 대해 진술하고 그 실천에 대해 교훈할 때 항상 물리적이며 이성적인 차원을 넘는 선 영적 진리와 지복의 신비적 측면을 강조하기도 했다. 수소의 사상은 중세 후기 신비주의뿐 아니라 이후 나타난 근대적 경건(devotio moderna)과 중요한 이해들을 공유한다. 그는 자신이 생각한 영적 진보의 개념과 그 실천적 적용 방안들을 제시할 때 이해하기 쉬운 독일어로써 그 사유를 쉽게 표현했고 이해가 용이한 문장들을 사용해 대중들의 이해를 높였다. 이와 같은 표현의 용이성은 수소의 신비주의가 중세 후기 독일을 넘어 유럽 전역에 큰 영향력을 가질 수 있었던 가장 중요한 요인들 가운데 하나였다. 그러나 수소의신비주의 사상은 구원론과 기독론, 그리고 신앙의 기초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는 종교개혁 이후 개신교 신학과 명백한 차이를 가지고 있다

      • KCI등재후보

        필론의 작품에 나타난 신비주의

        송혜경(Song, Hye Kyoung)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1 神學展望 Vol.- No.174

        알렉산드리아의 필론은 다양한 학자들의 관심을 받았다. 필론의 신비주의와 다른 신비주의 전통과의 관계 또한 주요 연구 대상이 되었다. 필론의 작품 곳곳에 다른 신비주의 작품들에 나타나는 것과 같은 모티프, 곧 승천과 하느님 직관 개념이 발견되기 때문이다. 필론에 따르면 하느님께서 인간의 영혼에 불어넣어주신 ‘정신’이 승천함으로써 하느님을 바라볼 수 있으며, 이러한 하느님 직관(visio Dei)은 인간에게 참된 행복과 불멸성 그리고 신적 존재로의 변화를 가져다준다. 이러한 필론의 신비주의는 부정 신학적 입장에서 나온다. 곧 하느님은 본질적으로 알 수 없는 분, 인간의 이해를 넘어서는 분이시기 때문에 인간이 하느님을 조금이나마 알 수 있는 것은 이성적 추론이 아니라 신비주의적 체험을 통해서 가능하다. 그러므로 하느님께 이르는 참된 길은 신비가의 길이라는 것이다. 필론은 예언자들 특히 모세의 체험이 신비가의 체험이었음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어떤 학자들은 이러한 필론의 신비주의를 고대 그리스 신비 종교를 배경으로 해석했으며, 어떤 이는 이집트 종교나 헤르메스주의와 비교하여 설명하였다. 사실 이 모든 고대 지중해 종교에서 승천과 하느님 직관 모티프를 쉽게 발견할 수 있다. 필론이 태어나고 자란 배경을 감안할 때 이러한 헬레니즘 종교와 사상의 영향을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방 신비 종교와의 근본적 차이를 고려할 때 필론 신비주의는 초창기 형태의 유다교 신비주의와 관련짓는 것이 더 옳아 보인다. 사실 제2성전기 말 유다교 안에는 필론 뿐 아니라 테라페우테파나 큼란, 묵시주의 집단과 랍비 등 다양한 집단에서 신비주의 경향이 발전하고 있었다. 이러한 초창기 유다교 신비주의가 그리스도교와 영지주의, 헤칼롯 문학 등에 스며들어 하느님 직관을 얻기 위해 승천하도록 노력해야한다고 가르쳤던 것이다. 필론과 유다교 신비주의의 관계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지만 필론의 작품도 이러한 초창기 유다교 신비주의와 관련이 있음이 분명하다. 필론을 1세기 초창기 유다교 신비주의의 또 다른 대표자로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Philo of Alexandria’s corpus has been the focus of a vast amount of scholarship. Some aspects of the Philo’s mysticism and its relationship to a mystical tradition are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since the Philonic corpus contains several passages which notably focus on the motifs that other mystical texts have. That is the ascent into heaven and the subsequent transforming vision. According to Philo, man, because of ms mind, is similar to God; and through the contemplative life i.e. through the heavenly ascent of the mind, he can in principle attain a state where he can “see” God. And this visio Dei brings him true happiness, immortality and deification. Philo has an objective theology: God in his essence is unknowable. God is beyond human comprehension. God is primarily known for what he is not rather than for what he is. The knowledge of God is thus often understood in mystical terms. The true path to know God is thus the path of the mystic, but understood in the limited sense of one who contemplates that which is ultimately beyond human comprehension and can only be experienced. He attempted, moreover, to show that the experiences of the prophets, especially Moses, were mystical. Some scholars attempted to interpret Philo against the background of Greek mysticism and the mystery cults. Others compared Philo’s mysticism to that of the Egyptian cult, or Hermetism etc. In fact, the heavenly ascent and visio Dei motifs seem to be the common property of ancient Mediterranean religions. In fact, considering his background, we cannot ignore the possibility that Philo could have been influenced by the Hellenistic mystery religions and thoughts. But, given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opinions, there is a growing opinion among scholars that Philo’s mysticism may be linked to an early form of Jewish mysticism. In fact, it is a fact that during the Second Temple Period, a mystical tendency was developing and manifesting itself within different varieties of Judaism that include the sectarian communities of the Therapeutae and Qumran, the apocalyptic circles, and the rabbinic teachings as well as the Philonic corpus. This early Jewish mysticism filtered into Christianity, Gnosticism, and the Hekhalot literature, teaching that states: after a proper preparations, one can ascend into heaven and gain the transforming vision of God(visio Dei). More investigation needs to be mad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ilo and Jewish mysticism. But, based on the research that has been done on this relationship, it is plausible to conclude that Philo’s writings were indebted to this mystical tendency within Judaism. It seems them that Philo is another representative of the presence of the early Jewish mysticism in the first century.

      • KCI등재후보

        버나드의 ‘아가서 설교’와 신비주의

        권진호 한국교회사학회 2009 韓國敎會史學會誌 Vol.24 No.-

        Bernard’s ‘Sermones super Cantica Canticorum’ is his masterpiece and the superlative achievement of his mystical theology.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Bernard’s sermons introductorily, i. e. their background, literary form, contents, to put them across in their entirety. The Canticle is interpreted allegorical as follows: christological (ecclesiastical), mystical, mariological. In accordance with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Bernard interprets the bride as the soul thirsting for God. In addition, he links the traditional allegorical interpretation with the individual experience which the religious subject has. Although Bernard preached to his community, it seems, on the basis of evidence from the letters and the sermons, that Bernard’s 86 sermons on the Song of Songs are so much edited and altered, and they do not exhibit us the sermons as preached. So they are to regard as ‘more the product of the scriptorium rather than the pulpit’, more the literary work rather than the oral sermon. The mystical theology, which is contained in the sermons, is first the nuptial (bridal) mysticism. The bride is the individual soul loving God, and her ultimate aim is the mystical union with God (spiritual marriage). Bernard depicts this religious development with three kind of kisses. Second, his mystical theology is the Christ-mysticism. Bernard concentrates his meditative, contemplative attention on the suffered, crucified Christ. Therefore, his mysticism is to call as suffering-mysticism (cross-mysticism). The character of his mysticism is the emphasis on the experience. The spiritual experience is for Bernard the source of the religious, theological knowledge. The central experience is both self-knowledge and God-knowledge, and both are inevitable for our salvation. Finally, Bernard’s mysticism has the traditional structure of the mysticism, yet it also is to designate as the latin mysticism which is christ-centric and emphasizes the love and the experience. Bernard’s mystical sermons on the song of songs do not aim at knowing the divine mysteries but consummating spiritual union with G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